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124A -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124A
KR20000008124A KR1019980027806A KR19980027806A KR20000008124A KR 20000008124 A KR20000008124 A KR 20000008124A KR 1019980027806 A KR1019980027806 A KR 1019980027806A KR 19980027806 A KR19980027806 A KR 19980027806A KR 20000008124 A KR20000008124 A KR 2000000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r
call
alarm
sound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124A/ko
Publication of KR2000000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저가 호출되어 호출음이 발생될 때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호출음을 감지하여 고정장치의 스피커 및 휴대장치의 스피커나 부저등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외출에서 돌아와 페이저를 주머니나 가방에 그대로 놓아두고 옷을 갈아 입고 다른 방으로 이동하거나 특정한 장소(현 장소에서 호출음이 잘 들리지 않는곳)에 두는 경우 호출상태를 인지 못할 수 있는데,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페이저 크레들에 페이저를 올려 놓으면 페이저가 호출되어 경보가 울리는 경우 사용자는 호출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페이저로부터 발생되는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하여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며, 상기 경보음을 발생한 후 상기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핸드셋이 들려져 훅크오프될 시 페이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음성메세지를 송출하여 사용자가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인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을 인식하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저가 호출되어 호출음이 발생될 때 무선전화기에서 호출음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페이저는 호출이 있을시 사용자가 설정한 진동모드 또는 경보모드에 따라 진동을 하거나 경보호출음을 울리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호출이 있음을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외출에서 돌아와 페이저를 특정한 장소(페이저 호출음이 잘 들리지 않는 주머니나 가방)에 그대로 놓아두고 옷을 갈아 입고 다른 방으로 이동하여 있을 때 주머니나 가방에 있는 페이저가 호출이 되어 경보호출이 울리는 경우 사용자는 호출상태를 인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을 감지하여 링음을 울린후 핸드셋을 들거나 휴대장치에서 통화를 시도할 시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 호출음 인식에 의한 경보음발생 제어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을 인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이저로부터 발생되는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한 후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음을 발생한 후 상기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핸드셋이 들려져 훅크오프되거나 휴대장치의 통화키카 눌러져 통화로가 형성될 시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음성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제어부 110은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다수의 휴대장치를 제어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페이저 호출음을 감지하여 페이저 호출음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보음을 울리고, 또한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OPE(Operating Pannel Equipment) 136은 무선전화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키 및 다수의 숫자키로 구성되며, 상기 키의 눌림에 의한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 1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OPE 136은 무선전화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상기 제어부 110의 제어를 받아 표시하는 표시창을 가진다. 메모리부 132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장치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 1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타를 억세스하거나 저장한다. 통화회로 114는 상기 제어부 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화라인이나 RF송수신부 150으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각종 톤신호를 해당 파트로 분배하여 전송한다. RF송수신부 115는 상기 제어부 134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화회로부 1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파 출력하거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대역의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상기 통화회로부 114로 출력한다. 훅크 릴레이 112는 훅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110의 제어에 의해 전화라인과 통화회로부 114를 연결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 110의 제어를 받아 절체되어 스피커폰 통화로를 형성한다. 코덱 126은 통화회로부 114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신호 처리부(이하 DSP라함) 128으로 출력하고, 디지탈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 114로 출력한다. 음성메모리부 130은 DRAM, ARAM, FLASH MEMORY등으로 구현되며,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저장하고 있다. DSP(Digital Signal Process) 128은 상기 음성메모리부 130에 저장하고 있는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음성신호로 합성하여 출력한다. VOX회로 138은 페이저 크래들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페이저 호출음 특성을 감지하여 제어부 110으로 인가한다. 상기 페이저 크래들은 고정장치에 설치되어 있고 페이저를 올려두는 부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제어부 140은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 144는 휴대장치의 비밀번호(ID) 및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키패드 144는 각종 기능 및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제어부 140로 출력한다. 부저 148은 상기 제어부 140의 제어에 의해 페이저 호출을 감지하기 위한 부저를 발생한다. RF송수신부 148은 상기 제어부 140의 제어에 의해 송신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처리부 150으로 출력한다. 마이크 152는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스피커 154는 전기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한다. 표시장치 146은 상기 제어부 140의 제어에 의해 키의 입력 상태와 휴대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 호출음 인식에 의한 경보음발생 제어 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페이저 호출음을 분석하여 메모리부 132에 저장하여 놓아야 하고, 또한 페이저 호출음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한 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핸드셋을 들거나 후대장치의 통화키를 누를시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음성메세지를 음성메모리부 130에 저장하여야 한다.
먼저 클래들에 페이저를 놓아두었을 경우 페이저가 호출이 되어 호출음을 발생하게 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VOX회로 138로 인가된다. 이때 VOX회로 138에서는 이 페이저 호출음 특성을 감지하여 제어부 110으로 인가한다. 101단계에서 제어부 110은 메모리부 132에 저장되어 있는 페이저 호출음과 비교하여 페이저가 호출이 감지되는가 검사하여 페이저 호출이 감지되면 1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2단계에서 제어부 110은 호출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통화회로부 114를 통해 음성출력부 118을 통해 송출한다. 그리고 RF송수신부 115를 통해 경보음 데이터를 휴대장치로 송출하여 휴대장치 부저 148을 통해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가정내에서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에 동시에 경보음이 울리도록 한다. 상기 경보음은 링음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경보음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인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경보음이 울리면 전화가 걸려온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103단계에서 제어부 110은 전화기가 훅크오프되거나 휴대장치의 통화로가 형성되는지 검사하여 훅크오프되거나 휴대장치의 통화로가 형성되면 1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4단계에서 제어부 110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 128을 제어하여 음성메모리부 130에 저장되어 있는 페이저 호출을 알리는 음성메세지를 송출한다. 음성메세지는 예를들어 "페이저 호출이 있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저 호출이 있을 시 전화기에서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고 사용자가 전화기의 핸드셋을 들거나 휴대장치의 통화로가 형성될 시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음성메세지를 송출하므로, 외출에서 돌아와 크래들에 놓아두고 사용자가 페이저 호출을 인지하지 못하는 장소에(가정내의 다른 방에 가 있을 경우)위치하는 경우에도 페이저 호출을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을 인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이저로부터 발생되는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한 후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을 발생한 후 상기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이 들려져 훅크오프되거나 휴대장치의 통화로가 형성될 시 페이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음성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3.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을 인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크래들에 페이저를 올려 놓은후 페이저의 호출이 있을시 페이저로부터 발생되는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저 호출음을 인식한 후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페이저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은 부저음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은 링음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KR1019980027806A 1998-07-10 1998-07-10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KR2000000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806A KR20000008124A (ko) 1998-07-10 1998-07-10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806A KR20000008124A (ko) 1998-07-10 1998-07-10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24A true KR20000008124A (ko) 2000-02-07

Family

ID=1954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806A KR20000008124A (ko) 1998-07-10 1998-07-10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1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441B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20000008124A (ko) 무선전화기에서 페이저 호출음 감지에 따른 경보발생방법
KR100194470B1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착신음 발생방법
KR100194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우선권 부여방법
KR0122731B1 (ko) 전화기의 페이져 수신기 호출신호 통보장치
KR100259041B1 (ko) 휴대폰에서자동통화장치및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KR100918757B1 (ko) 호 수신을 알리는 방법
JP2000197128A (ja) 無線通信機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JP2781759B2 (ja) 無線電話装置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JP3379423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JP2000244633A (ja) 無線通信装置
KR100206174B1 (ko) 무선전화기에서 통화구현방법
JP2000295368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00019618A (ko) 휴대폰에서 음성메세지에 의한 링착신 알림방법
KR19980065581A (ko) 무선전화기에서 송화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KR19980022355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선택적인 링착신방법
KR200300758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경보음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