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849A -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849A
KR20000004849A KR1019980035959A KR19980035959A KR20000004849A KR 20000004849 A KR20000004849 A KR 20000004849A KR 1019980035959 A KR1019980035959 A KR 1019980035959A KR 19980035959 A KR19980035959 A KR 19980035959A KR 20000004849 A KR20000004849 A KR 2000000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ctivator
nozzl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성현
Original Assignee
천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성현 filed Critical 천성현
Priority to KR101998003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849A/en
Publication of KR2000000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49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02M27/045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by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activating a fuel installed between a fuel tank and an injector in a fuel supplying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provided. CONSTITUTION: A device for activating a fuel comprises:a metal outer pipe(20) containing a hole(20-1); a front end cap(10) inserted into the front end unit of the outer pipe; an inner pipe(30) inserted to the outer pipe; a fuel inlet nozzle(31) for a fuel to be injected to the inner pipe; a fuel activating unit(60) forming the fuel to a corpuscle for eliminating an impurity; and a fuel outlet nozzle(52) settled to a pressure adjusting unit(50) by a bolt for discharging the fuel.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Fuel Activ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연료 공급 계통에서 연료 탱크와 인젝터 사이에 설치되는 연료 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상 연료를 전기적으로 발생시킨 전기장과 영구 자석의 자력 영향권 내에서 연료 활성화부를 통과시켜 연료 입자를 미립화(이온화), 즉 활성화시키고, 연료 활성화 장치내에서 자력을 이용해서 마이크로필터로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체적시켜 걸러낸 후 내연기관 내로 공급함으로써 내연 기관중에서 액상 연료가 완전 연소되도록 하고, 내연 기관의 수명을 길게하며 아울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용 연료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activator installed between a fuel tank and an injector in a fuel supply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by passing a fuel activator within a magnetic influence zone of an electric field and a permanent magnet electrically generating liquid fuel. Atomizing (ionizing), ie, activating the fuel particles, and using a magnetic force in the fuel activator to filter out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fuel by a microfilter and to feed in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so that the liquid fuel is completely combusted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activ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can reduce the noise and increase the lif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최근에 소음과, 과다한 에너지 소비로 인한 환경 오염의 주 원인인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또 현재 일부는 개발되어 실제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and reduce noise of automobiles,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noise and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and some of them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actual installation.

통상 내연 기관에서의 연료 공급 계통은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가 공급되어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서 연료 여과 필터를 거치게 되고, 그 다음에 인젝터를 통하여 내연 기관내로 공급되어 내연 기관에서의 행정이 이루어져 동력원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the fuel supply system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supplied with fuel from a fuel tank and passed through a fuel filtration filter to filter out impurities. Then, the fuel supply system is supplied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rough an injector, whereby a stroke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generated to generate a power source. do.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용 액상 연료는 분자상으로 되어 있고, 이 분자는 원자와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이 원자는 양전하를 띤 핵을 중심으로 음전하가 일정한 괘도를 그리며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원자 구조의 액상연료에 외부로부터 자장등의 외부 에너지를 가하게 되면 원자 구조가 불안정한 상태로 천이되어 활성화(이온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화 상태를 더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활성 금속에 접촉시켜 활성화시키고, 또 연료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자력과 영구 자석등의 자력을 적절하게 인가하여 액상 연료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이 있다.Generally, the liquid fue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molecular, and this molecule consists of an atom and an electron. In fact, the atom exists in a negative path with a negative charge centered on a positively charged nucleus. When external energy such as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liquid fuel of the atomic structure, the atomic structure transitions to an unstable state and activation (ionization)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maximize the activation state, there is a method of activating the liquid fuel by appropriately applying magnetic force such as an electromagnetic force and a permanent magnet to contact the active metal to activate it, and to further improve fuel efficiency.

이러한 기술의 일례로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93-16426호(등록번호 제95061호)에 기재된 자성체를 이용한 연료활성화 장치를 들수 있다.As an example of this technique, as shown in FIG. 9, a fuel activation device using the magnetic material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93-16426 (Registration No. 95061) can be given.

상기 종래의 연료 활성화 장치는 그 구조가 소정길이를 갖는 중공관인 연료 활성관(100)을 구비하고, 이 연료 활성관(100)은 일측 단부(100a)를 거쳐서 연료 공급측에 접속된 연료 공급관(P)에 플랜지를 사용해서 연결되고, 타측단(100b)을 거쳐서 연료 소비측에 연결된 연료 공급관(P)에 플랜지를 사용해서 연결된다. 이 연료 활성관(100)의 외표면 소정 부위에는 그 활성관(100)을 자화시키기 위한 사각 형태의 영구 자성체(200)가 설치되고, 상기 자성체(200)의 N극이 연료 활성관(100)의 외표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 상기 활성관(100) 내에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다수의 유통공(330)을 갖는 천공된 금속판(300)이 엇갈리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연료활성관(100)과 상기 자성체(200)를 감싸면서 자력유도층(400)이 배치되어 있는 수지재의 케이싱(600)으로 밀폐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fuel activator includes a fuel activation tube 100 whose structure is a hollow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uel activation tube 100 is connected to a fuel supply side P via one end portion 100a. ) Is connected to the fuel supply pipe (P) connected to the fuel consumption side via the other end (100b) using a flange. On the outer surfac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uel active tube 100, a permanent magnet 200 having a square shape for magnetizing the active tube 100 is installed, and the N pole of the magnetic body 200 is the fuel active tube 100. It is a structure arrang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 addition, the perforated metal plate 300 having a plurality of flow holes 3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is alternately inserted in the active tube 100, and the fuel active tube 100 and the magnetic body 200 are alternately inserted. While enclosing the structure, the magnetic induction layer 400 is sealed with a casing 600 made of a resin material.

이러한 구조의 연료 활성화 장치는 미국 특허 제4568901호에 기재된 연료 이온화 기구보다는 그 구조상 자석으로부터 유도되어 연료관에 미치는 자력의 세기가 강하여, 미국 특허 기재의 기술보다는 연료의 이온화율 즉 활성화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고, 상기한 연료 이온화 기구보다 제작 공정이 단순하여 제작비가 저렴하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The fuel activator of this structure has a higher strength of magnetic force induced by a magnet on the fuel pipe than the fuel ionization mechanism described in U.S. Pat.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r than the fuel ionization mechanism described abov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기술들을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한 구성의 연료 활성화 장치가 상당히 개선된 점이 있긴 하나 실제 적용시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ors have diligently studied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but have found that the fuel activation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siderably improved,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following practical applications.

1) 대한민국특허 제95061호의 구성에서는 절곡된 형태의 연료 활성화관은 통로가 좁아 공급되는 연료량에 비해서 연료가 활성화되는 비율이 낮고, 이 관의 중앙 통로에 유통공이 형성된 금속판, 즉 연료활성화 부재가 스크류 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액상 연료 입자의 미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순물이 자력에 의해 끌어 당겨져서 쌓일 경우 상기 활성화관을 막아 버리는 일이 발생하여 활성화장치의 고장의 원인이 되고, 또 이렇게 쌓인 불순물의 배출 처리가 어려워져 그대로 내연기관 내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연료 분사 노즐을 막아버리거나, 심지어는 내연 기관내로 그대로 유입될 경우 내연 기관의 고장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이러한 불순물 유입으로 인하여 엔진 내부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주원인이 되기도 한다.1) In the configuration of Korean Patent No. 95061, the bent fuel activator tube has a narrow passage and a low rate of fuel activation compared to the amount of fuel supplied, and a metal plate having a distribution hole formed in the central passage of the tube, that is, the fuel activating member is screwed. It is formed in a phase, when the impurities generated in the atomization process of the liquid fuel particles are attracted and accumulated by the magnetic force to block the activation tube occurs, causing the failure of the activation device, and discharge of the accumulated impurities It becomes difficult to process and moves insid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blocks the fuel injection nozzle or even cause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fail if it flows in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inflow of impurities causes vibration and noise inside the engine. It can also be a major cause.

2) 또 상기한 종래의 연료 활성화 장치는 자성체의 자력이 연료 활성화관 주위로 유도되고, 상기 연료 활성화관 및 연료 활성화 부재가 자화된 상태에서 액상 연료가 절곡된 연료 활성화관을 통과하면서 자화되어 액상 연료의 미립화가 이루어지는 소위 간접 자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활성화 장치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한 전도성이 커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성체의 자화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렇게 자화강도가 저하되면 연료의 이온화(미립화), 즉 활성화 효율이 현격하게 저하되어 버린다.2) In the conventional fuel activator,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is induced around the fuel activator tube, and the liquid fuel is magnet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ent fuel activator tube while the fuel activator tube and the fuel activator member are magnetized. It is a so-called indirect magnetization method where fuel atomization takes place. However, this method has a high conductivity with respect to heat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activator, and the magnetization strength of the magnetic material decreases over time. Therefore, when the magnetization strength is reduced in this way, the ionization (particulation) of the fuel, that is, the activation efficiency is drastically lowered.

3) 또 종래의 연료 활성화 장치는 연료 활성화 장치의 연료 유입구 또는 출구 즉 활성화관의 양 끝부에 연료 호스를 커플링을 이용하여 호스를 끼우고 밴딩하여 설치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충격이나 진동등 예를 들어 6∼7kg/㎠ 정도의 압력하에서도 호스가 활성화 장치로부터 이탈되어 버려 누유되는 등의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가 있고, 장착시에도 수공이 많이 필요한 번거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캐이싱이 수지로 되어 있어 내연 기관 자체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서 쉽게 변형되는 일이 많고, 활성화 장치등을 둘러싸고 있는 각종 외부 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해 영구 자성체의 자력이 상실되어 연료 활성화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 외부 기기로부터 발생하여 연료 활성화장치 내로 유입되는 각종 전자파(마이크로파)의 자력 간섭에 의해서도 연료의 미립화 즉 활성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3)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uel activator is installed at the fuel inlet or outlet of the fuel activator, i.e., at both ends of the activator tube by coupling the hose to the fuel hose using a coupling and banding. For example, there is a serious safety problem such that the hose is released from the activator and leaked even under a pressure of about 6 to 7 kg / cm 2, and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manual work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casing is made of resin, it is often easily deformed by the high heat generated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self, and the heat generated from various external engines surrounding the activating device lo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ic material, thereby improving fuel activation efficiency. Significantly lowe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fuel atomization, that is, activation efficiency, is lowered by magnetic interference of various electromagnetic waves (microwaves) generat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introduced into the fuel activato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를 연료 계통의 연료 공급 파이프중 연료탱크와 내연 기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쪽에서 유입된 연료가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활성화 금속망과 영구 자석을 각각 갖는 1차 연료 활성화부와 2차 연료 활성화부로 된 연료 활성화부를 차례로 거치면서 연료의 미립화를 촉진하고, 또 상기 자력으로 연료내의 불순물을 갭(마이크로필터)에 모아 제거한 후 내연기관으로 공급함으로써 기관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내연 기관의 고열로 인해 상실되는 자력을 계속적으로 보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연료활성화 장치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fuel activation device is installed between the fuel tank an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fuel supply pipe of the fuel system, the fuel introduced from the fuel tank side is the fuel activation devic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uel activation section consisting of a primary fuel activator and a secondary fuel activator, each having an active metal mesh and a permanent magnet in order to promote atomization of the fuel, and the magnetic force impregnates the impurities in the fuel (micro By collecting the filter and then supplying it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can reduce engine noise, extend its life and at the same time achieve optimum energy efficiency, and by continuously replenishing the magnetic forces lost by the high hea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ermanently extending the life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is a technical challenge. The.

또 본 발명은 연료조절부에 연료압력 자동조절밸브를 설치하여 활성화장치의 연료 내압에 따라 개방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적정량의 액상연료가 내연기관으로 공급되게 하고, 잉여 연료는 리턴노즐을 통하여 회수되도록 함으로서 연료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fuel pressure automatic control valve in the fuel control unit, the opening degre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fuel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to supply the appropriate amount of liquid fuel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surplus fuel is recovered through the return nozzle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aim at fuel reduction by making it possible.

도1은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 절개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cutaway state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중에서 연료활성화부(60)를 도시한 상태의 단면도.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el activator 60 in the fuel activ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도4a의 우측면도.4B is a right side view of FIG. 4A.

도5a는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연료 압력 조절부(50)를 도시한 정면도.Fig. 5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portion 50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b는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연료 압력 조절밸브(51)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 5B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portion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연료 유입 노즐(연료 배출 노즐)을 나타낸 정면도.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uel inflow nozzle (fuel discharge nozzle)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의 내압이 낮음에 따라 연료가 남을 경우 연료탱크로 연료를 회수하는 리턴 노즐(500)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return nozzle 500 for recovering fuel to a fuel tank when fuel remains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 is mounted.

도8은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에 리턴노즐(500)을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eturn nozzle 500 is attached to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종래의 연료활성화 장치(1)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uel activation device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유입 노즐이 나삽되는 홀을 갖는 금속재 외통 ; 이 외통의 전단부에 끼워져 외통의 앞부분을 밀폐하는 전단캡 ; 전원 공급선이 설치된 돌출 헤드와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기를 유도하는 제1 전자기 유도 코일이 감겨져 있고,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몸체에는 전자기를 유도하는 제2 전자기 유도 코일이 감겨져 있으며, 전단부 일측에는 연료 유입 노즐이 상기 외통의 홀을 거쳐서 나삽되는 홀을 갖고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내통 ; 상기 내통에 형성된 홀에 나삽되어 설치되어 있고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내통으로 유입되는 연료 유입 노즐 ; 상기 내통의 안쪽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연료를 미립화시키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차 연료활성화부와 제2차 연료활성화부로 된 연료 활성화부 ; 상기 내통과 연료활성화부가 삽입되어 있는 외통의 말단에 나삽되어 외통의 내부를 밀폐하는 후단캡 ; 상기 후단캡의 후부에 내연기관의 최대출력에 대비하여 초미립화된 연료를 저장되는 연료 저장부 ; 활성화장치의 내압에 따라 밸브의 개폐도가 자동 조절되고, 이 개폐도에 따라 내연기관쪽으로 연료가 공급되거나 잉여 연료가 리턴노즐을 거쳐서 연료탱크로 회수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 압력 조절 밸브를 구비한 압력조절부 ; 상기 압력 조절부에 나사 맞춤되어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 배출 노즐을 구비한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outer cylinder having a hole into which a fuel inflow nozzle is inserted; A shear cap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cylinder to seal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A firs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is wound between the protruding head and the front end where the power supply line is installed to induce electromagnetic, and a second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for inducing electromagnetic is wound around the body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 inner cylinder having a hole into which a fuel inflow nozzle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of the outer cylinder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A fuel inlet nozz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and into which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flows into the inner cylinder; A fuel activator including a first fuel activator and a second fuel activator installed at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ylinder to atomize the introduced fuel and remove impurities; A rear end cap which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outer cylinder into which the inner cylinder and the fuel activator are inserted to seal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A fuel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ultra-fine fuel in a rear portion of the rear end cap in preparation for the maximum outpu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valv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an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a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provided for adjusting the pressure so that fuel is suppli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surplus fuel is returned to the fuel tank through the return nozzle. One pressure regul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activator having a fuel discharge nozzle which is screwed into the pressure regulator to discharge fu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료 활성화부에는 N 자력을 유도하는 코발트 영구 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과 인접하여 유입되는 액상 연료가 통과 하면서 미립화 되는 적어도 1단 이상으로 구성된 활성화 금속망과, 상기 활성화 금속망과 인접하여 구비된 복수개의 링상 영구 자석과, 상기 링상 영구 자석 사이에 복수개 교대로 삽입 설치된 고분자촉매링을 구비하는 제1차 활성화부 ; 상기 제1차 활성화부에 인접 대향하여 복수개의 영구 자석과 복수개의 고분자촉매링이 교대로 설치되어 연료 입자를 상기 제1차 활성화부에서 미립화된 연료를 더 미립화시키는 2차 활성화부와 ; 상기 1차 활성화부와 상기 제2차 활성화부 사이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자기파를 유도해서 상기 활성화 금속망내에 설치된 카본에 전달, 일정파를 유도하여 상기 활성화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를 통과하는 액상 연료를 더 미립화 시키기 위한 외부 전자기파 유도코일 ; 상기 전자기파 유도 코일의 내부에 카본으로 채워진 활성화 금속망을 구비한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ated metal network comprising a cobalt permanent magnet for inducing N magnetic force and at least one stage of atomization while the liquid fuel flowing adjacent to the permanent magnet passes through the fuel activator; A first activ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provided adjacent to the activating metal network, and a polymer catalyst ring alternately inserted between the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A secondary activator configured to alternately install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and a plurality of polymer catalyst rings adjacent to the first activator to further atomize fuel particles atomized in the first activator; Induces electromagnetic waves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between the primary activator and the secondary activator to deliver to the carbon installed in the activating metal mesh, induces a constant wave to pass the liquid fuel passing through the passage formed through the activator Exter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s for further atomization; It is to provide a fuel activation device having an activated metal network filled with carbon inside the electromagnetic wave induction coi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과 고분자촉매링은 서로 교호로 삽입 설치되어 있고, 교대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영구 자석과 고분자촉매링의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된 갭(이하 종종 마이크로 필터라고도 함 : H)에는 상기 액상 연료의 미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끌려 체적된후 배출되도록 하는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and the polymer catalyst ring are alternately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the gap form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s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polymer catalyst ring that are alternately inserted (hereinafter often referred to as micro Also referred to as a filter: H) provides a fuel activation device that allows impurities generated in the atomization process of the liquid fuel to be discharged after being draw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화 금속망을 실리콘으로 코팅한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activation device coated with a silicon activating metal mes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내통과 외통에 형성된 홀과 상기연료 압력 조절부에 각각 나삽된 상기 연료 유입 노즐과 연료 배출 노즐의 단부가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 호스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한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nd of the fuel inlet nozzle and the fuel discharge nozzle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fuel pressure control unit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so as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hose It is to provide a fuel activation device that does not esca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턴 노즐의 내측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어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 밸브의 주변 돌출부에는 알루미늄 3단 박막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 유입 노즐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활성화 과정을 거쳐 기관 쪽으로 공급될 때 연료의 압력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리턴 노즐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이 상승된 압력을 감지하여 체크 밸브에 전달하고 이렇게 전달된 압력에 의해서 체크 밸브가 개방되어 활성화 장치내의 잉여 연료를 연료탱크(도시하지 않음)로 리턴시키고, 이러한 리턴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연비를 적절하게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소음감소 등의 효과를 더 거둘수 있는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ring is installed inside the return nozzle, the support valve is supported by the spring is installed, the peripheral projection of the check valve is provided with an aluminum three-stage thin film plate, the fuel inflow nozzle When the fuel flowed from the engine is activated and supplied to the engine, if the pressure of the fuel rises above the specified value, the spring mounted on the return nozzle senses the increased pressure and transmits it to the check valve and checks the pressure by the pressure delivered. The valve is opened to return surplus fuel in the activator to the fuel tank (not shown), and by installing such a return nozzle, fuel economy can be properly and automatically maintained to save fuel and further reduce noise. To provide a retrievable fuel activ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압력 조절부에, 보디내에 관 직경이 서로 다른 2종류의 관로를 갖는 샤프트가 스프링에 지지되고 스토퍼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연료 압력 조절밸브를 갖는 연료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activation device having a fuel pressure control valve having a fuel pressure regulating section in which a shaft having two kinds of pipe paths having different pipe diameters in the body is supported by a spring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topper.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의 내압이 낮은 상태에서 운행이 되면 상기 연료 압력 조절 밸브의 샤프트 헤드가 밸브 보디의 통로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관로만을 거쳐서 연료가 기관쪽으로 공급되고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내에 남는 여분의 연료는 리턴노즐에 의해서 연료탱크쪽으로 회수되고,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의 내압이 높은 상태에 운행이 되면 상기 연료 압력 조절 밸브의 샤프트가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에서 뒤로 밀리면서 밸브보디의 전단 구멍과 샤프트의 두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가 개방되어 더 많은 연료가 기관쪽으로 공급되도록 된 것이 특징인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fuel to the engine via the pipeline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haft head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blocks the passage of the valve bod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activator is operated at a low pressure. The excess fuel remaining in the system is returned to the fuel tank by the return nozzle. When the fuel activation device is operated at a high internal pressure,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pushed backward while the shaft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supported by the spring. It is to provide a fuel activ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a passage formed between the shear hole and the head of the shaft is opened so that more fuel can be supplied to the engi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이 더 명확해질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도2, 도3, 도4a 및 도4b에서, 부호 10은 외통의 앞쪽에 나삽되는 전단캡, 20은 외통, 30은 내통, 31은 연료 유입 노즐, 40은 상기 전단캡과 대향하여 외통의 후부에 나삽되어 외통을 밀봉하는 후단캡이고, 50은 연료 압력 조절부, 60은 제1차 연료활성화부와 제2차 연료활성화부로 구성된 연료 활성화부이다.1, 2, 3, 4a and 4b,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hear cap which is threaded in front of the outer cylinder, 20 an outer cylinder, 30 an inner cylinder, 31 a fuel inlet nozzle, and 40 opposite the shear cap. The rear end cap is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to seal the outer cylinder, 50 is a fuel pressure control unit, 60 is a fuel activator consisting of a primary fuel activator and a secondary fuel activator.

여기서,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는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듀랄미늄재의 외통(20)을 갖고, 이 외통(20)에는 내통(30)의 홀(31-1)과 수직으로 일치된 홀(20-1)이 형성되어 있어 연료 유입 노즐(31)이 상기 두 개의 홀(20-1, 31-1)을 거쳐서 내통(30)에 나삽된다. 또 상기 외통(20)의 전단부(36)에는 내통(30)의 나사부(38)와 전단캡(10)의 내측 나사부(10-1)와 나삽되어 내통(30)이 외통(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Here, the fuel activ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cylinder 20 made of a duranium material for protecting internal components, and the outer cylinder 20 has a hole vertically coincident with the hole 31-1 of the inner cylinder 30. 20-1 is formed, and the fuel inflow nozzle 31 is inserted into the inner cylinder 30 via these two holes 20-1 and 31-1.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36 of the outer cylinder 20 is threaded with the threaded portion 38 of the inner cylinder 30 and the inner threaded portion 10-1 of the shear cap 10 so that the inner cylinder 3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ylinder 20. It is not installed.

그리고 상기 외통(20)의 안쪽으로는 내통(30)이 삽입되고, 상기 내통(30)의 전단부(36)와 후단부(37)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S극성의 전자기력을 인가하여 영구 자석(63, 63-1, 63-2, 63-3,…)에 자력을 보충하는 제1 전자기 유도 코일부(33)가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헤드(35)와 전단부(36) 사이에서는 S극성의 전자기력을 인가하여 상기 영구자석에 자력을 추가 보충하는 제2 전자기 유도 코일부(34)를 구비하고 있다.An inner cylinder 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20, an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36 and the rear end portion 37 of the inner cylinder 30, and applies a S-polarity electromagnetic force to form a permanent magnet ( 63, 63-1, 63-2, 63-3,... Are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portion 33 to supplement the magnetic force, and between the head 35 and the front end portion 36. A second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unit 34 is provided to appl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polarity to supplement the magnetic force to the permanent magnet.

상기한 제1 전자기 유도 코일부(33)와 제2 전자기 유도 코일부(34)에서 유도되는 S극성의 전자기력은 내열등에 의해서 소실되는 자력을 계속해서 링상영구자석에 보충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The S-polarity electromagnetic force guided by the firs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unit 33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unit 34 serves to supplement the ring-shaped permanent magnet with the magnetic force lost by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상기 내통의 헤드(35)에는 외부로부터 이 연료 활성화 장치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32)이 구비되어 있어, 제1 전자기 유도 코일부(33)와 제2 전자기 유도 코일부(34)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 전원 공급선의 보통 차량의 밧데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The head 35 of the inner cylinder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32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fuel activator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portion 33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portion 34 are provided with current. Will be supplied. This power supply line is usu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of a vehicle (not shown).

다음에 상기 내통(30)의 안쪽으로 안착되는 연료 활성화부(60)에 대해서 도1, 도2, 도3, 도4a, 도4b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fuel activator 60 seated inwardly of the inner cylind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4A, and 4B.

연료 활성화부(60)는 N극성의 자력을 유도하여 유입되는 액상 연료에 자력을 가하는 코발트 영구 자석(61)과, 상기 영구 자석(61)과 인접 설치하여 유입되는 액상 연료가 통과 하면서 미립화 되도록 내부에는 카본이 충전된 상태로 감겨져 있는 적어도 1단 이상으로 구성된 활성화 금속망(62)과, 상기 활성화 금속망(62)과 인접하여 구비된 복수개의 링상 영구 자석(63, 63-1, 63-2)과 이 링상 영구 자석(63, 63-1, 63-2)과 교대로 삽입된 복수개의 고분자촉매링(64-1, 64-2)을 구비하는 1차 활성화부(60')를 구비하고 있다.The fuel activator 60 has a cobalt permanent magnet 61 for inducing magnetic force to the liquid fuel introduced by inducing N-polar magnetic force and the liquid fuel introduced by being installed adjacent to the permanent magnet 61 to be atomized while passing. An activated metal mesh 62 composed of at least one stage wound around a state filled with carbon, and a plurality of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63, 63-1, and 63-2 provided adjacent to the activated metal mesh 62. ) And a primary activation part 60 'having a plurality of polymer catalyst rings 64-1, 64-2 inserted alternately with the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have.

또 상기 1차 활성화부(60')에 인접 대향하여 복수개의 링상 영구 자석(63-2, 63-3)과 복수개의 고분자촉매링(64-3, 64-4, 64-5)이 교대로 설치되어 제1차 연료활성화부 거쳐 미립화된 연료입자를 더 미립화시키는 2차 활성화부(60")와, 활성화 장치(1)의 외부로부터 침입 하는 전자기파를 유도해서 활성화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로(67)를 통과하는 액상 연료를 더 미립화 시키기 위한 외부 전자기파 유도 코일(65)이 상기 1차 활성화부(60')와 상기 2차 활성화부(6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기파 유도 코일(65)의 내부에는 카본으로 채워진 활성화 금속망(62-1)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63-2, 63-3 and a plurality of polymer catalyst rings 64-3, 64-4, 64-5 alternately face each other adjacent to the primary activation part 60 '. A secondary activator 60 " installed to further atomize the atomized fuel particles via the primary fuel activator, and a passag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ctivator to guide electromagnetic waves invading from outside of the activator 1; An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 induction coil (65) is provided between the primary activator (60 ') and the secondary activator (60 ") for further atomizing the liquid fuel passing through), and the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 induction coil (65) ) Is provided with an activated metal mesh 62-1 filled with carbon.

다음에 이러한 구성의 연료 활성화부(60)에서 연료가 유입되어 미립화(활성화)되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in which fuel is introduced, atomized (activated) and supplied from the fuel activator 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외통(20)과 내통(30)의 홀(20-1, 31-1)을 거쳐서 나삽되어 있는 상기 연료 유입 노즐(31)로부터 유입되는 액상 연료가 금속재의 실리콘 코팅이 되어 있는 활성화 금속망(62)에 접촉하게 되고 이를 거치면서 연료의 액상 입자가 전자 해리되어 미립화(활성화) 된다.Activated metal mesh with a liquid silicon coating of the liquid fuel flowing from the fuel inlet nozzle 31,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holes (20-1, 31-1) of the outer cylinder 20 and the inner cylinder 30 ( 62), the liquid particles of the fuel are electron dissociated and atomized (activated) as it passes through.

이때 상기 활성화 금속망(62)의 앞쪽에 구비되어 있는 N극성을 유도하는 코발트 영구 자석(61)과 상기 활성화 금속망(62)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는 S극성을 갖는 영구 자석(63, 63-1)의 자력에 의해서 액상연료가 1차로 미립화 된다. 이렇게 1차 미립화(활성화)된 액상 연료는 통로(67)를 거쳐서 1차 활성화부(60')와 2차 활성화부(60")을 거치면서 초미립화된다. 즉 무화 상태로 된다.At this time, the cobalt permanent magnet 61 which induces the N polarity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activation metal mesh 62 and the permanent magnets 63 and 63-having the S polarity which ar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ctivation metal mesh 62. The liquid fuel is first atomized by the magnetic force of 1). This primary atomized (activated) liquid fuel passes through the passage 67 through the primary activator 60 ′ and the secondary activator 60 ″ and becomes ultrafine.

이때 연료 입자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불순물이 상기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끌어 당겨져 링상영구자석(63, 63-1…)과 고분자촉매링(64-1, 64-2…)의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된 갭(마이크로 필터(H))내에 체적되게 된다. 이렇게 불순물이 걸러진 무화 상태의 액상 연료는 임시 연료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다가 연료 압력 조절부(50)의 압력조절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라 적정량의 액상 연료가 연료 배출노즐(52)을 거쳐서 내연 기관으로 공급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metallic impurities contained in the fuel particles are attra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63, 63-1…) and the polymer catalyst rings (64-1, 64-2…) It becomes a volume in the gap formed (micro filter H). In this way, the atomized liquid fuel in which the impurities are filtered is stored in the temporary fuel storage unit 80,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liquid fuel is used to open the fuel discharge nozzle 52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of the fuel pressure adjusting unit 50. It is then suppli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여기서 상기 연료 활성화부(60)의 영구 자석(63, 63-1, 63-2‥·)들은 차량내부 특히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열과 외부의 각종 장치로부터 가해지는 열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게 됨에 따라 자력이 소실되게 된다.Here, the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 of the fuel activator 60 have a magnetic force as time passes due to high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a vehicle, in particular, an engine and heat applied from various external devices. This will be los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에서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부(33, 34)에서 끊임없이 자력을 상기 영구 자석(63, 63-1, 63-2,…)으로 보충 제공함으로써 자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apparatus, the magnetic force is kept constant by continuously providing the magnetic force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parts 33 and 34 to the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또한 상기 제1 전자기 유도 코일부(33)는 항상 S극을 유도함으로써 연료 활성화 장치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즉 링상영구자석(63, 63-1, 63-2…)과 상기 유도코일부로부터 생성되는 극성이 동극성이어서 자력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unit 33 always induces the S pole, thereby preventing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from the fuel activation devic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at is, the polarity generated from the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 and the induction coil portion is the same polarity and also serves to prevent the magnetic force lin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다음에 도5a, 도5b와 도6을 참조하여 연료 압력 조절부(50)에 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 조절 밸브(51) 및 연료 유입 노즐(31), 연료 배출 노즐(52)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5A, 5B, and 6,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the fuel inlet nozzle 31, and the fuel discharge nozzle 52 provided therein in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도5a,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배출 노즐(52)과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로 된 연료 압력 조절부(50)는 상기 외통(20)의 후단캡(40)에 나삽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a fuel pressure regulating portion 50 composed of a fuel discharge nozzle 52 and a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is screwed into the rear end cap 40 of the outer cylinder 20.

상기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는, 보디(51-1)내에 관경이 서로 다른 2종류의 관로(51-33, 51-34)를 갖는 샤프트(51-3)가 스프링(51-4)에 지지되어 스토퍼(51-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has a shaft 51-3 having two kinds of pipe passages 51-33 and 51-34 having different pipe diameters in the body 51-1. It is supported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topper 51-2.

이러한 구성의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에서 연료활성화 장치의 내부의 압력이 낮은 상태(저속 운행시, 공급되는 연료량이 적음)에서 운행이 되면, 상기 샤프트(51-3)가 밸브의 통로(51-5)를 막은 상태에서 샤프트(51-3)의 관로(51-33, 51-34)만을 거쳐서 연료가 공급된다.When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nside the fuel activator is low (when driving at a low speed, the amount of fuel supplied is small), the shaft 51-3 is a passage 51 of the valve. The fuel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conduits 51-33 and 51-34 of the shaft 51-3 in the state of -5).

그리고 연료활성화 장치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 즉 연료의 유입량이 많아 질 경우, 상기한 압력 조절 밸브(51)가 더 개방되면서 연료저장부(80)의 연료가 기관으로 공급되고 남는 여분의 연료는 리턴노즐(500)에 의해서 연료탱크쪽으로 회수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fuel activator increases, that is, when the fuel flow rate increases,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is further opened, and the fuel of the fuel storage unit 80 is supplied to the engine, and the remaining excess fuel is returned. The nozzle 500 is recovered toward the fuel tank.

그러나 고속주행으로 갈수록 즉 연료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샤프트(51-3)가 스프링(51-4)에 지지된 상태에서 뒤로 밀리면서(점선으로 표시한 상태) 보디(51-1)의 전단 구멍과 샤프트(51-3)의 두부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51-5)가 개방되어 더 많은 연료가 기관쪽으로 공급되게 되고(이때 다시 내압이 낮아짐).However, when the fuel pressure rises above the prescribed value as the speed increases, the front end of the body 51-1 is pushed backward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while the shaft 51-3 is supported by the spring 51-4. A passage 51-5 formed between the hole and the head of the shaft 51-3 is opened so that more fuel is supplied to the engine (at which time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again).

상술한 연료의 리턴 과정과 공급 관계를 활성화된 액상 연료의 흐름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The return process and supply relationship of the above-described fu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activated liquid fuel.

상기 압력 조절 밸브(51)와 리턴 노즐(500)은 서로 활성화 장치의 내압에 따라 서로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부(60)를 거쳐서 활성화된 연료가 연료 임시 저장부(80)에 모이게 되고, 고속주행시에는 연료량이 많이 필요하므로 순간적으로 압력이 높아지고 연료압력 조절 밸브(51)의 샤프트(51-3)가 도5b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뒤로 밀려 개방되므로 연료가 대량으로 내연 기관쪽으로 공급되므로 활성화 장치의 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압력조절밸브(51)가 개방되므로 리턴 노즐(500)쪽에는 영향을 별로 미치지 않게 되고 회수되는 량이 적다. 그러나 운행 속도가 떨어지게 되면, 연료가 공급되는 량이 줄어들게 되고 연료 저장부의 연료가 빠져 나가지 못한 상태이므로 내압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이렇게 높아진 내압이 리턴 노즐(500)쪽으로 전달되고, 이것이 감지되어 체크밸브(502)가 열려 활성화 장치내에 존재하는 잉여 연료가 연료탱크 쪽으로 회수되는 과정을 거친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and the return nozzle 5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For example, the fuel activated through the activator 60 is collected in the fuel temporary storage unit 80, and a large amount of fuel is required during high-speed driving, so the pressure is momentarily increased and the shaft 51- of the fuel pressure control valve 51 is increased. Since 3) is pushed back open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5B, the fuel is supplied in a large amount towar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so the pressure in the activator is kept constant. At this time, since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is opened, the influence of the return nozzle 500 is less affected, and the amount recovered is small. However, if the running speed is reduced, the amount of fuel supplied is reduced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because the fuel is not drawn out of the fuel storage unit. At this time, the increased internal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return nozzle 500, and this is sensed so that the check valve 502 is opened to recover the surplus fuel existing in the activation device toward the fuel tank.

여기서는 간단히 한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와 리턴 노즐(500)과의 관계와 연료의 흐름을 일부 프로세서만을 발췌하여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러한 과정이 계속해서 순간 반복되게 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and the return nozzle 500 and the flow of fuel are briefly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only a few processors, but this process is continuously repeated.

결론적으로 연료활성화 장치내의 압이 전체적으로 높아지면,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와 리턴밸브(500)는 개방되고, 압이 낮아지면 상기 두 장치는 폐쇄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시차가 있으나 순간적으로 두 장치가 압력의 영향으로 개폐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료 공급과 리턴 과정을 이룬다.In conclusion, when the pressure in the fuel activator becomes high as a whole,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and the return valve 500 are opened, and when the pressure is lowered, the two devices are closed. This process is time lag but instantaneously the two devices are opened and closed under the influence of pressure, resulting in a fuel supply and return process.

다음에 도6에 도시한 노즐은 동일한 형태로서 연료 유입 노즐과, 연료 배출 노즐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상기한 도5a,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배출 노즐(52)이 연료 압력 조절밸브(51)의 후단에 나삽되고, 연료 유입 노즐(31)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통(20)과 내통(30)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거쳐서 나삽되어 있다.Next, the nozzle shown in Fig. 6 is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uel inlet nozzle and the fuel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fuel discharge nozzle 52 has a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as shown in Figs. 5A and 5B. In the case of being used as the fuel inflow nozzle 31, the screw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outer cylinder 20 and the inner cylinder 30.

도4a와 도4b로 되돌아가서 설명하면, 상기 코발트 영구 자석(61)으로 부터 인가되는 N극성의 자력과 상기 영구 자석(63, 63-1, 63-2, 63-3,…)으로 부터 인가되는 S극성의 자력 의해서 액상 연료의 전자운동 배열을 빠르게 하고, 상기 활성화부(60)의 통로(67)를 거쳐서 이동하는 연료입자는 상기 고분자촉매링(64-1, 64-2, 64-3, 64-4)과 상기영구 자석(63, 63-1, 63-2, 63-3,…) 사이에 갭(H)이 형성되어 있어 연료의 미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순물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끌려 쌓이게 된다. 또 활성화장치의 중앙을 관통해서는 연료 입자가 통과하는 통로(67)가 형성되어 있다.4A and 4B, the N-polar magnetic force applied from the cobalt permanent magnet 61 and the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63-3, ... are applied. The S-polar magnetic force is used to accelerate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n movement of the liquid fuel, and the fuel particles moving through the passage 67 of the activator 60 are the polymer catalyst rings 64-1, 64-2, and 64-3. , 64-4) and a gap H is form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63-3,... Are attracted and stacked. In addition, a passage 67 through which fuel particles pass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activator.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1차 활성화부(60')와 2차 활성화부(60")를 통과하는 연료는 완전 무화 상태가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fuel passing through the primary activator 60 'and the secondary activator 60 "is completely atomized.

또 상기 영구 자석(63, 63-1, 63-2, 63-3,…)은 코일(33, 34)에서 얻어지는 전자력으로부터 자력을 계속해서 보충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영구자석은 고온 상태에서도 자화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계속해서 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활성화 장치의 연료 활성화 효율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63-3, ... continue to replenish their magnetic force from the electromagnetic force obtained by the coils 33,34. Therefore, the permanent magnet can maintain the magnetic force without deteriorating the magnetization strength even at a high temperature state, thereby being a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fuel activation efficiency of the activator.

또 상기 고분자 촉매링(64-1, 64-2, 64-3, 64-5…)의 재질료는 바이오 세라믹과 홍문석을 갈아서 적당한 비로 혼합한 혼합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olymer catalyst ring (64-1, 64-2, 64-3, 64-5 ...) is preferably made of a mixture of grinding the bio-ceramic and red moonstone in a suitable ratio.

다음에 도7을 참조하여 잉여연료가 회수되는 리턴 노즐(5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return nozzle 500 in which surplus fuel is recover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인 연료 활성화 장치(1)에서 연료 유입 노즐(31)과 인접하여 내부 압력에 따라 연료량이 자동으로 회수되는 리턴 노즐(500)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return nozzle 500 is installed in which fuel amount is automatically recovered in accordance with an internal pressure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uel inflow nozzle 31.

여기서는 상술한 예에서 리턴 노즐(500)을 장착하여 활성화장치(1)의 내압이 상승할 경우 상기 활성 장치 내의 잉여 연료를 연료 탱크로 리턴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리턴노즐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연료 활성화율을 더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Her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1 is increased by mounting the return nozzle 500, the surplus fuel in the activator is returned to the fuel tank. By installing additional return nozzles, the fuel activation rate can be finely adjus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리턴노즐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turn nozz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부호 500은 리턴 노즐이고, 501은 스프링, 502는 체크 밸브이다.Reference numeral 500 is a return nozzle, 501 is a spring, and 502 is a check valve.

상기 연료 유입 노즐(31)과 나란하게 리턴 노즐(500)을 구비하고 상기 리턴 노즐(500)의 내측에는 스프링(50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스프링(501)상에 지지되어 체크 밸브(5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체크 밸브(502)의 주변 돌출부(503)에는 알루미늄 3단 박막판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리턴 노즐(500)은 상술 하였으나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와 연료 활성화 장치의 내압에 따라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다.A return nozzle 50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uel inflow nozzle 31, and a spring 501 is provided inside the return nozzle 500, and is supported on the spring 501 to check the valve 502. Is provided, and the peripheral protrusion 503 of the check valve 502 is provided with an aluminum three-stage thin film plate. Although the return nozzle 500 i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and the fuel activator.

상기 연료 유입 노즐(31)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활성화 과정을 거치고 기관 쪽으로 공급될 때 연료의 압력이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의 샤프트(51-3)의 두부를 밀어내고 일정량이 배출노즐을 거쳐서 빠져나간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밸브(51)의 개도 정도에 따라 활성화장치의 내압이 변동하게 된다.When the fuel flowing from the fuel inlet nozzle 31 undergoes an activation process and is supplied to the engine, if the pressure of the fuel rises above a prescribed value, the head of the shaft 51-3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is pushed out. A certain amount exits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At this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i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이때 활성화 장치의 내압이 상승하면 상기 리턴 노즐(500)쪽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501)이 상승한 압력을 감지하여 체크 밸브(502)에 전달하고, 이 전달된 압에 의해서 체크 밸브(502)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바뀌어 활성화 장치내의 잉여 연료가 연료탱크(도시하지 않음)쪽으로 회수된다. 이렇게 잉여 연료가 회수된 후 활성화장치의 내압은 다시 원상 복귀되어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increases, the spring 501 mounted on the return nozzle 500 senses the increased pressure and transmits it to the check valve 502, and the check valve 502 is closed by the transmitted pressure. In the activated state, the excess fuel in the activator is recovered to the fuel tank (not shown). After the excess fuel is recover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ctivato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level to maintain the proper level.

결과적으로 상기 리턴 노즐(31)과 압력 조절 밸브(51)와는 활성화장치내의 압력치에 따라 서로 연동하게 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turn nozzle 31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5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in the activator.

이와 같이 리턴노즐과 압력 조절 밸브를 구비함으로서 연비를 적절하게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적정량의 연료를 기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 감소등의 효과를 더 거둘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return nozzle and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can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maintain the fuel efficiency appropriately, thereby saving fuel, and supplying the engine with the appropriate amount of fuel to reduce the noise. do.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기후 조건은 날씨가 맑고(바람 영향무시), 소요시간 ; 5시간 30분에 걸쳐서 행했다. 2가지 차량(상표명 ; 현대(주)제의 엘란트라와 쏘나타)의 연료 펌프와 기화기 사이에 장착하여 주행 시험을 행하여 연료절감량과 연비 상승효과를 측정하고, 연료 절감효과(%)와 연비 상승효과는 다음식으로 계산했다.Climatic conditions are clear (with no wind), and time required; It carried out over 5 hours 30 minutes.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uel pump and the carburetor of two vehicles (trade name: Hyundai Elantra and Sonata) and performs a driving test to measure the fuel saving and fuel efficiency increase, and the fuel saving effect (%) and fuel economy increase effect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연료 절감효과 = (연료 절감량/장착전소모량)×100Fuel saving effect = (fuel reduction / consumption before installation) × 100

연비상승효과 = (장착후 주행거리/장착전주행거리-1)×100Fuel efficiency increase = (mileage after mounting / driving distance before mounting -1) × 100

상기 실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발명과 종래의 기술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리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입증될 것이다.Clearly summar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ill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로 본 발명에서는 연료활성관 원통형 내부에 마이크로필터(갭)를 형성하여 연료활성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순물들을 자력으로 끌어 당겨 이 마이크로 필터에 체적시켜 불순물을 완벽히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기존제품의 일회용성에 비교하여 본 제품은 반영구적으로 임의적 분해가 쉽고 기기 고장율이 없어 안전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 filter (gap)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cylinder of the fuel active tube, and impurities generated during the fuel activation process are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to make the micro filter filter the impurities completely. Therefore, compared to the disposable properties of the existing products, this product is semi-permanent, easy to disassemble arbitrarily and there is no device failure rate, which has a high safety effect.

둘째로 종래 기술은 내연기관의 노후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기계적 혼합비를 일률적으로 조정하여 기기에 따라 연소 효율이 잘 맞지 않아 효과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압력 조절 밸브와 리턴 노즐을 장착하여 내연기관의 기계적 특성에 따라 임의적 또는 자동적으로 연료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연 료 절감을 도모하고 연소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increase because the combustion efficiency does not fit well according to the equipment by uniformly adjusting the mechanical mixing ratio generated according to the aging degre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ressure control valve and a return nozzle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uel pressure arbitrari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thereby saving fuel and maximizing combustion efficiency.

세째로 종래 기술은 소위 간접자화방식으로써 주변열에 의한 전도가 빨라 고열차단이 미흡하고 자력 저하시 보충이 불가능하여 기기 수명이 짧았으나, 본 발명은 직접자화방식으로 주변열을흡수하여 기기내부에 연료가 통과하면서 방열시킴으로써 온도 상승으로 인한 자력상실이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so-called indirect magnetization method, the conduction by the ambient heat is fast, high heat shielding is insufficient and supplementation is impossible when the magnetic force is reduced, the device life is short, but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ambient heat by direct magnetization method to fuel the inside of the device By passing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there is no effect of magnetic loss due to the temperature rise.

네째로 종래 기술에서는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어 기기 내의 진동이나 고열에 따른 내구성이 없었으나, 본원은 듀랄미늄등의 소재로 되어 있어 내열성과 내구성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Fourth, the prior art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ere is no durability due to vibration or high heat in the device,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duraluminum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다섯째로, 연료 유입 노즐과 연료배출 노즐을 나사식으로 형성하여 활성화 장치와 연료 호스와의 연결 설치시 안정성과 내구성이 상당히 높아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fthly, the fuel inlet nozzle and the fuel discharge nozzle are formed by screwing, so that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are considerably high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ivation device and the fuel hose is installed, thereby improving stability.

이상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과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Claims (9)

연료 유입 노즐(31)이 나삽되는 홀(20-1)을 갖는 금속재 외통(20) ;A metal outer cylinder 20 having holes 20-1 through which the fuel inflow nozzles 31 are inserted; 이 외통(20)의 전단부에 끼워져 외통의 앞부분을 밀폐하는 전단캡(10) ;A shear cap 10 inserted in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20 to seal a front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전원 공급선(32)이 설치된 돌출 헤드(35)와 전단부(36)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기를 유도하는 제1 전자기 유도 코일(34)이 감겨져 있고, 상기 전단부(36)와 후단부(37) 사이의 몸체에는 전자기를 유도하는 제2전자기 유도 코일(33)이 감겨져 있으며, 전단부 일측에는 연료 유입노즐(31)이 상기 외통의 홀(20-1)을 거쳐서 나삽되는 홀(31-1)을 갖고 상기 외통(20)에 삽입되는 내통(30) ;The firs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4 is wound between the protruding head 35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line 32 and the front end 36 to guide the electromagnetic, and the front end 36 and the rear end 37 are wou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33 is wound around the body to induce electromagnetic, an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the fuel inlet nozzle 31 is threaded through the hole 20-1 of the outer cylinder 31-1. An inner cylinder 30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20; 상기 내통(30)에 형성된 홀(31-1)에 나삽되어 설치되어 있고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내통으로 유입되는 연료 유입 노즐(31) ;A fuel inlet nozzle 31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e 31-1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30 and into which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flows into the inner cylinder; 상기 내통(30)의 안쪽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연료를 미립화시키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차 연료활성화부(60')와 제2차 연료활성화부(60")로 된 연료 활성화부(60) ;A fuel activator 60 formed of a first fuel activator 60 ′ and a second fuel activator 60 ″ for atomizing fuel introduc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cylinder 30 and removing impurities; 상기 내통(30)과 연료활성화부(60)가 삽입되어 있는 외통(20)의 말단에 나삽되어 외통의 내부를 밀폐하는 후단캡(40) ;A rear end cap 40 which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outer cylinder 20 into which the inner cylinder 30 and the fuel activator 60 are inserted to seal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상기 후단캡(40)의 후부에 내연기관의 최대출력에 대비하여 초미립화된 연 료가 저장되는 연료 저장부(80) ;A fuel storage unit 80 storing ultra-fine fuel in preparation for the maximum outpu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 the rear of the rear end cap 40; 상기 연료 유입 노즐(31)과 인접 설치되어 잉여 연료를 연료탱크로 반송시키는 리턴노즐(500) ;A return nozzle 500 installed adjacent to the fuel inflow nozzle 31 to return surplus fuel to a fuel tank; 내압에 따라 밸브의 개폐도가 자동 조절되고, 이 개폐도에 따라 내연기관쪽으로 연료가 공급되거나, 잉여 연료가 리턴노즐(500)을 거쳐서 연료탱크로 회수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를 구비한 압력조절부(50) ; 상기 압력 조절부(50)에 나사 맞춤되어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 노즐(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장치.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valv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the fuel pressure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pressure so that the fuel is suppli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the surplus fuel is recovered to the fuel tank through the return nozzle 50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 A pressure regulator 50 having 51); A fuel activ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uel discharge nozzle (52) that is screwed into the pressure regulator (50) to discharge fu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활성화부(60)에 N 자력을 유도하는 코발트 영구 자석(61)과, 상기 영구 자석(61)과 인접 설치되어 유입되는 액상 연료가 통과 하면서 미립화 되는 적어도 1단 이상으로 형성된 활성화 금속망(62)과, 상기 활성화 금속망(62)과 인접하여 구비된 복수개의 링상 영구 자석(63, 63-1, 63-2)과, 상기 링상 영구 자석 사이에 복수개 교대로 삽입 설치된 고분자촉매링(64-1, 64-2)을 구비하는 제1차 활성화부(60') ;According to claim 1, Cobalt permanent magnet 61 for inducing N magnetic force in the fuel activator 60, and at least one or more stages to be atom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iquid fuel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ermanent magnet 61 A plurality of alternating insertions between the activated metal mesh 62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rings, the plurality of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63, 63-1 and 63-2 provided adjacent to the activated metal mesh 62, and the ring-shaped permanent magnets. A primary activation unit 60 'having the polymer catalyst rings 64-1 and 64-2 installed therein; 상기 제1차 활성화부(60')에 인접 대향하여 복수개의 영구 자석(63-3, 63-4)과 복수개의 알루미늄 링(64-3, 64-4, 64-5)이 교대로 설치되어 연료 입자를 상기 제1차 활성화부(60')에서 미립화된 연료를 더 미립화시키는 2차 활성화부(60")와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63-3, 63-4) and a plurality of aluminum rings (64-3, 64-4, 64-5) are alternately installed opposite to the primary activation unit 60 ' A secondary activator 60 " which further atomizes fuel particles atomized in the primary activator 60 '; 상기 1차 활성화부(60')와 상기 제2차 활성화부(60") 사이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자기파를 유도해서 상기 활성화 금속망(62)내에 설치된 카본에 전달 일정파를 유도하여 상기 활성화부(60)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67)를 통과하는 액상 연료를 더 미립화 시키기기 위한 외부 전자기파 유도코일(65) ;Induces electromagnetic waves invading from the outside between the primary activator 60 'and the secondary activator 60 " An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 induction coil 65 for further atomizing the liquid fuel passing through the passage 67 formed through the 60; 상기 전자기파 유도 코일(65)의 내부에 카본으로 채워진 활성화금속망(6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And an activation metal network (62-1) filled with carbon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nduction coil (6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63, 63-1, 63-2, 63-3, 63-4, … )과 고분자촉매링(64-1, 64-2, 64-3, 64-5, … )은 서로 교호로 삽입 설치되어 있고, 교대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영구 자석과 고분자촉매링의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된 갭(마이크로 필터 : H )에는 상기 액상 연료의 미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끌려 체적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63, 63-1, 63-2, 63-3, 63-4, ...) and the polymer catalyst ring (64-1, 64-2, 64-3, 64) -5, ... are alternately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the gap (micro filter: H) form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s and the polymer catalyst ring, which are alternately inserted, is generated during atomization of the liquid fuel. A fuel activ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urities are discharged after being draw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 영구자석(61)과 영구자석(63) 사이, 연료 유입노즐(31) 직하에 설치되어 있는 활성화 금속망(62)이 실리콘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The fue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active metal mesh (62) installed between the cobalt permanent magnet (61) and the permanent magnet (63) directly under the fuel inlet nozzle (31) is coated with silicon. Activ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0)과 외통(20)에 각각 형성된 홀(20-1, 31-1)과 상기 연료 압력 조절부(50)에 각각 나삽된 연료 유입노즐(31)과 연료 배출노즐(52)의 단부가 원추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The fuel inlet nozzle 31 and the fuel inserted into the fuel pressure regulator 50 and the holes 20-1 and 31-1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30 and the outer cylinder 20, respectively. A fuel activ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 is conic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유입 노즐(31)과 인접하여 나란하게 리턴 노즐(500)을 구비하되 상기 리턴 노즐의 내측에는 스프링(50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01)에 재치되어 체크 밸브(5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 밸브의 주변 돌출부(503)에는 알루미늄 3단 박막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활성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turn nozzle 500 in parallel with the fuel inlet nozzle 31, a spring 501 is provided inside the return nozzle, it is placed on the spring 501 to check A valve 502 is provided, and the fuel activ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eripheral protrusion 503 of the check valve is provided with an aluminum three-stage thin film plate. 제1항에 있어서, 보디(51-1)내에 관 직경이 서로 다른 2종류의 관로(51-33, 51-34)를 갖는 샤프트(51-3)가 스프링(51-4)에 지지되고 스토퍼(5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연료 압력 조절밸브(5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활성화 장치.2. The shaft (51-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ft (51-3) having two kinds of pipe passages (51-33, 51-34) having different pipe diameters in the body (51-1) is supported by the spring (51-4) and stoppers. And a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rotatably inserted into (5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연료 활성화 장치(1)의 내압이 낮은 상태에서 운행이 되면 상기 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의 샤프트(51-3)헤드가 통로(51-5)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관로(51-33, 51-34)만을 거쳐서 연료가 기관쪽으로 공급되고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내에 남는 여분의 연료는 리턴노즐(500)에 의해서 연료탱크쪽으로 회수되고,8. The shaft 51-3 head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blocks the passage 51-5 when the fuel activation device 1 is operated at a low internal pressure. In this state, fuel is supplied to the engine via only the pipe lines 51-33 and 51-34, and excess fuel remaining in the fuel activator is recovered by the return nozzle 500 to the fuel tank. 상기 연료 활성화 장치의 내압이 높은 상태에 운행이 되면 상기연료 압력 조절 밸브(51)의 샤프트(51-3)가 스프링(51-4)에 지지된 상태에서 뒤로 밀리면서 보디(51-1)의 전단 구멍과 샤프트(51-3)의 두부 사이에 형성된 통로(51-5)의 개도가 커져 다량의 연료가 기관쪽으로 공급되도록 된 것이 특징인 내연 기관용 연료 활성화 장치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activator is driven, the shaft 51-3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51 is pushed back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pring 51-4, Fuel activ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age 51-5 formed between the shear hole and the head of the shaft 51-3 is increased so that a large amount of fuel is supplied to the engin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촉매링(64-1, 64-2, 64-3, 64-5,…)의 재질을 바이오 세라믹과 홍문석의 혼합물로 한 것이 특징인 내연 기관용 연료활성화 장치.The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polymer catalyst rings (64-1, 64-2, 64-3, 64-5, ...) are made of a mixture of bio-ceramic and red moonstone. Activation device.
KR1019980035959A 1998-06-27 1998-09-02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000048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59A KR20000004849A (en) 1998-06-27 1998-09-02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4483 1998-06-27
KR1019980024483 1998-06-27
KR1019980035959A KR20000004849A (en) 1998-06-27 1998-09-02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49A true KR20000004849A (en) 2000-01-25

Family

ID=2663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959A KR20000004849A (en) 1998-06-27 1998-09-02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84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360A1 (en) * 2021-07-05 2023-01-12 (주)로우카본 Method for emulsifiying fuel oil and desulfurization agent for reducing sulfur oxide
WO2023282361A1 (en) * 2021-07-05 2023-01-12 (주)로우카본 System for mixing port fuel oil with desulfurization ag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360A1 (en) * 2021-07-05 2023-01-12 (주)로우카본 Method for emulsifiying fuel oil and desulfurization agent for reducing sulfur oxide
WO2023282361A1 (en) * 2021-07-05 2023-01-12 (주)로우카본 System for mixing port fuel oil with desulfurization ag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4951A (en) Vehicle fuel conditioning apparatus
DE69910363T2 (en) FUEL INJECTION
AU2012245987B2 (en) Method for optimizing combustion engines
WO1988004728A1 (en) Vapor phase injector
KR100761590B1 (en) Device for producing a reductant-air mixture
CN108658181B (en) Oil-water separation system with efficient electromagnetic synchronous synergistic effect
JP2009293577A (en) Combust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RU2144622C1 (en) High-efficiency ecologically clean fuel economizer
KR20000004849A (en) Device for activating fu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A035654B1 (en) Device for electromagnetic treatment of fue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359674B1 (en) Treating hydrogen and hydrocarbon inclusive liquid & gas substances more efficiently due to the maximized sufficient magnetical impacts provided by an improved new generation device
GB2366223A (en) Electrostatic fluid conditioner
JP6422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gaseous content of hydrocarbon fuels
HU227097B1 (en) Magnetic treating unit on fluid and gaseous materials
CN103080524B (en) Dipole triboelectric injector nozzle
EP06523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the consumption of fossil free-flowing fuels
RU2296238C1 (en) Fuel processing device
RU51123U1 (en) FUEL INJECTION DEVICE
DE3903573A1 (en) METHOD FOR MAGNETIZING LIQUID TO GASEOUS HYDROCARBONS,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10198408A1 (en) Method of fuel injection (variants)
DE3337220A1 (en) Feed systems using electrostatically charged fluid/air mixtures, especially fuel/air mixtures
WO2010120250A1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usable energy in the combustion of fuel
CN2425284Y (en) Permanent magnetic fluid activating device
JP3030603U (en) Fuel reformer
RU2097596C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lectromagnetic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024

Effective date: 200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