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265A - Cdma통신시스템에서송신장치에사용하기위한송신전력제어 - Google Patents

Cdma통신시스템에서송신장치에사용하기위한송신전력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265A
KR20000006265A KR1019990022822A KR19990022822A KR20000006265A KR 20000006265 A KR20000006265 A KR 20000006265A KR 1019990022822 A KR1019990022822 A KR 1019990022822A KR 19990022822 A KR19990022822 A KR 19990022822A KR 20000006265 A KR20000006265 A KR 2000000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nth
signal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599B1 (ko
Inventor
노무라도미나리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0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송신 장치용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서, 전력 제어량 보정기는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보정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송신 진폭 데이타에 대한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한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생성한다. 확산부는 확산 코드들의 각각의 부분들이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된 대체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여 보정 데이타에 대한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멀티플렉서는 확산 데이타를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로 다중화한다. D/A 변환기는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무선부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분배기는 송신 신호로부터 한 부분을 추출 신호로서 추출한다. 주파수 변환기는 추출 신호를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한다. 역확산부는 주파수 2변환 신호에 대해 역확산 동작을 수행하여 각각의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을 검출한다. 타이밍 제어기는 역확산부와 확산부를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USE IN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장치와 같이, 다중화된 송신 데이타를 갖는 송신 데이타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통신 시스템과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영역이 무선 기지국 장치가 각각 설치된 소위 셀이라 부르는 복수의 단위로 분할되며, 무선 기지국 장치는 해당 셀에 위치한 이동국 장치들과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는, 정확하게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송신 신호가 다른 셀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그 자신의 셀 내에서 커버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다중화된 채널을 갖는 복수의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는, 다중화된 모든 채널이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무선 기지국 장치 근방의 이동국 장치들에서는 너무 강한 전자파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동국 장치들에서는 너무 약한 전자파로 인해 전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무선 기지국 장치는 출력을 허용하는 제한된 송신 전력을 가지므로, 각각의 이동국 장치 또는 각각의 채널에 제한된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무선 기지국 장치가 각각의 이동국 장치와 해당 무선 기지국 사이의 거리와 같은 요인에 따라 각각의 채널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CDMA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중화될 채널이 증가할 때, 전체 송신 전력이 증가한다. 그 결과, 원근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중화된 복수의 채널에 필요한 최하 한계값에서 각각의 채널에 대해 송신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사용 가능한 채널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채널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다중화를 수행하는 송신 장치에서,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디지탈 값을 나타내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값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필요로 한다. 이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값이 디지탈 값으로 주어지지만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값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송신 전력 제어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내의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가 이상적으로 동작한다는 전제로 수행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디지탈 신호의 변동량과 출력될 아날로그 신호의 변동량은 서로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는 비선형성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는 변화할 수 있는 기준 전압 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그 결과,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사용하여 디지탈 값에 대응하는 정확한 아날로그 값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송신 전력 제어를 실제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면에서 단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온도 변화의 영향 그리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다음 단의 한 쌍의 아날로그 회로에서의 지속적인 변화로 인해 전력 제어의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면에서 단점이 있다.
더우기, CDMA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각각의 채널이 동일한 무선 캐리어 상에서 다중화되기 때문에 실제로 송신되는 각각의 채널에 대해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면에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양한 CDMA 통신 시스템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 한 예가 1998년 4월 7일에 Ling 등에게 허여된 제목이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on and power control bit detection in a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인 미국 특허 제5,737,327호에 개시되어 있다. Ling 등에 따르면, 수신 회로는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및 전력 제어 지시기(power control designator)를 포함하는 DS-CDMA 신호와 같은 확산 스펙트럼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이 확산스펙트럼 통신 신호는 역확산되고 디코딩된다. 파일럿 채널 상의 파일럿 심벌은 채널 위상 및 통신 채널의 채널 이득을 추정하기 위한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에 제공된다. 이 추정값은 트래픽 채널 심벌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에 제공된다. 파일럿 심벌은 전력 제어 지시기에 대한 채널 위상 및 채널 이득을 추정하기 위한 다른 채널 추정기에 제공된다. 이 추정값은 전력 제어 지시기를 복조하기 위한 다른 복조기에 제공된다. 트래픽 채널 심벌은 복조 이전에 지연 소자에서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된다. 전력 제어 지시기는 복조 이전에 단시간 지연 소자에서 단시간 지연되거나 전혀 지연되지 않는다.
Tokkai의 일본 미심사 특허공보 평7-235,913호 또는 JP-A 7-235913호는 확산 스펙트럼 통신 모드에서 기지국의 신호 전력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된 대화 표준을 통지할 수 있는 확산 스펙트럼 통신 장치 및 신호 세기 검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JP-A 7-235913호에 따르면, 확산 스펙트럼 통신 장치에서,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의 검출기로부터 송신된 이득 제어 신호가 다른 검출기에 의해 신호 세기의 역할을 하는 전력으로 변환되어 승산기(multiplier)에 송신된다. 기지국의 소망의 파일럿 채널의 전력은 확산 코드 검출기에 의해 AGC 회로로부터 수신된 출력 신호에서 검출되어 승산기로 송신된다. 승산기는 수신된 전력을 기초로 하여 소망의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계산하여 이를 표시부에 전송한다. 다음에, 표시부는 신호 세기를 표시한다.
Tokkai의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평8-8,877호 또는 JP-A 8-008877호는 이동국 내의 복잡한 수치 연산의 필요성과 주변 신호의 송신을 제거하고, 통신 효율을향상시키며, 이동국 장비를 소형 및 경량화할 수 있고, 전력 소모량을 낮출 수 있는 확산 스펙트럼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장비를 개시하고 있다. JP-A 8-008877호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순방향 링크의 무선 송신 특성이 역방향 링크를 통해 이동국으로부터 도달한 무선 신호의 수신 상태를 기초로 하여 파라미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되고, 이 추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동국의 RAKE 수신기에 설정될 RAKE 제어 정보가 생성되며 이동국이 RAKE 제어 정보를 통지 받는다. 한편, 이동국에서, RAKE 제어 정보는 RAKE 제어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되고 RAKE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탭 계수가 RAKE 수신기의 지연선 필터(transversal filter)에서 최초로 설졍된다.
Tokkai의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평10-41,919호 또는 JP-A10-041919호는 규정된 값으로서 배열될 각각의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도록 무선부의 출력에서 각각의 채널의 각각의 채널 측정 송신 코드의 확산 코드에 전력 측정 전력 제어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모든 채널로부터 항상 안정하게 수신을 달성할 수 있는 CDMA 시스템 멀티플렉서 송신기를 개시하고 있다. JP-A 10-041919에 따르면, 전력 제어부는 제1 입력으로서 채널부로부터 확산 및 출력된 송신 데이타를 사용하고 제2 입력으로서 역확산부로부터 출력된 전력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진폭 데이타를 선택 및 보정함으로써 출력을 제공한다. 전력 제어 출력을 수신하는 주파수 변환부는 신호를 규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을 제공한다. 역확산부는 제1 입력으로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사용하고 제2 입력으로서 전력 제어 코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절력 제어 코드를 사용하여 역확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채널의 순간 전력을 검출한다. 역확산 처리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클럭에 따라 채널순으로 수행되고 전력 제어 신호가 각각의 전력 제어부에 출력된다.
Tokkai의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평9-284,212호 또는 JP-A 9-284212호는 그 자신의 인접 셀로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셀의 중심으로부터의 이동국의 거리에 따라 프로세스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원근 문제점을 제거하면서 가입자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확산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JP-A 9-284212호에 따르면, 송신부의 정보 송신부는 데이타 클럭 생성기로부터의 데이타 클럭을 기초로 하여 음성 신호, 데이타 및 화상 등으로 구성된 정보 데이타에 제1 변조를 가하여 규정된 데이타 송신 속도를 갖는 정보 데이타가 되도록 하고 최종 데이타는 확산 변조부에 제공된다. 더우기, PN 클럭 생성기로부터의 PN 클럭이 PN 생성기에 제공되는데, 이 PN 생성기에서는 규정된 확산 속도를 갖는 PN 신호가 생성되어 확산 변조부에 제공된다. 다음에, 기지국으로부터의 기러가 추정되고, 각각의 이동국은 추정된 거리를 기초로 하여 확산 속도를 조정한다. 확산 속도는 PN 생성기에 공급될 PN 클럭 생성기로부터의 클럭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조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송싱 전력 제어 방법은 송신 전력을 디지탈 신호로 제어한다. 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해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전력 증폭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전력 증폭된 신호로 전력 증폭시키는 단계, 전력 증폭된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 신호를 사용하여 디지탈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송신 진폭 데이타로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송신 진폭 데이타를 확산 데이타로 확산시키는 단계, 확산 데이타를 송신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송신 진폭 데이타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송신 진폭 데이타로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송신 진폭 데이타를 확산 데이타로 확산시키는 단계, 확산 데이타를 송신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송신 진폭 데이타에서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추출 신호를 역확산시키는 단계, 및 구해진 송신 전력을 기초로 하여 송신 진폭 데이타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다중화된 제1 내지 제N 송신 진폭 데이타를 갖는 제1 내지 제N 채널을 위한 제1 내지 제N 송신 진폭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양의 정수를 나타냄) 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 내지 제N 송신 진폭 데이타를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로 각각 확산시키는 단계,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로 다중화시키는 단계,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송신 신호로 변환 시키는 단계,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추출 신호를 역확산시켜 제1 내지 제N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내지 제N 송신 전폭 데이타를 각각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제1 내지 제N 채널에 대한 다중화된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각각 공급되는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는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에 대한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하여 제1 내지 제N 보정 데이타를 각각 생성한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는 송신 전력의 검출을 위해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생성한다. 제1 내지 제N 확산부는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각각 접속되고,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에 공통으로 접속되며, 제1 내지 제N 채널로 할당된 제1 내지 제N 확산 코드의 각각의 부분들이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각각 대체된 제1 내지 제N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N 보정 데이타에 대한 제1 내지 제N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제1 내지 제N 확산부는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생성한다. 멀티플렉서는 제1 내지 제N 확산부에 접속되며,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합산함으로써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다중화시킨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는 멀티플렉서에접속되며,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값을 갖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무선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에 접속되며,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변조, 주파수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추출 장치는 무선부에 접속되며, 송신 신호로부터 한 부분을 추출 신호로서 추출한다. 주파수 변환기는 추출 장치에 접속되며, 추출 신호를 주파수 변환 신호가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시킨다. 역확산부는 주파수 변환기, 전력 제어 보벙 코드 생성기, 및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접속되며, 주파수 변환 신호에 대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제1 내지 제N 채널에 대한 제1 내지 제N 순간 송신 전력을 검출한다. 역확산부는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제1 내지 제N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기는 역확산부와 제1 확산부에 접속되며, 역확산부와 제1 내지 제N 확산부를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기는 역확산부에 클럭 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기는 제1 내지 제N 확산부에 제1 내지 제N 타이밍 신호를 각각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채널마다 할당된 한 쌍의 확산 코드를 직교성을 가지며 확산 코드의 코드 길이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하는 단계,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송신 데이타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는 단계,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송신 신호를 역확산시켜 채널마다의 송신 데이타의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송신 전력을 기초로 하여 채널마다의 송신 데이타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응용할 수 있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DMA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의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제어량 보정기의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확산부의 블럭도.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의 코드 길이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확산 코드의 코드 길이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확산부에 사용하기 위한 확산 코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확산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기의 블럭도.
도 8의 (a)는 도 7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기에 의해 출력된 클럭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8의 (b)는 도 7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기에 의해 출력된 제1 타이밍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8의 (c)는 도 7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기에 의해 출력된 제2 타이밍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부의 블럭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사용하기 위한 역확산부의 블럭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CDMA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전력 제어량 보정기
16, 17 : 확산부
19 : 멀티플렉서
21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23 : 무선부
29 : 주파수 변환기
31 : 역확산부
33 : 타이밍 제어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유닛들을 응용할 수 있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CDMA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영역을 갖고 있다. 이 서비스 영역은 제1 및 제2 기지국 장치(2-1 및 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셀(1-1 및 1-2)로 분할되며, 그 내부에 제1 및 제2 이동국 장치(3-1 및 3-2)가 위치한다. 즉, 제1 기지국 장치(201)는 제1 셀(1-1)을 커버하고 제2 기지국 장치(2-2)는 제2 셀(1-2)을 커버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이동국(3-1)은 제1 및 제2 셀(1-1 및 1-2)내에 중첩된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이동국(3-2)은 제1 셀(1-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및 제2 기지국 장치(2-1 및 2-2)는 다른 제어국들을 포함하는 통신망 (도시 생략)에 접속된 제어국(4)에 접속된다. 도 1에서는 생략되었지만, CDMA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국 장치들이 위치하고 있는 다른 셀들 내에 설치된 다른 많은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보다 분명한 방식으로, 각각의 제1 및 제2 기지국 장치(2-1 및 2-2)와 제1 및 제2 이동국 장치(3-1 및 3-2)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이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이 다중화된 2채널 타중화 송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내에 포함된 유닛이다. 도 2에서,참조 부호들 A, B, E, 및 F는 각각 참조 부호들 A', B', E' 및 F'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 멀티플렉서(19),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 무선부(23), 분배기(distributor) 또는 브랜칭 필터(branching filter)(25), 안테나(27), 주파수 변환기(29), 역확산부(31), 및 타이밍 제어기(33)를 포함한다.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는 제1 채널을 위한 제1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11a)와 후술되는 방식으로 확산부(33)로부터의 제1 채널을 위한 제1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검출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11b)를 갖는다.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는 제1 검출값을 기초로 하여 제1 전력 제어 진폭 데이타에 대한 제1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하여 데이타 출력 단자(11c)로부터 제1 보정 데이타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2)는 제2 채널을 위한 제2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12a)와 후술되는 방식으로 확산부(33)로부터 제2 채널을 위한 제2 순간 전력을 나타내는 제2 검출 데이타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12b)를 갖는다.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912)는 제2 검출값을 기초로 하여 제2 전력 제어 진폭 데이타에 대한 제2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하여 데이타 출력 단자(12c)로부터 제2 보정 데이타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보정 데이타는 각각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에 공급된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3)는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에 공급되는제1 및 제2 보정 데이타에서 송신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생성한다. 제1 확산부(16)는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로부터 제1 보정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16a),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로부터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공급되는 코드 입력 단자(16b), 및 후술되는 방식으로 타이밍 제어기(31)로부터 제1 타이밍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16c)를 갖는다. 제1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확산부(16)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제1 보정 데이타에 대한 제1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제1 확산 처리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확산부(16)는 데이타 출력 단자(16d)로부터 제1 확산 데이타를 생성한다.
유사하게, 제2 확산부(17)는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2)로부터의 제2 보정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17a),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3)로부터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공급되는 코드 입력 단자(17b), 및 후술되는 방식으로 타이밍 제어기(31)로부터의 제2 타이밍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17c)를 갖는다. 제2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확산부(17)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제2 보정 데이타에 대한 제2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제2 확산 처리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확산부(17)는 데이타 출력 단자(17d)로부터 제2 확산 데이타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확산 데이타는 멀티플렉서(19)에 공급된다.
멀티플렉서(19)는 제1 확산 데이타가 공급되는 제1 데이타 입력 단자(19a)와 제2 확산 데이타가 공급되는 제2 데이타 입력 단자(19b)를 갖는다. 멀티플렉서(19)는 제1 확산 데이타를 제2 확산 데이타에 가산함으로써 제1 및 제2 확산 데이타에 대한 다중화 처리를 수행한다. 멀티플렉서(19)는 데이타 출력 단자(19c)로부터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생성한다.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에 공급된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멀티플렉서로부터의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21a)를 갖는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이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값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신호 출력 단자(21b)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 이 아날로그 신호는 무선부(23)에 공급된다.
무선부(23)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23a)를 갖는다. 무선부(23)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한다. 무선부(23)는 신호 출력 단자(23b)로부터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 송신 신호는 분배기(25)에 공급된다. 분배기(25)는 무선부(23)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25a)를 갖는다. 분배기(25)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27)와 주파수 변환기(29)에 분배한다. 즉, 분배기(25)는 제1 및 제2 신호 출력 단자(25b 및 25c)로부터의 제1 및 제2 분배 송신 신호를 각각 안테나(27)와 주파수 변환기(29)에 공급한다. 제2 분배 송신 신호는 외부 신로로 불린다. 즉, 분배기(25)는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기 위한 추출 장치로 작용한다.
주파수 변환기(29)는 분배기(25)로부터 제2 분배 송신 신호 또는 추출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29a)를 갖는다. 주파수 변환기(29)는 제2 분배 송신 신호 또는 추출 신호를 주파수 변환 신로로 변환시키는데, 이 주파수 변환 신호는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주파수를 갖는다. 이 주파수 변환 신호는 역확산부(31)에 공급된다.
역확산부(31)는 주파수 변환기(27)로부터의 주파수 변환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31a),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로부터의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공급되는 코드 입력 단자(31b), 및 후술되는 방식으로 타이밍 제어기(31)로부터의 클럭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31c)를 갖는다.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역확산부(31)는 주파수 변환 신호의 순간 송신 전력을 검출하도록 전력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주파수 변환 신호에 대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역확산부(31)는 제1 및 제2 채널에 대한 제1 및 제2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및 제2 검출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단자(31d 및 31e)로부터 각각 생성한다. 제1 및 제2 검출 신호는 각각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로 전송된다.
타이밍 제어기(33)는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와 역확산부(31)를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기(33)는 클럭 신호를 역확산부(31)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기(33)는 제1 및 제2 타이밍 신호를 각각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에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CDMA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화는 각각의 채널들에 확산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실현된다. 각각의 확산 코드는 우수한 자기 상관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채널에 할당된 확산 코드중 일부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된댜. 즉, 확산 코드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대체 확산 코드로 대체된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직교성(orthogonality)을 가지며 확산 코드의 코드 길이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에, 각각의 채널을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에 대한 대체 위치는 서로 다르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각각의 대체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여 송신 데이타의 스펙트럼을 확산시켜 확산 데이타를 얻고 이 확산 데이타를 다중화시킴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에,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송신 신호로부터 한 부분을 추출하여 추출 신호 또는 제2 분배 송신 신호를 얻고,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추출 신호를 구해서, 채널마다의 송신 전력을 얻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역확산 작업에 의해 얻어진 채널마다의 송신 전력이 소망의 값을 갖도록 피드백에 의해 채널마다 송신 전력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송신 전력 제어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제1 및 제2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는 각각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에 공급된다.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는 일정한 지속 시간 동안 복수의 제1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시간적으로 평균함으로써 제1 송신 평균 진폭 데이타를 계산하고 제 1채널 대한 제1 순간 송신 전력 값들을 시간적으로 평균함으로써 제1 평균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다음에,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는 제1 송신 평균 진폭 데이타와 제1 평균 송신 전력 사이의 제1 에러를 계산하고 제1 전력 제어 송신진폭 데이타를 보정하여 제1 보정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제1 제1 에러를 무효화한다. 제1 보정 데이타는 제1 확산부(16)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2)는 일정한 지속 시간 동안에 복수의 제2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시간적으로 평균함으로써 제2 송신 평균 진폭 데이타를 계산하고 제2 채널에 대한 제2 순간 전력값들을 시간적으로 평균함으로써 제2 평균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다음에,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2)는 제2 송신 평균 진폭 데이타와 제2 평균 송신 전력 사이의 제2 에러를 계산하고 제2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보정하여 제2 보정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제2 에러를 무효화한다. 제2 보정 데이타는 제2 확산부(17)에 공급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는 구조가 유사하므로,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는 제1 아날로그-디자탈 변환기(35), 제1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37), 및 제1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제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5)는 제1 채널에 대한 제1 순간 전력값을 나타내는 제1 검출 신호를 제1 순간 송신 전력 데이타로 변환시킨다. 제1 순간 전력 데이타는 제1 랜덤 억스세 메모리(37)에 공급된다. 제1 랜덤 억세스 메모리(37)에는 제1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공급된다. 제1 랜덤 억세스 메모리(37)는 제1 순간 송신 전력 데이타와 제1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제1 저장 순간 송신 전력 데이타와 제1 저장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로서 저장한다. 즉, 제1 랜덤 억세스 메모리(37)는 제1저장 순간 송신 전력 데이타와 제1 저장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역할을 한다. 제1 저장 순간 송신 전력 데이타와 제1 저장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는 제1 처리부(19)에 공급된다.
제1 처리부(39)는 제1 채널에 관한 상술한 처리를 수행한다. 즉, 제1 처리부(39)는 제1 저장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시간적으로 평균함으로써 제1 송신 평균 진폭 데이타를 계산하고 제1 저장 순간 송신 전력 데이타를 시간적으로 평균함으로써 제1 평균 송신 전력 데이타를 계산한다. 다음에, 제1 처리부(39)는 제1 송신 전력 진폭 데이타와 제1 평균 송신 전력 데이타 사이의 제1 에러를 계산하고 제1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보정하여 제1 보정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제1 에러를 무효화한다. 제1 보정 데이타는 제1 확산부(16)에 공급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제1 확산부(16)는 제1 확산 코드 생성기(41), 제1 스위치(43), 및 제1 멀티플렉서(45)를 포함한다. 제1 확산 코드 생성기(41)는 CDMA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제1 채널에 대한 제1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 제1 확산 코드는 제1 스위치(43)에 공급된다. 또한, 제1 스위치(43)에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 (도 2)로부터의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공급된다. 더우기, 제1 스위치(43)에는 제1 선택 신호로서 타이밍 제어기(33) (도 2)로부터의 제1 타이밍 신호가 공급된다. 제1 선택 신호 또는 제1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스위치(43)는 제1 선택 코드로서 제1 확산 코드와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제1 타이밍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스위치(43)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제1 선택 코드로서 선택한다. 제1 타이밍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스위치(43)는 제1 확산 코드를 제1 선택 코드로서 선택한다. 제1 선택 코드는 제1 대체 확산 코드로서 언급된다. 어쨌든, 제1 스위치(43)는 제1 확산 코드중 일부를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하여 제1 대체 확산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대체 장치로서 작용한다.
제1 대체 확산 코드 또는 제1 선택 코드는 제1 멀티플렉서(45)에 공급된다. 또한, 제1 멀티플렉서(45)에는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도 2)로부터의 제1 보정 데이타가 공급된다. 제1 멀티플렉서(45)는 제1 보정 데이타와 제1 대체 확산 코드를 승산함으로써 제1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제1 보정 데이타에 대한 제1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제1 멀티플렉서(45)는 멀티플렉서(19)에 공급되는 제1 확산 데이타를 생성한다.
제1 확산 코드 생성기(41)와 같은 확산 코드 생성기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확산 코드 생성기는 의사 잡음 코드를 확산 코드로서 반복적으로 생성한다. 확산 코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확산 코드는 각각의 채널에 대해 시간 천이(time shift)된 출력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의사 잡음 코드는 (215- 1) 비트의 기간을 갖는 최대 길이 시퀀스 코드이다. 최대 길이 시퀀스 코드는 15개의 D형 플립플롭과 여러개의 배타적 OR 회로로 구성된 최대 길이 시퀀스 생성기 (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확산 코드중 일부를 대체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확산 코드에 관련된 동일한 타이밍에서 생성된다. 또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당연한 목적으로서 채널마다의 분할 다중 통신 능력을 저하시키기 않기 위해 확산 코드에 비해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24- 1) 비트의 기간을 갖는 최대 길이 시퀀스 코드이다.
도 5a 및 5b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 및 확산 코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비트의 코드 길이를 가지며 확산 코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767 비트의 코드 길이를 갖는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확산 코드의 약 1/2,200이지만,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되는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제1 스위치(43)에 의해 생성된 제1 대체 확산 코드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에 의해 생성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제1 확산 코드 생성기(41)에 의해 생성된 제1 확산 코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6b에서, 도형 내의 숫자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전력 제어 보정 코드와 확산 코드의 비트 위치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채널들에 대한 확산 코드들은 상이한 타이밍으로 반복된다. 즉, 확산 코드는 채널마다 직교성을 갖는다.
도 6b에 도시된 확산 코드중 일부가 도 4에 도시된 제1 스위치(43)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되었으며, 이 대체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되는 타이밍은 채널마다 중첩되지 않으면서 배열된다. 이는 다중화 후에 어느 채널에 대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확산 코드중 일부를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하는 것은 타이밍 제어기(33) (도 2)에 의해 생성된 제1 타이밍 신호와 동기하여 제1 스위치(43)를 스위칭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기(33)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타이밍 제어기(33)는 클럭 발진기(47)와 선택기(49)를 포함한다. 클럭 발진기(47)는 소정의 클럭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G)를 발진한다. 클럭 신호(G)는 복수의 클럭 펄스를 포함한다. 클럭 신호(G)는 선택기(49)에 공급된다. 선택기(49)는 클럭 신호 내의 클럭 펄스들중 몇몇의 펄스들을 선택하여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에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타이밍 신호(H 및 J)를 생성한다. 또한, 클럭 신호(G)는 역확산부(31)에 공급된다.
도 8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기(33)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는 클럭 신호(G)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는 제1 타이밍 신호(H)의 다른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c)는 제2 타이밍 신호(J)의 다른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 내지 (c)에서, 비트수는 비트수에 대응하는 시간 폭을 표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클럭 신호(G)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비트에 대응하는 펄스 폭과 0 비트에 대응하는 펄스 기간을 갖고 있다. 제1 타이밍 신호(H)는 클럭 신호 내의 클럭 펄스들로부터 선택된 일부이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비트에 대응하는 펄스 폭과 32,760 비트에 대응하는 기간을 갖는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이밍 신호(J)는 클럭 신호 내의 클럭 펄스들로부터 선택된 다른 일부이며 제1 타이밍 신호(H)와는 다르고 15 비트에 대응하는 펄스 폭과 32,760 비트에 대응하는 기간을 갖는다.
제1 및 제2 확산부(16 및 17)는 타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얻도록 멀티플렉서(19)에 의해 다중화되는 제1 및 제2 확산 신호를 생성한다.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에 공급된다.
이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아날로그 량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 신호는 무선부(23)에 공급된다. 무선부(23)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힌다.
도 9를 참조하여, 무선부(23)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무선부(23)는 변조기(231), 주파수 변환기(232), 및 전력 증폭기(233)를 포함한다. 변조기(231)는 중간 주파수를 갖는 캐리어를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변조시켜 피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이 피변조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232)에 공급된다. 주파수 변환기(232)는 중간 주파수를 갖는 피변조 신호를 높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시킨다. 주파수 변환 신호는 전력 증폭기(233)에 공급된다. 전력 증폭기(233)는 주파수 변환신호를 전력 증폭 신호로 전력 증폭시킨다. 무선부(23)는 전력 증폭 신호를 분배기(25) (도 2)에 공급되는 송신 신호로서 생성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분배기(25)는 송신 신호를 제1 및 제2 분배 송신 신호로서 안테나(27) 및 주파수 변환기(29)에 각각 분배한다. 제2 분배 송신 신호는 추출 신호로 불린다. 즉, 분배기(25)는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기 위한 추출 장치의 역할을 한다. 추출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29)에 공급된다.
주파수 변환기(29)는 추출 신호 또는 제2 분배 송신 신호를 주파수 변환 신호가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시킨다. 주파수 변환 신호는 역확산부(31)에 공급된다. 역확산부(3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변환 신호를 전력 제어 보정 코드와 승산함으로써 역확산 동작을 수행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역확산부(31)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역확산부(31)는 멀티플렉서(51)와 선택기(53)를 포함한다. 승산기(51)는 주파수 변환기(29)에 의해 생성도니 주파수 변환 신호를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에 의해 생성된 도 8의 (a)에 도시된 전력 제어 보정 코드와 승산함으로써 역확산 동작을 수행한다. 승산기(51)는 선택기(53)에 공급되는 역확산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기(53)는 타이밍 제어기(33) (도 7)에 의해 생성된 클럭 신호와 동기하여 역확산 신호를 위한 목적지(destinations)를 선택한다.
역확산부(31)에서, 선택기(53)는 확산 코드중 일부가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되는 타이밍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스위칭된다. 그 결과, 역확산부(31)는 제1 채널에 대한 제1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검출 신호를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역확산부(31)는 제2 채널에 대한 제2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2 검출 신호를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2)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력 제어량 보정기(11)는 제1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전력 제어 진폭 데이타 내의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하고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2)는 제2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전력 제어 진폭 데이타 내의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한다.
어쨌든, 주파수 변환기(29)와, 역확산부(31)와, 타이밍 제어기(33)와,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와,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의 조합은 추출 신호를 사용하여 디지탈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의 역할을 한다. 즉, 주파수 변환기(29)와, 역확산부(31)와, 타이밍 제어기(33)와,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와, 제1 및 제2 전력 제어량 보정기(11 및 12)의 조합은 추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송신 진폭 데이타를 조장하기 위한 조정 장치로서 동작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이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제1 내지 제N 채널 또는 N개의 채널 (여기서, N은 3이상인 양의 정수임)을 다중화하기 위한 N 채널 다중화 송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닛이다. 도 11에서, 기준 부호들(P, Q, R, S, T, 및 U)은 각각 기준 부호들(P', Q', R', S', T', 및 U')에 접속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111, 112, ..., 및 11N),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 제1 내지 제N 확산부(161, 162, ..., 및 16N), 멀티플렉서(19A),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 무선부(23), 분배기 또는 브랜칭 필터(25), 안테나(27), 주파수 변환기(29), 역확산부(31A), 및 타이밍 제어기(33A)를 포함한다.
n번째 전력 제어량 보정기(11n)는 n번째 채널에 대한 n번째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11na)와 역확산부(31A)로부터 n번째 채널에 대한 n번째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n번째 검출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11nb)를 갖는데, 여기서 n은 1 내지 N 각각을 나타낸다. n번째 전력 제어량 보정기(11n)는 n번째 검출값을 기초로 하여 n번째 전력 제어 진폭 데이타에 대한 n번째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수행하여 데이타 출력 단자(11nc)로부터 n번째 보정 데이타를 생성한다.
어쨌든, n번째 전력 제어량 보정기(11n)는 n번째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n번째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조장하기 위한 조정 장치로서 작용한다.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3)는 제1 내지 제N 확산부(161 내지 16N)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N 보정 데이타에서 송신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생성한다. n번째 확산부(16n)는 n번재 전력 제어량 보정기(11n)로부터의 n번째 보정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16na),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6)로부터의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공급되는 코드 입력 단자(16nb), 및 타이밍 제어기(31A)로부터의 n번째 타이밍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16nc)를 갖는다. n번째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n번째 확산부(16n)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n번째 보정 데이타에 대한 n번째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n번째 확산 처리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n번째 확산부(16n)는 데이타 출력 단자(16nd)로부터 n번째 확산 데이타를 생성한다.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는 멀티플렉서(19A)에 공급된다.
멀티플렉서(19A)는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가 공급되는 제1 내지 제N 데이타 입력 단자(19A-1, 19A-2, ..., 및 19A-N)를 갖는다. 멀티플렉서(19A)는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합산함으로써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에 대한 다중화 처리를 수행한다. 멀티플렉서(19A)는 데이타 출력 단자(19Ac)로부터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생성한다.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에 공급된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멀티플렉서(19A)로부터의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가 공급되는 데이타 입력 단자(21a)를 갖는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값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신호 출력 단자(21b)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무선부(23)에 공급된다. 무선부(23)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한다. 무선부(23)는 그 신호 출력 단자(23b)로부터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신호는 분배기(25)에 공급된다. 분배기(25)는 무선부(23)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25a)를 갖는다. 분배기(25)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27) 및 주파수 변환기(29)에 분배한다. 즉, 분배기(25)는 그 제1 및 제2 신호 출력 단자(25b 및 25c)로부터의 제1 및 제2 분배 송신 신호를 안테나(27)와 주파수 변관기(29)에 각각 공급한다.
주파수 변환기(29)는 분배기(25)로부터의 제2 분배 송신 신호 또는 추출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29a)를 갖는다. 주파수 변환기(29)는 제2 분배 송신 신호 또는 추출 신호를 주파수 변환 신호가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시킨다. 주파수 변환 신호는 역확산부(31A)에 공급된다.
역확산부(31A)는 주파수 변환기(27)로부터의 주파수 변환 신호가 공급되는 신호 입력 단자(31Aa),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14)로부터의 전력 제어 보정 코드가 공급되는 코드 입력 단자(31Ab), 및 타이밍 제어기(31A)로부터의 클럭 신호가 공급되는 제어 입력 단자(31Ac)를 갖는다. 클럭 신호와 동기하여, 역확산부(31A)는 주파수 변환 신호 내의 제1 내지 제N 순간 송신 전력을 검출하도록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주파수 변환 신호에 대한 역확산 동작을 수행한다. 역확산부 (31A)는 그 제1 내지 제N 신호 출력 단자(31A-1, 31A-2, ..., 및 31A-N)로부터 제1 내지 제N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는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111 내지 11N)에 각각 전송된다.
타이밍 제어기(33A)는 제1 내지 제N 확산부(161 내지 16N)를 동기시켜 제1 내지 제N 타이밍 신호를 제1 내지 제N 확산부(161 내지 16N)에 각각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기(33A)는 클럭 신호를 역확산부(31A)에 공급한다.
도 11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의 동작이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과 유사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2개의 채널을 다중화하기 위한 무선기지국 장치에 응용 가능하지만, 도 11에 도시된 송신 진력 제어 유닛은 N 채널을 다중화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장치에 응용 가능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채널수를 N개로 확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비해, 이러한 확장은 N개의 전력 제어량 보정기, N개의 확산부,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와 N개의 확산부 사이의 N개의 접속 라인, N개의 확산부와 N개의 전력 제어량 보정기 사이의 N개의 접속 라인, 및 타이밍 제어기와 N개의 확산부 사이의 N개의 접속 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된다.
각각의 채널에 대한 확산 코드 쌍을 대체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짧은 코드 길이를 가지며 제2 실시예의 시간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므로, 도 11에 도시된 송신 전력 제어 유닛은 N개의 채널의 경우에도 각각의 채널에 대한 순간 송신 전력을 얻기 위한 복수의 역확산부를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하다는 면에서 유리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그 양호한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변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마다 송신 전력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회로 및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0)

  1. 디지탈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해 상기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전력 증폭기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전력 증폭 신호로 전력 증폭시키는 단계;
    상기 전력 증폭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extracted signal)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송신 진폭 데이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진폭 데이타를 확산 데이타로 확산시키는 단계;
    상기 확산 데이타를 송신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송신 진폭 데이타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송신 진폭 데이타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진폭 데이타를 확산 데이타로 확산시키는 단계;
    상기 확산 데이타를 송신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송신 신호중 일부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송신 진폭 데이타에서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상기 추출 신호를 역확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해진 송신 전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송신 진폭 데이타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단계는 확산 코드중 일부가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된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역확산 단계는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직교성(orthogonality)을 가지며 상기 확산 코드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6. 제1 내지 제N (N은 2이상의 양의 정수) 송신 진폭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채널의 상기 제1 내지 제N 송신 진폭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송신 진폭 데이타를 각각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로 확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로 다중화시키는 단계;
    상기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송신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한 쌍의 송신 신호를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는 단계;
    제1 내지 제N 채널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추출 신호를 역확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송신 진폭 데이타를 각각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단계는 제1 내지 제N로 할당된 제1 내지 제N 확산 코드의 각각의 부분들이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된 제1 내지 제N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역확산 단계는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직교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 코드 각각의 코드 길이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에 대한 대체 타이밍은 채널마다 다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0. 제1 내지 제N (N은 2이상의 양의 정수)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채널의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용 송신 전력 제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각각 공급되며,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 내지 제N 보정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에 대한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의 보정을 각각 수행하는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
    송신 전력의 검출을 위해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에 공통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채널로 할당된 제1 내지 제N 확산 코드의 각각의 부분들이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된 제1 내지 제N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보정 데이타에 대한 제1 내지 제N 확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여,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1 내지 제N 확산부;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생성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접속되며, 상기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를 상기 다중화된 진폭 데이타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값을 갖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에 접속되며, 송신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변환, 및 전력 증폭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부;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며,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일부분을 추출 신호로서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extracting means);
    상기 추출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추출 신호를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
    상기 주파수 변환기,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채널에 대한 제1 내지 제N 순간 송신 전력을 검출하도록 주파수 변환 신호에 대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상기 제1 내지 제N 순간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상기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각각 공급하는 역확산부; 및
    상기 역확산부와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부에 접속되며, 상기 역확산부와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부를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역확산부에 상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부에 제1 내지 제N 타이밍 신호를 각각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기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직교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 코드의 코드 길이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n번째 전력 제어량 보정기 - 상기 n은 1 내지 N 각각을 나타냄 - 는,
    n번째 검출 신호가 공급되며, 상기 n번째 검출 신호를 n번째 검출 데이타로 변환시키기 위한 n번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상기 n번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 접속되고 상기 n번째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가 공급되며, 상기 n번째 검출 데이타와 상기 n번째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n번째 저장 검출 데이타와 n번째 저장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로 연속적으로 버퍼링하기 위한 n번째 버퍼; 및
    상기 n번째 버퍼에 접속되며, n번째 처리 데이타를 상기 n번째 보정 데이타로서 생성하도록 상기 n번째 저장 검출 데이타와 상기 n번째 저장 전력 제어 송신 진폭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n번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3. 제10항에 있어서, n번째 확산부 - 상기 n은 1 내지 N 각각을 나타냄 - 은,
    n번째 채널에 대한 n번째 확산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n번째 확산 코드 생성기;
    상기 n번째 확산 코드 생성기,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 및 상기 타이밍 제어기에 접속되며, n번째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n번째 확산 코드와 전력 제어 보정 코드중 하나를 n번째 선택 코드로서 선택하여, 상기 n번째 선택 코드를 n번째 대체 확산 코드로서 생성하기 위한 n번째 스위치; 및
    상기 n번째 스위치와 n번째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접속되며, n번째 대체 확산 코드에 의해 n번째 전력 보정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n번째 다중화 데이타를 n번째 확산 데이타로서 생성하기 위한 n번째 멀티플렉서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직교성을 가지며 n번째 확산 코드의 코드 길이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갖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에 접속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중간 주파수를 갖는 캐리어를 변조시켜 피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변조기;
    상기 변조기에 접속되며, 상기 중간 주파수를 갖는 상기 피변조 신호를 고 주파수를 갖는 제2 주파수 변환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주파수 변환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변환기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주파수 변환 신호를 전력 증폭 신호로 전력 증폭하여, 상기 전력 증폭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로서 생성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확산부는,
    상기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 생성기에 접속되며,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에 의해 상기 주파수 변환 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와 상기 타이밍 제어기에 접속되며,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 제어량 보정기에 상기 제1 내지 제N 검출 신호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선택기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기는,
    복수의 클럭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클럭 신호를 발진하여, 상기 역확산부에 상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럭 발진기; 및
    상기 클럭 발진기에 접속되며, 상기 클럭 신호 내의 클럭 펄스들중 수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확산부에 상기 제1 내지 제N 타이밍 신호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선택기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장치인 송신 전력 제어 유닛.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이동국 장치인 송신 전력 제어 유닛.
  20.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로 할당된 확산 코드중 일부를 직교성을 갖는 전력 제어 보정 코드로 대체하여 대체 확산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는 상기 확산 코드의 코드 길이보다 극히 짧은 코드 길이를 가짐 - ;
    상기 대체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송신 데이타의 스펙트럼을 확산시켜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제어 보정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역확산시켜 채널마다의 상기 송신 데이타의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송신 전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채널마다의 송신 데이타를 위한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19990022822A 1998-06-18 1999-06-18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KR100350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093298A JP2000013247A (ja) 1998-06-18 1998-06-18 送信電力制御回路
JP1998-170932 1998-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65A true KR20000006265A (ko) 2000-01-25
KR100350599B1 KR100350599B1 (ko) 2002-08-28

Family

ID=1591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822A KR100350599B1 (ko) 1998-06-18 1999-06-18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8929B1 (ko)
EP (1) EP0966114A3 (ko)
JP (1) JP2000013247A (ko)
KR (1) KR100350599B1 (ko)
BR (1) BR9916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150B1 (ko) * 2004-12-07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213B1 (en) * 1999-06-14 2003-03-25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ulse radio power control
US6434135B1 (en) 1999-08-31 2002-08-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KR100557313B1 (ko) * 2000-06-12 2006-03-06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6662018B1 (en) * 2000-06-28 2003-12-0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Analog power control system for a multi-carrier transmitter
US6535720B1 (en) * 2000-06-28 2003-03-18 Trw Inc. Digital power control system for a multi-carrier transmitter
JP2002217751A (ja) * 2001-01-22 2002-08-02 Fujitsu Ltd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US7023900B2 (en) * 2001-03-02 2006-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in CDMA transmitters
JP3843037B2 (ja) * 2002-04-17 2006-1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方法
US7983239B1 (en) 2003-01-07 2011-07-19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virtual model of a multi-hop, multi-access network
US7881229B2 (en) 2003-08-08 2011-02-01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 adjacency graph for exchanging network routing data
US7606927B2 (en) 2003-08-27 2009-10-20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forwarding data unit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668083B1 (en) 2003-10-28 2010-02-23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forwarding data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369512B1 (en) * 2003-11-06 2008-05-06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packet distribution in an ad hoc network
US7724813B2 (en) 2005-05-20 2010-05-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ontrol
US7853282B2 (en) * 2006-09-14 2010-12-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26863B2 (en) * 2006-09-14 2010-11-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60007B2 (en) * 2007-11-20 2012-04-17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uplink scheduling
US8411646B2 (en) * 2007-11-20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uplink scheduling
US8547857B2 (en) * 2007-11-20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uplink scheduling
US8160602B2 (en) * 2007-11-20 2012-04-17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uplink scheduling
US8139504B2 (en) 2009-04-07 2012-03-20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unifying differently-routed networks using virtual topology representations
KR20110129823A (ko) * 2010-05-26 2011-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2965A1 (fr) * 1989-10-06 1991-04-12 Philips Electronique Lab Dispositif de predistorsion pour systeme de transmission numerique.
GB9320078D0 (en) * 1993-09-29 1993-11-17 Linear Modulation Tech Cartesian amplifier power control and related applications
JPH07235913A (ja) 1994-02-23 1995-09-05 Sony Corp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及び信号強度検出装置
US5544156A (en) * 1994-04-29 1996-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irect sequence CDMA coherent uplink detector
JP3305877B2 (ja) 1994-06-23 2002-07-24 株式会社東芝 スペクトラム拡散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無線通信装置
US5737327A (en) 1996-03-29 1998-04-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on and power control bit detec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CN1111986C (zh) * 1996-04-12 2003-06-18 Ntt移动通信网株式会社 测量接收的信噪比的方法、设备及传输功率控制系统
JP3312194B2 (ja) 1996-04-18 2002-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JP2752963B2 (ja) * 1996-07-26 1998-05-1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Cdma方式多重伝送装置
US6243369B1 (en) * 1998-05-06 2001-06-05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 SCDMA upstream or any other type upstream to an MCNS downstream or any other type downstream with a different clock rate than the upstream
US6370109B1 (en) * 1999-03-10 2002-04-09 Qualcomm Incorporated CDMA signal power control using quadrature signal calculations
US6404760B1 (en) * 1999-07-19 2002-06-11 Qualcomm Incorporated CDMA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cancellation using signal esti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150B1 (ko) * 2004-12-07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6114A2 (en) 1999-12-22
KR100350599B1 (ko) 2002-08-28
BR9916770A (pt) 2001-12-04
JP2000013247A (ja) 2000-01-14
US6628929B1 (en) 2003-09-30
EP0966114A3 (en)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599B1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US5745521A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 intensity detection apparatus
US6507603B1 (en) CDMA receiver
KR100292926B1 (ko) 신호대간섭전력비측정장치
KR100567172B1 (ko) 통신시스템에서 비선형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934185B2 (ja) Cdmaセルラ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6507574B1 (en)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US6831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rrowing the range of frequency uncertainty of a doppler shifted signal
KR10045956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부하를 단말기에 보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33637B1 (ko) Dss cdma 통신에 이용하는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293894B1 (ko) Cdma무선전송시스템
EP1643790A2 (e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path search method
KR19990044216A (ko) 감산적인 다중 액세스 간섭 소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71310A (ko) 이동 단말, 기지국 및 이들의 동기 제어 방법
KR20000023829A (ko) 가변 레이트 송신 방법, 수신 방법, 가변 레이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20000001957A (ko) 역방향 링크의 최적 월쉬 코드 할당 방법
JP3519338B2 (ja) 受信装置及び利得制御方法
KR2000000225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6047015A (en) Mobile radio apparatus
EP1677553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gain control method
JP3843562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H08168075A (ja) 移動無線装置
EP1146668B1 (en)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EP1569350A1 (en) Power limit device and digital radio transmitter using the same
EP1182814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gain compens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