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446A -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 - Google Patents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446A
KR20000009446A KR1019980029877A KR19980029877A KR20000009446A KR 20000009446 A KR20000009446 A KR 20000009446A KR 1019980029877 A KR1019980029877 A KR 1019980029877A KR 19980029877 A KR19980029877 A KR 19980029877A KR 20000009446 A KR20000009446 A KR 2000000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thin film
copper thin
copper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130B1 (ko
Inventor
이시우
강상우
김효욱
Original Assignee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101998002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1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8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pre- or post-treatments, e.g. anti-corros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등의 금속배선시에 사용되는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리 박막을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화시킨 다음, 산화된 구리에 β-디케톤(diketone) 계열의 식각 반응 기체를 도입하여 반응시키거나, 구리 박막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식각 반응 기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은 소량의 산화제 및 식각 반응 기체를 사용하면서 종래기술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식각이 가능한 방법으로서 반응 조건에 따라 식각 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등의 금속배선시에 사용되는 구리 박막을, 보다 경제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식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구리박막을 산화하고 β-디케톤 계열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산업이 급격이 발전되어 감에 따라 금속배선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금속배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은 0.5μm 이하의 초고집적회로 제조시 높은 저항치, 긴 저항-전류 지연시간(RC delay time)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이를 구리로 대체하는 방법이 제기되고 있지만, 구리 박막은 식각 공정에 있어 어려움을 갖고 있다.
종래에는 구리 박막의 식각에 할로겐 기체를 사용하여 구리 박막을 구리 할로겐 화합물로 바꾼 다음 탈착시킴으로써 식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Harold F. Winters, J. Vac. Sci. Technol., A3(3), 786(1985)), 이는 낮은 증기압 때문에 고온조건이 요구되며, 할로겐 화합물이 박막내에 잔류하게 되어 소자의 특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리 박막을 과산화수소(H2O2)를 이용하여 산화시킨 다음 β-디케톤계 식각 반응 기체를 이용하여 식각하는 방법도 제시된 바 있지만(Ajay Jain, T. T. Kodas and M. S. Hanpiden-Smith, Thin Solid Films, 296, 51(1995)), 과산화수소의 낮은 산화력때문에 산화제와 식각 반응 기체가 과량으로 요구되며 식각 온도도 높고 식각 속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식각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구리 박막을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화시키고 β-디케톤(diketone) 계열의 식각 반응 기체와 반응시킴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간단하게 식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시에 사용되는 구리 박막을 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산화 및 식각시킴으로써 식각 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반응기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2는 오존과 β-디케톤(diketone) 계열의 헥사플로우로아세틸아세톤의 유량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기판 온도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반응기의 전체 압력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리 박막을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화시킨 다음, 산화된 구리에 β-디케톤(diketone) 계열의 식각 반응 기체를 도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리 박막을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화시킴과 동시에 β-디케톤 계열의 식각 반응 기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은 하기 반응식 1 또는 2와 같은 반응공정으로 이루어진다.
2Cu (s) + O → Cu2O (s)
Cu2O + 2(β-diketone) (g) → Cu (s) + Cu(β- diketonate)2(g) + H2O (g)
Cu (s) + O → CuO (s)
CuO + 2(β- diketone) (g) → Cu(β- diketonate)2(g) + H2O (g)
즉, 본 발명의 구리 박막 식각 방법은 식각을 위한 구리 박막의 산화공정 및 산화된 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식각 반응 기체와 산화구리의 반응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구리를 산화시키기 위해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산소 라디칼을 사용한다. 산소 라디칼은 오존만을 사용하거나 오존 플라즈마 또는 산소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오존만을 사용한 경우보다는 플라즈마를 사용한 경우가 산화력이 강력하고, 오존 플라즈마를 사용한 경우는 산소 플라즈마를 사용한 경우 보다 더욱 강력한 산화력을 갖게 된다.
강력한 산소 라디칼에 의해 생성된 산화구리를 식각 반응 기체와 접촉시키므로써 식각반응이 일어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식각을 위한 반응기체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β-디케톤 계열의 화합물, 예를 들어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hexafluoroacetylacetone, H(hfac)), 2,4-펜탄디온(H(acac)) 또는 2,2,6,6-테트라메틸-3,5-헵탄디온(H(dpm))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H(hfac)를 사용한다.
상기 반응식 1 및 2에서 보듯이, 오존 또는 플라즈마 사용시 발생되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산소 라디칼이 구리와 반응하여 구리가 산화되는데 에너지가 높을수록 같은 온도에서 1가의 산화구리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즉, 산소와 오존 플라즈마의 산화정도에 따라 식각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활성화된 산소 라디칼의 양과 강도 측정은 방출 분광법(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리 박막의 산화공정과 식각공정은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고, 원하는 두께만큼 구리 박막을 산화시킨 다음 단계적으로 식각반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이렉트(direct) 플라즈마를 사용할 경우에는 식각 반응 기체가 분해(깨질)될 위험이 있어 산화 공정과 식각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보다 산화공정 이후에 식각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의 효과는 리모트(remote)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의 구리 박막 식각 방법에서는 산화제로 오존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존의 양이 많을수록, 플라즈마는 전력(power)이 높을수록, 식각 반응 기체의 양이 많을수록 및 기판 온도가 증가할수록 식각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반응기의 압력은 초기압력에서 15 내지 25% 증가시 가장 높은 식각 속도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각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즈마 반응기를 도식화한 것으로서, (a)의 반응기는 리모트(remote)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구리 박막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식각 반응 기체와 반응시키는 공정과 산화시킨 다음 식각시키는 공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반응기로서, 여기에서 보듯이 오존과 산소는 장치의 상류로 공급되어지고, 식각 반응 기체는 확산링을 통해서 측면으로 공급되게 된다. 도 1의 (b)는 다이렉트(direct)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구리 박막을 산화시킨 다음 식각 반응 기체와 반응시켜 식각하는 두 단계의 공정일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반응기로서, 리모트 플라즈마보다 산화효과가 더 크다. 도 1의 플라즈마 반응기에 자기장, 전기장, 바이어스 등을 가하면 산화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각 공정은 일반적으로 구리 박막을 블랭킷(blanket) 증착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패턴형성 공정 적용시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의 애슁(ashing) 공정과 식각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방지막(barrier) 물질 또는 산화물을 구리 박막위에 도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식각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기존의 H2O2를 산화제로 사용한 식각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최소 150℃의 온도에서, 산화제 2 sccm 및 식각 반응 기체 17sccm를 사용함으로써 식각 효과를 볼수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오존(O3)을 산화제로 사용한 식각 공정에서는 최소 125℃의 온도에서, 산화제 2.5 부피% 및 식각 반응 기체 1sccm 만을 사용하면서도 식각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소량의 산화제 및 식각 반응 기체를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식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저온에서도 식각이 가능하고 식각 반응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식각 반응 속도 조절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 시 예 1 : 구리 박막의 산화 공정 후 식각 공정
전구체로 (hfac)Cu(VTMS)(vinyltrimethylsilane)를 사용하여 화학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on)에 의해 구리 박막의 증착을 수행하였다. 이 때의 증착조건은 다음과 같다: TIN 기판(입수처: LG 반도체) 온도 200℃, 운반기체 Ar 50sccm, 전체압력 0.85torr, 버블러(bubbler)온도 50℃.
이어서 오존, 및 도 1(b)에 도시한 다이렉트 플라즈마 반응기의 시스템에서 산소 플라즈마 및 오존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구리 박막을 각각 20분 동안 산화시켰다. 이 때, 플라즈마 전력은 50W와 100W를 사용하였고, 200℃의 온도에서 산소 유량은 140 sccm으로, 오존은 2.5 부피% 및 5 부피%(산소 140 sccm)를 사용하였다.
산화된 구리 박막에 β-디케톤 계열의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을 식각 반응 기체로 도입하여 산화구리 박막을 식각하였다.
실 시 예 2 : 구리 박막의 산화 및 식각의 동시 공정
도 1의 (a)에 도시한 리모트 플라즈마 반응기를 이용하여 산화 공정과 식각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리 박막을 산화 및 식각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의 유량, 기판온도 및 반응기의 전체 압력에 따른 식각 속도(Å/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오존과 β-디케톤(diketone) 계열의 헥사플로우로아세틸아세톤의 유량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산화제(O3) 및 식각 반응 기체(H(hfac))의 양이 많을수록 식각 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에 따르면 식각 반응 기체의 양이 1sccm 정도이상만 되어도 식각 반응속도가 높으며, 2.5 부피%의 소량의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하는 구리박막도 식각 속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산화제의 유량을 5 부피%로 하고 식각 반응 기체의 양을 6 sccm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때의 기판온도 및 반응기의 전체 압력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기판의 온도가 높을수록 식각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에 따르면 기판의 온도가 125 ℃ 정도이상만 되어도 식각 반응 속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판전체 압력의 반응기의 전체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식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은 소량의 산화제 및 식각 반응 기체를 사용하면서 종래기술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식각이 가능한 방법으로서 반응 조건에 따라 식각 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다.

Claims (3)

  1. 구리 박막을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화시키고, 산화된 구리에 β-디케톤(diketone) 계열의 식각 반응 기체를 도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구리 박막의 식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리 박막을 오존, 또는 산소 또는 오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화시킴과 동시에 β-디케톤 계열의 식각 반응 기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렉트(direct) 플라즈마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29877A 1998-07-24 1998-07-24 구리박막의식각방법 KR10034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77A KR100347130B1 (ko) 1998-07-24 1998-07-24 구리박막의식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77A KR100347130B1 (ko) 1998-07-24 1998-07-24 구리박막의식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46A true KR20000009446A (ko) 2000-02-15
KR100347130B1 KR100347130B1 (ko) 2002-09-18

Family

ID=1954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77A KR100347130B1 (ko) 1998-07-24 1998-07-24 구리박막의식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48B1 (ko) * 2018-11-15 2019-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리 박막의 건식 식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50B1 (ko) * 2019-09-19 2020-02-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리 박막의 건식 식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725A (en) * 1990-03-30 1991-04-2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Fluxing agents comprising β-diketone and β-ketoimine ligands and a process for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48B1 (ko) * 2018-11-15 2019-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리 박막의 건식 식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7130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3575A (en) Method of selectively depositing a metal film
KR101185757B1 (ko) 층간 절연막 및 배선 구조와 그것들의 제조 방법
US6734102B2 (en) Plasma treatment for copper oxide reduction
US818315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ilicon carbide and conductive pathway interface
US9653327B2 (en) Methods of removing a material layer from a substrate using water vapor treatment
KR100392447B1 (ko) 바이어스의플라즈마에칭방법
JP3739027B2 (ja) 金属−有機物化学蒸着チャンバを洗浄する方法
KR10077091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장치
TW201718923A (zh) 含鋁與氮之物質的選擇性沈積
KR20170138950A (ko) 금속성 막들의 선택적 퇴적
KR20010052609A (ko) 저항율 감소를 위한 증착막 처리 방법
EP1071123B1 (en) Method for forming film
KR100404941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KR100444811B1 (ko) 실리콘 함유 기판 상에 전도성 규화물층 형성방법 및전도성 규화물 접촉부 형성방법
JP2001271192A (ja) 表面処理方法
KR100347130B1 (ko) 구리박막의식각방법
EP1052689A1 (en) Method for anisotropic etching of copper thin films with a beta-diketone, a beta-ketoimine, or a breakdown product thereof
JP3038953B2 (ja) 配線形成方法
KR101179111B1 (ko) 에칭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233525B1 (ko) 반도체기판 표면의 클리닝 방법, 박막 제조방법,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장치
KR20000076754A (ko) 절연막의 에칭 방법 및 배선층의 형성 방법
KR20000071322A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JP376091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202407132A (zh) 包含貴金屬之材料的選擇性沉積
KR20000061326A (ko) 반도체소자의 구리박막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307

Effective date: 200203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