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499A -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499A
KR20000009499A KR1019980029954A KR19980029954A KR20000009499A KR 20000009499 A KR20000009499 A KR 20000009499A KR 1019980029954 A KR1019980029954 A KR 1019980029954A KR 19980029954 A KR19980029954 A KR 19980029954A KR 20000009499 A KR20000009499 A KR 2000000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filter plate
plate
pressure pump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629B1 (ko
Inventor
박은
하점룡
Original Assignee
이종구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구, 주식회사 광산기공 filed Critical 이종구
Priority to KR101998002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62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석표면에 잔류된 미분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탈수장치에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유입 압력을 순차적으로 높임으로서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높이고 탈수시간을 단축 시킴은 물론, 압축된 케익 배출시 필터판을 순차적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케익이 쉽게 필터판에서 이탈되게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골재 및 쇄석모래를 세척후 발생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슬러지 저장탑에서 인출되며 저압펌프가 구비된 주 공급관; 상기 주 공급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수분을 회수하고 미분을 케익형상으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슬러지 압축·배출수단; 상기 주 공급관에 장착되며 슬러지의 유입 압력을 상승시키는 중압펌프가 장착된 압력 상승관; 및 상기 주 공급관에 장착되어 있으며, 연결관, 압축공기 유입관, 공기배출관이 구비되고 슬러지가 유입되는 고압탱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탈수장치(An apparatus for dehydrat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러지를 탈수장치에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유입 압력을 순차적으로 높임으로서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높이고 탈수시간을 단축 시킴은 물론, 압축된 케익 배출시 필터판을 순차적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케익이 쉽게 필터판에서 이탈되게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산이나 석산 등에서 채취되는 암석을 파쇄하여 얻는 골재를 부순 골재(이하, 조골재라 칭함)라고 하고, 상기 암석을 파쇄하여 얻는 모래를 부순모래(이하, 쇄석 모래라 칭함)라고 한다.
이에, 종래에는 암석을 파쇄하여 조골재와 쇄석 모래을 제조함에 있어서, 조골재와 쇄석 모래의 표면에 미세석분(이하, 미분이라 칭함)이 끼게되며, 조골재와 쇄석모래의 표면에 낀 미분이 미분막을 형성시킴으로 인하여 건축용으로 사용될 경우 시멘트와의 접착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짐에 따라서, 이러한 미분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미분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을 마침후 발생되는 미분이 함유된 세척수(이하, 슬러지라 칭함)를 수처리 공정 없이 토양으로 흘려 버림으로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세척공정을 마친 슬러지를 취합하여 이를 탈수시켜 미분은 케익형상으로 만들어 처리하고, 수분은 정화시켜 재 사용함에 따라서, 슬러지로 인한 토양의 오염을 막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종래에 사용되는 슬러지 탈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선행기술에 따른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 97- 3591호의 "슬러지 탈수장치" 를 나타낸다.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우레탄 재질로된 다수 지지판의 각 연결홈에 슬러지 유입공이 형성된 철판(51)과 여과망(52)을 설치하여 다수의 여과판(50)을 설치하되, 상기 각 여과판(50)들 사이에 공간부(53)를 형성하며, 상기 각 여과판(50)의 양측에 연결구(60)를 설치하고, 이에 연결축(61)을 설치하며, 상기 연결축(61)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회전이 가능한 로울러(62)를 개재하고, 이를 받침판(70)의 상부에 설치된 H빔(71)과 I빔(72)상에 설치하며, 이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73)에 안착시켜 각 여과판(50)을 왕복이동하여 슬러지에서의 수분을 절수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80)를 전진 작동시켜 다수개의 여과판(50)들을 일측으로 정렬시킨다. 그후 여과판(50)의 중앙에 설치된 슬러지 유입공을 통해 세척공정후 발생된 슬러지를 유입시키게 되면 유입된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물은 탈수되어 여과망(52)과 철판(51)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재 처리공정으로 보내지고, 각 여과판(50)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3)에서 케익이 발생되며, 상기 실린더(80)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각 여과판(50)의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공간부(53)에서 형성된 케익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는, 슬러지의 유입시 1단의 압력으로 유입시킴에 따라서, 탈수 효율이 떨어지며 탈수 시간이 많이 걸리고, 아울러 상기 슬러지의 유입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여과망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케익의 이탈시 실린더의 후진 만으로 케익을 배출함으로서, 배출 고정이 끝난후에도 케익이 여과판에 잔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여과판들 사이의 케익을 배출시킨후, 여과판을 세척하지 않고 슬러지를 바로 투입함으로서 여과판에 씌워진 여과망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탈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슬러지를 탈수함에 있어서, 슬러지의 유입시 저압, 중압, 고압으로 압력을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유입함으로서,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높이고 탈수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슬러지 투입시 최종압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에어압으로 이용함으로서, 유입된 슬러지에 완충작용을 줌에 따라 필터판의 필터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익의 이탈시 필터판을 순차적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케익이 필터판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케익의 이탈후 필터판의 표면을 바로 세척함으로서, 필터판의 필터가 막히는 것을 방지 하여 탈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실린더를 통해 필터판을 압축할 경우 초기에는 압력이 낮은 유체를 실린더 내에 유입시켜 로드의 전진 속도를 빠르게 하고, 필터판의 정렬후 고압의 압력을 유입시킴으로서, 필터판들의 압축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전체 탈수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골재 및 쇄석모래를 세척후 발생되는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슬러지 저장탑에서 인출되며 저압펌프가 구비된 주 공급관; 상기 주 공급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수분을 회수하고 미분을 케익형상으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슬러지 압축·배출수단; 상기 주 공급관에 장착되며 슬러지의 유입 압력을 상승시키는 중압펌프가 장착된 압력 상승관; 및 상기 주 공급관에 장착되어 있으며, 연결관, 압축공기 유입관, 공기배출관이 구비되고 슬러지가 유입되는 고압탱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압축·배출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2c는 압축수단을 나타낸 유체도,
도 2d는 케익 이탈·세척수단의 이탈부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공급관
11 : 저장탑
12 : 저압펌프
13 : 제 1밸브
14 : 제 2밸브
15 : 제 3밸브
2 : 슬러지 압축·배출수단
21 : 프레임
211 : 측판, 212 : 슬라이딩 레일, 213 : 고정판, 214 : 누름판,
22 : 필터판
221 : 지지대, 222 : 홀, 223 : 오수유입홀
23 : 필터판 압축수단
231 : 실린더, 231a : 흡입라인, 231b : 배출라인,
232 : 저압펌프, 233 : 고압펌프, 234 : 제 1절환밸브,
235 : 제 2절환밸브, 236 : 제 3절환밸브, 237 : 제 1체크밸브,
238 : 제 2체크밸브
24 : 케익 이탈·세척수단
241 : 감속모터, 242 : 이동용 체인, 243 : 이탈부,
243a : 이동대, 243b : 이동대 지지판, 243c : 에어쿠션,
243d : 엑츄에이터, 243e : 제동핀, 244 : 세척부, 244a : 기대,
244b : 분사파이프, 244c : 호스휠
3 : 압력 상승관
31 : 중압밸브
32 : 제 4밸브
4 : 고압탱크
41 : 연결관
411 : 제 5밸브
42 : 압축공기 유입관
421 : 제 6밸브
43 : 공기 배출관
431 : 제 7밸브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골재 및 쇄석모래를 세척한 세척수를 침전·농축시킨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세척수를 침전·농축시킨 슬러지를 저장하는 저장탑(11)에서 인출되며, 슬러지의 유입 진행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1,2,3밸브(13,14,15)와, 최초 저압의 압력으로 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한 저압펌프(12)가 구비된 주 공급관(1);
상기 주 공급관(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회수하고, 탈수된 미분을 케익형상으로 압축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21), 필터판(22), 필터판 압축수단(23), 케익 이탈·세척수단(24)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압축·배출수단(2);
상기 주 공급관(1)에 장착된 저압펌프(12)의 전후방 사이을 연결시키며, 슬러지의 유입 압력을 상승시킬수 있도록, 슬러지의 유입 진행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 4밸브(32) 및 중간에 중압의 압력으로 슬러지를 투입하기 위한 중압펌프(31)가 장착된 압력 상승관(3); 및
상기 주 공급관(1)에 장착되어 있으며, 슬러지의 유입 진행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 5밸브(411)가 장착된 연결관(41)과, 공기의 유입시 개압되는 제 6밸브(421)가 장착된 압축공기 유입관(42) 및 탱크 내에 에어 배출시 개방되는 제7 밸브(431)가 장착된 공기배출관(43)이 구비되고, 슬러지가 유입되는 고압탱크(4)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저압펌프(12), 중압펌프(31), 고압탱크(4)에서 발생되는 압력은 각각 2bar, 4~5bar, 12bar이며, 상기 고압탱크(4)에서 공기압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슬러지 압축·배출수단(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212)이 구비된 측판(211)과 내측 전후방에 고정판(213) 및 누름판(214)이 구비된 프레임(21); 상기 슬라이딩 레일(211)상에 다수로 끼워져 이동되며 양측에는 지지대(221)가 구비된 필터판(22); 필터판(22)의 후방에 장착되어 슬러지 투입시 필터판(22)을 압착하는 필터판 압착수단(23); 및 상기 필터판(22)를 순서적으로 분리시켜 케익을 배출하고 필터판(22)을 세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며, 감속모터(241), 이동용 체인(242), 이탈부(243), 세척부(244)로 이루어진 케익 이탈·세척수단(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판 압착수단(23)은, 상기 누름판(214)의 후방에 장착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필터판(22)를 전체적으로 눌러주며 흡입,배출라인(231a,231b)이 구비된 실린더(231); 상기 흡입라인(231a)으로 최초에 저압의 압력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저압펌프(232); 저압펌프(232)의 동작후 고압의 압력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고압펌프(233); 상기 흡입,배출라인(231a,231b)에 장착되어 실린더(231)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절환되거나 단속되는 제 1,2,3 절환밸브(234,235,236)와 제 1,2체크밸브(237,238)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저압펌프(232), 중압펌프(233)에서 발생되는 압력은 각각 60bar, 400bar이다.
상기 케익 이탈·세척수단(24)은, 프레임에 고정된 감속모터(241); 감속모터(241)에 의해 이동되며 프레임(21)을 이루는 측판(211)의 양측에 설치된 이동용 체인(242); 상기 이동용체인(242)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판(22)의 지지대(221)을 제동핀(243e)으로 걸어 한칸씩 이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이동용 체인(242)과 연결되는 이동대(243a)와, 이 이동대(243a)에는 하측이 힌지로 연결되고 중앙 내측에 팽창,압축되는 에어쿠션(243c)이 구비된 이동대 지지판(243b)과, 이동대 지지판(243b)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로드의 전방에는 제동핀(243e)이 장착되는 엑츄에이터(243d)로 이루어진 이탈부(243); 및 상기 프레임(21)의 양측에 장착된 이탈부(243)를 서로 연결하고 분사파이프(244b)가 장착된 기대(244a)와, 이 기대(244a)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동시 물을 공급 받을수 있도록 호스가 감겨지는 호스휠(244c)로 이루어진 세척부(24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필터판(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판(22)의 모서리 부분에는 에어가 공급되며 오수가 배출되는 홀(222)이 형성되고, 홀(222)의 안쪽인 필터판(22)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222)과 관통되는 오수유입홀(223)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주된 동작은 저장탑(11)에 체워진 슬러지를 탈수하여 오수는 회수하여 수처리 설비로 보내고, 미분은 케익으로 성형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최초 필터판(22)을 일측으로 정렬하는 압축공정과, 슬러지 유입공정과, 오수 회수공정과, 케익배출 및 세척공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필터판(22)을 정렬하기 위한 압축공정은; 프레임(21)의 후방에 장착된 필터판 압축수단(23)을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먼저 저압펌프(232 ; 60bar)가 작동되어 유체를 흡입라인(231a)을 통해 실린더(231)로 유입시키게 되면, 로드가 빠른속도로 전진됨에 따라 필터판(22)이 일측으로 정렬된다.
그후 저압펌프(232)는 동작을 멈추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압펌프(233 ; 400bar)가 작동되어 고압의 유체를 흡입라인(231a)을 통해 실린더(231)로 유입시키면, 정렬된 필터판(22)은 고압으로 눌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필터판(22)의 압축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다음, 슬러지 유입공정은; 주 공급관(1)과 압력상승관(3) 및 고압탱크(4)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먼저 저장탑(11)에 체워진 슬러지를 저압펌프(12 ; 2bar)로 펌핑하여 저압 주입하며, 이때 주입된 슬러지의 케익상태에 따라 고압탱크(4)로 세팅된 높이 까지 슬러지가 체워진다.
그후 압력상승관(3)에 장착된 중압펌프(31 ; 4~5bar)를 작동시켜 슬러지를 펌핑하여 중압 주입을 실행하고, 그후 고압탱크(4)의 압축공기 유입관(42)을 통해 고압(12bar)의 압축공기로 슬러지를 주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주입된 슬러지는 탈수되어 필터판(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케익으로 성형되며, 이때 저압,중압,고압의 3단계 압축을 통해 탈수효율가 극대화 되는 것이다.
다음, 오수회수공정은; 상기 슬러지 유입공정과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필터판(22) 사이로 유입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은 필터판(22)의 모서리에 형성된 오수유입홀(223)을 통과하여 홀(222)로 취합된후 수처리 장치로 보내지며, 이때 상기 고압탱크에서 배출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홀(222)로 유입되는 것이다.
다음, 케익배출 및 세척공정은; 케익 이탈·배출 수단에서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판 압축수단(23)을 이루는 실린더(231)를 후진시키고, 이와 동시에 이탈부(243)를 실린더 쪽으로 이동시켜 처음 필터판(22)을 전진시킬 위치에 멈추게 하고, 이때 이탈부(243)을 이루는 에어쿠션(243c)에 공기를 주입하여 이동대 지지판(243)은 후진 위치를, 엑츄에이터(243d)의 로드도 후진 위치를 유지 하도록 한다.
그후 상기 에어쿠션(243c)에 공기를 빼게 되면 이동대 지지판(243b)이 전진되고, 이에 따라 엑츄에이터(243d)에 장착된 제동핀(243e)이 필터판(22)의 양측에 위치된 지지대(221)를 걸어준다.
그후 엑츄에이터(243d)을 작동시켜 로드를 전진시키게 되면, 단일의 필터판(22)이 다음의 필터판(22)과 분리되면서 케익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다음 이탈부(243)의 상측에 구비된 세척부(244)에서 세척수가 유입되어 필터판(22)을 세척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동작은 마지막 필터판(22)까지 반복 진행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의 탈수장치 유입시 저압, 중압, 고압으로 압력을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유입함으로서,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높이고 탈수시간을 단축 시킬 수 효과와, 슬러지 투입시 최종압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에어압으로 이용함으로서 종래 고압의 유체 압력에 따른 필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익의 이탈시 필터판을 순차적으로 분리 시킴으로서, 케익이 필터판에서 쉽게 이탈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케익 이탈과 동시에 필터판을 세척함으로서, 필터가 막히는 것을 방지 하여 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실린더를 통해 필터판을 압축할 경우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달리 함으로서, 초기 필터판들의 압축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5)

  1. 세골재 및 쇄석모래를 세척한 세척수를 침전·농축시킨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세척수를 침전·농축시킨 슬러지를 저장하는 저장탑(11)에서 인출되며, 제1,2,3밸브(13,14,15)와 저압펌프(12)가 구비된 주 공급관(1);
    상기 주 공급관(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회수하고, 탈수된 미분을 케익형상으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슬러지 압축·배출수단(2);
    상기 주 공급관(1)에 장착된 저압펌프(12)의 전후방 사이을 연결시키며, 슬러지의 유입 압력을 상승시킬수 있도록 제 4밸브(32) 및 중압펌프(31)가 장착된 압력 상승관(3); 및
    상기 주 공급관(1)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 5밸브(411)가 장착된 연결관(41)과 제 6밸브(421)가 장착된 압축공기 유입관(42) 및 제7 밸브가 장착된 공기배출관(43)이 구비되고 슬러지가 유입되는 고압탱크(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압축·배출수단(2)은; 양측에 슬라이딩 레일(212)이 구비된 측판(211)과 내측 전후방에 고정판(213) 및 누름판(214)이 구비된 프레임(21); 상기 슬라이딩 레일(212)상에 다수로 끼워져 이동되며 양측에는 지지대(221)가 구비된 필터판(22); 필터판(22)의 후방에 장착되어 슬러지 투입시 필터판(22)을 압착하는 필터판 압착수단(23); 및 상기 필터판(22)를 순서적으로 분리시켜 케익을 배출하고 필터판(22)을 세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며, 감속모터(241), 이동용 체인(242), 이탈부(243), 세척부(244)로 이루어진 케익 이탈·세척수단(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 압착수단(23)은; 상기 누름판(214)의 후방에 장착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필터판(22)를 전체적으로 눌러주며 흡입,배출라인(231a,231b)이 구비된 실린더(231); 상기 흡입라인(231a)으로 최초에 저압의 압력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저압펌프(232); 저압펌프(232)의 동작후 고압의 압력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고압펌프(233); 상기 흡입,배출라인(231a,231b)에 장착된 제 1,2,3 절환밸브(234,235,236)와 제 1,2체크밸브(237,238)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케익 이탈·세척수단(24)은; 프레임에 고정된 감속모터(241); 감속모터(241)에 의해 이동되며 프레임(21)을 이루는 측판(211)의 양측에 설치된 이동용 체인(242); 상기 이동용체인(242)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판(22)의 지지대(221)을 잡아 한칸씩 이동시킬수 있도록 체인과 연결되는 이동대(243a)와, 이 이동대(243a)에는 하측이 힌지로 연결되고 중앙 내측에 팽창·압축되는 에어쿠션(243c)이 구비된 이동대 지지판(243b)과, 이동대 지지판(243b)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로드의 전방에는 제동핀(243e)이 장착되는 엑츄에이터(243d)로 이루어진 이탈부(243); 및 상기 프레임(21)의 양측에 장착된 이탈부(243)와 서로 연결되고 분사파이프(244b)가 장착된 기대(244a)와, 이 기대(244a)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동시 물을 공급 받을수 있도록 호스가 감겨지는 호스휠(244c)로 이루어진 세척부(2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22)의 모서리 부분에는 에어가 공급되며 오수가 배출되는 홀(222)이 형성되고, 홀(222)의 안쪽인 필터판(22)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222)과 관통되는 오수유입홀(22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KR1019980029954A 1998-07-24 1998-07-24 슬러지탈수장치 KR10029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954A KR100292629B1 (ko) 1998-07-24 1998-07-24 슬러지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954A KR100292629B1 (ko) 1998-07-24 1998-07-24 슬러지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99A true KR20000009499A (ko) 2000-02-15
KR100292629B1 KR100292629B1 (ko) 2001-06-15

Family

ID=1954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954A KR100292629B1 (ko) 1998-07-24 1998-07-24 슬러지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150A (ko) * 2001-09-13 2003-04-07 삼원금속 주식회사 귀금속 폐석고 탈수기
KR100653281B1 (ko) * 2005-04-20 2006-1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동 부상형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의 슬러지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641B1 (ko) 2010-09-07 2012-09-24 이준창 준설토에 포함된 물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150A (ko) * 2001-09-13 2003-04-07 삼원금속 주식회사 귀금속 폐석고 탈수기
KR100653281B1 (ko) * 2005-04-20 2006-1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동 부상형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의 슬러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2629B1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602446U (zh) 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装置
TW470689B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vering abrasive from an abrasive-laden fluid
CN207212341U (zh) 一种高粘度泥岩中盾构设备掘进用刀盘冲刷系统
JP5944721B2 (ja) 沈砂処理設備
CN207494093U (zh) 一种去泥矿石清洗装置
CN107399850A (zh) 一种含煤废水处理方法
KR100292629B1 (ko) 슬러지탈수장치
CN114702111B (zh) 一种混凝土生产废水回收循环利用设备
CN201442906U (zh) 废弃混凝土分离回收装置
CN216064215U (zh) 一种金矿尾矿处理装置
CN216973548U (zh) 一种水利工程用环保型清淤装置
JP5638286B2 (ja) 揚砂装置及び揚砂方法
CN108856125A (zh) 一种节水洗矿装置及洗矿方法
CN210816457U (zh) 一种大石英块的清洗设备
CN215352465U (zh) 一种高效的污水处理厂的进水除砂装置
JP2000024796A (ja) 濁水処理装置におけるスラリーの脱水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215609787U (zh) 一种沙、砂石脱水机
CN220609359U (zh) 一种市政施工用污水再利用装置
CN218394971U (zh) 一种石英砂生产用具有过滤结构的脱泥装置
CN219519158U (zh) 一种泥沙石分离装置
CN117339300B (zh) 一种用于煤矿井下掘进作业的废水循环利用装置
CN216573547U (zh) 一种淘金用粗滤设备
CN219363438U (zh) 一种污水污泥处理池
CN217745923U (zh) 一种搅拌车清洗砂石分离机
CN219004016U (zh) 一种混凝土罐车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