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129U - 충전전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전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129U
KR20000005129U KR2019980015826U KR19980015826U KR20000005129U KR 20000005129 U KR20000005129 U KR 20000005129U KR 2019980015826 U KR2019980015826 U KR 2019980015826U KR 19980015826 U KR19980015826 U KR 19980015826U KR 20000005129 U KR20000005129 U KR 20000005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constant
charging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5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5129U/ko
Publication of KR20000005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129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충전전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가전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충전전압 공급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부들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정전압 발생부들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중 하나를 충전장치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자동차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전압 공급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충전전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탑재된 전원공급부(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들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전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자동차와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보급속도는 괄목할만 하다. 이는 자동차와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하지만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자동차내에서 소비하고 있으며, 자동차내에서 제3자와의 의사소통을 의한 매개체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자동차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다면 탑승자는 원격지에 위치한 제3자와 통화할 수 없는 관계로 공중전화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 또한 공중전화가 도로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화 불능으로 인한 피해를 볼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내에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등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가전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충전전압 공급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부들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정전압 발생부들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중 하나를 충전장치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전압 공급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도1의 상세회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전압 공급장치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1의 상세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전압 공급장치는 크게 자동차에 구비된 전기,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배터리)(100)와, 상기 전원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20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압부(200)로서 DC-DC컨버터를 사용한다. 상기 DC-DC컨버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압 변압기 T1과 상기 변압기 T1 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정류다이오드 D1, 평활용 커패시터 C1 및 전압강하용 저항 R1으로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승압부는 전원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정류하여 승압된 직류전압으로 출력한다. 정전압 발생부1(300)은 상기 승압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V1전압레벨로 다운시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정전압 발생부1(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PN타입의 트랜지스터 Q1과,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와 접지사이에 직렬접속되는 저항 R3 및 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D2와, 상기 승압부(200)의 전압강하용 저항 R1과 정전압 다이오드 D1과 접속되는 전압강하용 저항 R2와, 상기 저항 R2와 정전압 다이오드 D1의 접속점과 접지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C2로 구성된다. 하기 설명에서 언급되는 정전압 발생부2,3(400,700) 역시 정전압 발생부1(300)과 동일한 구성을 갖으며, 단지 정전압 다이오드의 항복전압과 전압강하용 저항의 용량만이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정전압 발생부2,3(400) 역시 상기 승압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휴대용 가전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V2,V3전압레벨로 다운시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정전압 발생부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500)는 상기 정전압 발생부1,2,3(300,400,700)로부터 출력되는 V1,V2,V3전압레벨을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한다. 충전기(600)는 상기 스위칭부(500)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휴대용 가전기기의 배터리로 공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충전전압 공급장치의 상세회로도를 보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충전전압 공급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원공급부(100)인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12V의 직류전압은 DC-DC컨버터(200)의 승압 변압기 T1에 의해 일차적으로 교류전압으로 변환된후 정류 다이오드 D1 및 평활용 커패시터 C1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직류전압레벨을 35V라 가정하고 정전압 발생부1,2,3(300,400,5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레벨을 각각 12V, 9V, 6V라 가정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상기 DC-DC컨버터(200)로부터 출력되는 35V의 직류전압은 저항 R1과 R2, 저항 R1과 R4, 저항 R1과 R6에 의해 분압된후 저항 R3,R5,R7을 통해 각각 트랜지스터 Q1, Q2, 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1,Q2,Q3의 에미터에서는 미소 전압이 강하된 직류전압레벨 V1(약 12V정도),V2(약 9V정도),V3(약 6V정도)가 각각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정전압 발생부1,2,3(300,400,500)에서 각각 출력된 직류전압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SW) 조작에 따라 충전기(600)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 혹은 탑승자는 충전시키고자 하는 기기의 배터리 충전전압에 따라 스위치(SW)를 조작한후 상기 충전기(700)에 배터리를 장착함으로써 소정 시간 이후에 완충된 배터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내에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휴대용 가전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전압 공급장치를 탑재함으로써, 탑승자 혹은 운전자에게 휴대용 가전기기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충전전압 공급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서로 다른 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발생부들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정전압 발생부들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중 하나를 충전장치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저압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발생부들 각각은;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 콜렉터가 접속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접지사이에 직렬접속되는 저항 R1 및 정전압 다이오드와,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는 전압강하용 저항 R2와,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에 병렬접속되는 노이즈 제거용 커패시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압 공급장치.
KR2019980015826U 1998-08-22 1998-08-22 충전전압 공급장치 KR200000051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826U KR20000005129U (ko) 1998-08-22 1998-08-22 충전전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826U KR20000005129U (ko) 1998-08-22 1998-08-22 충전전압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129U true KR20000005129U (ko) 2000-03-15

Family

ID=6952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826U KR20000005129U (ko) 1998-08-22 1998-08-22 충전전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512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29B1 (ko) * 2005-04-12 2007-06-15 (주)다보컴 차량용 고광도 미등장치
US9172253B2 (en) 2009-12-28 2015-10-27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29B1 (ko) * 2005-04-12 2007-06-15 (주)다보컴 차량용 고광도 미등장치
US9172253B2 (en) 2009-12-28 2015-10-27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358B2 (ja) 機器に電気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982332B2 (en) Power device for a vehicle
KR20070030224A (ko) 에너지 저장부의 직렬로 장착된 각각의 셀들의 충전을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11266549A (ja) 電圧供給装置
US5552692A (en) 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charge pump with a low noise oscillator to reduce interference
US7513323B2 (en) DC-voltage vehicle electrical system
US5892353A (en) Power supply apparatus
US6720676B2 (en) In-vehicle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EP3379685A1 (en) Jump starter apparatus for recharging discharged battery of transportation means
KR20000005129U (ko) 충전전압 공급장치
KR20200060847A (ko) 차량용 점프스타트 장치
US6014321A (en) Electronic switched-mode power supply and its use
JP4256810B2 (ja) 逆起電力防止ユニット
JP2880940B2 (ja) 携帯電話機
JP2009072061A (ja) 逆起電力防止ユニット
JP3072712U (ja) 複合式充電器
KR20180054306A (ko) 자동차용 긴급 충전 시스템
CN115940348B (zh) 机动车的紧急搭电装置、使用方法及启动方法、机动车
KR102501429B1 (ko) 역률 보상부와 컨버터를 통합함으로써 회로 구조를 단순화한 배터리 충전 장치
US20100007407A1 (en) Circuit for generating a negative voltage supply signal, and associated power supply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389569Y1 (ko) 차량 노이즈 필터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직류-직류 컨버터
KR100325208B1 (ko) 멀티 포스트 배터리 및 그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시스템
JP2000092750A (ja) 電源回路
KR100340934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자동차용 핸즈프리장치
JPS63386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