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891A - 전선 껍질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껍질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891A
KR20000002891A KR1019980023859A KR19980023859A KR20000002891A KR 20000002891 A KR20000002891 A KR 20000002891A KR 1019980023859 A KR1019980023859 A KR 1019980023859A KR 19980023859 A KR19980023859 A KR 19980023859A KR 20000002891 A KR20000002891 A KR 2000000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lade
plate
pai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812B1 (ko
Inventor
김춘동
Original Assignee
김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동 filed Critical 김춘동
Priority to KR101998002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81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된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는 탈피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스탠드(10)와; 구동수단(20)과; 프레임(12)의 가이드홈(13)에 제 1 베어링(3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 회전축(30)과; 상기 제 1 회전축(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1)과; 상기 제 1 회전축(30)에 그 중심부가 서로 마주대하도록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탄성판(32)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칼날(33)과;상기 가이드홈(13)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어링(4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축(40)과; 상기 제2회전축(40)에 그 중심부가 서로 마주대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탄성판(32)의 외경이 원추면(44)에 포함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판(42)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제2칼날(43)과; 상기 제2베어링(41)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을 피복하기 위해 간격이 가변되는 한쌍의 탄성판 및 한쌍의 칼날로 구성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줄어들고 조립부품수가 줄어드어 장치의 생산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껍질 탈피장치
본 발명은 폐기된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어 구리선만을 추출하기 위한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전력 및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하는 것으로 나선과 도체의 외측을 절연물로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선의 도전재료로서는 구리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구리는 재활용가치가 높으므로 전기공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투리 전선이나 교체하면서 발생되는 폐선들로부터 구리를 추출하고 있다.
이처럼 구리만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피복 즉,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야하는데 수작업으로 손칼을 이용해 껍질을 벗겨내기에는 작업이 까다로울 뿐만아니라 능률이 매우 낮았다.
한편, 손쉬운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껍질재료로 합성수지가 사용되는데 이는 열에 약하므로 전선을 불에 태워서 껍질만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다양한 두께를 가진 전선의 껍질을 제거할 수 있는 탈피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탈피장치는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110,120)상에 소정 길이를 갖는 롤러(112,122)가 외접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110,1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롤러(112,122)의 바깥둘레에는 다양한 크기의 반원형 홈(114,124)이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롤러(112,122)가 외접하는 면에서 한쌍의 반원형 홈(114,124)에 의해 소정의 안내홈(130)이 형성된다. 안내홈(130)의 크기는 형성된 반원형 홈(114,124)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다양한 크기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반원형 홈(114,124)의 중앙부위에는 바깥둘레를 따라 원판형 칼날(116,126)이 일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칼날(116,126)은 롤러(112,122)가 외접하는 점에서 형성되는 안내홈(130)의 상하부에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한쌍의 평행한 회전축(110,120)은 서로 기어결합되어 연동되며, 어느 일측 회전축(11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140)이 동력전달수단(142)을 매개로하여 설치된다. 한편, 다른 회전축(120)의 양끝단에는 필요에 따라 안내홈(130)의 크기 및 서로 대면하는 칼날(116,12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15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탈피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구동수단(140)을 구동시키면 구동력이 발생되며, 구동력은 동력전달수단(142)을 통해 한쌍의 회전축(110,120)을 회전시킨다. 한쌍의 회전축(110,120)의 회전에 의해 한쌍의 롤러(112,122) 및 칼날(116,126)이 동시에 회전된다. 롤러(112,122)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반원형 홈(114,124)은 한쌍의 롤러(112,122)가 외접하는 점에서 원형 안내홈(130)을 형성한다. 안내홈(130)은 반원형 홈(114,124)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내홈(130)에 피가공물인 전선을 삽입하면 안내홈(130)을 따라 전선이 들어가면서 돌출된 칼날(116,126)에 의해 전선의 껍질부분만 절개되어 나온다. 안내홈(130)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외경과 비슷한 크기의 안내홈(13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적합한 안내홈(130)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조절수단(150)을 이용해 안내홈(130)의 크기를 일정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껍질 탈피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롤러(112,122)에 다양한 크기의 안내홈(130)이 나열되어 형성되고, 각 안내홈(130)마다 칼날(116,126)을 구비해야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둘째, 각 안내홈(130)마다 구비되는 한쌍의 칼날(116,126)이 정확하게 일직선을 이뤄야 하며, 칼날(116,126) 사이의 간격을 정교하게 조절해야 하는 문제들로 인해 손상된 칼날을 교체하거나 조립시에 매우 까다로와 유지관리 및 보수에 불편하였다.
셋째, 종래의 탈피장치는 전선을 안내홈(130)에 억지로 끼워넣어 전선과 안내홈(1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전선이 물려 들어가게 되는데 전선에 물기나 기름 등이 묻어 있을 때에는 마찰력이 떨어져 전선을 잘 물고 들어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전선 안내홈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부피를 줄이고 구비해야하는 칼날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손상된 칼날의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조립구조가 간단하여 보수 및 유리관리가 용이한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선을 물고 들어가는 탈피장치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전선에 물기나 기름 등이 묻어 있더라도 용이하게 전선을 물고 들어갈 수 있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기된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는 탈피장치에 있어서, 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탠드에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고정설치된 제 1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제 1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에 접시형상을 가진 한쌍의 탄성판이 그 중심부가 서로 마주대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탄성판 사이에 원판형상의 제 1 칼날이 개재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베어링을 매개로 제 2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회전축에 원추형상을 가진 한쌍의 가이드판이 그 중심부를 서로 마주대하면서 상기 탄성판의 외경이 원추면에 포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베어링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베어링의 상단에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안내수단 및 브레이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제거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껍질 탈피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탠드 11 ; 베이스 12 ; 프레임
13 ; 가이드홈 14 ; 나사홈 15 ; 플레이트
20 ; 구동수단 21 ; 동력전달수단 30 ; 제 1 회전축
31 ; 제 1 베어링 32 ; 탄성판 33 ; 제 1 칼날
34 ; 스플라킷 35 ; 빗살 36 ; 플랜지
37 ; 삽입홈 38 ; 제 1 롤러 39 ; 너트
30a, 38b, 39b ; 키홈 39c ; 키 40 ; 제 2 회전축
41 ; 제 2 베어링 42 ; 가이드판 43 ; 제 2 칼날
44 ; 원추면 45 ; 제 2 롤러 50 ; 조절수단
51 ; 핸들 52 ; 나사봉 60 ; 전선안내수단
61 ; 고정판 62 ; 이동판 63 ; 삼각홈
64 ; 장공 65 ; 볼트 66 ; 고리
67 ; 나사고리 68 ; 나사봉 69 ; 조절봉
70 ; 브레이크 80 ; 찌꺼기 제거수단 81 ; 제거부재
82 ; 브라켓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껍질 탈피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된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10)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20)과, 탄성판(32) 및 제 1 칼날(33)이 설치되는 제 1 회전축(30)과, 가이드판(42) 및 제 2 칼날(43)이 설치되는 제 2 회전축(40)과, 제 2 회전축(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50)을 주요구성부재로하여 이루어진다.
스탠드(10)는 베이스(11) 위에 수직방향으로 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2)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도 4에 도시됨.1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 상부에 상기 가이드홈(13)의 길이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나사홈(14)이 형성된 플레이트(15)를 구비한다.
구동수단(20)은 베이스(11)의 하부에 전동모터(22)가 고정설치되어 마련되며, 전동모터(22)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23)가 구비되어 전동모터(22)의 풀리와 감속기(23)의 풀리에 벨트(26)가 연결된다.
감속기(23)의 감속축에는 도면상 미도시되어 있으나 스플라킷이 구비되고, 이 스플라킷과 제 1 회전축(30)에 결합된 스플라킷(34) 사이에 동력전달수단(21)이 연결되어 구동수단(20)의 구동력이 감속기(23)를 거쳐 제 1 회전축(30)에 전달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제 1 회전축(30)은 상기 프레임(12)의 가이드홈(13)에 제 1 베어링(3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제 1 회전축(30)의 일단에 스플라킷(34)이 결합되고 동력전달수단(도 2 에 도시됨;21)이 제 1 회전축(30)의 스플라킷(34)과 결합되어 구동수단(20)의 구동력이 제 1 회전축(3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회전축(30)에는 한쌍의 탄성판(32)과 제 1 칼날(33)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탄성판(32)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판의 중심과 외곽부 사이가 경사진 접시형상을 갖는다. 탄성판(32)의 중심에는 제 1 회전축(30)이 삽입되는 구멍이 구비되고,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긴홈이 형성되어 빗살(35)이 형성된다. 한쌍의 탄성판(32)은 제 1 칼날(33)을 중심에 두고 볼록한 면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하여 탄성판(32)의 외경부는 벌어지되, 내경부는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빗살(35)중 일부는 제 1 칼날(33)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판(32) 과 제 1 칼날(33) 사이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빗살(35)중 다른 일부는 제 1 칼날(33)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36)의 삽입홈(37)과 결합된다.
플랜지(36)는 탄성판(32)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탄성판(32)을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것과 소정범위 내에서 탄성판(32) 사이의 폭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플랜지(36)의 삽입홈(37)은 탄성판(32)의 빗살(35)과 여유있게 결합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삽입홈(37)의 폭은 빗살(35)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해야한다. 또한, 빗살(35)과 결합되는 삽입홈(37)의 개소도 탄성판(32)의 작용에 큰 영향을 주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120。등간격으로 3 개소에 형성한 것이다. 한편, 플랜지(36) 및 제 1 회전축(30) 상에 결합되는 구성부재는 도면상 미도시된 키 또는 키홈을 통해 제 1 회전축(30)에 고정설치된다.
부가적으로, 제 1 회전축(30) 상에는 탄성판(32)을 통해 처리하지 못하거나 처리하기에 까다로운 정도로 가는 직경의 전선을 처리하기 위한 제 1 롤러(38) 한쌍의 설치된다. 제 1 롤러(38)는 제 1 베어링(31)을 중심으로 탄성판(32) 및 제 1 칼날(33)과 반대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회전축(30)이 제 1 베어링(31)을 중심으로 어느 일측(탄성판 및 제 1 칼날이 설치되는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회전축(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한쌍의 제 1 롤러(38) 중 바깥쪽에 있는 롤러(38)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가는 전선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회전축(30)의 일단에는 키홈(30a)이 형성되고, 롤러(38a)와 너트(39)의 구멍 내측면에도 상기 키홈(30a)과 대응하는 키홈(38b,39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롤러(38a)와 너트(39)를 일정간격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2 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키(39c가 결합된다. 한편, 제 1 회전축(30)의 끝단부에는 너트(39)가 체결되는 나사산(30b)이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39)의 회전에 의해 키(39c)가 키홈(30a)을 따라 이동되면서 롤러(38a)와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제 1 롤러(38)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가이드홈(13)에는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제 2 베어링(41)이 설치되고, 이 제 2 베어링(41)에 제 2 회전축(4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 2 베어링(41)은 가이드홈(13)의 양측면에 중첩되도록 결합되어 이를 이용해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 2 베어링(41)에 제 2 회전축(4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제2 회전축(40)의 일단에 한쌍의 가이드판(42)과 제2칼날(43)이 설치된다. 상기 제 2칼날(43)은 제 1 회전축(30)의 제 1 칼날(33)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한쌍의 가이드판(42)은 제 2 칼날(43)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이 가이드판(42)은 원뿔을 일정높이에서 원의 직각방향으로 절개하여 원추면(44)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지며, 제 2 칼날(43)을 사이에 두고 원추면(44)이 서로 마주대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한쌍의 가이드판(42)의 원추면(44)에 한쌍의 탄성판(32)의 외경이 접하도록 한쌍의 가이드판(42) 사이의 간격이 한쌍의 탄성판(32)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제 2 회전축(40)상에는 제 1 회전축(30)에 마련된 한쌍의 제 1 롤러(38)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롤러(45)가 마련된다.
한편, 제 2 베어링(41) 및 제 2 회전축(40)에 결합된 구성부재들을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조절수단(50)이 도 4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50)은 제 2 베어링(41)의 선단부에 나사봉(52)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나사봉(52)은 나사홈(14)에 나사결합되며, 나사봉(52)의 선단부에는 핸들(51)이 설치되고, 핸들(51)의 일단에는 손잡이(53)가 설치된다. 즉, 핸들(51) 또는 손잡이(53)을 이용해 나사봉(52)을 회전시키면 나사홈(14)을 따라 제 2 베어링(4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제 2 회전축(40)이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면서 가이드판(42) 및 제 2 칼날(43)의 상하위치가 조절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안내수단 및 브레이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 사이로 전선을 반듯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전선안내수단(60)이 프레임(12)의 일단에 마련된다.
상기 전선안내수단(60)은 프레임(12)의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61)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62)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61)과 이동판(62)의 일면에는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삼각홈(63)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판(62)의 상하이동에 따라 삼각홈(63)이 서로 겹치면서 사각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판(62)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64)이 형성되어 이 장공(64)을 관통하는 볼트(65)에 의해 프레임(12)에 결합된다. 또한, 프레임(12)과 이동판(62)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각각 고리(66)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고리(67)이 마련되어 나사봉(68)이 결합된다. 이 나사봉(68)의 선단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조절봉(69)가 설치된다. 따라서, 조절봉(69)를 통해 나사봉(68)을 회전시키면, 고리(66)에서는 공회전되지만, 나사고리(67)에서는 나사봉(68)의 회전운동이 나사고리(67)의 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이동판(62)이 장공(64)을 따라 상하이동된다. 즉, 이동판(62)이 상승하게 되면 고정판(61)의 삼각홈(63)과 이동판(62)의 삼각홈(63)에 의해 점차적으로 작은 사각홈을 형성하게 되며, 이동판(62)이 하강하게 되면 사각홈이 커지게된다.
한편, 고정판(61)의 일단에는 제 2 칼날(4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브레이크(70)가 마련된다.
상기 브레이크(70)는 고정판(61)에 고정설치되는 제 1 금속패드(71)와 조절봉(72)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금속패드(73)로 이루어진다. 제 1, 2 금속패드(71,73)는 제 2 칼날(43)의 양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조절봉(72)을 회전시키면 조절봉(72)과 나사결합된 제 2 금속패드(73)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1 금속패드(71)와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게 되어 제 2 칼날(43)의 양면에 제 1 금속패드(71)과 제 2 금속패드(73)을 밀착시킴으로써 제 2 칼날(43)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70)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한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판(61)의 일단에 고리(74)를 마련하고, 이 고리(74)와 제 2 칼날(43)에 형성된 구멍(75) 사이에 동시에 삽입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절곡시킨 걸림부재(76)가 구비된 것이다. 즉, 걸림부재(76)를 고리(74)에 삽입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제 2 칼날(43)에 삽입하므로써 제 2 칼날(43)의 회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해제시에는 반대방향으로 걸림부재(76)을 이동시켜 먼저, 구멍(75)로부터 걸림부재(76)의 일단을 뺀 다음 고리(74)로부터 걸림부재(76)의 타단을 빼내어 걸림부재(76)를 탈거시킬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제거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찌거기 제거수단(80)은 한쌍의 제 1 롤러(38) 사이에 얇은 판상의 제거부재(81)를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마련한 것으로, 가는 직경의 전선의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벗겨진 찌꺼기의 일부가 제 1 롤러(38)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해 제거부재(81)는 제 1 롤러(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을 때 삽입된 전선의 인출방향인 1사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거부재(81)의 일단이 제 1 롤러(38)에 삽입되어 있을 때 타단은 그 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되어 찌거기가 자중에 의해 제거부재(81)의 경사면을 따라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거부재(81)의 타단은 프레임(1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삽입 및 이탈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제거부재(81)는 가능한 한 한쌍의 제 1 롤러(38)의 간격과 비슷하거나 약간 좁은 두께를 갖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므로 다양한 두께의 제거부재(81)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교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쌍의 제 1 롤러(38) 외주면에 직각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된 브라켓(72)은 제거부재(81)에 의해 제 1 롤러(38) 바깥으로 나온 찌거기 및 외주면에 부착된 찌거기들을 제 1 롤러(38)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껍질 탈피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껍질 탈피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전동모터(22)에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감속기(23)를 거치면서 회전수가 감속되어 동력전달수단(21)을 통해 제 2 회전축(30)을 회전시킨다. 제 1 회전축(30)은 제 1 베어링(3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다.
제 1 회전축(30)의 회전에 의해 탄성판(32)과 제 1 칼날(33)의 회전도 함께 이루어진다. 한쌍의 탄성판(32) 사이의 V형상의 안내홈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전선이 삽입된다. 조절수단(50)이용해 제 2 회전축(40)을 하강시키면 가이드판(42)의 원추면(44)에 접하고 있던 탄성판(32)의 외경부가 압박을 받게되면서 원추면(44)을 따라 억지로 탄성판(32)의 일측 외경은 좁혀지게 되고 반대측 외경은 넓혀진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전선은 탄성판(32) 사이에 강하게 밀착되며,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은 전선의 껍질부까지 삽입된다.
한편, 탄성판(32)이 가이드판(42)의 원추면(44)에 강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 1 회전축(30)의 회전력이 탄성판(32)을 거쳐 가이드판(42)에 전달되어 제 2 회전축(40)까지 함께 회전시킨다.
전선은 탄성판(32)에 의해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탄성판(32)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을 통과한 전선의 껍질부는 절단되어 벗겨진 상태로 배출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전선안내수단(60)은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 사이로 전선을 반듯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즉, 전선의 두께에 따라 사각홈의 크기를 조절하여 탄성판(32) 사이로 전선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브레이크는 처리해야할 전선이 매우 두꺼운 경우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 함께 회전되면서 특히 제 2 칼날(43)에 의해 전선 껍질부가 단지 압박정도의 힘만 작용해 절단되지 않고 나오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2 칼날(43)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이동하는 전선과 제 2 칼날(43) 사이의 절단력이 더욱 커져 제 2 칼날(43)에 의해 찢겨지다시피 절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편(32)과 가이드판(42)을 이용해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전선(특히 두꺼운 전선)을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지만 소정직경 이하의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제 1 롤러(38)와 제 2 롤러(45)는 이와 같이 가는 전선만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조절수단(50)을 이용해 제 2 회전축(40)을 하강하여 제 1 롤러(38)의 외주연과 제 2 롤러(45) 외주연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한편, 너트(39)를 회전시켜 제 1 롤러(38)의 바깥쪽에 위치한 롤러(38a)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 1 롤러(38)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가는 전선을 제 1 롤러(38) 사이에 일부가 걸쳐지도록 위치시킨다음 제 2 롤러(45)를 하강하여 적절한 강도로 압착력이 작용하도록하여 구동수단(20)을 구동시키면 제 1 롤러(38)와 제 2 롤러(45)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면서 전선을 밀어낸다. 이때 제 1 롤러의 외주연 모서리가 칼날 역할을하여 전선껍질부가 절개되어 배출된다.
이때 벗겨진 찌꺼기가 제 1 롤러(38) 사이에 삽입되어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할 염려가 있으므로 찌꺼기 제거수단(80)을 통해 찌꺼기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외경을 갖는 전선을 피복하기 위해 간격이 가변되는 한쌍의 탄성판 및 한쌍의 칼날로 구성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줄어들고 조립부품수가 줄어드어 장치의 생산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탄성판이 전선의 직경에 따라 조절수단을 통해 조절하므로 종래의 장치에서처럼 임의의 전선 직경에 가장 적합한 안내홈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칼날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 및 보수에 용이하며, 탈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폐기된 전선의 껍질을 벗겨내는 탈피장치에 있어서,
    스탠드(10) 및 구동수단(20)과;
    상기 구동수단(20)과 동력전달수단(21)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회전축(30)과;
    상기 제 1 회전축(30)에 설치되는 한쌍의 탄성판(32)과;
    상기 탄성판(32) 사이에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제 1 칼날(33)과;
    상기 제 1 회전축(30)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회전축(40)과;
    상기 제 2 회전축(40)에 상기 탄성판(32)의 외주연이 원추면(44)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판(42)과;
    상기 가이드판(42) 사이에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제2칼날(43)과;
    상기 제 2 회전축(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50);을 포함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는 베이스(11) 위에 수직방향으로 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2)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 상부에 상기 가이드홈(13)의 길이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나사홈(14)이 형성된 플레이트(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32)은 중심에 제 1 회전축(30)이 삽입되는 구멍이 구비되고,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긴홈이 형성되어 빗살(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칼날(33)을 중심에 두고 볼록한 면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35)중 일부는 상기 제 1 칼날(33)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판(32) 과 제 1 칼날(3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빗살(35)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칼날(33)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36)의 삽입홈(37)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6)의 삽입홈(37)의 폭은 상기 빗살(35)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하여 여유있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30)에는 한쌍의 제 1 롤러(38)가 설치되고, 제 2 회전축(40)상에는 제 1 회전축(30)에 마련된 한쌍의 제 1 롤러(38)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롤러(45)가 설치되어 가는 직경의 전선 껍질을 벗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30)의 일단에는 너트(39)가 체결되고, 축방향으로 키홈(30a) 형성되고, 상기 롤러(38a)와 너트(39)의 구멍 내측면에 상기 키홈(30a)과 대응하는 키홈(38b,39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롤러(38a)와 너트(39)를 일정간격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2 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키(39c)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롤러(38) 중 바깥쪽에 있는 롤러(38a)가 제 1 회전축(30)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의 일단에 상기 제 1 칼날(33)과 제 2 칼날(43) 사이로 전선을 반듯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12)의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61)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61)과 이동판(62)의 일면에는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삼각홈(63)이 형성되는 전선안내수단(6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62)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64)이 형성되어 이 장공(64)을 관통하는 볼트(65)에 의해 프레임(12)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2)과 이동판(62)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각각 고리(66)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고리(67)이 마련되어 나사봉(68)이 결합되며, 상기 나사봉(68)의 선단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조절봉(6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날(4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61)에 고정설치되는 제 1 금속패드(71)와 조절봉(72)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금속패드(73)를 구비하며, 제 2 칼날(43)의 양단에 설치되는 브레이크(7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70)는 상기 고정판(61)의 일단에 고리(74)를 마련하고, 이 고리(74)와 제 2 칼날(43)에 형성된 구멍(75) 사이에 동시에 삽입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절곡시킨 걸림부재(7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1 롤러(38) 사이에 낀 전선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38) 사이에 삽입되는 얇은 판상의 제거부재(81)와, 한쌍의 제 1 롤러(38) 외주면에 직각방향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된 브라켓(72)으로 이루어지는 찌꺼기 제거수단(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껍질 탈피장치.
KR1019980023859A 1998-06-24 1998-06-24 전선껍질탈피장치 KR10028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859A KR100287812B1 (ko) 1998-06-24 1998-06-24 전선껍질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859A KR100287812B1 (ko) 1998-06-24 1998-06-24 전선껍질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91A true KR20000002891A (ko) 2000-01-15
KR100287812B1 KR100287812B1 (ko) 2001-07-12

Family

ID=1954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859A KR100287812B1 (ko) 1998-06-24 1998-06-24 전선껍질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8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26B1 (ko) * 2006-07-18 2008-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케이블 박피용 지그장치
KR100838998B1 (ko) * 2007-04-11 2008-06-20 정대영 서레이터의 커터날 조정장치
US8289314B2 (en) 2009-03-20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odulating/demodulating a signa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KR101285133B1 (ko) *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20160103416A (ko) 2015-02-24 2016-09-01 정성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KR102298448B1 (ko) * 2021-06-02 2021-09-03 안정업 케이블 피복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456B1 (ko) 2010-05-12 2011-08-29 허영철 전선 피복 탈피기
KR102552278B1 (ko) 2020-12-18 2023-07-06 형 재 이 전선 피복 절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342Y1 (ko) * 1992-06-30 1994-04-13 박원근 초고압 케이블의 외피 탈피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26B1 (ko) * 2006-07-18 2008-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케이블 박피용 지그장치
KR100838998B1 (ko) * 2007-04-11 2008-06-20 정대영 서레이터의 커터날 조정장치
US8289314B2 (en) 2009-03-20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odulating/demodulating a signa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KR101285133B1 (ko) *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20160103416A (ko) 2015-02-24 2016-09-01 정성화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KR102298448B1 (ko) * 2021-06-02 2021-09-03 안정업 케이블 피복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7812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803B1 (ko) 탈피기
EP0401984B1 (en) Wire stripping apparatus
EP1878525B1 (en) Cutter
KR100287812B1 (ko) 전선껍질탈피장치
US5865085A (en) High volume wire stripper
CN203660263U (zh) 漆包线刮漆机
US4592685A (en) Deburring machine
CN110605200B (zh) 一种五金件表面处理系统
CN208299343U (zh) 一种剥线工具
CN113690804A (zh) 一种基于高效的电缆加工装置
KR20100040586A (ko) 전선 피복 제거장치
KR100289499B1 (ko) 전선의 절연피복체 탈피기
CN107681565A (zh) 一种自动剥线装置
KR100697219B1 (ko) 에나멜선 탈피장치
CA2327120C (en) Device for mechanically cleaning wire rod for drawn metal wires
KR20200039275A (ko) 필름 이물 제거 장치 및 모듈
JPH01209909A (ja) ケーブルの多層被覆の選択的切断装置と方法
US3534422A (en) Conductor stripper
CN111313334B (zh) 一种三抓卡盘式电缆铝护套切割装置及其切割方法
CN110125999B (zh) 一种切片快速加工装置
CN110959872A (zh) 一种弹性变隙进切-滚压式无患子脱壳装置
CN113059085A (zh) 一种建筑机械加工用钢筋拉直截断一体机
CN218285919U (zh) 一种展柜板材数控双面压刨装置
CN211841455U (zh) 一种型材切割机
GB2222492A (en) Waste cable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