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695A -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695A
KR20000007695A KR1019980027153A KR19980027153A KR20000007695A KR 20000007695 A KR20000007695 A KR 20000007695A KR 1019980027153 A KR1019980027153 A KR 1019980027153A KR 19980027153 A KR19980027153 A KR 19980027153A KR 20000007695 A KR20000007695 A KR 20000007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output
broadcas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2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695A/ko
Publication of KR2000000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기술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소정의 지역마다 방송 주파수가 다른 특정 방송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항상 동일 방송 주파수를 선국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1수신기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2수신기와,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에서 각 출력되는 상기 음성신호들 중 일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중 현재 동작 중인 일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방송국을 인식하며, 타 수신기를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을 시 상기 일 수신기와 타 수신기의 동일 방송국의 각 수신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라디오 시스템의 튜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지역 마다 채널 주파수가 상이한 특정 방송 채널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장치가 내장된 라디오 시스템 및 자동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방송, 예를 들면 TV, 라디오 방송은 송신 출력상의 문제로 전국을 하나의 주파수로 사용하지 못하고 각 지역별 방송 주파수로 나뉘어 방송하고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방송국은 수도권 지역에서는 제1주파수로, 영남권 지역에서는 제2주파수로서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탑재된 라디오로 수도권에서 A방송을 청취중 영남권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차량내의 라디오를 제1주파수에서 제2주파수로 튜닝을 하여야 계속적으로 A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현재, 통상의 라디오 수신기로는 이동후의 새로운 지역의 방송 주파수를 알지 못하면 자동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라디오의 전대역을 자동 스캔하여 찾을 수밖에 없고, 설사 알고 있다 하더라도 주행 중의 수동 튜닝은 사고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역이 바뀌어 방송 채널이 잡히지 않을 때 자동 스캔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 역시 희망하는 방송 주파수가 선국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야 함으로써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지역마다 방송 주파수가 다른 특정 방송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항상 동일 방송 주파수를 선국하는 라디오 시스템 및 자동 추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1수신기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2수신기와,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에서 각 출력되는 상기 음성신호들 중 일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중 현재 동작 중인 일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방송국을 인식하며, 타 수신기를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을 시 상기 일 수신기와 타 수신기의 동일 방송국의 각 수신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제어 과정의 제어부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치는 각각 별도로 방송신호 수신 기능을 갖는 제1수신기 10 및 제2수신기 20과,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수신기 10과 제2수신기 20에서 출력되는 각 음성신호 중 일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40과, 스위치부 4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50과,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신기 10과 제2수신기 2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각각 제어부 30에서 출력된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한다. 이의 상세 구성을 제1수신기 10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1수신기 10은 튜너 12와, 신호분리부 14, 디코더 16 및 S/N비교부 18로 구성된다. 튜너 12는 상기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선국 동작을 하며, 해당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출력한다. 신호분리부 14는 튜너 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해당 방송국의 고유 어드레스 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출력한다.
상기에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는 각 방송국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각 방송국 마다 고유의 어드레스 신호를 음성신호와 더불어 송출하게 된다. 이러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는 지역 방송의 주파수는 달라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A방송국의 수도권 영역의 방송 채널 주파수가 89MHz이고, 영남권 영역의 방송 채널 주파수가 108MHz라고 하여도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디코더 16은 상기 신호분리부 16에서 출력되는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부 30으로 출력한다. S/N비교부 18은 상기 신호 대 잡음비를 구하여 그 값을 제어부 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수신기 10의 신호분리부 14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스위치부 40의 제일단으로 입력되며, 제2수신기 20의 신호분리부 24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스위치부 40의 다른 일단으로 입력된다. 각각의 수신기에서 스위치부 40으로 입력된 음성신호 중 선택된 일 음성신호는 이후 음성출력부 50내의 음성신호증폭부 52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증폭부 52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54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 3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채널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제1수신부 10 또는 제2수신부 20에 튜닝신호를 출력하여 일 수신기를 동작 시키며, 상기 제1수신기 10과 제2수신기 20 중 현재 동작 중인 일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방송국을 인식하며, 타 수신기를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을 시 상기 일 수신기와 타 수신기의 동일 방송국의 각 수신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치부 40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하 상기 제어부 3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제어 과정의 제어부 30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라디오 시스템을 초기 동작시키면 제어부 30은 상기 제1수신기 10과 제2수신기 20 중 어느 하나에 채널선택신호에 따른 튜닝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시작한다. 그러면 해당 수신기는 동작을 하여 음성신호와, 수신한 신호의 해당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스위치부 40에서 선택되어 음성출력부 50으로 출력되도록, 제어부 30에서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 40에 출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출력되는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제어부 30은 현재 채널 선택된 방송국을 인식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후 제어부 30은 60단계에서 현재 음성신호를 출력하며 동작 중인 수신기를 일 수신기로 일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1수신기 10이 현재 동작 중인 수신기라고 가정하자. 이후 61단계에서는 타 수신기, 즉 상기 예에서는 제2수신기 20에 전체 주파수 대역의 스캐닝을 위한 튜닝 신호를 출력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인식한 방송국과 동일한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는지 체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2수신기 20에서 출력되는 전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 중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 신호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체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으면, 이를 63단계에서 판단하여 이후 65단계로 진행하며,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없으면, 상기 60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 65단계에서는 제1수신기 10과 제2수신기 20의 두 수신기의 출력 음성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를 가리기 위해 먼저 두 출력 음성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를 비교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수신기 10과, 제2수신기 20의 각 S/N비교부 18에서 출력되는 값을 비교 분석함으로 가능하다.
상기 비교에서 타 수신기, 즉 상기 예에서는 제2수신기 20의 수신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제1수신기 10의 수신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보다 더 낮을 경우에는 제2수신기 20의 수신신호가 더 고음질임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그럴 경우, 제어부 30은 이를 67단계에서 판단하여 이후 69단계로 진행한다. 69단계에서는 타 수신기, 즉 제2수신기 20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스위치부 40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부 40에서 제2수신기 20의 출력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어부 30은 상기 60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제2수신기 20의 수신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제1수신기 10의 수신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보다 더 높을 경우에는 제1수신기 10, 즉 현재 선택된 일 수신기의 수신신호가 더 고음질임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그럴 경우, 제어부 30은 상기 67단계에서 그대로 상기 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 및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1수신기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2수신기와,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에서 각 출력되는 상기 음성신호들 중 일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중 현재 동작 중인 일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방송국을 인식하며, 타 수신기를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을 시 상기 일 수신기와 타 수신기의 동일 방송국의 각 수신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가짐으로, 소정의 지역마다 방송 주파수가 다른 특정 방송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항상 동일 방송 주파수를 선국할 수 있다.

Claims (2)

  1.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을 자동으로 추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1수신기와,
    튜닝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국 고유 어드레스와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제2수신기와,
    스위칭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에서 각 출력되는 상기 음성신호들 중 일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중 현재 동작 중인 일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방송국을 인식하며, 타 수신기를 통해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방송국의 수신신호가 있을 시 상기 일 수신기와 타 수신기의 동일 방송국의 각 수신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가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를 가지는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을 자동으로 추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 중 현재 가청음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수신 동작 중인 수신기의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방송국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수신기와 제2수신기 중 현재 가청음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수신 동작을 하지 않은 수신기를 통해 상기 인식한 방송국과 동일 방송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일 방송국의 수신이 있을 경우 상기 두 수신기의 출력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 신호 중 고음질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의 수신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27153A 1998-07-06 1998-07-06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00007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53A KR20000007695A (ko) 1998-07-06 1998-07-06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53A KR20000007695A (ko) 1998-07-06 1998-07-06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95A true KR20000007695A (ko) 2000-02-07

Family

ID=1954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153A KR20000007695A (ko) 1998-07-06 1998-07-06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6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4906B2 (ja) 受信装置
EP25808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JP4488983B2 (ja) ラジオ受信機及び受信方法
JPH0683091B2 (ja) ラジオ受信機
JP4173171B2 (ja) ラジオ受信機及び搬送波検出方法
KR20000007695A (ko)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S5885623A (ja) Am受信機の同調方法
KR19990015641A (ko)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00002038A (ko) 디지털/아날로그 방송 겸용 오디오 신호처리장치
KR20000014997A (ko) 방송 채널 자동 추적 방법
JP4312652B2 (ja) ラジオ受信機
KR100277667B1 (ko) 시크/스캔 기능시 청취방송 유지장치 및 유지방법
KR100213484B1 (ko) 방송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194349B1 (ko) 카오디오의 표시제어방법
KR100669284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자동 튜닝 장치 및 방법
JPH0548984A (ja) 車載用tv受信装置
JPH10247857A (ja) 無線放送受信装置
KR0142717B1 (ko) Nicam 수신텔레비전의 음성다중절환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9990027558U (ko) 방송 주파수 자동 추적장치
WO2010143372A1 (ja) Hdラジオ受信機およびオートストア制御方法
KR20110096819A (ko)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KR20070009050A (ko) 이중튜너를 갖는 카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3632A (ko) 라디오시스템의 주파수 선국방법
KR19990030889A (ko) 주파수 유지장치 및 방법
KR20060025416A (ko) 차량용 라디오 시스템의 채널 자동 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