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479U -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 Google Patents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479U
KR20000003479U KR2019980013668U KR19980013668U KR20000003479U KR 20000003479 U KR20000003479 U KR 20000003479U KR 2019980013668 U KR2019980013668 U KR 2019980013668U KR 19980013668 U KR19980013668 U KR 19980013668U KR 20000003479 U KR20000003479 U KR 20000003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il
casing
reservoir
vibration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6402Y1 (ko
Inventor
황영진
Original Assignee
황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진 filed Critical 황영진
Priority to KR2019980013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40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402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 밀(Vibration Mill)의 베어링부 윤활구조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 하우징(130)의 외측에 환형의 케이싱(200)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200)의 하부측에는 윤활용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리저버(210)를 형성하되 이 오일 리저버(210)의 상부에는 베어링(120)쪽으로 다수개의 오일구멍(220)을 천공시켜 회전축(100)의 회전시 무게추(11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오일 리저버(210)에 저장된 점성이 낮은 윤활용 오일이 오일구멍(220)을 통해 베어링(120)으로 공급되어 윤활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써 1회의 오일주입으로 장기간의 베어링 윤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본 고안은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에 환형의 케이싱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의 하부측에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리저버를 형성하되 이 오일 리저버의 상부에는 베어링쪽으로 다수개의 오일구멍을 천공시켜 회전축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오일 리저버에 저장된 점성이 낮은 오일이 오일구멍을 통해 베어링으로 공급되어 윤활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써 1회의 오일주입으로 장기간의 베어링 윤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쇄가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밀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고안과 관련된 진동 밀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 밀은 플레이트(1)의 각 모서리부에 볼 드럼(2)이 장착되고, 이 볼 드럼(2)은 회전축(3)에 대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면서 회전축(3)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배치간격을 갖고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는 볼 드럼(2)의 길이방향에 대해 복수개로 장착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1)의 양측벽에는 브라켓(4)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하단은 스프링(7)이 밀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7)은 프레임(5)양단에 구비된 받침다리(6)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과 플레이트(1)와의 결합부에는 베어링(8)이 결합되어지며, 이 베어링(8)의 외주면은 플레이트(1)와 일체로 된 베어링 하우징(9)에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축(3)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는 무게추(1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무게추(10)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가능하도록 되어 회전축(3)의 진동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축(3)은 프레임(5)상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14)에 의해 유니버설 조인트(15)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진동 밀에 있어서, 회전축(3)은 무게추(10)의 편하중에 의해 연속적으로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되면서 고속 회전하여야 했었으므로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8)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하중과 마찰력이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 등에 사용되는 베어링에 비하여 비정상적으로 크게 되었다.
따라서, 베어링의 급격한 마모는 물론 마찰열이 높아지게 되어 이의 냉각과 윤활을 위한 베어링 윤활용 그리이스 또는 점성이 낮은 윤활용 오일의 과다한 소모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이의 유지 및 보수에 항시 신경을 곤두세워야 했었으며, 자칫 이를 소홀히 할 경우 베어링의 파손은 물론 진동 밀의 정상적인 가동에 커다란 지장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베어링부 윤활구조는 대부분 점성이 비교적 높은 그리이스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때에는 육안으로 그리이스의 오염상태나 잔류량을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진동 밀의 가동에 앞서 매일 매일 그리이스를 습관처럼 주입시켜야 했었으므로 그리이스의 주유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을 소모하게 되는 잔점이 있었음과 아울러 그리이스의 과도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점성이 낮은 기어 오일 등을 별도의 오일펌프와 오일탱크를 설치하여 윤활유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도 사용하기도 했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운용에 있어서도 효과적이지 못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진동 밀에 있어서 어쩔 수 없이 기계적으로 과도한 하중부담과 마찰력을 받게 되는 회전축 지지용 베어링의 급격한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윤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인접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시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에 진동을 주도록 된 진동 밀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그 내측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형성시켜 회전축의 회전시 무게추가 회전하면서 무게추 내측에 형성된 블레이드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회전축 지지용 베어링 쪽으로 송풍되어 베어링을 공냉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에는 환형의 케이싱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의 하부측에는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는 오일 리저버를 형성하고 이 오일 리저버의 상부에는 베어링쪽으로 다수개의 오일구멍을 천공시켜 회전축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오일 리저버의 점성이 낮은 오일이 오일구멍을 통해 베어링으로 공급되어 반복적인 윤활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 리저버는 폐오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하부 중앙 또는 일측을 움푹하게 형성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진동 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밀의 베어링부 냉각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밀의 베어링부의 오일 리저버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밀의 베어링부의 오일 리저버의 다른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전축 110,110': 무게추
112 : 블레이드 120 : 베어링
130 : 베어링 하우징 140 : 플레이트
150 : 브라켓 160 : 스프링
170 : 받침다리 180 : 볼 드럼
190 : 외부커버 200 : 케이싱
210 : 오일 리저버 220 : 오일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어링부 윤활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어링부 윤활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윤활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로서, 부호 100은 회전축이고, 110,110'는 이 회전축(100)에 축결합되는 무게추이며, 120은 상기 회전축(100)을 지지하는 베어링, 130은 베어링 하우징, 140은 베어링 하우징(130)이 설치되는 플레이트, 150은 이 플레이트(140)의 양측에 부착된 브라켓, 160은 이 브라켓(15)과 받침다리(170)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이며, 부호 180,180'은 피가공물이 담겨지는 볼 드럼으로서, 이와 같은 구조는 전형적인 진동 밀과 흡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베어링(120)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130)의 외측에는 환형의 케이싱(200)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200)의 하부측에는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는 오일 리저버(210)를 형성하며, 이 오일 리저버(210)의 상부측 케이싱(200)에는 베어링(120)쪽으로 다수개의 오일구멍(220)을 천공시킨 점에 있다.
도면중 부호 230은 케이싱(200)이 상부측에 연결된 오일주입구이고, 240은 케이싱 하부의 오일 리저버(210)하단에 형성된 오일배출구이며, 250은 오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커버(132)의 관통공(136)에 설치되어 끼워지는 리데나이다.
상기 1쌍의 무게추(110)(110')중 내측 무게추(110)의 내측면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12)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100)의 회전시 무게추(110)가 회전하면서 무게추(110)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112)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회전축 지지용 베어링(120)측으로 공급되어 베어링(120)을 공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무게추(110)(110')의 외측에는 외부커버(190)가 씌워져 다량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흡수할 수 있고, 풍향이 베어링쪽으로 집중되도록 하며, 무게추(110)(110')의 노출에 의한 안전사고 등 각종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커버(190)는 환형의 테두리부(192)후단이 진동 밀의 플레이트(140)측에 형성된 결합부(142)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도시안됨)등으로 부착되고, 테두리부(192)선단의 전면에는 망사형의 스크린(194)이 씌워져 공기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스크린(194)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00)이 관통 설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196)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20)을 수용하고 있는 베어링 하우징(130)의 양 외측에도 무게추(110)의 회전시 블레이드(112)에 의한 송풍시 먼지와 이물질이 베어링(120)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 커버(132)를 해체가능하게 씌운 것으로, 상기 베어링 커버(132)는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위의 전면에 걸쳐 일정크기의 통풍구(134)를 천공시켜 내부의 베어링(120)으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베어링 커버(132)자체는 진동 밀의 구동시 마찰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베어링 하우징(130)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전 표면에 송풍이 이루어질 경우 베어링 하우징(130)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외부커버(190)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축(10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136)이 천공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싱 및 오일 리저버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케이싱(200)을 전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제작하여 그 하부가 오일 리저버(210)가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케이싱(200)과 박스형의 오일 리저버(210)를 조합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타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진동 밀의 구동시 회전축(100)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 회전축(10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무게추(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방사상의 블레이드(112)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베어링 하우징(130)쪽으로 송풍되므로 구동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된 베어링(120)이 공냉되므로 베어링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베어링 하우징(130)의 외측에 환형의 케이싱(200)이 설치되고 이 케이싱(200)의 하부에는 일정용량의 점성이 낮은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는 오일 리저버(210)가 형성되고 이 오일 리저버(210)의 상부측 케이싱(200)에는 베어링(120)쪽으로 관통된 오일구멍(220)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진동 밀의 구동시 회전축(100)이 무게추(110)에 의해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되면서 회전되므로 이 진동에 의해 오일 리저버(210)에 저장된 비교적 점성이 낮은 오일이 케이싱(210)에 천공된 오일구멍(220)을 통해 베어링(120)쪽으로 튀어 올라와 베어링의 윤활 및 가열된 베어링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며, 잉여의 오일은 다시 베어링으로부터 오일구멍을 통해 하부의 오일 리저버로 순환되므로 베어링의 윤활과 냉각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오일 리저버에는 일정량의 오일이 주입된 상태이므로 장기간 오일의 보충없이 진동 밀을 가동할 수 있으므로 주유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지 않아도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무게추에 형성된 냉각팬에 의한 공냉작용과 오일 리저버에서 오일구멍을 통한 윤활유의 공급에 의한 습식 윤활 및 냉각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기계적인 진동이 무리하게 가해지는 베어링의 보호를 한층 두텁게하여 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일 리저버에 다량의 오일이 저장된 상태에서 무게추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오일 리저버의 오일이 오일구멍을 통해 베어링으로 공급되어 윤활과 냉각작용을 하게 되므로 베어링을 급격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잉여의 오일은 베어링으로부터 오일구멍을 통해 다시 오일 리저버로 순환되므로 장기간 오일의 주유없이도 진동 밀의 가동이 가능하므로 이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쌍의 무게추가 회전축상에 장착되고, 이 회전축은 윤활유가 공급되는 베어링 하우징 내부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진동 밀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30)의 외측에는 환형의 케이싱(200)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200)의 하부측에는 오일이 저장되는 리저버(210)를 형성하며, 이 리저버(210)의 상부에는 베어링(120)쪽으로 다수개의 오일구멍(220)을 천공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KR2019980013668U 1998-07-24 1998-07-24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KR200226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68U KR200226402Y1 (ko) 1998-07-24 1998-07-24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68U KR200226402Y1 (ko) 1998-07-24 1998-07-24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79U true KR20000003479U (ko) 2000-02-15
KR200226402Y1 KR200226402Y1 (ko) 2001-06-15

Family

ID=6951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668U KR200226402Y1 (ko) 1998-07-24 1998-07-24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28B1 (ko) * 2009-10-16 2012-03-23 덕지산업주식회사 베어링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28B1 (ko) * 2009-10-16 2012-03-23 덕지산업주식회사 베어링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402Y1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570B1 (ko) 롤링 베어링용 시험 장치
KR101714294B1 (ko) 래디얼 롤링 베어링의 수명 시험 방법 및 래디얼 롤링 베어링용 시험 장치
EP0009834B1 (en) Bearing for high rotational speeds
US20060078244A1 (en) Hybrid bearing
JP2016505352A5 (ko)
JP2016505352A (ja) ダイレクトドライブによるセパレータ
GB2120740A (en) A resilient rotor support
KR200226402Y1 (ko) 진동 밀의 베어링부 윤활구조
JPS5811052A (ja) ベルト伝動装置によつて駆動されるスピンドルを有する遠心分離機
KR200199264Y1 (ko) 진동 밀의 베어링부 냉각구조
EP1103662B1 (en) Vibratory compactor bearing lubrication system
US4270396A (en) Vibrator
AU2016299064B2 (en) Gearbox and vibration generator having a lubricating-fluid distributor
US3922043A (en) Vibrator
JP2003032946A (ja) 車両用電動機の油潤滑軸受構造
JPH0756346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KR100322950B1 (ko) 구동유니트
EP3765671B1 (en) Eccentric shaft assembly comprising a fan for lubrication and cooling of eccentric bearings in a surface compactor machine
EP0411134B1 (en) Turbo-blower for laser and laser oscillator using the same
KR100868896B1 (ko) 포일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모터
US20200361051A1 (en) Spindle bearing cooling arrangement in an abrading apparatus
JP4527622B2 (ja) 転がり軸受の潤滑装置
KR0132540Y1 (ko) 진동분쇄기용 베어링 하우징
KR100387514B1 (ko) 윤활을 위한 샤프트 구조
KR101824632B1 (ko) 임팩트 크라셔 구동부용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