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13B1 -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13B1
KR100557313B1 KR1020027016843A KR20027016843A KR100557313B1 KR 100557313 B1 KR100557313 B1 KR 100557313B1 KR 1020027016843 A KR1020027016843 A KR 1020027016843A KR 20027016843 A KR20027016843 A KR 20027016843A KR 100557313 B1 KR100557313 B1 KR 10055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preading code
spread code
length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945A (ko
Inventor
코이즈미사토시
나카다즈이치
니시노에이지
이치카와히데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ublication of KR2003000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표시 영역(W4, W8, W16, W32, W64, W128)은 월시 장에 따라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전력을 나타내는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상이한 월시 장의 측정 대상 채널의 전력을 합성하여 그 결과를 표시할 지라도 어떤 표시영역이 어떤 월시 장에 대응하고 있는 가를 알 수 있다. 게다가, 각 표시 영역은 페일리 순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는다.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Description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MULTIPLEXED SIGNAL QUALITY DISPLAY, METHOD, AND RECORDED MEDIUM WHERE A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은 CDMA 신호 등의 다중화 신호의 파형 품질 표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일본 특허 공개 1998-1736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CDMA 신호 파형 품질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도 19는 이 공보에 개시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다수 채널의 전력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9에서 종축을 따라 전력(W)이 정해지는 한편, 횡축을 따라 채널(CH)이 정해진다. 도 19의 예에서는 월시 부호장(Walsh code length)가 "64"로 설정되어 64 채널 회선의 접속을 허용하고, 채널 0, 1, 3, 5, 7, 9, 11, 13 …61 및 63이 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월시 부호장을 "64"로 고정하여 CDMA 신호의 파형 품질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상이한 월시 부호장의 파형 품질을 체크할 수 없다. 현재 휴대 전화에 이용되고 있는 CDMA 신호는 월시 부호장이 4, 8, 16, 32, 64 및 128의 6개의 길이로 스위칭되도록 하는 규격이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단지 특정 월시 부호장의 파형 품질을 볼 수 있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월시 부호장의 파형 품질을 표시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개시된 본 발명은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이 결정하여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유닛;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유닛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유닛;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유닛과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유닛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유닛; 상기 확산 부호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유닛; 상기 복조 유닛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기; 상기 전력 계수 연산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유닛;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유닛; 상기 그래프화 유닛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은 어떤 특정의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유닛; 및 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전력 값에 따른 길이를 갖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개시된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따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그래프는 각기 폭 및 길이를 변 길이로 하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개시된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따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그래프는 길이를 높이로 하고 폭을 밑변 길이로 하는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은 어떤 특정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유닛, 및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전력 값에 대응하는 높이로 각기 배치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개시된 본 발명은 청구항 5에 따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그래프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개시된 본 발명은 청구항 6에 따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그래프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개시된 본 발명은 청구항 5에 따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그래프는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12에 개시한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8중 어느 한항에 따른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그래프는 각 확산 부호장에 대해서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청구항 15에 개시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은 어떤 특정의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단계; 및 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전력 값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에 개시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은 어떤 특정 측정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단계; 및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25에 개시한 발명은 어떤 특정의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처리; 및 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전력 값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청구항 26에 개시한 본 발명은 어떤 특정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처리; 및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30에 개시한 발명은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이 결정되어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으로서: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단계;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단계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단계;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단계와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단계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단계; 상기 확산 부호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단계; 상기 복조 단계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단계; 상기 전력 계수 연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기억단계;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단계; 상기 설정 단계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단계; 상기 그래프화 단계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 단계; 및 상기 화상 기억 단계에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1에 개시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이 결정되어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는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기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처리;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와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처리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처리; 상기 확산 부호 생성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처리; 상기 복조 처리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 처리; 상기 전력 계수 연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기억처리; 상기 기억 처리에서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처리; 상기 설정 처리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처리; 상기 그래프화 처리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 처리; 및 상기 화상 기억 처리에서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2에 개시한 발명은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이 결정되어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는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기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처리;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와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처리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처리; 상기 확산 부호 생성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처리; 상기 복조 처리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 처리; 상기 전력 계수 연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기억처리; 상기 기억 처리에서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처리; 상기 설정 처리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처리; 상기 그래프화 처리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 처리; 및 상기 화상 기억 처리에서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신호의 전력을 표시하는 스트립형의 표시영역에는 월시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X축 방향의 폭이 주어진다. 따라서, 월시 부호장이 다른 채널내의 신호 전력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한 경우에는 각 채널의 표시 영역이 관련된 월시 부호장에 대응한 폭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 폭을 본건 만으로 어떤 월시 부호장의 신호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채널의 표시영역에 대해 상이한 표시 색이 사용되기 때문에,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표시부(B1 및 B2)가 존재하여도 색에 있어서 구별되기 때문에 구별이 보다 쉽게 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번호가 페일리 순서로 변경되고, 이 페일리 순서에 따라서 채널들의 표시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채널 표시의 겹치는 상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 방법에 의하면 다중화된 다 채널 신호의 속성이 구별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측정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다중화 신호 파형 품질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연산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월시 부호장과 월시 부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월시 부호장 L = 8에 있어서의 통상 순서(도 4a), 페일리 순서(도 4b)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월시 부호장 L = 4에 있어서의 통상 순서(도 5a), 페일리 순서(도 5b)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가상적인 비교예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가상적인 비교예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확산 부호장 설정 갱신 수단(34A)과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수단(34B)의 동작과, 각 부의 연산 처리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9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표시 영역이 더이상 서로 겹치기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확산 부호장 LO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 번호를 페일리 순서로 재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은 종래기술에 의한 각 채널에 있어서의 전력 표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다중화 신호 파형 품질 측정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입력단자(11)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주파수 확산된 다 채널 CDMA 신호가 입력되고, 다운 컨버터(12)에 의해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화된다. 이 중간 주파수 신호는 증폭기(13)에 의해 증폭되고, 필터(14)에 의해 대역 제한된 후 A/D 변환기(15)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기(15)로부터의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상보형 필터(complementary filter)를 포함하는 직교 변화기(17)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화되며, 베이스 밴드 측정신호 Z(k)가 얻어진다.
이 베이스 밴드 측정신호 Z(k)는 복조기(25)에 있어서 확산 부호 생성기(20)로부터의 확산 부호(월시 부호)에 의해 역확산되어 각 채널 마다 비트 데이터가 복조되고, 동시에 각 채널의 진폭 a'i(i는 채널 번호)가 검출된다.
이상 신호 생성기(ideal signal generator)(26)에 있어서 복조기(25)로부터의 비트 데이터와 확산 부호 생성기(20)로부터의 확산 부호 PN(월시 부호)에 의거하여 이상신호 Ri(i는 채널 번호)가 생성되며, 더욱이 이 이상신호 Ri에 의해, 다 음식이 연산되어 보정 데이터 Ai(k), Bi(k), Ci(k), Ii(k) 및 Hi(k)가 생성된다.
Figure 112002040980670-pct00001
이상 신호 Ri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복조기(25)로부터의 각 채널 i의 복조 비트 데이터는 확산 부호 생성기(20)로부터의 I측 확산 부호(월시 부호) 및 Q측 확산 부호(월시 부호)에 의해 역확산된후, 이 역확산된 I측 칩열, Q측 칩열 각각에 있어서의 칩 "0"을 +
Figure 112002040980670-pct00002
로, 칩 "1"을 -
Figure 112002040980670-pct00003
로 각각 변환하여 진폭이 1인 QPSK 신호의 I 및 Q 신호를 얻는다. 즉, 정규화된 진폭을 갖는 이상 신호 Ri(k-m)와 복조기(25)로부터의 진폭 a'i를 이용하여 보조 데이터 Ai(k), Bi(k), Ci(k), Ii(k) 및 Hi(k)가 연산된다.
이들 보조 데이터 Ai(k), Bi(k), Ci(k), Ii(k), Hi(k)와 측정 신호 Z(k)가 파라미터 추정기(27)에 입력되고, 도 2에 도시된 연립 방정식을 풀어 그 해로서 추정값 △ai, △τi, △θi 및 △ω가 얻어진다. 이들 추정값을 이용하여 변환기(28)에서 지금 까지 사용된 보정 파라미터 a'i, τ'i, θ'i 및 ω'가 다음과 같이 갱신된다.
ω'←ω'+△ω
a'i←a'i+△ai
τ'i←τ'i+△τi
θ'i←θ'i+△θi …(6)
이후, 이 갱신된 보정 파라미터 a'i, τ'i, θ'i 및 ω'를 이용하여 측정 신호 Z(k)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지고, 이 보정된 측정 신호 Z(k)가 다시 복조기(25), 이상 신호/보조 데이터 생성기(26), 파라미터 추정기(27), 변환기(28)에 의해 처리된다. 이 처리들은 추정값 △ai, △τi, △θi 및 △ω이 최적화될 때까지 즉, 0 및 0에 근접하거나, 또는 반복하여도 전혀 값이 변화하지 않게 될 때까지 수행된다. 이 최적화 단계에 의해 측정신호 Z(k)뿐 아니라 이상 신호 Ri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보형 필터를 포함하는 직교 변환기(17), 복조기(25), 이상 신호 생성부(26), 파라미터 추정기(27) 및 변환기(28, 29)에 의해 최적화 수단(22)이 구성되게 된다.
측정 신호 Z(k) 에 대한 보정은 전회의 Z(k)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진다.
Z(k)←Z(t-τ'0)(1/a'0)
exp[-j(ω'(t-τ'0)+θ'0)] …(7)
초기 값으로서 a'0 = 1, τ'0 = 0, θ'0 = 0 및 ω' = 0으로 설정되고, 파라미터 추정기(27)에서 추정 값이 얻어질 때 마다 새로운 a'i, τ'i, θ'i, ω'에 대해 식(7)이 연산된다. 즉, 이 보정 연산은 직교 변환기/상보형 필터(17)에 입력된 신호, 즉 A/D 변환기(15)의 출력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베이스 밴드로 변환된 후에 측정 신호 Z(k)에 대해서 보정 연산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 베이스 밴드로 변환된 신호는 상보형 필터(입력 신호의 대역폭과 동일한 통과 대역폭)를 통과한 후의 신호이다. 주파수 오차가 크면 이 필터 처리에 의해 신호의 일부가 제거되며, 즉 파라미터 추정 등에 이용되는 측정신호가 제거된다. 따라서 주파수 추정의 결과는 상보형 필터의 전단에서 보정된다. 그러나, 직교 변환기/상보형 필터(17)에서 상보형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충분하게 대역이 넓은 저역 통과 필터가 이용되면 베이스 밴드로 변환된 후에 측정 신호에 대하여 보정을 하여도 좋다.
보정 파라미터 a'i, τ'i, θ'i는 변환기(29)에서 다음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a"i = a'i/a'0
τ"i = τ'i -τ'0
θ"i = θ'i - θ'0 단 i ≠0 …(8)
측정 신호 Z(k)에 대해서는 0번째 채널의 파라미터가 식(7)에 의해 보정되므로 0번째 이상 신호 R0를 정규화하는 파라미터는 다음 값으로 정규화된다.
a"0 = 1
τ"0 = 0
θ"0 = 0
0번째 채널 이외의 채널의 이상 신호 Ri에 대한 파라미터는 0번째의 파라미터에의해 식(8)에서와 같이 보정된다.
즉, 상기 최적화 단계의 제 1 되풀이에 있어서, 측정 신호 Z(k)에 대한 보정은 0번째 채널의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보조 데이터 생성기(26)에서 이용되는 보정 파라미터로서 0번째 채널의 파라미터에 의해 정규화된 식(8), 즉 변환기(29)의 변환 출력이 이용된다. 특히, 식(1) 내지 식(5)의 연산은 식(8)에서 생각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되어 보조 데이터 Ai(k), Bi(k), Ci(k), Ii(k) 및 Hi(k)를 결정한다. 이 보조 데이터를 결정하는 연산에서는 식(7)에 의해 보정된 후에 Z(k)를 복조기(25)에서 복조하여 얻어지는 비트 데이터와 진폭 a'i가 이용된다.
이와 같이, 파라미터 추정기(27)로부터 추정값이 얻어질 때 마다 상기 양 보정이 수행되고, 재차 파라미터 추정은 추정 값이 최적화될 때까지 반복되고, 즉시 구해지는 측정 신호 Z(k)와 확산 부호(월시 부호)를 이용하여 전력 계수 연산기(31)에서 다음과 같이 전력 계수 ρi가 연산되어 결정된다.
Figure 112002040980670-pct00004
식(9)는 CDMA 신호 측정 기준에 의해 규정된 식과 같으며, 주지 기술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과 같다.
변환기(32)에서 다음 연산이 수행된다.
a^= a'
△τ^i = τ'i -τ'0
△θ^i = θ'i - θ'0
△ω^= ω'…(10)
이들 파라미터 a^, △τ^i, △θ^i, △ω^, τ^0, 전력 계수 연산기(31)에서 구한 전력 계수 ρi는 연산 결과 표시장치(33)에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제안한 발명에 의하면 추정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신호 Z(k) 및 이상 신호 Ri의 보정을 하며, 이 보정한 양 신호를 이용하여 재차 파라미터 추정을 하는 것을 추정한 파라미터가 최적화될 때까지 행하며, 이 최적화에는 모든 파라미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파라미터가 최적화되며, 이 최적화 후에 그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계수 ρi를 결정하기 때문에 전력계수 ρi를 높은 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파라미터는 측정 신호가 최적화 루프에 포함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로 결정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월시 부호장을 "64"로 고정하여 CDMA 신호의 파형 품질을 측정하는 것만을 제안하고 있다. 현재 휴대 전화에 이용되고 있는 CDMA 신호는 월시 부호장이 4, 8, 16, 32, 64, 128의 6가지 장으로 스위칭되는 규격이 고려되고 있다. 여기서, 확산 부호장인 월시 부호장과, 이 월시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비트 수를 가지는 확산 부호인 월시 부호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월시 부호장에 의해 전송 회선의 대역폭이 설정되고, 월시 부호에 의해 채널 번호가 결정된다. 도 3에 월시 부호장과 월시 부호의 관계를 나타낸다. 좌측란에 나타내는 L = 4, L = 8, L = 16 …은 월시 부호장을 나타낸다. 월시 부호장 L = 4에서는 소정의 대역폭 △F이 4분할되고, 0, 1, 2, 3의 4 채널이 이에 할당된다. 이 4 채널의 채널 번호 0~3이 월시 부호의 번호 0, 1, 2, 3으로 부여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월시 부호장이 길수록 사용가능한 채널 수가 배로 증가하며, 사용가능한 대역폭이 1/2 씩 좁아지게 된다. 이 관계로부터, 전송될 많은 데이터 량을 처리하는 전화기에는 짧은 월시 부호장이 할당되며, 적은 데이터 량을 처리하는 전화기에는 긴 월시 부호장이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월시 부호장64 및 128이 생략된다.
도 3의 표에 도시된 번호 0~3, 0~7, 0~15, 0~31은 각각 확산 부호(월시 부호)에 부여한 부호 번호(채널 번호와도 대응)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에 있어서 월시 부호장과 월시 부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월시 부호장과 월시 부호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내부에 포함되는 월시 부호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여 조합시키는 것만으로 한정하여 동시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
그 조건은 선택되는 확산 부호(월시 부호)가 상호 직교하는 관계를 만족해야 한다. 부호가 서로 직교한다는 것은 부호의 동일 비트를 가산했을 때 그 합이 0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 그 구체예가 주어진다. 부호가 2 진수의 경우 부호의 비트 논리 0을 +1로, 논리 1을 -1로 치환하여 부호의 동일 비트 끼리를 곱하여, 부호장의 모든 비트가 가산되어서 그 합이 0으로 될때 이 상태를 "직교한다"고 한다.
예로서, 월시 부호장 L = 8에서 부호 번호 3과 4를 검증한다. 도 4a는 월시 부호장 L = 8에 있어서의 월시 부호를 나타낸다.
부호 번호 3의 월시 부호는
0 1 1 0 0 1 1 0,
부호 번호 4의 월시 부호는
0 0 0 0 1 1 1 1
이다.
각 부호의 논리 0을 + 1, 논리 1을 - 1로 치환한다.
부호 번호 3의 월시 부호는 다음과 같이 된다.
+ 1, - 1, - 1, + 1, + 1, - 1, -1, + 1
부호 번호 4의 월시 부호는 다음과 같이 된다.
+ 1, + 1, + 1, + 1, - 1, - 1, - 1, - 1
동일 비트 끼리를 곱하면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 1, - 1, + 1, - 1, + 1, + 1, -1
모든 비트의 가산 값은 0으로 된다.
따라서, 이 조합은 "직교하는" 관계에 있으며,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월시 부호장 L = 4의 부호 번호 2와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의 관계를 검증한다.
월시 부호장 L = 4의 부호 번호 2의 월시 부호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0 0 1 1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의 월시 부호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0 0 0 0 1 1 1 1
부호 길이 L이 다르므로 월시 부호장 L = 4의 두 부호가 배치되어 부호장을 균일하게 만든다.
월시 부호 0 0 1 1 0 0 1 1은 다음과 같이 된다.
+ 1, + 1, - 1, - 1, + 1, + 1, -1, -1
L = 8의 부호 번호 8의 월시 부호 0 0 0 0 1 1 1 1은 다음과 같이 된다.
+ 1, + 1, + 1, + 1, - 1, - 1, - 1, - 1
서로 동일 비트가 곱해지면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 1, - 1, - 1, - 1, - 1, + 1, + 1
모든 비트의 가산 값이 0으로 되고, 이 경우도 두 부호가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어 선택을 허용한다.
이어서, 월시 부호장 L =4의 부호 번호 0과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의 관계를 검증한다.
L = 4의 부호 번호 0의 월시 부호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0 0 0 0
L =8의 부호 번호 4의 월시 부호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0 0 0 0 1 1 1 1
L = 4의 부호 번호 0의 월시 부호를
0 0 0 0 0 0 0 0
로 기록하면
+ 1, + 1, + 1, + 1, + 1, + 1, + 1, + 1
가 얻어진다.
L = 8의 부호 번호 4가
+ 1, + 1, + 1, + 1, - 1, - 1, - 1, - 1
로 되면 곱셈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 1, + 1, + 1, - 1, - 1, - 1, - 1
가산하면 0으로 됨으로써 이 경우도 양 부호가 선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월시 부호장 L = 4의 부호 번호 1과,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1의 관계를 검증한다.
L = 4의 부호 번호 1의 월시 부호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0 1 0 1
이기 때문에 이에 동일 부호를 첨가하여
0 1 0 1 0 1 0 1
로 한다.
L =8의 부호 번호 1의 월시 부호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0 1 0 1 0 1 0 1
이 부호들을 수치화하면 각기 다음과 같이 된다.
+ 1, + 1, + 1, + 1, + 1, + 1, + 1, + 1 = 8
이결과 이 조합은 "직교하지 않은"관계에 있다.
이 직교관계에 있지 않은 부호들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면 잡음이 발생하고, 자기측 통신 뿐 아니라 다 채널의 통신에 악영향을 준다. 이때문에 기지국에는 판정 기능이 포함되어 직교하지 않은 코드 조합을 선택하지 않게 한다.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이 발신하는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파형 품질 측정시스템에서는 이 측정 항목 중 한개로서 다중화된 채널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이 전력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먼저 제안한 파형 품질 측정 방법에 의하면, 월시 부호장 L이 L = 64로 고정되고, 월시 부호장 L = 64에서 다중화되는 64채널의 신호 전력 계수 ρi가 측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 이용되는 휴대 전화기에서는 월시 부호장4, 8, 16, 32, 64, 128에 대응한 모든 채널의 신호 전력을 측정하고 표시함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모든 월시 부호장의 모든 채널을 복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어떤 채널의 신호가 출력되어도 그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고 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즉, 예를 들어 월시 부호장 L =8의 부호 번호 3과 4가 선택된 경우(이 조합은 정상)에 그 측정결과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면 서로 채널 번호가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 B1과 B2가 접촉한 상태로 표시된다.
이 결과, 한개의 채널 전력 표시인지 2개의 채널 전력 표시인지가 판정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월시 부호장 L = 4의 부호 번호 2와,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를 조합시킨(이 조합도 정상) 신호의 전력을 표시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력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C1, C2는 서로 겹친다. 이 경우에는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의 전력표시는 표시 영역 C2에 포함되며,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에 상당하는 채널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불명확해져 버린다.
즉, 표시 영역 C2 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일 경우와, 월시 부호장 L = 8의 부호 번호 4와 5에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일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측정이 불명확해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결점을 없애고, 정상 조합으로 선택된 바와 같은 월시 부호장및 월시 부호를 이용하여 복조된 신호를 표시 장치 화면상에 구별하여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다중화 신호 파형 품질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다중화 신호품질 표시 시스템은 더욱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부호장 설정 갱신 수단(34A)과,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수단(34B)과, 설정수단(35)을 구비한다.
확산 부호장설정 갱신 수단(34A)과,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수단(34B)에서 각각 생성하는 확산 부호장 L 및 확산 부호 번호 i에 따라서, 확산 부호 생성기(20)에서는 각 확산 부호장 L에 대해서 모든 채널에 확산 부호 PN가 대응하도록 확산 부호 PN을 생성한다. 이 확산 부호 PN에 의해 복조기(25)에서는 각 확산 부호장의 각 채널 신호를 복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조로 얻어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상 신호 생성기(26)에서 이상 신호 Ri를 생성하고, 이 이상 신호 Ri에 따라서 파라미터 추정기(27)에서 각 종류의 파라미터 △ai, △τi, △θi 및 △ω를 생성하고, 이 파라미터를 직교변환기(17)에 귀환시켜서 최적화처리하여 오차가 적은 신호 Z(k)를 얻는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오차가 적은 신호 Z(k)를 전력 계수 연산기(31)에 입력하여 채널의 전력 계수 ρi를 산출한다. 전력 계수 연산기(31)에서 산출한 전력계수 ρi와 변환기(32)로부터 출력되는 파라미터 ^ai·L, △^τi·L, △^θi·L, △^ω 및 △0'는 각 확산 부호장과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메모리(33A)에 기억된다.
설정수단(35)에서는 메모리(33A)에 기억한 모든 채널 중에서 표시될 채널(피 측정 통신 기기에 의해서 발신하는 신호의 채널)을 설정하고, 이 설정한 채널의 전력 계수 ρi 및 파라미터를 판독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연산결과 표시장치(33D)에는 설정수단(35)에 설정한 채널의 전력이 표시된다.
도 8에 확산 부호장설정 갱신 수단(34A)과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수단(34B)의 동작과 각부의 연산 처리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SP1에서 확산 부호장인 월시 부호장를 L=4로 초기 설정한 후 단계 SP2에서 확산 부호 번호인 월시 부호(채널 번호에 상당함)를 i = 0으로 설정한다.
단계 SP3에서 이상 신호 생성기(26)에서 월시 부호장 L=4와 월시 부호 i=0에 의거하여 이상신호 Ri·L을 생성한다.
단계 SP4에서는 이상 신호 Ri·L에 의해 파라미터 추정기(27)에서 파라미터들을 추정하고, 각 파라미터를 직교 변환기(17)로 귀환시켜서 최적화처리한다. 이후, 최적화 처리된 측정신호 Z(k)와, 확산 부호 생성기(20)에서 생성되는 확산 부호에 의거하여 전력 계수 ρi·L을 산출한다.
단계 SP5에서는 단계 SP4에서 산출한 전력 계수 ρi·L와 기타 파라미터 ^ai·L, △^τi·L, △^θi·L, △^ω 및 τ0'를 메모리(33A)에 기억시킨다.
단계 SP6에서는 월시 부호 i 값을 i+1로서 갱신한 후, 단계 SP7에서는 월시 부호장 L의 값과 월시 부호 i의 값을 서로 비교한다. 만약, 불일치하면 단계 SP3로 리턴한다. 즉, 월시 부호장 L=4의 경우는 단계 SP3~SP7를 4회 실행하면 i=4로 되어 단계 SP8로 진행된다.
단계 SP8에서는 월시 부호장의 값 L을 2배하여 L=8로 갱신한다. 단계 SP9에서는 월시 부호장의 값 L이 최대값 128보다 크게 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L의 값이 128보다 크게 되면 단계 SP2로 리턴된다.
단계 SP2에서는 재차 i=0으로 초기 설정하고, 단계 SP3~SP7의 루틴을 실행한다. L=8의 경우는 단계 SP3~SP7의 루틴을 8회 실행한다. 이 8회의 실행에서 월시 부호장 L=8로 규정되는 0~7의 8채널에 대한 전력 계수 ρi·L과 파라미터 ^ai, △^τi, △^θi, △^ω 및 τ0'가 산출되어 메모리(33A)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월시 부호장 L이 4, 8, 16, 32, 64, 128의 순으로 갱신되고, 전력계수 ρi·L과 파라미터 ^ai, △^τi, △^θi, △^ω 및 τ0'가 메모리(33A)에 저장된다.
단계 SP9에서 월시 부호장의 값 L이 최대 128을 초과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P10으로 분기한다.
단계 SP10에서는 설정수단(35)에 설정한 소망의 확산 부호장인 월시 부호장과, 확산 부호 번호(월시 부호 번호)에서 결정되는 어드레스로부터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산출하고, 이 전력 계수 ρi로부터 각 채널의 전력을 결정하여 구한다. 전력 계수 ρi·L로부터 다음과 같이 전력 W이 산출될 수 있다.
W = 10.0×
Figure 112002040980670-pct00005
(ρi·L)
이 전력으로의 변환은, 예컨대 그래프화 수단(33B)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으로 변환된 데이터는 그래프화 수단(33B)에서 그래프화되나, 이 예에서 는 각 채널 마다 스트립형의 표시영역(바 그래프)에서의 전력 레벨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변환된 전력 값에 의해 스트립형 표시영역의 Y축 방향의 길이가 결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확산 부호장 L에 대응하여 스트립형의 표시영역 폭(X축 방향의 폭)을 결정한다.
상기 폭 결정에 있어서 확산 부호장 L에 있어서의 L=4에 속하는 채널의 표시 영역 폭을 가장 넓은 폭 W으로 선정한다. 확산 부호장은 확산 부호장 L의 값에 대응하여 구해져, 확산 부호장 L=8의 경우 L=4에 있어서의 폭 W의 1/2, 더욱이 L=16의 경우에는 이 1/2 폭의 1/2 폭 즉, 1/4(W), 더욱이 L=32의 경우에는 이 1/4폭의 1/2 폭 즉, 1/8(W)와 같이 L의 값이 커질 수록 폭이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각 확산 부호장에 부여된 채널의 대역폭의 관계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문제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하는 W4는 확산 부호장 L=4의 확산 부호 번호 "1"로 부여되는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W8은 확산 부호장 L=8의 확산 부호 번호 2로 부여되는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W16은 확산 부호장 L=16의 확산 부호 번호 6으로 부여되는 표시영역을 나타낸다.
W32는 확산 부호장 L=32의 확산 부호 번호 23으로 부여되는 표시영역을 나타낸다.
W64는 확산 부호장 L=64의 확산 부호 번호 60으로 부여되는 표시영역을 나타낸다.
W128은 확산 부호장 L=128의 확산 부호 번호 0으로 부여되는 표시영역을 나타낸다.
도 9에서 채널 번호 및 전력은 각각 횡좌표 축 및 종좌표 축을 따라 정해진다.
그래프화 수단(33B)은 메모리(33A)로부터 판독되는 전력계수의 판독 어드레스로부터 그 판독한 전력 계수 ρi가 속하는 확산 부호장 L을 알 수 있다. 이 확산 부호장 L의 값에 의거하여 표시 영역 W4, W8, W16, W32, W64 및 W128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래프화 수단(33B)에서는, 더욱이 메모리(33A)로부터 판독된 전력 계수의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표시 영역 W4, W8, W16, W32, W64 및 W128에 색을 부가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표시 영역 W4, W8, W16, W32, W64 및 W128의 윤곽선을 각각 흑, 청, 녹, 청남, 황, 적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색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33C)에 기억시키고, 이와 같이 기억된 화상을 연산 결과 표시장치(33D)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더욱이 그래프화 수단(33B)에 있어서 표시영역 W5~W128의 X축 방향의 표시위치를 도 3에 도시한 확산 부호 번호로 규정되지 않고, 확산 부호 번호의 페일리 순서에 따라서 규정되는 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페일리 순서에 따라서 도 4a에 도시한 확산 부호인 월시 부호장에 대응한 비트 수로 번호를 부여하여 그 번호를 2진수로 표시한 때에 얻어진 비트의 배치를 역으로 한다. 이 역 비트 순서의 번호가 페일리 순서의 번호로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에 도시된 월시 부호의 배치와 관련한 페일리 페일리 순서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a는 월시 부호의 통상 순서를 나타내고, 도 5b는 페일리 순서를 나타낸다.
페일리 순서에 따라 다중화 신호의 각 채널의 X축 상의 위치를 규정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들의 겹침없이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종류의 통신 기기에서는,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사이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확산 부호가 직교하는 관계에 있는 채널을 선택하도록 제한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채널의 선택 제한에 따라서 채널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에 있어서 표시 영역이 서로 겹치는 상태가 발생한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표시 영역 W4~W128의 X축상에 표시 위치를 페일리 순서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표시 영역(C1)과 표시 영역(C2)이 겹치는 상태를 페일리 순서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해소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확산 부호장 L=4의 경우에, 페일리 순서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부호 번호로 0, 2, 1, 3의 순서와 같다. 이 확산 부호 번호 0, 2, 1, 3의 순서는 채널 번호 0, 1, 2, 3에 대응한다.
한편, 확산 부호장 L=8의 경우에 페일리 순서는 도 4b로부터 명백하듯이 0, 4, 2, 6, 1, 5, 3, 7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표시영역 C1은 확산 부호 번호 4에 속하는 신호의 전력을 표시하므로 페일리 순서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L=8 경우의 채널 No. 1의 위치로 표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표시 영역 C2는 L=4 경우의 확산 부호 번호 2에 속하는 신호의 전력을 표시하므로 페일리 순서에 따라 L=4의 경우의 채널 No. 1의 위치로 표시된다.
도 10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표시 영역 C1과 C2는 서로 겹쳐서 표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먼저 설명한 통신 기기(휴대 전화기)의 채널 선택 조건에 따라서 선택된 채널은 페일리 순서로 교환이 이루어질 경우 이들 채널 위치에 있어서 겹칩이 없다.
그 이유를 도 11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확산 부호장 L=O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 번호를 페일리 순서에 따라 재배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먼저 설명한 통신 기기에 있어서의 채널 선택조건은 다음과 같다. "선택된 채널 보다 상부 계층의 채널을 선택하지 않아야 한다". 본 접속에 있어서, L=4의 부호 번호 1과 L=8의 부호 번호 1을 선택한 경우에 그 부호의 관계가 소로 직교하지 않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컨대, L=4의 부호 번호 0으로 지정된 채널을 선택한 경우에는 L=8의 부호 번호 0과, L=16의 부호 번호 0, 8, 4, 12와, L=32의 부호 번호 0, 16, 8, 24, 4, 20, 12, 28로 지정되는 채널이 선택 조건을 만족하지 않다는 것으로 된다.
또한, L=8의 부호 번호 6으로 지정된 채널을 사용하였고 하면 L=16의 부호 번호 6과 14 및 L=32의 부호 번호 6, 22, 14, 30위에 놓여 지정되는 채널이 채널 선택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휴대 전화기의 채널 선택 조건에 따라서 선택되는 채널은 페일리 순서에 따라 그 채널 표시 위치를 특정하면 표시에 있어서 위치 겹침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원리는 휴대전화기에 대한 기지국에 있어서의 사용 채널의 결정방법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된 표시 영역의 형상이 스트립 형일지라도 각 표시 영역(그래프)은 변환된 전력 값에 비례하는 길이와 확산 부호장 L에 대응한 폭을 갖기에 충분하다. 예컨대, 스트립 형(장방형) 표시 영역은 확산 부호장 L에 대응한 저면의 길이로 함과 아울러 변환된 전력값에 비례하는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형 표시 영역(그래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표시 영역(그래프)이 전력 값에 비례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점이 다르다. 제 2 실시예는 표시 화면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 뿐이므로 표시 화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표시 화면이며, 여기서 폭 W는 확산 부호장 L에 대응하며, 변환된 전력값에 비례하는 높이 H에 장방형의 표시 영역(그래프)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표시 영역(그래프)은 각기 소정의 높이 △H를 가진다. 변형예로서 각 표시영역(그래프)의 높이 △H와 폭이 같은 것을 도 14에 도시한다. 다른 변형예로서 장방형의 표시 영역(그래프)을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도 15에 도시한다. 각 표시 영역(그래프)의 색을 각 월시 부호장으로 변경한 것이나, 또는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함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비교해 각 표시 영역(그래프)의 폭이 고정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제 3 실시예는 표시 화면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 뿐이므로 표시 화면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 W4, W8 및 W16은 각각 공통의 월시 부호장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영역 W4, W8 및 W16은 각각 월시 장 4, 8, 16을 가진다. 표시 영역 W4, W8, W16에 있어서의 개별적인 채널의 표시 영역(그래프)은 폭 방향으로 함께 표시된다. 개별적인 채널의 표시 영역(그래프)의 폭 △W은 서로 같다. 개별적인 채널의 표시 영역(그래프)의 높이는 전력에 대응한다. 이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표시 영역 W4, W8 및 W16에서 개별적인 채널의 표시 영역(그래프) 사이의 간격은 없거나 작다. 표시 영역 W4와 W8 사이 또는 표시 영역 W8과 W16 사이의 간격 S는 표시 영역 W4, W8 및 W16에 있어서의 개개의 채널 표시영역(그래프)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시영역(그래프)의 색을 각각의 월시 부호장에 대해서 변경할 수 있거나, 또는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표시 영역을 배치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비해 표시 영역(그래프)을 부채꼴으로 한 점이 다르다. 제 4의 실시예는 표시 화면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 뿐이므로 단자 표시 화면만을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그래프)은 부채꼴이다. 각 부채꼴은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월시 장에 의해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한 각도를 가져 전력의 값에 비례하는 반경을 가진다. 각 표시 영역(그래프)의 색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월시 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비해 표시 영역(그래프)은 아니고 표시점을 이용한 점이 다르다. 제 5 실시예는 표시 화면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 뿐이므로 화면 표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중심점으로부터 전력 값에 비례하는 거리로 표시점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표시점으로부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한 각도 만큼 회전한 위치에 다른 표시점을 표시한다. 이때, 인접하는 표시점을 선으로 연결해도 좋다. 또한 표시점의 색을 월시 장 마다 변경함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CPU, 하드 디스크, 매체(플로피 디스크, CD-ROM등) 판독기를 구비한 컴퓨터에 있어서, 매체 판독 기가 상기 각 구성요소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매체를 판독하게 하여 이 판 독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휴대 전화기와 같이 다중화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를 시험할 경우에 있어서 통신 중의 신호 품질을 어떤 채널 신호 인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표시 영역의 폭을 변경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확산 부호장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편리한 측정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실제 사용에 있어서 매우 현저하다.
삭제

Claims (32)

  1.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을 결정하여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으로서: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수단;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수단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수단;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수단과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수단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수단;
    상기 확산 부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기;
    상기 전력 계수 연산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수단;
    상기 그래프화 수단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2. 어떤 특정의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수단; 및
    각기 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결과 표시 수단은 상기 그래프를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각기 상기 폭 및 길이를 변 길이로 하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길이를 높이로 하고 상기 폭을 밑변 길이로 하는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5. 어떤 특정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수단; 및
    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높이로 각기 배치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결과 표시 수단은 상기 그래프를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상기 각 확산 부호장에 대해서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어떤 특정의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단계; 및
    각기 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결과 표시 단계는 상기 그래프를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
  16. 어떤 특정 측정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각기 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결과 표시 단계는 상기 그래프를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는,
    어떤 특정의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처리; 및
    각기 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정해지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결과 표시 처리는 상기 그래프를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
  26.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는,
    어떤 특정 측정 대상 채널에 있어서의 피측정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처리; 및
    상기 측정 대상 채널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며, 각기 상기 전력 값에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결과 표시 처리는 상기 그래프를 폭방향으로 페일리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이 결정되어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으로서: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단계;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단계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단계;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단계와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단계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단계;
    상기 확산 부호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단계;
    상기 복조 단계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단계;
    상기 전력 계수 연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기억단계;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단계;
    상기 설정 단계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단계;
    상기 그래프화 단계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 단계; 및
    상기 화상 기억 단계에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방법.
  31. 삭제
  32. 확산 부호장에 의해 사용 대역폭과 수용가능한 통신 채널수가 결정되며, 확산 부호의 종류에 부여된 확산 부호 번호에 의해 확산 부호장으로 결정되는 통신 채널 수를 갖는 사용 채널이 결정되어 동일 대역내에 있어서 다 채널의 통신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을 하는 통신 기기로부터의 다중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처리는
    확산 부호장을 초기 설정하고, 상기 초기 설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 까지의 갱신을 하는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에 의해 설정된 확산 부호장이 갱신될 때 마다 각기 확산 부호장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수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번호를 초기 설정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종 값까지 갱신하는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처리;
    상기 부호장설정 갱신 처리와 상기 확산 부호 번호 설정 갱신 처리에 의해 각기 생성되는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확산 부호 생성 처리;
    상기 확산 부호 생성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부호,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각 채널의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처리;
    상기 복조 처리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전력 계수를 연산하는 전력 계수 연산 처리;
    상기 전력 계수 연산에 의해 연산된 각 채널의 전력 계수를 상기 확산 부호장및 확산 부호 번호에 따라서 기억하는 기억처리;
    상기 기억 처리에서 기억된 전력 계수 중에서 소망의 확산 부호 및 확산 부호 번호를 지정하여 전력 계수를 판독하는 설정 처리;
    상기 설정 처리에 의해 판독된 전력 계수를 전력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력 값에 따라서 Y축 방향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확산 부호장에 따라서 X축 방향의 폭을 규정하여 스트립 형의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그래프화 처리;
    상기 그래프화 처리에 의해 그래프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 처리; 및
    상기 화상 기억 처리에서 기억한 화상을 표시하는 연산 결과 표시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027016843A 2000-06-12 2001-06-08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557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75176 2000-06-12
JP2000175176 2000-06-12
PCT/JP2001/004845 WO2001097421A1 (fr) 2000-06-12 2001-06-08 Affichage de la qualite de signaux multiplexes, procede et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du progra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945A KR20030007945A (ko) 2003-01-23
KR100557313B1 true KR100557313B1 (ko) 2006-03-06

Family

ID=1867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43A KR100557313B1 (ko) 2000-06-12 2001-06-08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52713B2 (ko)
EP (1) EP1304823B1 (ko)
KR (1) KR100557313B1 (ko)
CN (1) CN1443404A (ko)
DE (1) DE60121596T2 (ko)
WO (1) WO2001097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13B1 (ko) 2003-11-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분할다중접속 방식과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이 혼합된이동통신 시스템의 도메인 전력 측정방법
US8170543B1 (en) * 2006-04-14 2012-05-01 Agilent Technologies, Inc. Code domain power display
US8200762B2 (en) 2006-06-01 2012-06-12 Aol Inc. Displaying complex messaging threads into a single display
KR100912543B1 (ko) * 2007-06-26 2009-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선택적 기저대역을 이용한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US10095659B2 (en) 2012-08-03 2018-10-09 Fluke Corporation Handhel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arameters
WO2014145153A2 (en) * 2013-03-15 2014-09-18 Neeley John Automatic recording and graphing of measurement data
US9766270B2 (en) 2013-12-30 2017-09-19 Fluke Corporation Wireless test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525A (ja) * 1996-05-17 1997-11-28 Advantest Corp デジタル直交変調信号の変調パラメータ測定装置
JP3746580B2 (ja) * 1996-12-09 2006-02-1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Cdma信号の波形品質測定方法
US6219340B1 (en) * 1998-05-08 2001-04-17 Agilent Technologies Inc. Display of code power in all symbol rates in a single screen for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signals employing layered orthogonal codes
JP2000013247A (ja) * 1998-06-18 2000-01-14 Nec Corp 送信電力制御回路
JP2000134180A (ja) * 1998-10-28 2000-05-12 Advantest Corp Cdmaコードドメイン表示方法
JP2000216754A (ja) * 1998-11-18 2000-08-04 Advantest Corp W―cdma解析装置、w―cdma解析結果表示方法およびw―cdma解析結果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189711A (ja) * 1999-12-29 2001-07-10 Agilent Technologies Japan Ltd コード・ドメイン・パワー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1596T2 (de) 2007-07-05
EP1304823B1 (en) 2006-07-19
US20040004953A1 (en) 2004-01-08
KR20030007945A (ko) 2003-01-23
EP1304823A1 (en) 2003-04-23
WO2001097421A1 (fr) 2001-12-20
US7352713B2 (en) 2008-04-01
EP1304823A4 (en) 2005-04-06
DE60121596D1 (de) 2006-08-31
CN1443404A (zh)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5225T3 (es) Aparato, métodos y productos de programas informáticos para selección de retardo en un receptor de espectro ensanchado
KR100516690B1 (ko) 시디엠에이 신호의 파형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6519227B1 (en) W-CDMA analyzing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results of W-CDMA analysis, and recording medium carrying record of program for displaying results of W-CDMA analysis
KR101392389B1 (ko) 통신 신호의 전력 표시 및 신호 분석 장치
KR100427967B1 (ko) 다중신호의 물리량을 표시하는 물리량 표시장치, 방법 및기록매체
KR100557313B1 (ko) 다중화 신호 품질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MX2010013967A (es) Metodo para probar un receptor de frecuencia de radio (rf) para proporcionar datos de correccion de energia.
US6307850B1 (en) CDMA radio transmission system
CN106411473A (zh) 一种参考信号映射方法及装置
EP1259013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 domain power
US8446833B2 (en) Measurement apparatus, displays and methods for indicating channel status
JP2003060620A (ja) Cdma信号におけるマルチ拡散率直交符号の符号パワー・レベルの表示及び表示方法
JP4091624B2 (ja) 変調信号解析装置
EP1300974B1 (en) Multiplexed signal quality display,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ed medium where the program is recorded
CN100531178C (zh) 接收装置,解调器以及通信方法
JP3934607B2 (ja) 測定データ表示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97165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nalysis of code domain power and code domain error power
Keene et al. Advanced Communication Test System
Grieve RF measurements for UM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