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는;
단면이 항력에 비해 큰 양력을 발생하는 에어포일형상이며, 이 단면의 소경의 반경으로 라운딩되는 일측단부를 리딩 에지라 하고, 타측단부를 트레일링 에지라 하며,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를 연결하는 직선을 코드 라인이라 하고,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간 두께 중심선을 민라인이라 하며, 리딩 에지로부터 그은 수평선에 대한 코드 라인의 경사각을 블레이드 각도라 할 때,
블레이드의 허브측에 접하는 단부의 각도는 약 24°~ 34°이고, 덕트측의 팁단부의 블레이드 각도는 약 18°~ 28°이며, 허브측 단부로부터 덕트측의 팁단부간 블레이드 각도 차인 스팬의 비틀림각은 2°~ 12°인 헬리컬 비틀림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팬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변수들로는 회전 속도, 블레이드의 각도, 블레이드의 수, 블레이드의 형상등이 있으며, 이중 블레이드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정압 상승(static pressure rise)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가장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 블레이드의 형상이다.
블레이드의 설계에 적용되는 형상은 대개 영국계의 C계열(Circular Arc)과 미국계의 NACA계열(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ronautics)이 대부분이며, 이때 공기의 박리(saparation)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의 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최적의 블레이드 형상을 위해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NACA계열의 익형(airfoil shape)을 응용하면서 이러한 익형의 블레이드에 비틀림각을 적용하여 익형의 캠버와 두께등의 요소를 변화시키므로서 최적의 블레이드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NACA계열 중에서도 저속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NACA 4계열을 채택하고, 블레이드의 최적의 두께, 시위 길이등을 적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마이크로 팬을 측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의 허브(10)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2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면서 이때의 블레이드(20)는 단면이 항공기 날개의 설계시 사용하는 NACA4계열의 익형이며, 블레이드면은 소정의 각도로 비틀리게 한 형상이 특징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마이크로 팬에서 블레이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의 단면은 에어포일 형상이며, 이러한 블레이드는 민 라인과 두께 분포(thickness distribution)를 조화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생성된다.
도면에서 블레이드의 단면 중 소정의 반경으로 라운딩시킨 일측 끝단부를 리딩 에지(leading edge)라 하고, 그와 대응되는 타측 끝단부는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라 한다.
이러한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간을 연결하는 직선은 코드 라인(chord line)라 하며,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간 블레이드의 두께 중심선을 민라인이라한다.
이때 민 라인은 다음과 같이 y좌표가 최대값인 위치를 기준으로 두 개의 포물선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포물선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그리고 민 라인에 대해서 블레이드의 두께분포는
한편 이러한 두께분포에 의한 블레이드의 상부면(upper surface, OU)과 하부면(lower surface, OL)은 다음의 식에 의해서 구할 수가 있다.
상부면(OU)은,,
하부면(OL)은,,
이때의이다.
그리고 NACA4계열에서의 블레이드는 일측의 끝단부인 리딩 에지가 소정의 반경으로 라운딩되는 형상인바 이때의 반경은 x/c=0.005지점에서의 기울기로 코드 라인 끝점에서 직선을 그은 반경인 { r}_{ t} =1.1019 { t}^{2 } 인 원이다.
한편 상기의 도면에서,
c : 코드 라인 길이
m : 코드 성분에서 민라인의 최대 종좌표
p : m의 코드 라인으로부터의 위치
{r}_{t} : 두께비 t에 대응하는 리딩 에지 반경
t : 코드 성분에서 단면의 최대 두께
x : 코드 라인의 표면 횡좌표점
{ x}_{L } : 날개부의 하부면 횡좌표점
{ x}_{U} : 날개부의 상부면 횡좌표점
{ x}_{c} : 민 라인의 횡좌표점
{ y}_{L } : 날개부의 하부면 종좌표점
{ y}_{U } : 날개부 상부면 종좌표점
{ y}_{c} : 민 라인의 종좌표점
{ y}_{t} : 대칭부의 표면 종좌표점
상기와 같은 익형의 블레이드는 허브(10)측 단부로부터 덕트측의 팁단부로 소정의 길이로서 연장되며, 이때의 허브측 단부와 덕트측의 팁단부간 스팬(span)은
()
을 만족하는 헬리컬 비틀림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때
: 유동속도(freestream velocity),
R : 스팬방향으로의 위치(spanwise position),
D : 팬 직경(=2 { R}_{tip } , fan diameter)
Q : 유량(volumetric flow rate, ㎥/min)
{ R}_{tip } : 로터 팁 반경(rotor tip radius, ㎜)
이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단면형상을 항공기 날개에서 주로 적용하는 NACA4계열의 익형을 사용하면서 허브측 단부로부터 덕트측 팁단부로 연장되는 스팬을 소정의 각도로서 비틀리게 하여 블레이드의 면적과 최대 두께 및 블레이드의 각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팬의 일부를 확대한 측면도로서, 부호 10은모터의 허브이다.
이때 블레이드(20)의 단면은 전술한 바와같은 NACA4계열의 블레이드형상 즉 에어포일 형상이다.
즉 에어포일 형상인 블레이드(20)의 두께 중심선인 민 라인은 코드 라인에 대해서 가장 높이차가 큰 지점을 기준으로 2개의 포물선 방정식, 즉
에 의해서 형성되며, 이때 민 라인(TM)(HM)과 코드 라인(TC)(HC)은 도면에서와 같이 덕트측 팁단부와 허브측 팁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민 라인을 기준으로 하는 블레이드(20)의 두께분포는 허브측 단부에서 덕트측 단부와 일정하며, 이러한 두께분포는 다음의 관계식에 의해 정의된다.
민 라인과 두께분포에 의해서 블레이드(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다음의 관계식에 의해서 좌표값을 구할 수가 있다.
,
,
또한 블레이드(20)의 일단부인 리딩 에지는 x/c=0.005지점에서의 기울기로코드 라인 끝점에서 직선을 그은 반경인 { r}_{ t} =1.1019 { t}^{2 } 인 원형으로 라운딩되도록 한다.
그리고 코드 라인의 길이에 대한 코드 라인과 민 라인간 최대 높이차의 비율()인 캠버비를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익형의 단면을 갖는 블레이드(20)는 허브측에서 덕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스팬을 갖게 되며, 이러한 스팬은 관계식
()
을 만족하는 헬리컬 비틀림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헬리컬 비틀림을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Fig.7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레이드(20)의 허브(10)측 단부와 덕트측의 팁단부의 형성각도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헬리컬 비틀림은 블레이드 각도인 블레이드의 허브(10)측 단부와 덕트측 팁단부의 셋팅각도 즉 각 단부의 리딩 에지로부터 그은 수평선에 대해 코드 라인의 경사각으로서 결정되는바 이때 허브(10)측 단부에서의 리딩 에지로부터 허브(10)의 수평선에 대해서 코드 라인(HC)의 기울어진 각도인 블레이드 각도는 약 24°~ 34°의 각도를 가지도록 하며, 덕트측으로 구비되는 팁단부의 블레이드 각도는 약 18°~ 28°의 각도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전기한 블레이드 각도를 갖는 블레이드 각 단면에서의 코드 라인의길이에 대한 코드 라인과 민 라인간 최대 높이차의 비율()인 캠버비는 4~16%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의 허브(10)측 단부와 덕트측의 팁단부간 블레이드 각도차는 2°~ 12°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가장 바람직한 형상은 캠버비를 8%로 하고, 블레이드(20)의 각도를 허브(10)측 단부가 28.79°이고, 팁단부는 22.57°이며, 허브(10)측에서 팁단부로의 비틀림각이 6.22°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블레이드(20)의 리딩 에지와 트레일링 에지간 길이인 코드 길이는 허브(10)측 단부보다는 팁단부측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팁단부에서의 흡입 공기의 유동성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가 있다.
도 8에서 RD는 덕트 반경(㎜)이고, Rhub는 로터 허브 반경(㎜)이며, Rtip은 로터 팁 반경(㎜)인바, 블레이드(20)의 팁단부와 덕트와의 간극은 좁을수록 좋으나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약 0.5㎜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팬의 다양한 회전수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나타내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풍량(cmm) |
풍압(mmAq) |
풍량(cmm) |
풍압(mmAq) |
8500rpm |
9500rpm |
10500rpm |
8500rpm |
9500rpm |
10500rpm |
0 |
1.8775 |
2.358 |
2.928 |
0.018 |
0.5057 |
0.7255 |
1.0407 |
0.001 |
1.7757 |
2.248 |
2.8058 |
0.019 |
0.4642 |
0.6799 |
0.9785 |
0.002 |
1.6699 |
2.1218 |
2.6756 |
0.02 |
0.4311 |
0.6426 |
0.9246 |
0.003 |
1.5675 |
1.9875 |
2.529 |
0.021 |
0.3854 |
0.6053 |
0.8707 |
0.004 |
1.4555 |
1.8857 |
2.4068 |
0.022 |
0.3357 |
0.5555 |
0.8209 |
0.005 |
1.356 |
1.7757 |
2.2725 |
0.023 |
0.2776 |
0.5099 |
0.7836 |
0.006 |
1.2564 |
1.6577 |
2.1544 |
0.024 |
0.2278 |
0.4599 |
0.738 |
0.007 |
1.1693 |
1.5053 |
2.0241 |
0.025 |
0.1656 |
0.3979 |
0.6882 |
0.008 |
1.0739 |
1.4182 |
1.9142 |
0.026 |
0.0992 |
0.3398 |
0.6343 |
0.009 |
0.991 |
1.3145 |
1.8002 |
0.027 |
0.0246 |
0.2776 |
0.5762 |
0.01 |
0.9288 |
1.2274 |
1.6943 |
0.028 |
|
0.2071 |
0.4601 |
0.011 |
0.8541 |
1.1444 |
1.6007 |
0.029 |
|
0.1241 |
0.3979 |
0.012 |
0.7877 |
1.0822 |
1.5177 |
0.030 |
|
0.495 |
0.3191 |
0.013 |
0.7172 |
1.0325 |
1.4265 |
0.031 |
|
0.0038 |
0.2444 |
0.014 |
0.6592 |
0.9288 |
1.356 |
0.032 |
|
|
0.1615 |
0.015 |
0.6053 |
0.8707 |
1.2647 |
0.033 |
|
|
0.0785 |
0.016 |
0.5638 |
0.8251 |
1.1859 |
0.034 |
|
|
0.008 |
0.017 |
0.5347 |
0.7794 |
1.1071 |
0.035 |
|
|
|
도 9는 상기 표에 따른 특성 변화를 그래프로서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통해 풍량의 변화에 대해서 풍압의 변화폭이 종전의 마이크로 팬에 비해 대단히 완만해지게 되는 것을 쉽게 알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팬은 다음의 절대 좌표값에 의해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허브의 외주면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2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허브측의 상부면 좌표가
X |
Y |
Z |
0.000000 |
0.000000 |
8.700000 |
-0.138667 |
0.848028 |
8.658570 |
0.004639 |
1.625992 |
8.546704 |
0.264198 |
2.327542 |
8.382873 |
0.619004 |
2.944328 |
8.186631 |
1.029781 |
3.473029 |
7.976720 |
1.480217 |
3.941332 |
7.756023 |
1.96664 |
4.353728 |
7.532268 |
2.486875 |
4.715405 |
7.311290 |
3.039662 |
5.031621 |
7.097379 |
3.624660 |
5.307311 |
6.893652 |
이고, 덕트측 상부면 좌표는
X |
Y |
Z |
0.000000 |
0.000000 |
11.350000 |
-0.214333 |
1.023977 |
11.303720 |
-0.126138 |
1.997808 |
11.172790 |
0.099048 |
2.894330 |
10.974760 |
0.440899 |
3.699310 |
10.730220 |
0.856263 |
4.404663 |
10.460470 |
1.321298 |
5.036864 |
10.171160 |
1.832326 |
5.599416 |
9.872642 |
2.387100 |
6.097404 |
9.573096 |
2.984470 |
6.536602 |
9.278758 |
3.624168 |
6.922854 |
8.994254 |
이며, 허브측 하부면 좌표는
X |
Y |
Z |
0.000000 |
0.000000 |
8.700000 |
0.396161 |
0.737933 |
8.668648 |
0.644208 |
1.437582 |
8.580405 |
0.909862 |
2.082332 |
8.447124 |
1.214126 |
2.670698 |
8.279938 |
1.559095 |
3.222821 |
8.081054 |
1.923898 |
3.728567 |
7.860521 |
2.312183 |
4.187325 |
7.626029 |
2.726197 |
4.600498 |
7.384133 |
3.167128 |
4.970913 |
7.140029 |
3.635339 |
5.302281 |
6.897522 |
이고, 덕트측 하부면 좌표는
X |
Y |
Z |
0.000000 |
0.000000 |
11.350000 |
0.329121 |
0.968701 |
11.308590 |
0.530347 |
1.872718 |
11.194440 |
0.769176 |
2.709496 |
11.021850 |
1.066046 |
3.477411 |
10.804170 |
1.415488 |
4.196884 |
10.545550 |
1.792875 |
4.856730 |
10.258400 |
2.201882 |
5.456312 |
9.952446 |
2.644758 |
5.997341 |
9.636100 |
3.122651 |
6.483214 |
9.316138 |
3.635830 |
6.918398 |
8.997682 |
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좌표값을 따라 블레이드(20)를 형성시키게 되면 단면이 에어포일 형상이면서 허브(10)측 단부로부터 덕트측의 팁단부로의 블레이드 각도가 소정의 비틀림각만큼 헬리컬 비틀림을 갖게 되는 형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