KR20000009648U - 건축공사나 측량에서 사용하는 정추 - Google Patents

건축공사나 측량에서 사용하는 정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648U
KR20000009648U KR2019980021688U KR19980021688U KR20000009648U KR 20000009648 U KR20000009648 U KR 20000009648U KR 2019980021688 U KR2019980021688 U KR 2019980021688U KR 19980021688 U KR19980021688 U KR 19980021688U KR 20000009648 U KR20000009648 U KR 200000096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haking
vertex
shape
vertic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8100Y1 (ko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이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연 filed Critical 이호연
Priority to KR2019980021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10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100Y1/ko

Link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고안은 공사현장이나 측량에서 수직상태를 확인하는 정추(正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정추에 비하여 줄을 정추에 쉽게 연결할 수가 있으며, 물품제작에도 공정을 한 단계 줄일 수 있으며, 사용할 때에도 추의 흔들림이 적어 수직상태를 아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정추는 끝이 뾰족한 역삼각형 원뿔형상으로 벽의 수직상태를 관찰할 때 흔들림이 심하고 바람이 불 경우에는 정추가 고정될 때까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에 시간의 허비가 많았다. 또한, 줄을 추에 고정함에 있어서도 줄을 고정할 꼭지부분에 시멘트나 이물질이 묻거나 또는 녹이 슨다거나하여 꼭지부분을 풀기가 어려울 때가 많이 있으며, 더욱이 나사부분의 마모로 인해서 못쓰는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추가 갖고 있는 단점을 개량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정추의 형상을 끝이 길고 뾰족한 역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밑면이 넓은 원통형이나 사각기둥, 육각기둥등 다각기둥으로 구성토록 하여 그 흔들림이 훨씬 적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공사나 측량에서 사용하는 정추
본고안은 공사현장이나 측량에서 수직상태를 관측하는 정추(正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정추에 비하여 흔들림이 적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사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추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역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가느다란 줄에 매달아 수직상태를 관측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의 형상은 줄을 추에 고정하기도 불편하고, 또한, 사용하기에도 불편한바, 줄(15)을 추(10)에 고정하려면 나사식으로 된 꼭지(11) 부분을 풀고, 꼭지(11) 가운데에 형성된 구멍(12)에 줄을 넣고, 구멍 내측에서 매듭(13)을 만들어 줄이 빠지지 않게 고정한 후, 이를 다시 추에 나사식으로 끼워서 고정시켜야 하므로, 불편한 것이며, 또한, 정추 상단에 시멘트나 이물질이 묻거나 녹이 슬기 쉬워 나사식으로 된 꼭지(11) 부분을 풀기도 어려웠으며, 또한, 나사가 마모되어 쉽게 망가지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사용함에 있어서도 정추의 끝이 뾰족한 역삼각형 형상이므로 추의 흔들림이 심해 수직상태를 관찰하는 데에 불편함이 많았다.
물론 역삼각형의 형상은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바닥의 수직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정확한 것을 요구하는 설계나 측량시에 사용되는 삼각대 아래에서는 적합하게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건설현장에서 목수나 미장이와 같은 일반 작업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이다.
즉, 일반작업자들은 그냥 정추를 매단 가느다란 줄을 붙잡고 위에서 아래로 정추를 늘어 뜨려 수직상태를 눈으로 관찰하면서 작업하게 되는바, 통상적으로 2층 높이인 2m 내지 3m 높이에서 정추를 늘어뜨릴 때 종래 정추는 끝이 뾰족한 역삼각형 형상이므로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많이 흔들리기 때문에 수직상태를 관찰하는데 애로점이 많았다.
물론, 과거 시간적 여유가 많았을 때에는 그 정추가 정지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해도 별 불편함이 없지만, 현 시대에는 그 정지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한다. 그 한가지 예로는 시중에 나와 있는 실로 정추에 연결한 후, 실의 한쪽 끝을 잡고 정추를 늘어 뜨리면 정추가 오랫동안 회전하면서 흔들리게 되는 바, 이는 실이 통상적으로 여러가닥으로 꼬아져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꼬인 실이 풀리면서 회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흔들림을 줄이기 위하여 낚시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바, 어쨋든 건축현장에서는 추의 정지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한다.
본고안은 흔들림이 심한 종래 정추를 개량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일반 작업자들이 수직상태를 관찰할 때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고안은 정추의 형상을 역삼각형으로 하지 않고, 밑면적이 넓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육각형등으로 구성하여 정추를 늘어뜨릴 때 짧은 시간에 멈춤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바람이 불어도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1 - 종래 추의 분해사시도.
도2 - 종래 추의 단면도.
도3 - 본고안의 사시도.
도4 -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5 - 본고안의 단면도.
역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건축공사나 측량에서 사용되는 정추에 있어서, 정추(1)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상단에는 줄(15)을 매달수 있는 고리(2)를 일체로 구성하고, 하단 정중앙에는 삼각형태의 돌기(3)를 구성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정추는 그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며, 그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가 있는 바, 미장, 타일 공사시에는 400g∼500g 정도의 무게가 적당하며, 조적공사시에는 500g∼800g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목수들은 내장과 외부 거푸집 공사가 다르므로 500g∼1000g 정도의 무게를 필요로 한다.
또한, 줄(15)을 정추(1)에 연결함에 있어서도 추 상단에 형성된 고리(2) 구멍에 줄을 옆(대각선 방향도 가능함)으로 꿰어서 묶기만 하면 연결이 끝나게 되므로 아주 간단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고리의 형상도 원형고리, 사각고리 형상등 그 형상에 구애받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또한, 하단 정중앙에 형성된 돌기(3)에 의하여 필요시 정확한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고안은 정추에 쉽게 줄을 연결할 수가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할 때도 추의 흔들림이 적어 수직상태를 아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줄을 추에 고정하려면 꼭지 가운데에 형성된 구멍에 줄을 넣고, 구멍 내측에서 매듭을 만들어 고정시켰으나, 꼭지 부분에 시멘트나 이물질이 묻는 경우가 많아 꼭지 부분을 풀기가 쉽지 않았으며, 더욱이 정추의 형상이 역삼각형 형상이므로 줄을 매달아 늘어뜨릴 경우 바람만 조금 불어도 너무 흔들려 수직상태를 관찰하기가 너무 어려웠다.
그러나, 본고안에서는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에 줄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아주 용이하게 줄을 추에 고정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그 형상이 밑면이 넓은 다각형 또는 원통형이므로 흔들림이 적어 추를 늘어뜨릴 경우 추가 쉽게 멈춰지도록 한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역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건축공사나 측량에서 사용되는 정추에 있어서, 정추(1)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상단에는 줄(15)을 매달 수 있는 고리(2)를 일체로 구성하고, 하단 정중앙에는 삼각형태의 돌기(3)를 구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정추.
KR2019980021688U 1998-11-09 1998-11-09 건축공사나측량에서사용하는정추 KR200218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688U KR200218100Y1 (ko) 1998-11-09 1998-11-09 건축공사나측량에서사용하는정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688U KR200218100Y1 (ko) 1998-11-09 1998-11-09 건축공사나측량에서사용하는정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48U true KR20000009648U (ko) 2000-06-05
KR200218100Y1 KR200218100Y1 (ko) 2002-03-21

Family

ID=6952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688U KR200218100Y1 (ko) 1998-11-09 1998-11-09 건축공사나측량에서사용하는정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1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33B1 (ko) * 2006-04-05 2008-01-21 (주)성풍건설 레이즈클라이머를 이용한 수직위치 측량방법
KR101476319B1 (ko) * 2014-10-02 2014-12-26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수직구 터널 갱내기준점 측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33B1 (ko) * 2006-04-05 2008-01-21 (주)성풍건설 레이즈클라이머를 이용한 수직위치 측량방법
KR101476319B1 (ko) * 2014-10-02 2014-12-26 주식회사 대신측량기술 수직구 터널 갱내기준점 측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100Y1 (ko)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3529B1 (en) Anchorage
JPS6370774A (ja) コンクリート製建材のコンクリート打ち時にアンカーを保持するための成形体
KR200218100Y1 (ko) 건축공사나측량에서사용하는정추
US5809851A (en) Threaded fastener driver
JPH0333435Y2 (ko)
US5816558A (en) Pole assist hanger aid
US47829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cladding from scaffolding
CN211085242U (zh) 管道测绘穿线装置
CN212153373U (zh) 一种固定锚杆及含有其的边坡防护网
KR100843934B1 (ko) 각도 조절용 인서트
CN210741471U (zh) 建筑工程垂直度检测装置
KR10201733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KR200300622Y1 (ko) 비계파이프용 캡
JP2014001622A (ja) 万能ウエイトセット
JP3035283U (ja) 測量用ポールを鉛直に設置する装置
US3319904A (en) Tool construction
CN218163196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地质勘察仪
CN208765597U (zh) 一种建筑施工用多功能尺
CN210659680U (zh) 一种人防设备分体式吊环结构
CN209604679U (zh) 一种组装式管道吊架
JPH0323485Y2 (ko)
JPH09158486A (ja) 吊りボルト取付け治具
KR200376871Y1 (ko) 마감패널 회전 부착구
JPH0648657Y2 (ja) 吊り下げ具
AU2017203343B2 (en) Anchor pe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