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392Y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92Y1
KR200156392Y1 KR2019970010981U KR19970010981U KR200156392Y1 KR 200156392 Y1 KR200156392 Y1 KR 200156392Y1 KR 2019970010981 U KR2019970010981 U KR 2019970010981U KR 19970010981 U KR19970010981 U KR 19970010981U KR 200156392 Y1 KR200156392 Y1 KR 200156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door
special storage
speci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544U (ko
Inventor
신경만
백경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0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9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실내에 마련된 소정의 특선저장부와, 상기 특선저장부의 입구영역에 힌지축에 의하여 상하회동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특선저장부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회동에 탄성적으로 저항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특선저장부도어의 급격한 폐쇄회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충격소음 및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고안은, 냉장실내에 마련된 소정의 특선저장부와, 상기 특선저장부의 입구영역에 힌지축에 의하여 상하회동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특선저장부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특선저장부도어의 충격적 폐쇄회동에 의한 충격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냉동실 및 냉장실의 전방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가진다. 냉장실은 저장물을 층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있고, 냉장실의 하부에는 야채 및 과일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야채저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의 상부에 특히 신선도가 요구되는 생선 등의 보관을 위한 소위 특선실이라 불리는 특선저장부가 마련되어 있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도 6은 종래냉장고의 특선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특선저장부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의 상부에는 냉장실의 특선저장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선저장부(103)내에는 저장물을 수용하며 전후 슬라이딩 출입가능하도록 저장용기(105)가 설치되어 있다. 저장용기(105)는 상자형상을 가지며, 전면측과 상면측은 저장물의 수납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저장용기(105)의 양측벽의 전방영역에는 안내경사면(106)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특선저장부(103)의 전방의 양측내벽에는 함몰형성된 힌지축수용홈(10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축수용홈(108)에는 상하회동에 의하여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특선저장부도어(110)의 힌지축(111)이 결합되어 있다. 특선저장부도어(110)의 배면의 양측연부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삼각형상의 안내턱(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특선저장부(103)내에 저장용기(105)가 수용되고, 특선저장부도어(110)가 전방에 결합되면, 특선저장부도어(110)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턱(113)이 저장용기(105)의 안내경사면(106)에 접촉되게 된다. 저장용기(105)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특선저장부도어(110)의 안내턱(113)은 안내경사면(10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선저장부도어(110)는 상향회동하게 되어 특선저장부(103)의 전방개구가 개방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특선저장부도어는 저장용기의 인출과 연동하여 점차적으로 개방되지만, 저장용기를 특선저장부내로 수납할 경우, 특선저장부도어는 자중에 의하여 폐쇄회동하게 된다. 이때, 특선저장부도어와 저장용기의 상대운동속도의 차에 의하여 저장용기와 특선저장부도어 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회동을 제어할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특선저장부도어가 급격히 하향회동하게 될 경우 심한 충격소음과 함께 저장용기 및 특선저장부도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선저장부도어의 급격한 폐쇄회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충격소음 및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특선저장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축수용부의 확대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냉장고의 특선저장부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특선저장부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냉장실 11 : 특선저장부
15 : 상부안내레일 17 : 하부안내레일
20 : 저장용기 21 : 안내리브
27 : 상부로울러 28 : 하부로울러
30 : 특선저장부도어 31 : 힌지축
32 : 절취부 33 : 안내턱
40 : 축지지체 41 : 지지부
42 : 축수용부 43 : 판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냉장실내에 마련된 소정의 특선저장부와, 상기 특선저장부의 입구영역에 인출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축선을 중심으로 상하회동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특선저장부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특선저장부도어 및 상기 특선저장부 내벽중 어느 일측에 외면의 일부가 절취되어 축선방향과 평행한 절취부가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특선저장부도어 및 상기 특선저장부 내벽중 타측에 상기 절취부에 가압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회동에 탄성적으로 저항을 가하는 판상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특선저장부도어의 양 측연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특선저장부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을 수용지지하는 축수용부를 가진 축지지체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특선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축수용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냉동실(3) 및 냉장실(5)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냉동실(3) 및 냉장실(5)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냉동실도어(7) 및 냉장실도어(9)를 가진다. 냉장실(5)의 하부영역에는 야채 및 과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야채저장실(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영역에는 생선 등의 저장을 위한 특선저장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특선저장부(11)와 야채저장실사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선반(13)이 설치되어 냉장실(5)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특선저장부(11)의 양측내벽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상부안내레일(15) 및 하부안내레일(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안내레일(15, 17)에는 저장물을 수용하며 전후 슬라이딩 출입가능하도록 저장용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저장용기(20)의 전면에는 상하회동에 의하여 특선저장부(11)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특선저장부도어(30)가 설치되어 있다.
저장용기(20)는 저장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자형상을 가지며, 전면측과 상면측은 저장물의 수납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저장용기(20)의 양측벽의 전방영역은 후방을 향할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절취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벽의 상단부는 판면에 가로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안내리브(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용기(20)의 전면에는 전면플랜지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플랜지부(23)의 중앙영역에는 저장용기(20)의 전후방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24)가 마련되어 있다. 양측벽의 하부영역에는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레일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레일부(26)의 후방영역에는 상부로울러(27) 및 하부로울러(28)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특선저장부도어(30)는 거의 직사각판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판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된 힌지축(31)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31)은 축선방향을 따라 원주면의 일부가 축선과 평행하게 절취된 절취부(32)를 가지며, 절취부(32)는 특선저장부도어(30)의 판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특선저장부도어(30)의 배면의 양측연부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삼각형상의 안내턱(3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특선저장부(11)의 전방의 양측내벽에는 특선저장부도어(30)의 힌지축(31)을 수용지지하는 축지지체(40)가 결합되어 있다. 축지지체(40)는 특선저장부(11)의 내벽에 부착되는 판상의 지지부(41)와, 지지부(4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힌지축(31)을 수용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축수용부(42)와, 축수용부(42)의 내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43)을 가진다. 판스프링(43)은 지지부(41)의 저변과 나란하게 원통형의 축수용부(42)의 내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특선저장부(11)내에 저장용기(20)를 수용결합한 후, 특선저장부도어(30)의 힌지축(31)의 절취부(32)가 축지지체(40)의 판스프링(43)과 나란하도록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특선저장부도어(30)가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하여 축지지체(40)를 특선저장부(11)의 전방 양측내벽에 결합고정되도록 하면, 특선저장부도어(30)는 자중에 의하여 폐쇄회동하게 된다. 이때, 힌지축(31)의 절취부(32)의 일측연부가 판스프링(43)과 가압접촉하게 되며, 판스프링(43)의 탄성력은 힌지축(31)의 회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선저장부도어(30)의 급격한 폐쇄회동이 방지되게 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특선저장부도어의 측단부에 절취부를 갖는 힌지축을 형성하고, 이 힌지축을 수용하며 힌지축과 탄성적으로 가압접촉되는 판스프링을 갖는 축지지체를 구성하여 결합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냉장실의 내벽에 절취부를 갖는 힌지축을 마련하고 특선저장부도어의 일측에 판스프링을 갖는 축수용부가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특선저장부도어의 힌지축과 상호 작용하여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회동에 탄성적으로 저항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를 마련함으로써, 특선저장부도어의 급격한 폐쇄회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충격소음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3)

  1. (정정)
    냉장실내에 마련된 소정의 특선저장부와, 상기 특선저장부의 입구영역에 인출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축선을 중심으로 상하회동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특선저장부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특선저장부도어 및 상기 특선저장부 내벽중 어느 일측에 외면의 일부가 절취되어 축선방향과 평행한 절취부가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특선저장부도어 및 상기 특선저장부 내벽중 타측에 상기 절취부에 가압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특선저장부도어의 폐쇄회동에 탄성적으로 저항을 가하는 판상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특선저장부도어의 양 측연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선저장부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을 수용지지하는 축수용부를 가진 축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70010981U 1997-05-17 1997-05-17 냉장고 KR200156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981U KR200156392Y1 (ko) 1997-05-17 1997-05-1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981U KR200156392Y1 (ko) 1997-05-17 1997-05-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44U KR19980066544U (ko) 1998-12-05
KR200156392Y1 true KR200156392Y1 (ko) 1999-09-01

Family

ID=1950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981U KR200156392Y1 (ko) 1997-05-17 1997-05-1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4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664B1 (ko) 냉장고
US10634422B2 (en) Refrigerator
KR20170093530A (ko) 냉장고
KR100520958B1 (ko) 냉장고의 바스켓커버 자동닫힘 구조
KR200156392Y1 (ko) 냉장고
KR100218925B1 (ko) 냉장고
KR20070028911A (ko) 냉장고
KR100199973B1 (ko) 냉장고
KR100242569B1 (ko) 냉장고의 특선실
KR20220022196A (ko) 냉장고
KR100199975B1 (ko) 냉장고
KR100388667B1 (ko) 냉장고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200158635Y1 (ko) 냉장고
KR200159909Y1 (ko) 냉장고용 포켓 커버의 결합구조
KR19980082302A (ko) 냉장고
KR100222984B1 (ko) 냉장고용 선반
KR19990032725U (ko) 냉장고
KR200158629Y1 (ko) 냉장고의 특선실
KR19990049525A (ko)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KR19980045981U (ko) 도어가 설치된 냉장고의 야채실
KR200290182Y1 (ko) 냉장고용 선반
KR20210053735A (ko) 냉장고
JPS624866Y2 (ko)
KR10090314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