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698U - 스프링저울 - Google Patents

스프링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698U
KR20000007698U KR2019980019153U KR19980019153U KR20000007698U KR 20000007698 U KR20000007698 U KR 20000007698U KR 2019980019153 U KR2019980019153 U KR 2019980019153U KR 19980019153 U KR19980019153 U KR 19980019153U KR 20000007698 U KR20000007698 U KR 200000076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ynchronous motor
spring balance
spr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9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698U/ko
Publication of KR20000007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98U/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스프링저울(22)에서 동기모터(10)의 내구성 실험후 실린더(22c)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부하가 동기모터(10)에 걸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내구성 실험을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22c)의 외주 하단에 동기모터(10)의 작동에 의해 일정길이 외통(22a)외부로 돌출된 실린더(22c)가 동기모터(10) 작동오프시 인장스프링(22b)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외통(22a)내부로 돌출된 길이만큼만 몰입될 수 있게 실린더(22c)의 몰입길이를 제어하는 스페이서(26)가 결합됨으로써 정상적인 동기모터(10)의 내구성실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저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링저울
본 고안은 스프링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동기모터의 부하실험시 스프링저울의 실린더가 동기모터의 구동에 의해 돌출된 길이만큼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동기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 스프링저울에 관한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는 하나의 세탁조에서 세탁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탁기로서 세탁시에는 펄세이터만 회전되어 세탁행정이 수행되고 탈수시에는 세탁조가 회전되어 탈수행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탁행정에서 탈수행정으로 동력의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동기모터가 기어메커니즘의 밴드브레이크를 해제시키는 동시에 배수밸브를 열어서 세탁수가 배수되게 하여 탈수가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이러한 동기모터의 사용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탈수조의 하방 일측에는 동기모터(10)가 설치되고 이 동기모터(10)의 타측에는 배수밸브(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의 중앙에 밴드브레이크(16)와 연결된 동력전환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기모터(10)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와이어(10a)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와이어(10a)의 단부가 타측의 배수밸브 밸로우즈(18)와 연결된 연결판(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20)은 일단이 동기모터(10)의 와이어(10a)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배수밸브(12)를 개폐시키는 밸로우즈(18)와 연결되는 부재로서 중앙에는 동력전환레버(14)를 작동시키는 갭조정구(20a)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로우즈(18)는 스프링힘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환레버(14)는 일측단이 밴드브레이크(16)와 연결되고 이 연결된 단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상기 동력전환레버(14)가 축회전 되도록 하는 회전축(14a)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이 길게 연장되어 연결판(20)의 갭조정구(20a)와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탁시에는 동기모터(1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가 세탁이 끝나고 탈수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동기모터(10)가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동기모터(10)의 와이어(10a)가 동력에 의해 당겨지고 이 와이어(10a)에 연결된 연결판(20)이 같이 이동되며 이 연결판(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던 배수밸브(12)의 밸로우즈(18)가 동시에 잡아당겨져서 배수밸브(12)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밸로우즈(18)는 스프링의 압착에 의한 반발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있다. 그리고 동력전환레버(14)가 연결판(20)의 갭조정구(20a)에 밀려 축회전되고 밴드브레이크(16)가 풀리게 되어 탈수행정 준비가 완료된다.
그리고 탈수행정이 끝나고 세탁행정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동기모터(10)의 작동을 오프시켜야 하는데 상기 동기모터(10)가 오프되면 밸로우즈(18)의 스프링 반발력에 의해 연결판(20)이 원상위치로 복귀되고 이와동시에 동력전환레버(14) 역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밴드브레이크(16)를 걸어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동기모터(10)는 작동시 와이어(10a)를 18mm-23mm 정도 잡아당기도록 세팅되어 있으며 이 잡아당긴 길이만큼 다시 복원되어야 만이 동기모터(10)에 지장이 생기지 않지만 만약 상기 잡아당긴 길이 이상 역방향으로 당겨지면 이 부하로 인해 동기모터(10)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기모터(10)의 내구성을 실험하기 위한 장치로는 스프링저울(22)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스프링저울(22)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스프링저울(22)은 외통(22a)의 내부 단면에 인장스프링(22b)이 고정설치되고 이 인장스프링(22b)의 타단부에 실린더(22c)가 연결되어 동기모터(10)의 온, 오프상태에 따라 외통(22a)의 내외로 출몰되며 이 실린더(22c)의 단부에 동기모터(10)의 와이어(10a)를 걸어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후크(22d)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외통(22a)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이 매겨져 있고 밀폐된 상단면에 스프링저울(2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리형상의 고정부(22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22b)은 외통(22a)의 내부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외통(22a)의 내외로 출몰되는 실린더(22c)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2c)는 길다란 원기둥 형상으로 외통(2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일단부에는 인장스프링(22b)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 동기모터(10)의 와이어(10a)가 연결되는 걸림부(24)를 걸 수 있도록 한 후크(22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4)는 와이어(10a)단부의 걸림돌기(10b)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프링저울(22)은 고정부(22e)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실린더(22c)의 후크(22d)에 걸려있는 걸림부(24)의 걸림턱(24a)에 동기모터(10)의 걸림돌기(10b)를 걸어서 동기모터(10)의 내구성 실험준비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22c)에 아무것도 걸려 있지 않은 때에서는 실린더(22c)가 외통(22a)에 완전히 몰입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가 동기모터(10)를 매달면 일정길이가 외통(22a) 밖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동기모터(10)를 작동시키면 이 동력에 의해 실린더(22c)는 잡아당겨지게 되는데 이때의 흡인길이는 대략 18mm-23mm가 되고 흡인력은 약 8kgf정도가 된다.
한편 동기모터(10)의 작동을 오프시키면 인장스프링(22b)의 복귀력에 의해 실린더(22c)는 돌출된 길이만큼 몰입되어야 하는데 상기 동기모터(10)의 무게에 의해 늘어났던 길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22c)는 흡인길이 18mm-23mm보다 더 많이 몰입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동기모터(10)는 오히려 이 인장스프링(22b)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시 5-6kgf의 부하가 걸리게 되어 정상적인 동기모터(10)의 내구성 실험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동기모터의 내구성 실험시 스프링저울의 실린더가 출몰된 길이만큼만 원상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기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정상적인 내구성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저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동기모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스프링저울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저울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기모터 10a : 와이어
12 : 배수밸브 14 : 동력전환레버
16 : 밴드브레이크 18 : 밸로우즈
20 : 연결판 20a : 갭조정구
22 : 스프링저울 22a : 외통
22b : 인장스프링 22c : 실린더
22d : 후크 22e : 고정부
24 : 걸림부 24a : 걸림턱
26 : 스페이서
이와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실린더의 외주 하단에 동기모터의 작동에 의해 일정길이 외통외부로 돌출된 실린더가 동기모터 작동오프시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외통내부로 돌출된 길이만큼만 몰입될 수 있게 실린더의 몰입길이를 제어하는 스페이서가 결합된 스프링저울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외통(22a)내부에 인장스프링(22b)이 고정설치되고 이 스프링(22b)의 단부가 다시 실린더(22c)의 일단에 연결되며 이 실린더(22c)의 외주에 출몰되는 실린더(22c)의 복귀길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페이서(26)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부호설명중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부호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페이서(26)는 실린더(22c)의 외주단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으로 동기모터(10)의 무게에 의해 돌출되는 실린더(22c)의 길이만큼의 폭을 갖으며 반원형상의 부재 한쌍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26)는 실린더(22c)의 출몰길이를 제한하는 기능만 수행한다면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스프링저울(22)의 고정부(22e)를 일정장소에 고정시키고 나서 실린더(22c)의 후크(22d)에 걸림부(24)를 걸고 다시 이 걸림부(24)에 동기모터 와이어(10a)의 걸림돌기(10b)를 연결시켜서 동기모터(10)의 내구성실험 준비를 완성한다. 이때 동기모터(10)의 무게에 의해 늘어난 실린더(22c)단부의 외주연에는 스페이서(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다음 상기 동기모터(10)를 작동시키면 모터동력에 의해 실린더(22c)는 18mm에서 23mm정도 더 외통밖으로 돌출된다. 이런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후 실험이 완료되면 동기모터(10)의 작동을 오프시키게 된다. 그러면 스프링저울(22)의 인장스프링(22b)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22c)는 돌출되었던 길이만큼 외통(22a)내부로 몰입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돌출된 길이만큼만 몰입되도록 스페이서(26)가 제어를 함으로써 복원할 때 발생하는 부하가 스페이서(26)에 걸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상기 동기모터(10)에는 아무런 부하가 걸리지 않고 정상적인 내구성실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저울은 종래에 스프링저울에서 동기모터 내구성실험후 실린더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부하가 동기모터에 걸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내구성 실험을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과는 달리 상기 실린어가 돌출되는 길이만큼만 복원되도록 복원길이를 제어하는 스페이서를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시킴으로써 복원시 발생되었던 부하기 상기 스페이서에 걸리는 효과를 냄으로써 동기모터에는 아무런 부하가 걸리지 않아 정상적인 동기모터의 내구성실험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된 외통(22a)의 내부 단면에 인장스프링(22b)이 고정설치되고 이 인장스프링(22b)의 타단부에 실린더(22c)가 연결되어 동기모터(10)의 온, 오프상태에 따라 외통(22a)의 내외로 출몰되며 이 실린더(22c)의 단부에 동기모터(10)의 와이어(10a)를 걸어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후크(22d)가 마련되어 세탁기의 동기모터 부하실험을 하는 스프링저울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2c)의 외주 하단에 동기모터(10)의 작동에 의해 일정길이 외통(22a)외부로 돌출된 실린더(22c)가 동기모터(10) 작동오프시 인장스프링(22b)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외통(22a)내부로 돌출된 길이만큼만 몰입될 수 있게 실린더(22c)의 몰입길이를 제어하는 스페이서(26)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저울.
KR2019980019153U 1998-10-07 1998-10-07 스프링저울 KR200000076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53U KR20000007698U (ko) 1998-10-07 1998-10-07 스프링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53U KR20000007698U (ko) 1998-10-07 1998-10-07 스프링저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98U true KR20000007698U (ko) 2000-05-06

Family

ID=6970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153U KR20000007698U (ko) 1998-10-07 1998-10-07 스프링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69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6168A1 (en) Locking Device For A Mov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Drum Of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KR20000007698U (ko) 스프링저울
KR101015241B1 (ko) 세탁기
KR20030073850A (ko) 전자동 세탁기
JPH0679093A (ja) 洗たく機等の排水弁開閉装置
KR100629742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1715769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177644Y1 (ko) 지렛대를 이용한 세탁기의 배수동기장치
KR960002603B1 (ko) 무충격음 전자동 기계식 세탁기
JPS6240040B2 (ko)
KR0152794B1 (ko) 전자동 세탁기
KR200271495Y1 (ko) 세탁기용 배수모터의 작동에 의한 브레이크레버의 조작구조
KR200146597Y1 (ko) 세탁기의 배수밸브
KR100629743B1 (ko) 전자동 세탁기
KR950000946Y1 (ko) 세탁기의 배수변 개폐장치
KR100471434B1 (ko) 세탁기의 배수모터 제어방법
KR0121135Y1 (ko) 세탁기의 배수탈수 레버장치
JP3306303B2 (ja) 二槽式洗濯機
KR0124322Y1 (ko) 절수형 세탁기의 절수용 실링장치
KR940006382Y1 (ko) 세탁기의 탈수 안전장치
JP2000093690A (ja) 洗濯機
KR20000003765A (ko) 세탁기의 강제 배수장치
KR20020067951A (ko) 전자동 세탁기
JPS637799B2 (ko)
KR0134118Y1 (ko) 세탁기의 브레이크링크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