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700U - 낚시찌 중량조절추 - Google Patents

낚시찌 중량조절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700U
KR20000002700U KR2019980012624U KR19980012624U KR20000002700U KR 20000002700 U KR20000002700 U KR 20000002700U KR 2019980012624 U KR2019980012624 U KR 2019980012624U KR 19980012624 U KR19980012624 U KR 19980012624U KR 20000002700 U KR20000002700 U KR 200000027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oove
fishing
fishing bobber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6500Y1 (ko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이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배 filed Critical 이원배
Priority to KR2019980012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50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50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에 설치되어 어신을 감지하는 수단인 낚시찌의 중량조절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찌를 수표면상으로 설치함에 있어, 낚시찌의 수표면 돌출높이를 조절할 때 사용되며, 협지홈과 유연홈이 구성되어 수작업에 의해 낚시줄로 설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낚시찌의 중량조절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협지홈에 의해 개방홈의 개폐를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함은 물론, 유연홈의 구성으로 개폐작업시 발생되는 중량조절추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하므로서, 설치 및 분리작업의 편리함에 따라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 낚시찌 중량조절추를 제공하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연질의 납 등을 재질로 하며 본선삽입공과 개방홈이 구성되는 낚시찌의 중량조절추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의 외측으로 협지홈이 구성되고, 이 협지홈의 대향되는 타측으로 유연홈이 형성되어, 상기 협지홈을 통한 수작업으로 상기 개방홈이 개폐되도록 한 낚시찌 중량조절추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낚시찌 중량조절추
본 고안은 낚시대에 설치되어 어신을 감지하는 수단인 낚시찌의 중량조절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찌를 수표면상으로 설치함에 있어, 낚시찌의 수표면 돌출높이를 조절할 때 사용되며, 협지홈과 유연홈이 구성되어 수작업에 의해 낚시줄로 설치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낚시찌의 중량조절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낚는데 사용되는 낚시도구는 낚싯대와 낚시채비 및 낚시찌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되는데, 이러한 낚시도구는 낚싯대의 본선으로 낚시찌고정구와 낚시채비를 연결하고 상기 낚시찌고정구로 낚시찌를 고정하므로서 상호연결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낚시채비와 낚시찌가 연결된 낚시대를 수중으로 투입하여 낚시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낚시찌는 수중으로 잠수되어 설치된 미끼에 의해 물고기를 유인하는 낚시채비로부터의 어신을 육안에 의해 식별할 수 있도록 수표면상에 일정부분이 수직돌출되는 것인데,
이와같이 낚시찌를 수표면상에 설치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낚시채비 또는 낚싯대의 본선의 끝단으로 낚시찌 중량조절추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종래 사용되는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로 연질의 납 등을 그 구성재질로 하며 봉상체를 취하는 추로서, 몸체(10)의 상단면 중앙으로 개방홈(20)을 갖는 본선삽입공(30)을 형성시켜, 상기 개방홈(20)을 개폐함에 따라 상기 본선삽입공(30)으로 본선(L)의 삽입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낚시찌의 중량조절추(100)는 개방홈(20)의 개폐작업을 행함에 있어, 자체가 갖는 크기가 작고 개방홈(20)이 곡면상에 형성됨에 따라 개방홈(20)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칼 또는 플라이어등)를 사용해야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울뿐만아니라, 중량조절추(100) 자체가 연질로 구성되므로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한 개폐작업 중 형태가 변형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중량조절추(100)를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가 되어 낚시터 등지에 마구 버려짐에 따라 물과 토양이 중금속으로 오염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낚시찌의 중량조절추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협지홈에 의해 개방홈의 개폐를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함은 물론, 유연홈의 구성으로 개폐작업시 발생되는 중량조절추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하므로서, 설치 및 분리작업의 편리함에 따라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 낚시찌 중량조절추를 제공하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연질의 납 등을 재질로 하며 본선삽입공과 개방홈이 구성되는 낚시찌의 중량조절추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의 외측으로 협지홈이 구성되고, 이 협지홈의 대향되는 타측으로 유연홈이 형성되어, 상기 협지홈을 통한 수작업으로 상기 개방홈이 개폐되도록 한 낚시찌 중량조절추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사용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량조절추 2 : 몸체 3 : 협지홈
4 : 유연홈 5 : 본선삽입공 41,41' : 돌출면
51 : 개방홈 H : 낚시채비 L,L' : 본선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의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봉상체를 취하는 몸체(2)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협지홈(3)이 구성되고, 이 협지홈(3)의 대향되는 타측 몸체로는 곡선형태를 취하는 유연홈(4)이 구성되며, 상기 몸체(2)의 상단 중앙으로 몸체(2)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일측에 개방홈(51)을 갖는 본선삽입공(5)이 형성되므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홈(51)을 갖는 본선삽입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2)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으로서,
이 본선삽입공(5)의 직경은 낚시대의 본선(L) 또는 낚시채비(H)의 본선(L')의 직경(굵기)보다는 크게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본선삽입공(5)의 외둘레 임의의 지점으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본선삽입공(5)과 몸체(2)가 수평방향으로 절단되는 형태로서 구성되는 개방홈(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협지홈(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2)의 외둘레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상기 개방(51)홈을 중심으로 좌,우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사각홈으로서, 상기 협지홈(3)의 가로길이는 사람의 손톱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연홈(4)은 전술한 협지홈(3)과 대향되는 몸체 타측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곡선형태를 취하는 홈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시켜, 홈의 시작부위와 끝부위로 돌출면(41,4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몸체(2)는 그 구성재질을 연질로서 비중이 큰 납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1)의 사용에 따른 상호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사용자가 낚시찌의 올바른 설치를 위해 중량조절추(1)를 필요로 할 경우,
별도의 도구 사용없이 양 엄지손가락를 이용하여 협지홈(3)을 벌리면 몸체 (2)자체가 갖는 연성과 함께 협지홈(3)의 대향되는 타측으로 구성된 유연홈(4)이 축역할을 하게 되므로 양 돌출면(41,41')이 밀착되는 형태로 변형되므로서 개방홈(51)이 열린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개방홈(51)이 열린형태로 변형됨에 따라 본선삽입공(5)또한 일측이 개방되므로 낚싯대 본선(L)의 끝단 또는 이 본선(L)과 연결되는 낚시채비(H)의 본선(L')을 삽입하고 엄지와 검지의 힘을 이용해 개방홈(51)이 닫힌위치로 형태변형시키므로서 본선(L.L')으로의 설치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1)는 필요에 따라 본선(L,L')으로 다수개를 전술한 방법에 의해 설치하므로서 많은 중량을 갖는 낚시찌를 수표면으로 일정길이 돌출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낚시를 마친 후 본선(L,L')에 설치된 단수개 또는 다수개 중량조절추(1)를 탈착할때에도 별도의 도구사용 없이 전술한 방법으로 개방홈(51)을 수작업에 의해 열린위치로 놓이게하여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형태변형이 최소화됨에 따라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 중량조절추는 협지홈의 구성에 따라 수작업에 의해 개방홈의 개폐작업이 이루어지고, 개폐작업시 축역할을 하는 유연홈을 구성시켜 몸체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하여 개방홈의 개폐작업시 별도의 도구사용이 필요없으므로 중량조절추의 본선 설치작업이 편리하며 재사용이 가능하여 무단투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질의 납 등을 재질로 하며 본선삽입공(5)과 개방홈(51)이 구성되는 낚시찌의 중량조절추(1)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51)의 외측으로 협지홈(3)이 구성되고, 이 협지홈(3)의 대향되는 타측으로 유연홈(4)이 형성되어, 상기 협지홈(3)을 통한 수작업으로 상기 개방홈(5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중량조절추.
KR2019980012624U 1998-07-09 1998-07-09 낚시찌 중량조절추 KR200206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24U KR200206500Y1 (ko) 1998-07-09 1998-07-09 낚시찌 중량조절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24U KR200206500Y1 (ko) 1998-07-09 1998-07-09 낚시찌 중량조절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00U true KR20000002700U (ko) 2000-02-07
KR200206500Y1 KR200206500Y1 (ko) 2001-01-15

Family

ID=6951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624U KR200206500Y1 (ko) 1998-07-09 1998-07-09 낚시찌 중량조절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83B1 (ko) * 2008-11-13 2009-07-28 김화규 낚시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52B1 (ko) 2007-03-15 2009-10-08 안병석 낚시찌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436202B1 (ko) * 2019-12-24 2022-09-08 신승호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KR102442681B1 (ko) * 2021-09-13 2022-09-13 김종훈 낚시용 어신 감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83B1 (ko) * 2008-11-13 2009-07-28 김화규 낚시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500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921B2 (en) Fishhook threader
US4696125A (en) Casting float with line stop
US6516555B2 (en) Fly fish lure holder
JP4600222B2 (ja) 波乗り用ボードのリーシュ絡み防止具
US5428921A (en) Chum bobber fishing lure
KR200206500Y1 (ko) 낚시찌 중량조절추
US2444791A (en) Fishing line float
US3357124A (en) Fishing lure
US3835574A (en) Fishhook extractor
US3197914A (en) Fishing float
US3949510A (en) Device for retrieving minnows
DE69913599D1 (de) Sinkblei mit Austreibkammer für Angelhaken mit Köder
US2931125A (en) Fish hook disgorgers
SI22196A (sl) Pripomoček za vdevanje ribiške vrvice v odprtino trnka
US3019547A (en) Fishhook extractor
US20040025408A1 (en) De-hooking device for releasing fish
US3945145A (en) Bait holding fishing hook assembly
GB2178281A (en) Trotting swim feeder
KR200344776Y1 (ko) 인공 어구
JPS61158736A (ja) フカセ釣り方法及びフカセ釣り用釣り具
CN211064724U (zh) 一种打竿抛投器
JPS588057Y2 (ja) 大魚釣り上げ具
JP3054611U (ja) 釣り竿負荷消し補助具
JPH03112430A (ja) 自動合わせ浮きの磁石を使った物
KR200302079Y1 (ko) 게 통발용 미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