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506U -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용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용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506U
KR20000006506U KR2019980017656U KR19980017656U KR20000006506U KR 20000006506 U KR20000006506 U KR 20000006506U KR 2019980017656 U KR2019980017656 U KR 2019980017656U KR 19980017656 U KR19980017656 U KR 19980017656U KR 20000006506 U KR20000006506 U KR 200000065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owder
feeder
packaging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7470Y1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준호
주식회사 협신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호, 주식회사 협신메디칼 filed Critical 김준호
Priority to KR2019980017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47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470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제이송기와 산제이송기를 무한괘토타입으로 함으로서 기체의 크기(폭)를 최소화 하면서도 정제 및 산제의 분포 및 포장작업의 효율성을 배가하고 공간활용도가 뛰어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용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포장파트(36)를 하방에 가지고 직립되는 기체(40), 정제투입구(41)와 산제투입구(42)를 가지고 기체(40)의 상측을 마감하는 커버(43)와 커버(43)의 하방에는 투입된 정제와 산제를 순차적으로 포장파트(36)와 연결된 호퍼(44)로 낙하시켜주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가 설치되는 자동포장기(30)에 있어서;
상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를 포장파트(36)의 상방에서 일측에는 호퍼(44)의 상면과 도통시켜 설치되는 플레이트(52)상에 무한괘도타입으로 구성하되; 상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는 플레이트(52)의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53), 상기 모터의 축과 대향위치에 설치되는 구동타이밍풀리(54)와 피동타이밍풀리(55)상간에 연결되는 타이밍밸트(56)와 상기 타이밍밸트(56)에 상면과 하면에 걸림홈(63)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고정블럭(64)과 고정블럭(64)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걸림홈(63)과 치합될 수 있는 걸림돌기(66)를 형성하여 돌출되는 브리지(65)를 내측에 가지는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를 포함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용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
본 고안은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용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정제 및 산제자동분포기의 분포파트를 개선하여 정제 및 산제 자동포장기의 부피를 축소하여 최소한의 공간에도 설치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분포에 있어서는 자동분포기과 수동분포기로 구분되어지며, 자동분포기의 경우에는;
병원 혹은 약국에서 의사나 약사의 처방을 컴퓨터로 입력하면 입력된 해당 정제의 배출과 집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집합된 정제를 1회복용분별로 포장완료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제자동분포시스템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약제와 복용방법, 일일 복용회수 및 복용기일에 맞게 처방할 수 있도록 입력시키는 메인컴퓨터와;
메인컴퓨터에 의하여 입력된 처방전대로 정제를 저장하여 배출하는 정제카셋트와 드럼으로 구성되는 정제낙하파트와;
정제낙하장치의 하방에 위치하여 배출된 정제를 포장하여 정제자동분포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포장파트로 구성된다.
포장파트에는 정제낙하장치에서 낙하하는 정제를 집합시키는 배출호퍼와 배출호퍼를 통하여 배출되는 정제를 포장하여주는 히터어셈블리와 포장용지에 각종의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트 및 정제가 포장된 약봉지를 외부로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분포기의 경우에는 정제카셋트내에 많이 사용되지않은 종류의 약제나 정상적인 정제가 아닌 분할된 정제의 경우에는 정제카셋트에 수용하여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자동으로 분포하고 포장완료까지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수동분포기의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체(1)의 상측에 위치한 커버(2)상에 정제투입구(3)와 산제투입구(4)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2)의 하방에는 투입된 정제와 산제를 받아 포장파트로 공급하기 위한 정제이송기(5)와 산제이송기(6)가 판상의 플레이트(7)상에 안치된다.
상기 정제이송기(5)와 산제이송기(6)는 모터등에 의하여 구동하는 밸트등과 연결되어 플레이트(7)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정제이송기(5)와 산제이송기(6)의 측방(도면상 오른쪽)에 형성된 호퍼(8)로 순차적으로 정제와 산제를 배출시켜주도록 된다.
상기 정제이송기(5)와 산제이송기(6)로부터 정제와 산제를 공급받은 호퍼(8)는 하방에서 히터어셈블리(11)와 포장용지(12)에 각종의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트(13) 및 정제가 포장된 약봉지를 외부로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14)로 구성되는 포장파트(10)로 공급되어 포장완료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수동분포기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정제투입구에 직접정제를 분포시키기 때문에 약제의 종류나 규격등에는 지장이 없으나;
정제 및 산제투입구로부터 정제를 공급받은 정제이송기 및 산제이송기가 하방의 포장파트로 정제를 낙하시키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을 한 정제 및 산제이송기가 기체의 좌,우측방향으로 왕복하여야 한다.
때문에 정제 및 산제이송기의 길이만큼의 공간을 더 확보하여야 함으로 기체의 크기(특기 좌,우측방향)가 커지기 때문에 특별한 설치장소를 구비하여야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는 정제 및 산제이송기가 판상으로 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하기 때문에 정제 및 산제이송기의 크기에 따라 기체전체의 크기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많은 정제 및 산제를 한번에 많은양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체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기체를 작게할 경우에는 정제 및 산제의 처리속도 및 양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기체전체의 설계등에 상당한 난점을 가지는등의 문제점들을 가진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수동분포기에 적용하여 기체의 크기를 최소화 하면서 정제 및 산제의 1회분포량을 최대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제 및 산제분포작업의 효율성과 능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서는 정제 및 산제분포기용 정제 및 산제이송기를 무한괘도타입으로 구성하여 공급받은 정제를 포장파트로 공급하는 호퍼상에 순차적으로 낙하시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정제수용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반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6; 포장파트
40; 기체
50; 정제이송기
51; 산제이송기
56; 타이밍밸트
60; 정제수용구
61; 산제수용구
64; 고정블럭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의 정제수용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반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30)는;
하방에 정제와 산제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지를 권취한 권취롤과 공급되는 포장용지에 각종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 정제와 산제가 투입된 포장용지를 밀봉하는 히터어셈블리 및 밀봉된 포장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통상의 포장파트(36)를 가지고 직립되는 기체(40)가 구비된다.
상기 기체(40)의 상측은 정제투입구(41)와 산제투입구(42)를 가지는 커버(43)로 마감되고, 상기 커버(43)의 하방과 포장파트(36)의 상방에는 투입된 정제와 산제를 순차적으로 포장파트(36)와 연결된 호퍼(44)로 낙하시켜주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를 개선하여 콤팩트한 기체(40)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설치공간을 축소하면서도 정제와 산제의 분포작업은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를 포장파트(36)의 상방에서 일측에는 호퍼(44)의 상면과 도통시켜 설치되는 플레이트(52)상에 무한괘도타입으로 구성한다.
플레이트(52)의 저면 전,후측에 회전을 위한 모터(53)를 설치하고 상면에는 모터(53)의 축에 고정시킨 구동타이밍풀리(54)를 설치하고 대향위치에는 피동타이밍풀리(55)를 설치하여 타이밍밸트(56)로 연결한다.
상기 타이밍밸트(56)상에는 다수개의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를 고정하여 회전하면서 공급받은 정제와 산제를 플레이트(52)의 일측방에 형성된 호퍼(44)로 투약하도록 한다.
상기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는 상면과 하면에 걸림홈(63)을 형성하여 타이밍밸트(56)에 부착내지 고정되는 고정블럭(64)에 원터치타입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등의 이유로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에는 고정블럭(64)에 형성되는 걸림홈(63)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타이밀밸트방향)에 고정블럭(64)의 두께만큼의 폭을 가지는 브리지(65)를 돌출시키고, 상기 브리지(65)상에는 걸림돌기(66)를 형성하여 상호치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의 저면에는 통상적인 자유낙하타입의 배출판(67)을 가지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배출판(67)은 플레이트(52)와 연접된 상태로 두거나 플레이트(52)상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의 저면에는 가이드로울러등을 설치하여 보다 스무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커버(43)상에 구비되는 정제투입구(41)와 산제투입구(42)로 정제와 산제를 처방전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투입한다.
투입이 완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30)를 작동시키면 정제투입구(41)와 산제투입구(42)가 개방되면서 정제와 산제는 하방의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의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로 공급된다.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로 정제와 산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모터(53)가 작동하여 타이밍밸트(56)를 한 피치씩(하나의 정제수용구와 산제수용구 만큼의 간격)이동시켜준다.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가 한피치씩 이동하여 해당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가 플레이트(52)의 측방에 위치한 호퍼(44)의 상방에 다달으면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의 저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배출판(67)이 자연낙하하여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상의 정제와 산제를 호퍼(44)로 공급된다.
호퍼로 공급된 정제와 산제는 포장파트(36)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포장되고 기체(40)의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정제이송기와 산제이송기를 무한괘토타입으로 함으로서 기체의 크기(폭)를 최소화 하면서도 정제 및 산제의 분포 및 포장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과 능률이 배감됨은 물론, 공간활용도가 극히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포장용지를 권취한 권취롤과 공급되는 포장용지에 각종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 정제와 산제가 투입된 포장용지를 밀봉하는 히터어셈블리 및 밀봉된 포장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통상의 포장파트(36)를 하방에 가지고 직립되는 기체(40);
    정제투입구(41)와 산제투입구(42)를 가지고 기체(40)의 상측을 마감하는 커버(43)와 상기 커버(43)의 하방과 포장파트(36)의 상방에는 투입된 정제와 산제를 순차적으로 포장파트(36)와 연결된 호퍼(44)로 낙하시켜주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가 설치되는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30)에 있어서;
    상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를 포장파트(36)의 상방에서 일측에는 호퍼(44)의 상면과 도통시켜 설치되는 플레이트(52)상에 무한괘도타입으로 구성하되;
    상기 정제이송기(50)와 산제이송기(51)는 플레이트(52)의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53), 상기 모터의 축과 대향위치에 설치되는 구동타이밍풀리(54)와 피동타이밍풀리(55)상간에 연결되는 타이밍밸트(56);
    상기 타이밍밸트(56)에 상면과 하면에 걸림홈(63)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고정블럭(64)과;
    상기 고정블럭(64)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걸림홈(63)과 치합될 수 있는 걸림돌기(66)를 형성하여 돌출되는 브리지(65)를 내측에 가지는 정제수용구(60)와 산제수용구(61)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및 산제자동포장기용 정제 및 산제 분포장치.
KR2019980017656U 1998-09-14 1998-09-14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KR200247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656U KR200247470Y1 (ko) 1998-09-14 1998-09-14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656U KR200247470Y1 (ko) 1998-09-14 1998-09-14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506U true KR20000006506U (ko) 2000-04-15
KR200247470Y1 KR200247470Y1 (ko) 2002-02-19

Family

ID=6952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656U KR200247470Y1 (ko) 1998-09-14 1998-09-14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4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41U (ko) 2017-07-19 2019-01-29 박지호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수동형 산제분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470Y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668B1 (ko) 정제분포기용 정제공급장치.
KR200213196Y1 (ko) 정제자동분포기용 약제호퍼 개폐장치.
US7882680B2 (en) Automated solid pharmaceutical product packaging machine
US5819500A (en) Medication packaging apparatus
US6497342B2 (en) Medicine feeder
EP1433457B1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EP2067699B1 (en)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and medicine packaging method
KR100817704B1 (ko) 정제자동분배기용 특수정제 투입장치
KR200197964Y1 (ko) 정제자동분포기용 정제카셋트
KR910004426A (ko) 약제 포장기
JP2016504241A (ja) 固体物質を調剤及び包装する装置及び方法
KR20000004117U (ko) 정제자동분포기의 정제낙하장치.
CN1491859A (zh) 中药颗粒配方电子调配方法及系统
US201401503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Counting and Packaging Pharmaceutical Drugs and Other Objects
CA2534297A1 (en) Medicine delivery device and medicine filling device
KR200247470Y1 (ko)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KR20120047716A (ko) 약제 포장기
WO2000035754A1 (fr) Procede et systeme de dosage electronique de medicaments traditionnels chinois a base de plantes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H07165203A (ja) 錠剤フィーダ
JP2000247301A (ja) 薬剤分割装置
KR100407469B1 (ko) 정제포장장치
KR102377057B1 (ko) 홈케어용 영양제 조제기
KR200338658Y1 (ko) 정제 및 산제 혼합 포장장치
KR101825733B1 (ko) 작은 입자 약제 이송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