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482A -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유체 촉매 분해증류 입자를 이탈시켜스트리핑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유체 촉매 분해증류 입자를 이탈시켜스트리핑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482A
KR20000005482A KR1019980708263A KR19980708263A KR20000005482A KR 20000005482 A KR20000005482 A KR 20000005482A KR 1019980708263 A KR1019980708263 A KR 1019980708263A KR 19980708263 A KR19980708263 A KR 19980708263A KR 20000005482 A KR20000005482 A KR 2000000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primary
solid particles
fluidized bed
st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020B1 (ko
Inventor
토마스 숀 드위쯔
Original Assignee
앨베르투스 빌헬무스 요안네스 지스트라텐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베르투스 빌헬무스 요안네스 지스트라텐,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앨베르투스 빌헬무스 요안네스 지스트라텐
Publication of KR2000000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 B01J8/005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us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107Cores; Devices for inducing an air-core in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with auxiliary fluid assisting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1/00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11/14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 C10G11/18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according to the "fluidised-bed" techniqu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Cyclon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증기중에서 부유된 고체 입자를 분리하여 상기 고체 입자로부터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스트리핑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2) 는 1차 유동층 영역 (10) 과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상기 1차 유동층 영역 (10) 내로 주입하는 1차 주입장치 (12) 를 구비한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원통형 측벽 (15) 을 가지고 있고, 출구 개구부 (19) 가 구비된 커버 (17) 에 의해서 상단부가 폐쇄되고, 그리고 하단부가 개방되며 증기 및 고체입자의 부유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입구 (24) 가 더 구비되어 있는 수직 1차 사이클론 (6); 및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출구 개구부 (19) 로부터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 1 출구관 (3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개방 하단부 (32) 는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개방 하단부 (32) 내에서 2차 유동층 영역 (35) 을 형성하도록 상기 1차 유동층 영역 (10) 내로 하향으로 돌출하고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상기 2차 유동층 영역 (35) 내로 주입하는 2차 주입장치 (41) 가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유체 촉매 분해증류 입자를 이탈시켜 스트리핑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고체입자로부터 탄화수소를 스트리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촉매와 같은 고체입자를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입자로부터 탄화수소를 스트리핑하는 개량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하는 장치는 수년동안 이용되어 왔고 예를 들면, 유동 접촉 분해공정에서 기상 생성물로부터 탄화수소 분해증류 촉매를 분리하는데 통상 사용되었다.
고체입자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부유물질 및 미세입자의 다른 혼합물은 통상 기상 흐름으로 비말동반된다. 종종, 상기 부유물질은 반응에서 수반된 물질의 흡착 및/또는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함유하는 미세 고체입자를 함유한다. 하류에서 손상을 입히거나 원하지 않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상 흐름으로부터 미세 입자를 분리 및 회수하고 미세입자로부터 잔류물을 스트리핑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접촉 분해공정에서 탄화수소는 라이저 반응기에서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된다. 기상흐름으로서 반응기의 하류를 따라서 촉매의 미세 고체입자를 운반하는 탄화수소 기체가 형성된다. 부유된 촉매입자는 흡착 및/또는 비말동반된 탄화수소를 함유하였다. 촉매입자는 기체로부터 분리되고 탄화수소가 스트리핑되어 촉매반응을 원하지 않는 영역에서 촉매반응 (소위 말하는 "과도한 분해증류") 을 방지해야 한다. 스트리핑은 또한 수율을 증가시키고 촉매가 재순환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이 탄화수소의 접촉 분해에 대하여 특히 강조되어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장치 및 방법은 고체입자를 사용하고 증기흐름에서 고체입자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다른 시스템에서도 또한 작용할 것이다.
제올라이트와 같은 새로운 고 반응성 분해증류촉매가 통상 사용됨에 따라, 일단 탄화수소가 반응기에 존재하면 과도한 분해증류를 회피하기 위하여 분해증류된 탄화수소 증기로부터 반응성 분해증류 촉매를 신속하게 분리하는 새로운 분리장치가 개발되었다.
미국 특허 공보 제 4,961,863 호 및 제 5,259,855 호는 트윈 드럼 분리기를 개시하고 있고 이 분리기는 접촉 분해 라이저 반응기의 말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트윈 드럼 분리기는 촉매 캐리오버 (catalyst carryover) 로부터 용이하게 막히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대부분의 접촉 분해공정은 반응기 용기의 촉매 운반되는 외부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높은 분리효율을 요구하고 트윈 드럼 분리기는 게다가 단독으로 사용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트윈 드럼 분리기는 또한 스트리퍼 촉매층으로부터의 증기의 상향흐름이 트윈 드럼 분리기내의 수직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스트리퍼 층과 일체형이 아니다.
미국 특허 공보 제 4,693,808 호 및 제 4,731,228 호는 수평식 사이클론 분리기를 기술하고 있다. 수평식 분리기에서 촉매 대 가스의 질량비는 상기 분리기가 운반할 수 있는 촉매의 최대량을 제한하고, 그리고 촉매 대 가스의 질량비가 너무 크면 수평식 사이클론 분리기는 막히는 경향이 있다.
미국 특허 공보 제 4,692,311 호는 분리 및 스트리핑 시간을 감소시키는 소위 말하는 "급속 이탈 사이클론 (quick disengaging cyclone)" 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사이클론은 원심 분리 및 증기의 역흐름 와류로 작동한다. 와류 안정장치는 와류가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 도달하기 전에 와류를 종료시키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와류가 종료되지 않는 다면, 와류는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서 분리된 촉매를 상승시켜 사이클론 출구를 통하여 촉매를 역류시키고 역행시킨다. 상기 급속 이탈 사이클론은 고효율임이 증명되었으나, 그러나 상기 장치는 내부 촉매 스트리핑층 및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로부터 뻗어 있는 급수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당히 크다.
접촉 분해기외에도, 분리 스트리핑 장치는 또한 유체 코커 (fluid cokers), 비말동반된 석탄의 가스화장치 및 고속 유동화 고체입자를 사용하는 다른 산업공정에서 사용된다. 이들 장치는 환경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훨씬 더 높은 분리 및 스트리핑 효율을 달성하도록 개장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분리기 디자인은 다양한 고속 유동화 공정을 개장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지만, 상기 장치의 용도는 분리기 및 스트리퍼의 배치를 위한 제한된 공간을 가지고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개장되어야 하는 장치를 개장하기 위하여 제한될 수 있다.
많은 접촉 분해플랜트중에서, 예를 들면 라이저 반응기는 원하지 않는 포스트라이저 분해증류 (post-riser cracking) 가 발생하는 디스인게이저 용기 (disengager vessel) 내로 배기한다. 대부분의 디스인게이저 용기는 하부에 유동 촉매층을, 상부에 몇 종류의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는 종종 상술된 분리기 및 스트리퍼를 내부에 개장하기에는 너무 작다. 게다가, 개량된 분리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 접촉 분해기를 분해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효과적이지 않다. 상술된 바와 같은 고 효율 분리기 및 스트리퍼를 종래의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로 위치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하거나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고 효율이고, 소형이고, 단순한 디자인을 갖는 분리기 및 스트리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분리효율을 갖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접촉 분해기의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로 끼워 맞춤될 수 있는 개장된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이 저렴한 개장된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증기중에서 부유된 고체 입자를 분리하여 상기 고체 입자로부터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스트리핑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는
(a) 유동 고체입자를 담고 있는 1차 유동층 영역과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상기 1차 유동층 영역내로 주입하는 1차 수단을 구비한 디스인게이저 용기;
(b)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부에 포함되고, 원통형 측벽을 가지고 있고, 출구 개구부가 구비된 커버에 의해서 상단부가 폐쇄되고, 그리고 하단부는 개방되며 증기 및 고체입자의 부유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입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수직 1차 사이클론; 및
(c)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출구 개구부로부터 유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출구 개구부에 연결된 단부를 갖는 제 1 출구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는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내에서 2차 유동층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1차 유동층 영역내로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분리하여 1차 유동층을 구비한 디스인게이저 용기에서 분리된 고체입자로부터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스트리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a)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운송관을 통하여 유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상기 운송관으로부터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1차 유동층내에 잠겨 있는 개방 하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직 1차 사이클론내로 통과시키는 단계;
(c) 상기 1차 유동층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1차 유동층의 상부 표면이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 위로 유지되고 상기 1차 유동층의 일부가 상기 개방 하단부에서 상기 1차 사이클론내에 포함되어 2차 유동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분리된 증기와 흡착되거나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함유하는 분리된 고체입자로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분리된 고체입자를 상기 2차 사이클론내에 포함된 2차 유동층에서 수집하는 단계;
(f) 가스를 도입하여 상기 분리된 고체입자로부터 상기 잔류물을 스트리핑하여 스트리핑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고체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분리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증기를 상기 1차 사이클론을 통하여 상향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스트리핑된 고체입자를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로부터 상기 1차 유동층내로 유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례에 의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1차 사이클론의 확대 단면도; 및
도 3 은 도 1 의 2차 사이클론의 확대 단면도.
이제 도 1 및 도 2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중에 부유된 고체입자를 분리하여 상기 고체입자로부터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스트리핑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2) 는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및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내부에 포함된 수직 1차 사이클론 (6)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는 유동 고체입자의 1차 유동층 (11) 을 포함하는 1차 유동층 영역 (10) 및 1차 주입장치 (12) 의 형태로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또는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상기 1차 유동층 영역내로 주입하는 1차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 1차 사이클론 (6) 은 원형-원통형 측벽 (15) 형태의 원통형 벽을 구비하고 있고 출구 개구부 (19) 가 구비된 커버 (17) 에 의해서 상단부 (16) 가 폐쇄된다.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은 증기 및 고체입자의 부유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입구 (24) 가 또한 구비되어 있다.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입구 (24) 는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내로 뻗는 반응기 라이저 (27) 형태로 운송관의 출구관 (25) 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2) 는 또한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출구 개구부 (19) 로부터 유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출구 개구부 (19) 에 연결된 단부를 구비한 제 1 출구관 (30)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 1차 사이클론 (6) 은 상단부 (16) 가 폐쇄되나, 그러나 이것은 배출 개구부 (34) 를 구비한 하단부 (32) 가 개방되며, 여기서 상기 개방 하단부 (32) 의 내경은 1차 사이클론 (6) 의 상단부 (16) 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수직 1차 사이클론 (6) 의 개방 하단부 (32) 는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하단부 (32) 내에 유동 고체입자의 2차 유동층 (36) 을 정상 작동동안 포함하는 2차 유동층 영역 (35) 을 형성하도록 1차 유동층 영역 (10) 내로 하향으로 돌출한다.
정상 작동동안, 촉매입자형태의 고체입자와 접촉분해공정으로부터의 반응 유출물 형태의 증기의 혼합물은 반응기 라이저 (27) 를 통하여 상향으로 유동하고 1차 사이클론 (6) 의 입구 (24) 내로 출구관 (25) 을 통하여 통과한다.
상기 1차 사이클론 (6) 에서, 촉매입자는 반응 유출물로부터 분리되고; 촉매입자는 상기 1차 사이클론 (6) 의 하단부 (32) 를 향하여 아래로 떨어지고, 그리고 반응 유출물은 상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 1 출구관 (30) 을 통하여 상기 1차 사이클론 (6) 으로부터 방출된다.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의 하부 부분은 상기 1차 주입장치 (12) 를 통하여 상기 1차 유동층 영역 (10) 내로 주입된 고체입자를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가스의 작용에 의해서 유동상태로 유지되는 촉매입자의 1차 유동층 (11) 을 포함하고 있다. 가스는 또한 촉매입자를 스트리핑하고 이렇게 하여 흡착되거나 비말동반된 잔류물은 촉매입자로부터 제거하여 배출관 (38) 을 통하여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로부터 배출된 스트리핑된 촉매입자를 획득한다. 상기 촉매입자는 이것이 재생되는 재생장치 (도시 안됨) 로 통과되므로 상기 촉매는 반응기 라이저 (27) 에서 사용될 수 있다.
1차 사이클론 (6) 의 개방 하단부 (32) 는 1차 유동층 영역 (10) 내로 하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배출 개구부 (34) 는 1차 유동층 (11) 내에 잠겨있고 1차 유동층 (11) 의 레벨은 조절되므로 1차 유동층 (11) 의 상부 표면 (39) 은 1차 사이클론 (3) 의 배출 개구부 (34) 위로 유지된다. 1차 사이클론 (6) 의 하단부 (32) 내에 포함된 1차 유동층 (11) 의 일부는 2차 유동층 (36) 을 형성한다.
1차 사이클론 (6) 을 통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분리된 촉매입자는 2차 유동층 (36) 내에 수집된다.
1차 주입장치 (12) 를 통하여 도입된 가스는 또한 2차 유동층 (36) 내로 들어가서 분리된 촉매입자로부터 잔류물을 스트리핑하여 스트리핑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촉매입자를 형성한다. 스트리핑된 증기와 제거된 반응 유출물은 1차 사이클론 (6) 을 통하여 상향으로 통과하여 제 1 출구관 (30) 을 통하여 제거된다. 이런 까닭에 스트리핑된 촉매입자는 1차 사이클론 (6) 의 배출 개구부 (34) 로부터 1차 유동층 (11) 내로 유동하도록 된다.
유동 촉매입자는 따라서 1차 사이클론 (6) 의 개방 하단부 (32) 내부의 2차 유동층 (36) 내에 일부 포함된다. 이 2차 유동층 (36) 은 1차 사이클론 (6) 내부의 퀵 스트리퍼 유동화된 스트리퍼층 (quick-stripper fluidized stripper bed) 으로서 작용하는 한편, 1차 유동층 (11) 은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내부의 메인 스트리퍼 유동화된 스트리퍼층 (main-stripper fluidized stripper bed) 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유동층 영역은 또한 종종 스트리퍼영역이라 불린다.
1차 사이클론 (6) 은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에서 보다 약간 더 높은 압력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적당하므로 2차 유동층 (36) 의 상부 표면 (40) 은 1차 유동층 (11) 의 상부 표면 (39) 아래에 있다.
종래의 1차 사이클론은 일반적으로 하단부가 폐쇄되고 촉매와 같은 분리된 고체입자를 방출하도록 딥레그 (dip-leg) 가 구비되어 있고 이 촉매는 1차 사이클론의 하부에 쌓인다. 사이클론 입구 및 출구 압력강하를 극복하기에 충분한 수두를 발달시켜, 분리된 고체입자를 유동층으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비교적 긴 딥레그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는 상기 길이와 조화를 이루는 실질적인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1차 사이클론은 딥레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한된 공간을 갖는 디스인게이저 용기내에 장착할 수 있다. 공지된 시스템은 또한 촉매입자의 슬러그가 증기와 촉매입자의 혼합물로 운송관을 넘쳐흐를 때 운전개시동안 문제를 발생시킨다. 초과분의 입자는 1차 사이클론내로 떨어져 상기 사이클론을 채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 많은 작업자는 운전개시시 1차 사이클론내로, 또는 디스인게이저 용기내에 어떠한 촉매도 넣지 않는다. 물론, 이것은 촉매레벨이 요구하는 스트리핑 단계를 충족시킬 때까지 수율 및 효율을 모두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 운전개시시 형성된 슬러그는 오픈식 1차 사이클론내로 떨어지고, 이 슬러그는 개방 하단부 (32) 로부터 떨어져서 유동화되어 디스인게이저 용기내의 1차 유동층에서 분산되므로 1차 사이클론에서의 원하지 않는 축적을 제거할 수 있다.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는 2차 주입장치 (41) 의 형태로 2차 유동층 (36) 에서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2차 유동층 영역 (35) 내로 주입하는 2차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적당하다.
1차 사이클론 (6) 의 입구 (24) 는 1차 사이클론 (6) 의 폐쇄단부 부근에서 원형-원통형 측벽 (15) 으로 배열된 접선입구 (tangential inlet ; 42, 도 2 에 도시됨) 이다. 1차 사이클론 (6) 의 접선입구 (42) 를 통하여 들어오는 접촉분해공정으로부터의 반응유출물의 형태인 증기와 촉매입자형태인 고체입자의 혼합물은 1차 사이클론 (6) 의 상단부 (16) 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그 후, 상단부 (16) 는 1차 사이클론 (6) 의 와류 영역이 된다.
와류 영역의 효율은 제 1 출구관 (30) 의 일부 (44) 가 1차 사이클론 (6) 내로 뻗을 때 향상될 수 있다. 일부 (44) 는 1차 사이클론 (6) 의 와류 출구를 형성한다.
1차 사이클론 (6) 은 1차 사이클론 (6) 의 중간부분 (47) 에 동축선방향으로 장착된 1차 접시형상 와류 안정장치 (46) 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적당하다. 1차 와류 안정장치 (46) 의 외경은 제 1 출구관 (30) 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고 원형-원통형 측벽 (15) 의 내경보다 더 작다.
1차 와류 안정장치 (46) 는 제 1 출구관 (30) 의 입구 개구부 (49) 아래에, 그리고 적당하게는 제 1 출구관 (30) 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거리로 위치된다.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출구관은 테이퍼진 부분 (44) 을 갖고 그 직경은 테이퍼진 부분 (44) 의 최단직경이다.
와류 안정장치가 사용될 때 1차 사이클론 (6) 의 배출 개구부 (34) 가 1차 유동층 (11) 내에 잠기게 되는 깊이는 와류 안정장치의 높이에 좌우된다. 특히, 2차 유동층 (36) 의 깊이는 1차 사이클론 (6) 의 배출 개구부 (34) 로부터 1차 와류 안정장치 (46) 의 바닥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안정장치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2차 유동층 (36) 의 최대 깊이는 1차 사이클론 (6) 의 배출 개구부 (34) 로부터 1차 와류 안정장치 (46) 의 최하부 표면까지이어야 한다.
1차 와류 안정장치 (46) 는 지지부재 (51) 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안정장치는 와류 파인더 (52) 가 구비되는 것이 적당하다.
1차 와류 안정장치 (46) 의 외부 표면과 원통형 측벽 (15) 의 내부 표면간의 환형 공간은 분리된 입자를 환형 공간을 통하여 2차 유동층 영역 (35) 내로 아래로 통과시킨다. 환형 공간은 또한 유동층 영역으로부터의 스트리핑 가스를 환형 공간을 통하여 1차 와류 안정장치 (46) 위의 사이클론 영역내로 상향으로 통과시킨다. 2차 유동층 영역 (35) 은 환형 공간을 통하여 상단부 (16) 에서 사이클론 영역과 기체 연통상태로 스트리핑 영역을 한정한다. 유동층 영역에서, 흡착 및/또는 비말동반된 잔류물은 입자로부터 스트리핑되므로 이에 따라 잔류물을 회수하여 상기 잔류물의 원하지 않는 반응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미세 촉매입자 및 탄화수소 증기의 부유물질에서 탄화수소 증기는 먼저 사이클론 영역의 촉매입자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촉매에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탄화수소는 유동층 영역의 촉매로부터 스트리핑되므로 탄화수소 증기로서 탄화수소를 회수하여 원하지 않는 과도한 분해반응을 감소시킨다.
적당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2) 는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내에 포함되고 원형-원통형 측벽 (56) 형태의 원통형 측벽을 갖는 2차 사이클론 (55) 을 더 포함한다. 2차 사이클론 (55) 은 출구 개구부 (58) 가 구비된 커버 (57) 에 의해서 상단부가 폐쇄된다. 이 사이클론은 하부 부분 (60) 과 제 1 출구관 (30) 과 유체연통상태로 있는 입구 (62) 로 이루어진다.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2) 는 또한 2차 사이클론 (55) 의 출구 개구부 (58) 로부터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 2 출구관 (64) 을 포함한다.
정상 작동동안, 분리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증기는 제 1 출구관 (30) 을 통하여 1차 사이클론 (6) 으로부터 제거된다. 이 증기는 여전히 2차 사이클론 (55) 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비말동반된 촉매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상기 증기는 2차 사이클론 (55) 내로 도입되어 비말동반된 촉매입자는 상기 증기로부터 분리된다. 증기는 출구 개구부 (58) 를 통하여 2차 사이클론 (55) 에서 상향으로 유동하고 촉매입자는 2차 사이클론 (55) 의 하부 부분 (60) 에서 수집된다. 증기 및 촉매입자는 하부 부분 (60) 의 출구 (68) 와 제 2 출구관 (64) 각각을 통하여 2차 사이클론 (55) 으로부터 별개로 배출된다. 2차 사이클론 (55) 은 1차 사이클론 (6) 압력 보다 약간 더 낮은 압력에서 작동되고 이 압력이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의 압력이하이기 때문에 2차 사이클론 (55) 의 압력은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의 압력보다 낮다.
2차 사이클론 (55) 은 딥레그 (69) 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분리된 입자의 방출을 허용하도록 하부에 밸브 (도시 안됨) 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딥레그 (69) 는 1차 유동층 (11) 내로 뻗는다.
2차 사이클론 (55) 은 1차 사이클론 (6) 과 연속하여 위치되고, 이것은 이 분야에서 "밀접결합 (close-coupling)" 이라 불린다. 용어 "밀접결합" 은 하나의 사이클론의 배출부가 다른 사이클론의 입구에 연결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밀접결합 사이클론은 예를 들면, (1) 모든 분리가 디스인게이저 용기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2) 제 1 사이클론이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로 배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라이저 반응기 생성물의 원하지 않는 포스트-라이저 분해증류를 감소시킨다.
와류 안정수단이 구비된 1차 사이클론과 와류 안정수단이 구비된 2차 사이클론이 연속하여 사용될 때 1차 사이클론은 "급속 분리 사이클론" 으로서 작용하고 2차 사이클론은 "고 효율 사이클론" 으로서 작용한다.
2차 사이클론 (55) 의 입구 (62) 는 2차 사이클론 (55) 의 상단부 (71) 에 배열된 접선입구 (70; 도 3 에 도시됨) 인 것이 적당하다. 2차 사이클론 (55) 의 접선입구 (70) 를 통하여 들어가는 증기 및 촉매입자는 2차 사이클론 (55) 의 상단부 (71) 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단부 (71) 는 그 후 2차 사이클론 (55) 의 와류 영역이 된다.
와류 영역의 효율은 제 2 출구관 (64) 의 일부 (72) 가 2차 사이클론 (55) 내로 뻗을 때 향상될 수 있다. 일부 (72) 는 2차 사이클론 (55) 의 와류 출구를 형성한다.
2차 사이클론 (55) 은 2차 사이클론 (55) 의 중간부분 (76) 에 동축선방향으로 장착된 2차 접시형상 와류 안정장치 (74) 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적당하다. 2차 와류 안정장치 (74) 의 외경은 제 2 출구관 (64) 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고 원형-원통형 측벽 (56) 의 내경보다 더 작다. 2차 와류 안정장치 (74) 는 제 2 출구관 (64) 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거리로 제 2 출구관 (64) 의 입구 개구부 (77) 아래에 위치된다. 도 1 및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 출구관 (64) 은 테이퍼진 부분 (72) 을 갖고 직경은 테이퍼진 부분 (72) 의 최단직경이다.
2차 와류 안정장치 (74) 는 지지부재 (79) 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안정장치는 와류 파인더 (80) 를 구비하는 것이 적당하다.
1차 와 2차 사이클론 (6, 55) 사이에서 열운동 및 진동운동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이 이들사이에 연결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 제 1 출구관 (30) 의 출구 (83) 와 2차 사이클론 (55) 의 입구 (62) 사이에는 틈새 (82) 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틈새 (82) 는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내의 스트리퍼 가스와 스트리핑된 증기가 약간 더 낮은 압력의 2차 사이클론 (55) 으로 들어가게 하는 수단을 한층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는 2차 사이클론 (55) 의 입구 (62) 부근에서 제 1 출구관 (30) 의 출구단부 (84) 에 위치된 벤투리 (도시 안됨) 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벤투리는 2차 사이클론 (55) 내로 제 1 출구관 (30) 의 가스를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또한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의 내부와 2차 사이클론 (55) 간의 압력차를 감소시킨다.
1차 및 2차 사이클론 (6, 55) 의 원형-원통형 측벽 (15, 56) 의 내부 표면은 세라믹과 같은 내식성이 있는 내화물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 적당하다. 이것은 사이클론이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기 때문에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의 셸이 내화물 라이닝없이 사용되도록 한다. 라이닝은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에서 요구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고체입자가 벽을 부식시키도록 디스인게이저 용기 (3) 내에서 유동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에서의 라이닝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2가지 문제점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첫째로, 디스인게이저 용기 벽의 불균일한 가열에 의해서 발생되는 부식이 감소된다. 둘째로,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에서의 내화물 라이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서질 것이다. 부서진 라이닝은 시스템으로 들어 가서 상기 라이닝은 밸브 및 장치를 막을 것이다. 디스인게이저 용기 (3) 의 내화물 라이닝을 제거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이런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1차 및 2차 사이클론 (6, 55) 의 조합은 유체 접촉분해기, 유체 코커, 비말동반된 석탄 가스화 장치 및 소형 디스인게이저 용기 또는 소형 내부 사이클론을 갖춘 다른 산업공정을 위한 개장부품으로서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증기중에서 부유된 고체 입자를 분리하여 상기 고체 입자로부터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스트리핑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에 있어서,
    (a) 유동 고체입자를 담고 있는 1차 유동층 영역과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상기 1차 유동층 영역내로 주입하는 1차 수단을 구비한 디스인게이저 용기;
    (b)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부에 포함되고, 원통형 측벽을 가지고 있고, 출구 개구부가 구비된 커버에 의해서 상단부가 폐쇄되고, 그리고 하단부는 개방되며 증기 및 고체입자의 부유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입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수직 1차 사이클론; 및
    (c)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출구 개구부로부터 유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출구 개구부에 연결된 단부를 갖는 제 1 출구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는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내에서 2차 유동층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1차 유동층 영역내로 하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입자를 유동화하거나 스트리핑하기 위하여 가스를 상기 2차 유동층 영역내로 주입하는 2차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 상기 폐쇄단부 부근의 측벽에 배열된 접선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구관의 일부는 상기 1차 사이클론내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이클론은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중간 부분에 동축선방향으로 장착된 1차 와류 안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와류 안정장치의 외경은 제 1 출구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고 상기 1차 와류 안정장치는 상기 제 1 출구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거리로 상기 제 1 출구관의 입구 개구부아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내에 포함되고, 출구 개구부가 구비된 커버에 의해서 상단부가 폐쇄되고, 그리고 하부 부분과 상기 제 1 출구관과 유체 연통하는 입구로 이루어진 2차 사이클론; 및
    (b)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출구 개구부로부터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 2 출구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입구가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상부 부분에 배열된 접선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구관의 일부가 상기 2차 사이클론내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사이클론은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중간 부분에 동축선방향으로 장착된 2차 와류 안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와류 안정장치의 외경은 제 2 출구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고 상기 2차 와류 안정장치는 상기 제 2 출구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거리로 상기 제 2 출구관의 입구 개구부아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입구 부근에서 상기 제 1 출구관의 출구단부에 위치된 벤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구관의 출구단부와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입구사이에 틈새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이탈 스트리핑 장치.
  12.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분리하여 1차 유동층을 구비한 디스인게이저 용기에서 분리된 고체입자로부터 흡착되어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스트리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운송관을 통하여 유동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상기 운송관으로부터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1차 유동층내에 잠겨 있는 개방 하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직 1차 사이클론내로 통과시키는 단계;
    (c) 상기 1차 유동층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1차 유동층의 상부 표면이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 위로 유지되고 상기 1차 유동층의 일부가 상기 개방 하단부에서 상기 1차 사이클론내에 포함되어 2차 유동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고체입자와 증기의 혼합물을 분리된 증기와 흡착되거나 비말동반된 잔류물을 함유하는 분리된 고체입자로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분리된 고체입자를 상기 2차 사이클론내에 포함된 2차 유동층에서 수집하는 단계;
    (f) 가스를 도입하여 상기 분리된 고체입자로부터 상기 잔류물을 스트리핑하여 스트리핑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고체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분리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증기를 상기 1차 사이클론을 통하여 상향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스트리핑된 고체입자를 상기 1차 사이클론의 개방 하단부로부터 상기 1차 유동층내로 유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인게이저 용기에서 보다 약간 더 높은 압력에서 상기 1차 사이클론을 작동시켜 상기 2차 유동층의 상부 표면이 상기 1차 유동층의 상부 표면 아래에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증기와 스트리핑된 증기를 제거하여 상기 1차 사이클론으로부터 상향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를 2차 사이클론내로 도입하는 단계, 비말동반된 고체입자를 상기 2차 사이클론에서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증기 및 상기 고체입자를 상기 2차 사이클론으로부터 별개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사이클론은 상기 1차 사이클론의 압력보다 약간 더 낮은 압력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8263A 1996-05-08 1997-05-07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유체 촉매 분해증류 입자를 이탈시켜 스트리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47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46,607 US5869008A (en) 1996-05-08 1996-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eparation and stripping of fluid catalyst cracking particles from gaseous hydrocarbons
US08/646,607 1996-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82A true KR20000005482A (ko) 2000-01-25
KR100447020B1 KR100447020B1 (ko) 2004-10-14

Family

ID=2459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263A KR100447020B1 (ko) 1996-05-08 1997-05-07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유체 촉매 분해증류 입자를 이탈시켜 스트리핑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869008A (ko)
EP (1) EP0914402B1 (ko)
JP (1) JP3825809B2 (ko)
KR (1) KR100447020B1 (ko)
CN (1) CN1140609C (ko)
AR (1) AR007014A1 (ko)
AU (1) AU703905B2 (ko)
BR (1) BR9708921A (ko)
CA (1) CA2250197C (ko)
DE (1) DE69706545T2 (ko)
EA (1) EA000510B1 (ko)
MY (1) MY120518A (ko)
TW (1) TW350793B (ko)
WO (1) WO1997042275A1 (ko)
ZA (1) ZA9738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6463B1 (en) * 1999-02-23 2005-01-25 Shell Oil Company Gas-solid separation process
MXPA03009472A (es) * 2001-04-20 2004-02-12 Shell Int Research Ciclon separador.
US7160518B2 (en) * 2002-04-11 2007-01-09 Shell Oil Company Cyclone separator
US7250140B2 (en) * 2002-04-11 2007-07-31 Shell Oil Company FCC reactor
US8192614B2 (en) * 2004-09-09 2012-06-05 Kellogg Brown & Root Llc Self-stripping FCC riser cyclone
US7811349B2 (en) 2005-07-12 2010-10-12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vortex stabilizer
WO2007008772A2 (en) * 2005-07-12 2007-01-18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dirt separation and vortex stabilizer
US7484773B2 (en) * 2006-09-22 2009-02-03 Kellogg Brown & Root Llc Self purging expansion joint
US7713491B2 (en) * 2006-12-06 2010-05-11 Kellogg Brown & Root Llc Dual riser venting method and system
FR2910354A1 (fr) * 2006-12-22 2008-06-27 Total France Sa Appareil pour la separation de particules solides de matieres gazeuses et son utilisation.
GB2454690A (en) * 2007-11-15 2009-05-20 Vax Ltd Cyclonic dust separator for a vacuum cleaner
US8398751B2 (en) 2008-07-17 2013-03-19 Kellogg Brown & Root Llc Direct stripping cyclone
US8083838B2 (en) * 2008-07-17 2011-12-27 Kellogg Brown & Root Llc Direct stripping cyclone
TR200903943A2 (tr) * 2009-05-22 2010-06-21 Durmazlar Maki̇na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Bir siklon ayırıcı
EP2539373B1 (en) * 2010-02-24 2019-09-25 Univation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on volatiles from particulates
US8157895B2 (en) 2010-05-04 2012-04-17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 for reducing head space in a pressure cyclone
KR101225047B1 (ko) 2011-06-24 2013-02-06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감압 회분증류를 이용하여 유기물질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IN2014DN10995A (ko) 2012-07-06 2015-09-25 Practical Analyzer Solutions Pte Ltd
AP2016009028A0 (en) * 2013-08-09 2016-02-29 Weir Minerals Australia Ltd Cyclone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s of production
US9663722B2 (en) 2014-11-11 2017-05-30 Uop Llc Fluid catalytic crack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racking hydrocarbons
CA2976692A1 (en) * 2015-03-03 2016-09-0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Improved swirl tube separators
US10213794B1 (en) * 2016-11-18 2019-02-26 Van Tongeren America LLC Cyclone separator with flow altering baffl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451A (en) * 1982-09-16 1984-11-13 Uop Inc.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particulate solids from vapors using a discharge having a helical twist
US4455220A (en) * 1982-12-23 1984-06-19 Shell Oil Company Separation of fluid cracking catalyst particles from gaseous hydrocarbons
US4692311A (en) * 1982-12-23 1987-09-08 Shell Oil Company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fluid cracking catalyst particles from gaseous hydrocarbons
US4581205A (en) * 1983-09-06 1986-04-08 Mobil Oil Corporation Closed cyclone FCC system with provisions for surge capacity
GB2159442B (en) * 1984-05-31 1987-11-25 Shell Int Research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and gaseous materials
US4664888A (en) * 1985-06-27 1987-05-12 Texaco Inc. Fluid catalytic cracking catalyst-vapor separator
FR2586366B1 (fr) * 1985-08-22 1988-02-12 Sames Sa Procede de recuperation de poudr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666675A (en) * 1985-11-12 1987-05-19 Shell Oil Company Mechanical implant to reduce back pressure in a riser reactor equipped with a horizontal tee joint connection
US4692235A (en) * 1986-05-28 1987-09-08 Shell Oil Company Selective placement of fluid injection in a riser reactor equipped with a horizontal tee joint connection to substantially reduce back pressure in the riser reactor
US4731228A (en) * 1986-06-16 1988-03-15 Shell Oil Company Reactor and horizontal cyclone separator with primary mass flow and secondary centrifugal separation of solid and fluid phases
US4693808A (en) * 1986-06-16 1987-09-15 Shell Oil Company Downflow fluidized catalytic cranking reactor process and apparatus with quick catalyst separation means in the bottom thereof
GB2208298B (en) * 1987-07-27 1991-05-15 Mobil Oil Corp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with improved catalyst flow
GB8805755D0 (en) * 1988-03-10 1988-04-07 Shell Int Research Apparatus for separation of solids from mixture of solids & fluid
US4895636A (en) * 1988-06-10 1990-01-23 Mobil Oil Corporation FCC process with catalyst separation
US5158669A (en) * 1990-11-15 1992-10-27 Uop Disengager stripper
CA2080974C (en) * 1990-11-15 2004-02-17 Ismail Birkan Cetinkaya Disengager stripper containing dissipation plates for use in an fcc process
US5248408A (en) * 1991-03-25 1993-09-28 Mobil Oil Corporation Catalytic cracking process and apparatus with refluxed spent catalyst stripper
US5259855A (en) * 1991-09-09 1993-11-09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ized cracking catalysts from hydrocarbon vap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25809B2 (ja) 2006-09-27
US5869008A (en) 1999-02-09
CA2250197C (en) 2005-08-09
CA2250197A1 (en) 1997-11-13
AR007014A1 (es) 1999-10-13
AU703905B2 (en) 1999-04-01
EA199800991A1 (ru) 1999-04-29
KR100447020B1 (ko) 2004-10-14
AU2898997A (en) 1997-11-26
WO1997042275A1 (en) 1997-11-13
DE69706545T2 (de) 2002-04-25
CN1217014A (zh) 1999-05-19
CN1140609C (zh) 2004-03-03
EP0914402B1 (en) 2001-09-05
JP2000509737A (ja) 2000-08-02
EA000510B1 (ru) 1999-10-28
MY120518A (en) 2005-11-30
ZA973879B (en) 1997-11-14
EP0914402A1 (en) 1999-05-12
TW350793B (en) 1999-01-21
BR9708921A (pt) 1999-08-03
DE69706545D1 (de)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020B1 (ko)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유체 촉매 분해증류 입자를 이탈시켜 스트리핑하는 장치 및 방법
EP0848051B1 (en) Fluid catalytic cracking of hydrocarbons with integrate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ripping catalyst
US4043899A (en) Method and means for separating gasiform materials from finely divided catalyst particles
CA1240279A (en) Closed fcc cyclone catalyst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EP0520710B1 (en) Separation of fluidized solids suspended in a gaseous phase
CA1190500A (en)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US5582712A (en) Downflow FCC reaction arrangement with upflow regeneration
US7316733B1 (en) Diffuser for separator vessel
RU2444408C2 (ru) Система впуск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крекинга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катализатором с двумя трубами с восходящим потоком
AU753423B2 (en) Separator apparatus
US5393415A (en) FCC process with enclosed vented riser
US5055177A (en) Closed cyclone FCC catalyst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362379A (en) Open-bottomed cyclone with gas inlet tube and method
US5039397A (en) Closed cyclone FCC catalyst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GB1593157A (en) Fluid cracking process and the method for separating a suspension discharged from a riser cracking zone
US5391289A (en) FCC process with rapid separation of products
US5279727A (en) Open-bottomed cyclone with solids separation tube and method
US4654060A (en) Closed cyclone FCC catalyst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266187A (en) Method for catalytic cracking with post-cyclone inertial separator
EP0169008B1 (en) Fcc catalyst stripping method
US5393414A (en) FCC process with enclosed vented riser
EP0102004B1 (en)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process and apparatus
CA2103188A1 (en) Solids - gas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AU724751B2 (en) Fluid catalytic cracking of hydrocarbons with integrate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ripping catalyst
AU703577B2 (en) Catalytic cracker riser termin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