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394U -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394U
KR20000006394U KR2019980017512U KR19980017512U KR20000006394U KR 20000006394 U KR20000006394 U KR 20000006394U KR 2019980017512 U KR2019980017512 U KR 2019980017512U KR 19980017512 U KR19980017512 U KR 19980017512U KR 20000006394 U KR20000006394 U KR 20000006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ball
fixed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7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394U/ko
Publication of KR20000006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394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에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신체의 일부 또는 의자 등의 다른 물건으로 도어를 받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중간힌지가 고정되는 냉장고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힌지축이 설치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에 고정된 힌지축 주변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다열로 정지홈을 형성하며, 이러한 정지홈에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볼을 갖고 냉장고 도어를 다단 개폐가능하게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에 하우징을 고정하여 냉장고 도어가 다단으로 개방되며 또한 그 개방된 상태를 계속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냉장고 사용환경에 편의성을 제공코자 한 고안임.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된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열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는 고내에 공급된 냉기를 최대한 밀폐하기 위하여 그 외테두리에 가스켓이라는 밀폐수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스켓 내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본체와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고내에 있는 냉기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는 후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자중에 의해 저절로 해당 고내를 폐쇄토록 함으로써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많을 물건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 열어 놓은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려 함에 따른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는 바, 예컨데 한손으로는 냉장고 도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물건을 고내에 수반한다던지 혹은 한쪽발로 냉장고 도어를 지지한 채 양손으로 물건을 수납해야 한다.
상술한 경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전기모터를 이용한 것이 있으나 이는 그 목적이 본 고안과는 별개의 것이며 더구나 매우 높은 설치비와 볼삽입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 확보 차원에서 실효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5984호로 공고된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가 있으나 이는 도어가 개방되는 각도를 제어하도록 된 것일 뿐 본 고안에서 추구하는 도어가 개방된 후 그 개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과 유사한 장치로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2-3199호 "냉장고 도어의 회동지지장치" 가 공고되어 있는 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회동지지장치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사절부의 전면 일측에 장착부(20)와 지지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힌지(10)를 나사고정하고, 냉동실도어의 하단부 일측과 냉장실도어의 상단부 일측에 도어부쉬(50,60)를 각각 삽입고정하며, 상기 중간힌지(10)의 지지부(30)에 고정된 힌지축(70)의 상하연장부를 상기 도어부쉬(50,60)에 삽입하여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를 회동개폐되게 지지하되, 상기 중간힌지(10)의 지지부(30) 상면에는 다수의 방사상 정지홈(80)을 형성하고, 냉동실도어의 도어부쉬(50) 저면에는 상기 방사상 정지홈(8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정지돌기(90)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정지돌기(90)는 단순히 도어부쉬(50)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 하중에 의해 개폐되면서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정하거나 혹은 개방상태를 유지하는데에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코자 안출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의 중간힌지부에 일정 각도마다 정지홈을 갖는 판 형태의 지지부를 연장 형성하고 이 지지부의 정지홈에 맞물려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볼이 장착된 하우징을 구비하여 냉장고 도어의 개방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개방상태를 계속유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를 제공코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중간힌지가 고정되는 냉장고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힌지축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힌지축 주변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정지홈과, 상기 정지홈에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볼을 갖고 냉장고 도어를 다단 개폐가능하게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을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닫힘 방지기능을 구유한 중간힌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닫힘 방지기능을 구유한 중간힌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닫힘 방지기능을 구유한 중간힌지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간힌지, 160 : 지지부,
200 : 하우징, 220 : 삽입부,
222 : 볼삽입공, 240 : 고정부,
280 : 힌지공, 300 : 볼,
400 : 정지홈, 500 : 힌지축,
777 : 스프링, 888 : 냉동실도어,
999 : 냉장실도어.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닫힘 방지기능을 구유한 중간힌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중간힌지(100)는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가 힌지결합되어 이들이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상하부에서 지지하는 부품이다.
상기 중간힌지(100)는 그 본체가 냉장고의 전면 일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전면고정부(120)와, 상기 전면고정부(120)로 부터 연장되고 수직절곡되어 냉장고의 측면에 밀착고정되는 측면고정부(140)와, 상기 전면고정부(1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힌지축(500)이 고정되는 지지부(160)를 갖는다.
상기 전면 및 측면고정부(120,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힌지(100)가 냉장고 본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주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160)는 힌지축(500)이 상기 지지부(160)를 관통하여 상하수직하게 돌출고정되는 바, 상기 힌지축(500)의 상측에는 후술할 도3에 도시된 냉동실도어(888)의 하단면이 회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며 하측에는 냉장실도어(999)의 상단면이 회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60)에는 상기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방사상의 정지홈(400)이 형성된다.
상기 정지홈(400)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씩 각각 열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지홈(400)은 상기 지지부(160)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탄설된 다수의 볼(300)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에 힌지공(280)을 갖는 삽입부(220)와, 상기 삽입부(220)를 커버하며 상기 삽입부(220)를 냉장고 도어에 볼트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볼트공(260)이 형성된 플랜지형상의 고정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한쌍이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0) 설치시에는 냉동실도어 하단면과 냉장실도어 상단면에 상기 하우징(200)과 대응되는 크기의 홈을 요입형성한 후 상기 홈 속에 상기 하우징(200)을 삽입고정시키고 각 도어 상,하단면 외부로 노출된 볼(300) 만이 상기 지지부(160)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닫힘 방지기능을 구유한 중간힌지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상술한 볼(300)의 설치상태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삽입부(220) 내부에는 3열 한조로 된 볼삽입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볼삽입공(222) 내에는 볼(300)이 내장된다.
상기 볼삽입공(222)의 직경은 상기 볼(30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볼(3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30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볼(300) 후측의 볼삽입공(222) 내에는 스프링(777)이 개재된다.
이 상태에서, 즉 상기 볼삽입공(222)의 일측을 통해 볼(300)이 노출되고 볼(300) 후측에 스프링(777)이 개재된 상태에서 볼삽입공(222)의 타측이 고정부(240)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777)은 볼(300)이 항상 볼삽입공(222)의 일측을 통해 노출되도록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하우징(200)은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냉동실도어(888)의 하단면 및 냉장실도어(999)의 상단면에 형성된 홈속에 삽입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어닫힘 방지장치는 볼(300)과 정지홈(400)이 형성된 지지부(160)를 상기 볼(300)이 슬라이딩되면서 작동된다.
즉, 볼(300)과 스프링(777)을 내장한 하우징(200)이 냉동실도어(888) 및 냉장실도어(999)의 각 상,하단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888,999)를 전면고정부(120)와 측면고정부(140)에 의해 냉장고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중간힌지(100)의 힌지축(500)에 힌지결합시킨다.
이때에는, 냉동실도어(888) 및 냉장실도어(999)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상기 볼(300)은 지지부(160)의 상하단면에 밀착접촉되면서 각 스프링(777)의 인장력을 극복하고 볼삽입공(222) 내부로 밀려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888,999)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볼(300)이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부(160)의 상하단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최초 정지홈(400)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일시 정지하게 된다.
이때에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888,999)는 그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게 되고 도어(888,999)를 더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하고자 한다면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볼(300)이 스프링(777)을 볼삽입공(222) 내측으로 밀면서 상기 정지홈(400)을 이탈하게 되므로 냉장고 도어(888,999)를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실험에 의하면, 약 30도 정도의 도어개방각에서는 냉장고 본체가 후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된 특징에 따라 도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각도에서부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정지홈(400)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888,999)의 개방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정지홈(400)을 상기 도어(888,999) 폐쇄시의 수평선으로부터 45도, 60도, 90도, 120도 와 같은 각도를 부여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가 힌지결합되는 중간힌지의 지지부 일부에 방사상의 정지홈을 형성하고 이 정지홈에 탄성적으로 대응삽입 가능한 볼을 갖는 하우징을 도어의 상하단면에 설치하여 도어의 개방각을 조절하고 일정각도에서 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에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냉장고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지지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2)

  1. 중간힌지(100)가 고정되는 냉장고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힌지축(500)이 설치되는 지지부(160)와,
    상기 지지부(160)에 고정된 힌지축(500) 주변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정지홈(400)과,
    상기 정지홈(400)에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볼(300)을 갖고 냉장고 도어를 다단 개폐가능하게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단면 혹은 하단면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볼(300)이 내장되는 다수의 볼삽입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볼삽입공(222) 내에서 상기 볼(300)을 탄압하도록 개재되는 스프링(777)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삽입부(220)와, 상기 볼삽입공(222)의 볼(300) 설치위치에 대향되는 단부를 폐쇄토록 상기 삽입부(222)에 고정되며 양측단부에 다수의 볼트공(260)을 갖는 플랜지형상의 고정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KR2019980017512U 1998-09-15 1998-09-15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KR20000006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512U KR20000006394U (ko) 1998-09-15 1998-09-15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512U KR20000006394U (ko) 1998-09-15 1998-09-15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394U true KR20000006394U (ko) 2000-04-15

Family

ID=6951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512U KR20000006394U (ko) 1998-09-15 1998-09-15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3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494A (zh) * 2019-03-12 2019-05-31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测量盾构隧道盾尾间隙的仪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494A (zh) * 2019-03-12 2019-05-31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测量盾构隧道盾尾间隙的仪器
CN109827494B (zh) * 2019-03-12 2024-03-08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测量盾构隧道盾尾间隙的仪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3288B1 (en) Drawer Type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318633B2 (en) Refrigerator home bar unit door
KR101423335B1 (ko) 냉장고
EP3543632B1 (en) Refrigerator
US11892228B2 (en) Appliance bin
KR20040080070A (ko) 오일댐퍼를 적용한 홈바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MX2010011620A (es) Refrigerador.
KR20000006394U (ko)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KR0139679B1 (ko) 냉장고의 냉기 유출 방지장치
KR100673779B1 (ko) 홈바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17599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힌지구조
KR19990007718U (ko) 냉장고의 도어장치
KR101692734B1 (ko) 냉장고
KR101653315B1 (ko) 냉장고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100374860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용 힌지조립체
KR200235380Y1 (ko) 냉장고핸들의높낮이조절장치
KR101272414B1 (ko) 냉장고용 홈바
KR920003199Y1 (ko) 냉장고 도어의 회동지지장치
KR100453011B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50113138A (ko) 냉장고
KR200156392Y1 (ko) 냉장고
KR19980084853A (ko) 냉장고의 중간힌지
KR100756701B1 (ko) 냉장고용 홈바
KR0119915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