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824U - 토양 개선기 - Google Patents

토양 개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24U
KR20000005824U KR2019980016719U KR19980016719U KR20000005824U KR 20000005824 U KR20000005824 U KR 20000005824U KR 2019980016719 U KR2019980016719 U KR 2019980016719U KR 19980016719 U KR19980016719 U KR 19980016719U KR 20000005824 U KR20000005824 U KR 200000058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air
chassis
soil
culti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8656Y1 (ko
Inventor
조춘규
Original Assignee
조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규 filed Critical 조춘규
Priority to KR2019980016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65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8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working sub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0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9/04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5/00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 A01B45/02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for ae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원, 하우스, 밭 등에서 토양 깊숙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건석회 등의 분체로 된 비료를 토양에 공급함으로서 특히 심층토양의 지력을 개선하고 농작물의 생육촉진과 수확량증대 효과를 추구하는 토양 개선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컴프레셔(20)를 구비한 경운기(10)에 커플링(31)으로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셔(20)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0) 및 보조탱크(50)를 장착한 차대(30)에 브레이커(70)와 계량로우터(100) 등을 설치하여 호퍼(90)에 저장된 비료가 정량적으로 계량되고 보조탱크(50)의 공압으로 계량된 비료를 브레이커(70)에 있는 치즐(72)의 내부를 통하여 분기구(73)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컴프레셔(20)와 에어탱크(40)와 브레이커(70) 등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부품이 경운기(10) 본체나 경운기(10)에 연결된 차대(30)에 장착되어 있어 이동하면서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보조자가 없이도 경운기(10) 운전자 혼자서 쉽게 작업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토양 개선기
본 고안은 과수원, 하우스, 밭 등에서 토양 깊숙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건석회 등의 분체로 된 비료를 토양에 공급함으로서 특히 심층토양의 지력을 개선하고 농작물의 생육촉진과 수확량증대 효과를 추구하는 토양 개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경운기에 연결되는 차대에 압축공기를 발사할 수 있는 구조로된 브레이커 장착하여 경운기를 운전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토양 개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 등 작물이 식재되지 않은 나지를 경작할 때에는 트랙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과수원과 같이 농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곳에서 트랙터를 이용할 경우 작물에 손상을 줄 우려가 많고 토양 깊숙이 경작할시에는 뿌리를 다치게 할 우려도 많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사항을 감안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1978-4172(공고번호 1982-2171, 명칭; 분기식 심경기)등이 소개된 바 있다.
선 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출원 1978-4172의 분기식 심경기는 압축탱크의 출구부에 분기관을 기밀 연통상으로 상,하 이동자재하게 하향으로 돌출시킨 구조이며 별도의 컴프레셔 및 에어탱크를 호스로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시 분기관을 토양에 박은 다음 압축공기를 토양속에 일시에 분사하여 토양이 들썩거리게 함으로써 토양에 산소를 공급하고 식물의 잔뿌리에 충격을 주어 식물생육을 촉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토양이 들썩거리게 되면 토양에 가느다란 균열이 많이 생김에 따라 토양을 경작하는 효과를 얻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심경기는 휴대용으로서 분기관을 토양에 박기 위해서는 압축탱크쪽에 있는 핸들을 잡고 작업자가 팔을 올렸다 폈다 하는 식으로 무거운 압축탱크를 들었다 놨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분기관을 토양에 박아야 함으로 힘이 많이 들고 토양 깊숙이 분기관을 박기가 어렵고 특히 토양에 돌이 많을 경우에는 분기관을 박는 작업이 더욱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심경기는 별도로 컴프레셔를 연결하여 끌거나 밀고 다녀야 함으로 보조 작업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형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는 컴프레셔의 이동시키는데 따른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고 작업진행속도가 매우 더딘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심경기는 고압의 공기를 토양 속에 분사하여 토양에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은 있으나 토양에 비료를 공급하는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결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요 과제는 경운기에 적절한 구조로 개량한 브레이커(breaker,碎炭器)를 장착하여 이 브레이커를 공압으로 제어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력화(省力化)와 작업능률을 도모하고, 비료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와 정량계량기를 구비하고 이들이 브레이커의 작동과 연계하여 공압으로 토양에 비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작 및 시비(施肥)의 2가지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토양 개선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구비된 브레이커의 설치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구비된 계량로우터의 작동상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구비된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운기 20; 컴프레셔 11,12; 풀리 13; 벨트
14; 공압호스 15; 변속홀 16; 변속레버 30; 차대
31; 커플링 32; 프레임 33; 운전석 34; 제1작동레버
35; 제2작동레버 40; 에어탱크 50; 보조탱크 60; 수직레일
61; 통공 70; 브레이커 71; 케이스 72; 치즐
73; 분기구 74; 베어링축 80; 2절레버 81; 제1에어실린더
90; 호퍼 100; 계량로우터 101; 로터 102; 제2에어실린더
103; 레버 110; 제1접촉스위치 120; 안전장치 121; 에어실린더
122; 록커 130; 제2접촉스위치 140; 에어밸브
본 고안은 컴프레셔(20)를 구비한 경운기(10)에 커플링(31)으로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셔(20)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0) 및 보조탱크(50)를 장착한 차대(30)와; 상기 차대(30)의 후단에 입설한 수직레일(60)과; 중공으로 된 치즐(72)의 하단부에 분기구(73)를 형성하고 상기 치즐(72)의 하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케이스(71)를 상기 수직레일(60)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설치한 브레이커(70)와; 제1에어실린더(8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커(70)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브레이커(70)의 케이스(71)에 타단은 상기 차대(30)에 연결한 2절레버(80)와; 상기 수직레일(60)의 전방으로 상기 차대(30)의 상부에 설치하여 비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호퍼(90)와; 한쪽은 상기 호퍼(90)의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보조탱크(50)에 연결되며 또다른 한쪽은 상기 브레이커(70)의 치즐(72) 상단부에 연결되어 제2에어실린더(10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호퍼(90)에 저장된 비료가 정량적으로 계량되고 상기 보조탱크(50)의 공압으로 계량된 비료를 상기 치즐(72)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분기구(73)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 계량로우터(100)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토양 개선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구비된 브레이커의 설치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구비된 계량로우터의 작동상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구비된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에서, 경운기(10) 본체 상부에는 통상의 컴프레셔(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컴프레셔(20)는 경운기(10) 엔진측 풀리(11)와 컴프레셔(20)의 풀리(12)를 벨트(13)로 연결하여 경운기(10) 엔진의 회전력으로 구동된다.
차대(30)는 후술하는 에어탱크(40) 및 브레이커(70) 등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 제작되어 경운기(10)에 커플링(31)으로 탈부착 되며 통상적인 경운기(10)용 적재함과 같이 바퀴가 달려 있고 앞쪽에는 운전석(33)이 설치되어 있다.
차대(30)의 후단부 양쪽에는 대형의 에어탱크(4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에어탱크(40)는 컴프레셔(20)에 공압호스(14)로 연결되어 있어 컴프레셔(20)의 구동에 따라 압축공기가 저장되며 저장된 압축공기는 브레이커(70)와 에어실린더 등 본 고안에 구비된 각종 기능부를 구동시키는데 소요된다. 그리고 소형의 보조탱크(50)는 후술하는 계량로우터(100)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며 에어탱크(40)와 연결된 상태로 차대(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도 2에서, 수직레일(60)은 높이가 길다란 직사각형으로써 양쪽 레일의 단면은 ㄷ형으로써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하단 중앙에는 브레이커(70)의 치즐(72,chisel)이 통과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커(70)는 통상 '쁘레카'라고 칭하며 공압에 의하여 치즐(72)이 지면이나 암반을 연속적으로 타발하여 구멍을 형성하거나 암반을 분쇄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 고안 따른 브레이커(70)의 치즐(72)은 중공형으로서 그 하단 양쪽면에는 중공부와 연통되는 분기구(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브레이커(70)는 케이스(71)의 상하 양쪽면이 베어링축(74)에 의해 좌우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될 수 있게 하였으며, 설치된 브레이커(70)의 초기위치는 치즐(72)의 하단이 레일의 중앙에 있는 통공(61)을 약간 통과한 상태에서 지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도 1에서, 2절레버(80)는 2개를 마련하여 브레이커(70)의 상측 좌우면에 돌출된 베어링축(74)에 각각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차대(30)의 중간 양쪽에 소정 높이로 고착된 프레임(32)에 회절가능하게 연결하고, 이 2절레버(80)에는 차대(30)에 고정한 제1에어실린더(81)의 피스톤로드와 연결한다.
호퍼(90)는 수직레일(6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차대(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건석회 등의 비료를 저장하게 된다.
계량로우터(100)는 차대(30)의 중간 양쪽에 고착된 프레임(32)에 고정되며, 차대(30)에 설치된 제2에어실린더(102)와 레버(103)로 연결하여 제2에어실린더(102)의 구동에 따라 내부에 있는 로터(101)가 각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 계량로우터(100)는 호퍼(90)의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보조탱크(50)에 연결되며 또다른 한쪽은 브레이커(70)의 치즐(72) 상단부에 연결되어 제2에어실린더(102)의 구동시 호퍼(90)에 저장된 비료가 정량적으로 계량되고 보조탱크(50)의 공압으로 계량된 비료를 치즐(72)의 내부를 통하여 분기구(73)로 분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차대(30)에 앞쪽에 설치한 운전석(33)의 오른쪽편에는 제1작동레버(34)와 제2작동레버(35)가 장착되어 있어, 제1작동레버(34)는 제1에어실린더(81)의 구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제2작동레버(35)는 제2에어실린더(102)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수직레일(60)의 한쪽편에 고정된 제1접촉스위치(110)는 브레이커(70)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으로 이 제1접촉스위치(110)는 경운기(10)의 장착된 안전장치(120)를 제어하여 변속레버(16)의 변속조작을 제한하게 된다. 예시한 바에 따르면 안전장치(120)는 제1접촉스위치(110)의 스위칭에 따라 공압회로가 변경되는 에어실린더(121)를 구비하고 이 에어실린더(121)의 피스톤로드에 n형상의 록커(122)를 일체로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에어실린더(121)는 록커(122)가 변속홀(15)의 중립위치를 향하도록 변속홀(15)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예시한 안전장치(120)는 브레이커(70)의 치즐(72)이 토양에 박혀있을 때 제1접촉스위치(110)의 스위칭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연장됨에 따라 록커(122)가 중립위치에 있는 변속레버(16)를 잡아주게 하여 경운기(10)를 운행할 수 없게 하기 위한 것이다.
차대(30) 중간의 프레임(32)에 고정한 제2접촉스위치(130)는 제2에어실린더(102)와 연동되는 레버(103)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으로 보조탱크(50)의 출구측에 설치한 에어밸브(140)를 제어하게 된다. 이 에어밸브(140)는 제2접촉스위치(130)의 제어에 따라 공압회로가 변경되어 계량로우터(10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에 맞추어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90)에 비료를 투입하고 경운기(10)를 시동한다. 경운기(10)를 시동함에 따라 컴프레셔(20)가 구동하여 에어탱크(40) 및 보조탱크(50)에는 각 기능부에 필요한 압축공기가 충진된다.
한편, 작업초기에 브레이커(70)는 상사점에 위치하여 치즐(72)의 하단이 토양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퍼(90)에 저장된 일정량의 비료가 자유낙하 하듯이 로터(101)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접촉스위치(130)가 제2에어실린더(102)에 연결된 레버(103)와 접촉되어 에어밸브(140)가 개방된다. 이때에는 제1접촉스위치(110)가 브레이커(70)의 상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있고 안전장치(120)는 변속레버(16)를 구속하지 않으므로 변속레버(16)의 단수를 자유롭게 조작하여 경운기(10)를 임의 장소로 운행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작동을 위하여 경운기(10)를 일시 정차시킨 상태에서는 당연히 변속레버(16)를 증립위치에 두어야 하며, 이상태에서 운전석(33)에 앉은 작업자가 한손으로 제1작동레버(34)를 하방으로 누르면 제1에어실린더(81)가 압축되고 이와 연동되는 2절레버(80)가 하향 회전함에 따라 브레이커(70)를 하강시킴으로 제1실린더가 완전히 압축될때까지 치즐(72)이 토양에 일정깊이로 박히게 한다.
또한, 제1작동레버(34)의 작동과 동시에 브레이커(70)의 케이스(71)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치즐(72)이 상하 요동함으로 치즐(72)이 토양 깊숙이 잘 박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2작동레버(35)를 눌러 하강시키면 제2에어실린더(102)가 압축되고, 이와동시에 레버(103)는 접촉스위치와 이격됨에 따라 에어밸브(140)는 닫히고 로터(101)는 일정각도 회전되어 계량로우터(100)의 양쪽, 즉 보조탱크(50)측과 치즐(72)의 통로가 개방되었을 때 로터(101) 내에 있는 비료가 공압에 의해 치즐(72)을 통하여 분기구(73)로 분출된다. 따라서 압축공기의 팽창에 의하여 토양이 들썩거려 균열이 생기고 비료는 토양에 섞이게 된다.
이후, 지금까지의 순서와 반대로 제2작동레버(35)와 제1작동레버(34)를 차례로 조작하면 브레이커(70)는 상승되고 로터(101)는 역회전하며, 이때 제1접촉스위치(110)가 스위칭됨에 따라 안전장치(120)가 제어되어 변속레버(16)의 구속을 해제함으로 경운기(10)를 운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제2접촉스위치(130)도 스위칭되어 로터(101)내에 비료가 공급되며 에어밸브(140)가 개방되어 계량로우터(100)의 입구까지 비료의 압송에 필요한 작동공기압이 공급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경운기(10)를 운행하면서 운전석(33) 옆쪽에 설치된 제1작동레버(34)와 제2작동레버(35)로써 브레이커(70)와 계량로우터(100)를 작동시켜 토양을 들썩거려 산소공급을 함과 동시에 식물생장에 필요한 비료를 토양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부언하여, 시비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호퍼(90)에 비료를 투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본 고안을 순서대로 작동시키면 된다.
한편, 안전장치(120)는 치즐(72)이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 경운기(10)를 운행하여 치즐(72)이 부러지는 중대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브레이커(70)가 승강중이거나 치즐(72)이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는 제1접촉스위치(110)에 의해 제어되어 중립위치에 있는 변속레버(16)를 구속하고 브레이커(70)가 상사점에서 대기중일 때에만 변속레버(16)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컴프레셔(20)와 에어탱크(40)와 브레이커(70) 등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부품이 경운기(10) 본체나 경운기(10)에 연결된 차대(30)에 장착되어 있어 이동하면서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보조자가 없이도 경운기(10) 운전자 혼자서 쉽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브레이커(70)를 제1에어실린더(81)의 작동으로 승강됨으로 치즐(72)을 토양에 박는 작업이 용이하며 치즐(72)이 토양에 박힐 때 치즐(72)이 반복적으로 요동함으로 돌이 많은 지역에서도 치즐(72)을 토양 깊숙이 잘 박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고압의 압축공기로 토양을 들썩거리게 하여 토양의 통기성과 투수성을 향상시키는 경작작업과 함께 건석회 등의 비료를 토양 깊숙이 공급하는 시료작업을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컴프레셔(20)를 구비한 경운기(10)에 커플링(31)으로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셔(20)의 구동에 의해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0) 및 보조탱크(50)를 장착한 차대(30)와;
    상기 차대(30)의 후단에 입설한 수직레일(60)과;
    중공으로 된 치즐(72)의 하단부에 분기구(73)를 형성하고 상기 치즐(72)의 하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케이스(71)를 상기 수직레일(60)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설치한 브레이커(70)와;
    제1에어실린더(8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커(70)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브레이커(70)의 케이스(71)에 타단은 상기 차대(30)에 연결한 2절레버(80)와;
    상기 수직레일(60)의 전방으로 상기 차대(30)의 상부에 설치하여 비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호퍼(90)와;
    한쪽은 상기 호퍼(90)의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보조탱크(50)에 연결되며 또다른 한쪽은 상기 브레이커(70)의 치즐(72) 상단부에 연결되어 제2에어실린더(10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호퍼(90)에 저장된 비료가 정량적으로 계량되고 상기 보조탱크(50)의 공압으로 계량된 비료를 상기 치즐(72)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분기구(73)로 분출되게 하는 계량로우터(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개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20)는 경운기(10) 본체에 장착하고 경운기(10) 엔진용 풀리(11)에 벨트(13)로 연결하여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개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30)의 앞쪽에 운전석(33)을 설치하되, 이 운전석(33)의 일측에는 제1작동레버(34)와 제2작동레버(35)를 장착하여, 상기 제1작동레버(34)로 제1에어실린더(81)를 구동시켜 브레이커(7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브레이커(7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작동레버(35)로는 상기 제2에어실린더(102)를 구동시켜 계량로우터(1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개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일(60)에 상기 브레이커(70)에 의해 스위칭동작되는 제1접촉스위치(110)를 설치하고 이 제1접촉스위치(110)는 경운기(10)의 장착된 안전장치(120)를 제어하도록 하되, 이 안전장치(120)는 피스톤로드에 n형상의 록커(122)를 일체로 부착한 에어실린더(121)를 구비하여 경운기(10) 본체에 있는 변속홀(15)의 상부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개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30) 중간의 제2에어실린더(102)와 연동되는 레버(103)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2접촉스위치(130)를 설치하고 상기 계량로우터(100)와 연통되는 상기 보조탱크(50)의 출구측에는 에어밸브(140)를 설치하여 상기 제2접촉스위치(130)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상기 에어밸브(140)가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개선기.
KR2019980016719U 1998-09-03 1998-09-03 토양 개선기 KR200198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19U KR200198656Y1 (ko) 1998-09-03 1998-09-03 토양 개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19U KR200198656Y1 (ko) 1998-09-03 1998-09-03 토양 개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24U true KR20000005824U (ko) 2000-04-06
KR200198656Y1 KR200198656Y1 (ko) 2000-10-02

Family

ID=1953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719U KR200198656Y1 (ko) 1998-09-03 1998-09-03 토양 개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6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67B1 (ko) * 2008-07-11 2011-07-19 대한민국 토양개량장치 및 이를 탑재한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67B1 (ko) * 2008-07-11 2011-07-19 대한민국 토양개량장치 및 이를 탑재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656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0390B2 (en) Method for treating turf
KR20170126758A (ko) 트랙터용 견인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WO2019095465A1 (zh) 一种悬挂式施肥机
KR200198656Y1 (ko) 토양 개선기
US20220201919A1 (en) Injection device and procedure for using the device for introducing air and/or additive to the deeper layers of soil
KR100960848B1 (ko) 유기질 비료살포기
CA10948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sening soil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CN106912212A (zh) 一种智能施肥装置及方法
JPH08266105A (ja) 果樹園用総合管理機
CN209030571U (zh) 一体化作物精准施肥机
CN216673822U (zh) 一种绿化苗木高效施肥装置
US5437335A (en) Means for backfilling multiple aeration holes
CN109548444B (zh) 一种农作物移植装置
CN208597277U (zh) 一种农业机械施肥装置
KR200252962Y1 (ko) 트랙터용 다목적 관리기
CN110710351B (zh) 一种耕种装置
US20230397515A1 (en) Ground aeration device
KR100272926B1 (ko) 트랙터 탑재형 퇴비 살포기의 핸드밸브 어셈블리
CN218868629U (zh) 一种水果种植施肥装置
US2850836A (en) Dust spraying apparatus
JP2554253Y2 (ja) 移動農機の作業機操作装置
CN217515195U (zh) 一种苗木养护装置
JPS6349151Y2 (ko)
CN114793549B (zh) 一种基于石斛种植用自动挖坑同步施加底肥的装置
WO2019095467A1 (zh) 一种用于山地的自走式施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