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651U -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 Google Patents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651U
KR20000008651U KR2019980020440U KR19980020440U KR20000008651U KR 20000008651 U KR20000008651 U KR 20000008651U KR 2019980020440 U KR2019980020440 U KR 2019980020440U KR 19980020440 U KR19980020440 U KR 19980020440U KR 20000008651 U KR20000008651 U KR 20000008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printing
groove
mixed
mixed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원
Original Assignee
장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원 filed Critical 장형원
Priority to KR2019980020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651U/ko
Publication of KR20000008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651U/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판재의 외표면을 따라 음각으로 가공되는 인쇄홈내에 혼합도료를 주입하고 그 표면으로 미량의 형광입자를 혼합한 보호용 코팅수지를 도포하여 장식성을 배가시켜 고부가치를 줄 수 있도록 한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ornaments board for having printing surface)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의 외표면에 음각으로 가공되는 인쇄홈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홈의 상면으로 혼합도료를 주입하며,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되는 보호용 코팅수지막을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보호용 코팅수지에 미량의 형광입자, 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소재로 제공되는 장식판재의 장식성이 배가된 고부가가치의 악세사리를 제공하고, 소정의 조도하에서 가공무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가 은은하게 표출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을 표면도포재료와 굴절률이 상이한 보호층으로 피복하여 줌으로서 무늬부를 통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본 고안은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식판재의 외표면을 따라 음각으로 가공되는 인쇄홈에 혼합도료를 주입하고 그 표면으로 미량의 형광입자를 혼합한 보호용 코팅수지를 도포하여 장식성을 배가시켜 고부가치를 줄 수 있도록 한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ornaments board for having printing surfa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추나무등을 소재로 하는 목재와 플라스틱 및 유리소재나 금속재로 형성되는 장식물의 예로서, 주로 종교적인 용도로 이용되는 염주 또는 묵주, 목걸이, 팔지, 브로치, 및 키홀더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액세서리는 그 외표면을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글자 또는 여러 가지 그림등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가공처리하여 코팅하여 줌으로서 상품의 가치는 물론, 품위가 있으면서 보기 좋도록 한 여러 장식물들이 일반인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그 가공형태로서, 가공되는 일정위치의 외표면에 모양에 따라 조각홈을 가공하고 그 음각의 조각홈에 약품을 칠하되 그 약품이 홈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점성을 유지하는 접착제와 혼합하여 조각홈에 채워넣은 후, 그 채워진 혼합액이 홈 주위에 남아 지저분하지 않도록 전체표면을 가공처리하고 나서 표면을 다시 왁스로 코팅하여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각모양을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주술적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소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적색, 홍색, 청색, 등의 도료나 약품등을 칠하고 있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가공형태로 마련되는 장식물들은 평면적인 장식성에 국한되어 있고, 더욱이 주간에만 그 무늬표출이 가능해서 통상의 장식물 이외의 목적으로는 활용될 수가 없었으며, 상품개발이 범위가 제한되어 있었기에 그 한정된 가공형태로 인하여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인 여러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소재로 제공되는 장식판재의 장식성이 배가된 고부가가치의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조도하에서 가공무늬부를 포함하는 악세사리가 은은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을 표면도포재료와 굴절률이 상이한 보호층으로 피복하여 줌으로서, 무늬부를 통한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재의 인쇄표면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식판재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인쇄표면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식판재, 11 :판재, 12 :인쇄표면, 13 :인쇄홈, 15 :구멍, 17 :연결끈, 22 :혼합도료, 24 :보호용 코팅수지, 26 :야광입자, 28 :테두리코팅층, 30 :수지물
한편 상기의 목적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의 외표면에 음각으로 가공되는 인쇄홈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홈의 상면으로 혼합도료를 주입하며,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되는 보호용 코팅수지막을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보호용 코팅수지에 미량의 형광입자, 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의 상면으로 표면도포재료와 굴절률이 상이한 보호층으로, 수지물을 만곡되게 적층케 하여 상기 인쇄홈에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재의 인쇄표면을 보인 요부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장식판재(10)는, 양면에 인쇄표면(12)을 가지며 그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인쇄홈(13)을 구비하는 판재(11)와, 상기 판재(11)의 인쇄홈(13)에 채워져서 장식적효과를 증대시키는 소정의 혼합도료(22)와, 상기 판재(11)의 전체표면에 덮어지도록 전면에 걸쳐서 피복되는 보호용 코팅수지(24)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재(10)는, 방울의 연결형태 또는 끼우거나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에는 목걸이의 장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그 양면에 가공될 수 있는 인쇄표면(12)을 갖고서, 그 상부 일측에는 연결끈(17)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구멍(15)이 양면(11)을 관통하여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식판재(10)의 앞뒤에 형성된 인쇄표면(12)에는, 임의의 모양(글자 또는 그림)이 음각으로 가공되는 인쇄홈(1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인쇄홈(13)의 내측에는 주술적 의미의 경명주사등의 약품을 소재로 하는 다양한 색상의 도료(22)가 채워진다. 이러한 도료(22)는 분말상의 가루형태로 제공되는 데, 이에 적정의 점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적량의 접착재를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서 도료(22)가 홈(13)으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분리되지 아니 하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혼합도료(22)가 주입된 인쇄홈(13)이 형성된 장식판재(10)의 외표면을 따라 장식된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피복되는 보호용 코팅수지(24)를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얇은 막의 형태로 도포되는 상기 보호용 코팅수지(24)에는 미량의 형광입자(26)를 첨가하여 혼합하게 되는 데, 이는 야간이라 할지라도 소정의 조도하에서 인쇄표면(12)의 모양이 은은하게 비춰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혼합되는 형광물질의 첨가되는 형태는, 상기 홈에 도포된 도료(22)의 색상을 가리우지 않는 정도의 형광을 보유하는 정도가 바람직하며, 보편적으로 코팅수지(24)에 0.5 - 5% 정도의 정량부로 제공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조로서 상기 인쇄홈(13)에 혼합도료(22)를 주입한 후 그 외표상에 보호용 코팅수지(24)를 추가 도포하되, 상기 코팅수지(24)가 얇은 막의 형태로 전체표면상에 걸쳐 피막을 구성케 한 것으로서, 이는 평면적 장식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막을 구성하는 코팅수지(24)에 미량의 형광입자를 혼합하는 경우, 야간에도 은은한 미적 장식미를 제공하게 됨으로서 그 장식적인 효과가 배가될 수 있으나, 여기에 더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말해, 본 고안의 장식판재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도 3에 의하면, 상기 혼합도료(22)가 주입된 인쇄홈(13)의 상면으로 일정두께로 적층되도록하는 수지물(30)을 도포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인쇄홈(13)의 상면으로 만곡된 표면을 이루며 도포되는 수지물(30)은, 상기 인쇄홈(13)에 채워진 도료(22)를 경고하게 고정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상기 도료(22)의 색상을 더욱 분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그 외표면상으로 보호용 코팅수지(24)가 도포되는 데, 상기 코팅수지(24)는 홈(13)위에 적층되는 수지물(30)과 굴절률을 서로 달리하게 됨으로서, 상기 인쇄홈(13)에 가공된 임의의 모양이 보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게 되어 장식표면(12)에 가공된 무늬모양이 보다 선명하면서도 입체감 있게 표현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호용 코팅수지(24)의 도포에 앞서, 상기 혼합도료(22)가 주입된 인쇄홈(13)주위를 표면가공하고, 그 주위를 좀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인쇄홈(11)의 테두리 라인을 따라 별도의 테두리코팅층(28)을 적층케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다양한 소재로 제공되는 장식판재의 장식성이 배가된 고부가가치의 악세사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소정의 조도하에서 가공무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가 은은하게 표출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을 표면도포재료와 굴절률이 상이한 보호층으로 피복하여 줌으로서, 무늬부를 통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본 고안의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는 여러 가지 유익성과 상품가치가 배가된 고부가가치의 악세사리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의 외표면에 음각으로 가공되는 인쇄홈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홈의 상면으로 혼합도료를 주입하며,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의 외표면을 따라 피복되는 보호용 코팅수지막을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보호용 코팅수지에 미량의 형광입자, 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도료가 주입된 인쇄홈의 상면으로 표면도포재료와 굴절률이 상이한 보호층으로 수지물을 만곡되게 적층케 하여, 상기 인쇄홈에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KR2019980020440U 1998-10-24 1998-10-24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KR20000008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40U KR20000008651U (ko) 1998-10-24 1998-10-24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40U KR20000008651U (ko) 1998-10-24 1998-10-24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651U true KR20000008651U (ko) 2000-05-15

Family

ID=6950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440U KR20000008651U (ko) 1998-10-24 1998-10-24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6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597A (ko) * 2014-04-25 2015-11-04 대유산업개발(주) 등산로용 축광 안내판 제조방법 및 안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597A (ko) * 2014-04-25 2015-11-04 대유산업개발(주) 등산로용 축광 안내판 제조방법 및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888A (en) Aesthetically pleasing print article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EP1818153B1 (en) Decorated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294494A (en) Printed glass grating decorative plate
KR200387670Y1 (ko) 손발톱장식용 입체성스티커
US6205692B1 (en) Three-dimensional decorative object
KR20000008651U (ko) 인쇄표면을 갖는 장식판재
CN201544684U (zh) 隐形夜光结构
KR200217053Y1 (ko) 메탈릭을 함유한 광반사 무늬에 의한 장식지
JPS58188622A (ja) 加飾面を有する合成樹脂製物品の製造方法
KR200251816Y1 (ko) 장식 순금판
CN2383706Y (zh) 金属版彩画
JPH0541822Y2 (ko)
JP2000190409A (ja) 照光性絵付シ―トと照光性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305509A (ja) 光輝性印刷物
JPH07265498A (ja) 遊技台の装飾部構造
CN2207414Y (zh) 镭射图案复合型材
KR910008699B1 (ko) 다색 현출 시이트
CN1064042A (zh) 无机瓷釉面全息光栅材料
KR940006835Y1 (ko) 장식용구
KR20040013843A (ko)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69503A (ko) 스모그 컬러 및 밀키/화이트 색상이 구현된 입체효과의 pcpmma 제조방법
KR200285324Y1 (ko) 홀로그램처리층이 형성된 필름을 구비한 앨범대지
KR870001690B1 (ko) 화장판의 제조방법
JP2677324B2 (ja) 合成樹脂製装飾体
JP2000158899A (ja) 表面加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