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532U -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532U
KR20000004532U KR2019980015007U KR19980015007U KR20000004532U KR 20000004532 U KR20000004532 U KR 20000004532U KR 2019980015007 U KR2019980015007 U KR 2019980015007U KR 19980015007 U KR19980015007 U KR 19980015007U KR 20000004532 U KR20000004532 U KR 200000045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lip
safety sign
present
sk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9111Y1 (ko
Inventor
최대경
Original Assignee
최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경 filed Critical 최대경
Priority to KR2019980015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11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7Vehicle decelerating or arresting surfacings or surface arrangements, e.g. arrester beds ; Escape roads, e.g. for steep descents, for sharp b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에 주차를 하거나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임목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로에서의 주행 시에 자동차가 고장났을 경우 후속 자동차로부터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표지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탈출판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자동차 바퀴(21)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미끄럼 방지턱(1),(2)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는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다수의 보강돌조(3)를 형성하며, 일측단부에는 손잡이(4)를 형성하고, 배면에는 형광도료가 착색되어 빛을 발산하여 교통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안전표지부(5)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차 시에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에 주차를 하거나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임목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로에서의 주행 시에 자동차가 고장났을 경우 후속 자동차로부터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탈출판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에 주차를 하거나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타이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자동차 바퀴 밑에 고임목을 고이게 되는바,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주로 목재나 플라스틱재의 고임목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임목이 없을 경우에는 자동차 주위에 있는 돌덩이를 사용하게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의 대부분은 이러한 고임목을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거의 싣고 다니지 않는 경향이 있는바, 이는 이러한 고임목은 그의 부피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덕길과 같은 곳에 주차를 할 경우에는 주위에 있는 돌덩이들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만약에 주위에 돌덩이가 없을 경우에는 사이드 브레이크만으로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언덕길과 같은 곳에 주차를 할 경우 브레이크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하여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도로에서의 주행 시에 자동차가 고장났을 경우 후속 자동차로부터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표지판 역시 자동차에 싣고 다녀야만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그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덩이나 짚 또는 판재 등을 바퀴에 고여야만 하는바, 이 경우 갑자기 이들을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의 타이어펑크나 경사진 길의 주차 시에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임목이나, 도로 주행중에 자동차의 고장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하는 안전표지판 및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탈출판을 별도로 준비하여 자동차 내에 싣고 다녀야만 하는 것은 자동차 운전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운전자들은 이들의 휴대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근본 목적은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에 주차를 하거나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로에서의 주행 시에 자동차가 고장났을 경우 후속 자동차로부터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표지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탈출판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3은 도1에서의 III-III선 단면도;
도4는 자동차의 주차 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5는 2개의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을 결착하여 자동차의 고장시 안전표시판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 미끄럼 방지턱 3: 보강돌조
4: 손잡이 4a: 결착공
4b: 결착돌기 5: 안전표지부
6: 디딤돌기 10: 미끄럼 방지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은 주차중인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동차 바퀴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미끄럼 방지턱과;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상기 미끄럼 방지턱들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보강돌조들과; 일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및 형광도료가 착색되어 빛을 발산하여 교통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전표지부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미끄럼 방지턱의 높이는 제2미끄럼 방지턱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판은 2개가 1조가 되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손잡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공과 하나 이상의 결착돌기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2개씩의 결착공과 결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미끄럼 방지판(10)은 경질의 고무나 이와 유사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량이 무겁지 않은 기타의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미끄럼 방지판(10)은 도4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중인 자동차(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동차 바퀴(21)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고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들(1),(2)을 구비하고 있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턱(1)의 높이(h1)는 미끄럼 방지턱(2)의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되어 도4와 같이 자동차가 주차되었을 경우 자동차가 뒤로 밀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상기 미끄럼 방지턱들(1),(2)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돌조들(3)이 형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에는 손잡이(4)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판(10) 2개를 1조로하여 지면에 설치할때 이들 미끄럼 방지판(10)이 소정의 각도로서 세워지도록 상호 결착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미끄럼 방지판(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4)에는 결착공(4a)과 결착돌기(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판(10)의 배면에는 형광도료가 착색되어 빛을 발산하여 교통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안전표지부(5)가 형성되어있다.
도1에있어서 미설명 부호6은 주차시 자동차가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한 디딤돌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에 주차를 하거나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타이어를 교체하기 위해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임목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미끄럼 방지판(10)을 지면위에 놓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4에서와 같이 자동차바퀴(21)가 미끄럼 방지턱(1),(2)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판(1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지면에 대해 전혀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또한 자동차바퀴(21)는 미끄럼 방지턱(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자동차(20)는 전혀 뒤로 밀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로에서의 주행 시에 자동차가 고장났을 경우 후속 자동차로부터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미끄럼 방지판(10)을 1조로 하여 각각의 손잡이(4)에 각각 형성된 결착공(4a)과 결착돌기(4b)를 상호 결착하여 자동차로부터 후방으로 소정의 거리에 설치해놓을 수 있는바, 이 경우 형광도료가 착색된 안전표지부(5)에서는 불빛이 반사하게 되므로 후속 자동차의 운전자는 전방에 고장난 자동차가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할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판(10)을 도4와는 달리 가로방향 즉, 도1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판(1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자동차바퀴(21)에 고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조(3)위를 자동차바퀴(21)가 타고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자동차는 이들 진흙구덩이 또는 모래밭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에 주차를 하거나 평지 또는 경사진 곳에서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임목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로에서의 주행 시에 자동차가 고장났을 경우 후속 자동차로부터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이로부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탈출판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형상의 미끄럼 방지판에 관해 기술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주차중인 자동차(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동차 바퀴(21)가 들어갈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1미끄럼 방지턱(1) 및 제2미끄럼 방지턱(2)과;
    자동차가 진흙구덩이나 모래밭 등에 빠졌을 경우 자동차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상기 제1및 제2미끄럼 방지턱(1),(2)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보강 돌조들(3)과;
    일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4);및
    형광도료가 착색되어 빛을 발산하여 교통 안전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전표지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 방지턱(1)의 높이는 상기 제2미끄럼 방지턱(2)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판은 2개가 1조가 되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4)에는 결착공(4a)과 결착돌기(4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KR2019980015007U 1998-08-10 1998-08-10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KR200229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07U KR200229111Y1 (ko) 1998-08-10 1998-08-10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07U KR200229111Y1 (ko) 1998-08-10 1998-08-10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32U true KR20000004532U (ko) 2000-03-06
KR200229111Y1 KR200229111Y1 (ko) 2001-07-19

Family

ID=6952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007U KR200229111Y1 (ko) 1998-08-10 1998-08-10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1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02B1 (ko) * 2006-09-18 2006-11-30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 장치
CN116446314A (zh) * 2023-06-16 2023-07-18 济南铁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防撞铁路限高防护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02B1 (ko) * 2006-09-18 2006-11-30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 장치
CN116446314A (zh) * 2023-06-16 2023-07-18 济南铁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防撞铁路限高防护架
CN116446314B (zh) * 2023-06-16 2023-08-15 济南铁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防撞铁路限高防护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111Y1 (ko)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366A (en) Vehicle tire traction strip
US4993768A (en) Combined shovel and utility device
US6779738B1 (en) Vehicle traction mat
US5538183A (en) Vehicle traction mat
US7731448B2 (en) Portable rumble strip
US11414136B2 (en) Removably attachable fender flare to be used as a recovery board
US9150050B2 (en) Device for improving tire traction
US11097697B2 (en) Pluggable two-way tire slip stopper
US5383742A (en) Dirt and rock removal apparatus for vehicle tires
KR200229111Y1 (ko)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판
GB2087320A (en) Mats preventing wheel slip
US6401775B1 (en) Handy device for retrieving a vehicle stuck in a snow bank
US5279346A (en) Non-skid snow chain ramps
KR200357253Y1 (ko) 자동차용 일회용 스노우체인
US1401689A (en) Traction-support
CA2296768A1 (en) Portable tool for installing chains on vehicle wheels
CN217997701U (zh) 一种车辆陷坑打滑辅助脱离构件
US1519334A (en) Vehicle pull
JP3017458U (ja) 車止め
KR960006180Y1 (ko) 요철차도용 주의 표시구
JPH0976886A (ja) 駐車用安全器具
KR200142741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고임목
RU97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скальзывания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втотрак)
WO1985005597A1 (en) An auxiliary device for freeing a vehicle which has been stuck
US6752470B1 (en) Quick chains traction device for light and heavy duty tr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