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479U -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479U
KR20000007479U KR2019980018907U KR19980018907U KR20000007479U KR 20000007479 U KR20000007479 U KR 20000007479U KR 2019980018907 U KR2019980018907 U KR 2019980018907U KR 19980018907 U KR19980018907 U KR 19980018907U KR 20000007479 U KR20000007479 U KR 20000007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inge
hinge assembly
assembly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8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479U/ko
Publication of KR20000007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79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동일 부품으로 좌우겸용 도어의 힌지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도 강도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 상부힌지조립체는 상면에 소정깊이의 결합홈(102)이 형성되는 냉장고 도어(100)와; 일단이 그 결합홈(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한 힌지축(300)과; 일단부에 힌지축(300)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끼움홈(402)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냉장고 캐비닛(200)의 상면에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체결공(410)이 형성되는 힌지플레이트(40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동일 부품으로 좌,우 겸용 도어의 힌지결합이 가능하므로, 조립성 및 제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소화하여 구성부품수를 감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본 고안은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좌우 겸용 도어개방 냉장고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으로 양측 모두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강도를 만족시키면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각사이클을 이용한 냉매(冷媒)의 증발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냉동 및 냉장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가전제품으로,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고내로 유입시켜 수납된 음식물을 냉동 및 냉장시키게 된다.
통상의 냉장고는 그 외관적인 구조상 일정용적의 캐비티를 가지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로 대별된다.
기존의 냉장고 도어는 캐비닛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바, 그 힌지구조는 상부, 중간, 하부 힌지로 각각 조립되어 일방향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중 여기서는 상부힌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되, 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10)의 상면에 소정 크기의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그 끼움홈(12)에 축결합되는 힌지축(30)이 일체로 마련되고 타단부에 캐비닛(20)의 상면과 나사 결합가능한 체결공(42)이 복수개 형성되는 힌지플레이트(40)와, 힌지플레이트(40)의 상측으로 마련되어 외관상 일종의 마감재기능을 갖는 커버(50)를 구비한다.
커버(50)는 힌지플레이트(40)가 주로 강도를 만족시키는 스틸소재로 구비되므로, 상호 다른 재질의 캐비닛(20)과의 결합시 외관상 색상이 상이하여 미려하지 못한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70"은 결합홈(12)과 힌지축(30)의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부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부싱(BUSHING)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상부힌지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냉장고 도어(10)의 끼움홈(12)에 힌지플레이트(40)의 힌지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끼워 축결합시키고, 그 힌지플레이트(40)의 타단부를 캐비닛(20)의 상면에 밀착시킨 다음 나사 또는 볼트등의 체결부재(60)로 결합시킨다.
그후에 캐비닛(20)과 도어(10)에 결합된 힌지플레이트(40)의 외측을 커버(50)로 덮어 씌우는 과정으로 조립과정이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최근에 일부 대형냉장고의 경우, 좌우 겸용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바, 이에 따라 힌지플레이트가 캐비닛의 좌우측에 조립될 때 각기 상반되는 구조로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반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제조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시 작업자의 오조립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힌지플레이트가 캐비닛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구조의 특성상 그 폭을 감축시켜야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강도에 따른 문제점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부품으로 좌,우 겸용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강도를 충분히 만족시키면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힌지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냉장고의)도어 102 : 결합홈
200 : (냉장고의)캐비닛 300 : 힌지축
400 : 힌지플레이트 402 : 끼움홈
410 : 체결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는 냉장고 캐비닛의 양측에 마련되어 냉장고 도어를 좌,우 겸용 개방시키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힌지축과,
일단부에 상기 힌지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압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홈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냉장고 캐비닛의 상면과 결합가능한 체결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힌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지지구조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 상면에 소정깊이의 결합홈(102)이 형성되는 냉장고 도어(100)와,
일단이 그 결합홈(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한 힌지축(300)과,
일단부에 힌지축(300)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끼움홈(402)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냉장고 캐비닛(200)의 상면에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체결공(410)이 형성되는 힌지플레이트(400)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힌지플레이트(400)는 일단부에 끼움홈(402)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타단부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500)에 의해서 냉장고 캐비닛(200)의 상면에 체결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공(410)이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힌지플레이트(400)는 그 재질이 사출 등의 제조성 및 냉장고 캐비닛(200)의 색상에 적합한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힌지플레이트(400)가 일정한 폭을 지니고, 또 끼움홈(402)과 체결공(410)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4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설명부호 "500"은 결합홈(102)과 힌지축(300)의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부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부싱(BUSHING)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의 조립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과정을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냉장고 도어(100)의 결합홈(102)에 힌지축(300)의 일단을 끼움 결합시킨후에, 결합된 힌지축(300)의 타단을 힌지플레이트(400)의 끼움홈(402)중 선택하여 압입 결합시킨다.
이때, 힌지플레이트(400)가 냉장고 캐비닛(200)의 좌측에 결합될 경우, 힌지플레이트(400)의 끼움홈(402)중 좌측의 것에 힌지축(300)을 압입 결합시키고, 체결부재(500)로 힌지플레이트(400)의 체결공(410)을 통해서 캐비닛(2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이와는 반대로, 힌지플레이트(400)가 냉장고 캐비닛(200)의 우측에 결합될 경우에는, 힌지플레이트(400)의 끼움홈(402)중 우측의 것에 힌지축(300)을 압입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장고 도어(100)의 개방시 도어(10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는 동일 부품으로 좌우겸용 도어의 힌지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도 강도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동일한 부품으로 좌, 우 겸용이 가능하므로, 제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간단한 구조의 플라스틱 힌지플레이트를 채용함으로써, 강성 보완과 외관성 향상 및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 원가 절감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냉장고 캐비닛의 양측에 마련되어 냉장고 도어를 좌,우 겸용 개방시키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힌지축과,
    일단부에 상기 힌지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압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냉장고 캐비닛의 상면과 결합가능한 체결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힌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는 그 재질이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KR2019980018907U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KR200000074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07U KR20000007479U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07U KR20000007479U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79U true KR20000007479U (ko) 2000-04-25

Family

ID=6951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07U KR20000007479U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47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437B1 (ko) * 2001-01-08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 상부힌지 체결구조
KR100682503B1 (ko) * 2005-07-04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힌지어셈블리
KR20230074676A (ko) * 2017-12-13 202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437B1 (ko) * 2001-01-08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 상부힌지 체결구조
KR100682503B1 (ko) * 2005-07-04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힌지어셈블리
KR20230074676A (ko) * 2017-12-13 202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8766C (en)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KR20000007479U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조립체
JP2000097550A (ja) 冷蔵庫
KR20080008884A (ko) 냉장고 도어핸들
JPH08219627A (ja) 冷蔵庫の扉キャップ
JP2008261588A (ja) 冷蔵庫扉
KR200463723Y1 (ko) 냉장고
KR20000009232U (ko)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KR200220727Y1 (ko) 냉장고의 전면커버
KR20000007478U (ko) 냉장고 도어의 지지구조체
KR960001192Y1 (ko) 직냉식냉장고의 증발기도어구조
KR20000021991A (ko) 냉장고의 중간힌지조립체
JP3422918B2 (ja) 冷蔵庫
KR0128284Y1 (ko) 냉장고 도어의 중간힌지
JP2005083680A (ja) 冷蔵庫
KR100233046B1 (ko) 냉장고의 냉동실 도아
KR0111179Y1 (ko) 냉장고의 콘트롤박스 조립구조
KR200220817Y1 (ko) 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200164357Y1 (ko) 서랍형 냉장고의 서랍 결합구조
KR200164366Y1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KR200216957Y1 (ko) 김치의 발효 및 저장장치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39923A (ko) 냉장고용 좌우개폐 도어의 워터트레이 커버장치
KR19990036176U (ko)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0176686B1 (ko) 착탈가능한 힌지핀브라켓을 갖는 냉장고
KR0139228Y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