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527U -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527U
KR20000002527U KR2019980012418U KR19980012418U KR20000002527U KR 20000002527 U KR20000002527 U KR 20000002527U KR 2019980012418 U KR2019980012418 U KR 2019980012418U KR 19980012418 U KR19980012418 U KR 19980012418U KR 20000002527 U KR20000002527 U KR 200000025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water
booth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일
Original Assignee
김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일 filed Critical 김수일
Priority to KR2019980012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527U/ko
Publication of KR20000002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527U/ko

Link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스형 샤워기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인 입수파이프를 냉온수용 수도밸브의 샤워기측 토출부에 연결설치하여 부스형 샤워기로 유입되는 물의 수온조절을 수도밸브를 이용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스형 샤워기의 내부에 수온조절수단을 배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제품의 중량을 줄이고, 사이즈를 박형화하는 효과가 있고, 종래 냉온수용 수도밸브의 냉,온수 파이프와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 냉온수용 수도밸브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시공시 수도배관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추가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 장치
본 고안은 부스(BOOTH)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워기로 입수되는 물의 유로인 입수파이프를 수도밸브의 혼합수 유출구와 연결하여 샤워기의 외부에서 혼합수를 직접 공급하도록 하는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탕에 설치되는 욕조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밸브는 각각 온수유출구와, 냉수유출구가 구분되어 있어 조절손잡이를 이용하여 욕조에 선택적으로 냉온수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수도밸브의 하부에 형성된 혼합수 유출구에는 핸드타입 샤워헤드기가 연결되어 있어 샤워시에 혼합수를 핸드타입 샤워헤드기로 분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부스형 샤워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형 샤워기 케이싱(1)의 상단부에는 헤드 샤워헤드기(2)가 설치되고, 케이싱의 양측부 및 하부에는 바디 샤워헤드기(3)(4)가 설치되며, 핸드타입 샤워헤드기(5)가 케이싱의 하부에 거치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부스형 샤워기에는 혼합수 조절밸브(6)와, 헤드 샤워헤드기 조절밸브(7), 바디 샤워헤드기 조절밸브(8) 및 핸드타입 샤워헤드기 조절밸브(9)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부스형 샤워기는 혼합수 조절기(10)가 수도밸브(미도시)의 냉수유출구 및 온수유출구에 냉수파이프와 온수파이프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의 배관상에 각각 냉수파이프(11)와 온수파이프(12)가 연결설치되어 있어 냉,온수가 분리된 상태로 직접 부스형 샤워기측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냉,온수는 혼합수 조절기(10)에서 냉,온수의 양이 조절되어 각각의 샤워헤드기(2)(3)(4)(5)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샤워헤드기의 개폐밸브(7)(8)(9)를 조절하여 물이 분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부스형 샤워기는 수도밸브의 냉,온수 유출구가 각각 샤워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부스형 샤워기를 구비한 상태에서는 수도밸브의 냉,온수 유출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스형 샤워기를 수도배관과 연결하는 경우에는 시공시에 샤워기가 설치되지 않고, 추가로 부스형 샤워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수도배관 작업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설치작업상에 어려움이 많고, 설치비용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부스형 샤워기는 샤워기에서 분출되는 물의 온도를 샤워기에 설치되는 혼합수 조절기(10)에서 별도로 조절하도록 하고 있어 이러한 혼합수 조절기를 구비함에 따라 샤워기의 배관구성이 복잡해지고, 전체 샤워기의 중량이 증대되며, 사이즈도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샤워기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수도밸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하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시에 샤워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샤워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샤워기의 외부에서 혼합수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수온조절수단을 샤워기에서 배제함으로써 샤워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샤워기의 중량 및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입수 배관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입수 배관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스형 샤워기 케이싱 110 ; 헤드 샤워헤드기
120,130,140 ; 바디 샤워헤드기 150 ; 핸드타입 샤워헤드기
160 ; 개폐밸브 200 ; 수도밸브
210 ; 냉온수 유출구 220 ; 부스형 샤워기측 혼합수 유출구
230 ; 조절손잡이 240 ; 입수파이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 장치는 샤워기 케이싱에 헤드 샤워헤드기, 바디 샤워헤드기 및 핸드타입 샤워헤드기를 구비하는 부스형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형 샤워기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인 입수파이프를 냉온수용 수도밸브의 샤워기측 토출부에 연결설치하여 부스형 샤워기로 유입되는 물의 수온조절을 수도밸브를 이용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입수 배관 구조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수도밸브(200)의 부스형 샤워기측 혼합수 유출구(220)와 부스형 샤워기(100)를 입수파이프(240)로 연결하여 수도밸브(200)에서 냉,온수의 양이 조절된 상태로 부스형 샤워기(100)측으로 혼합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수도밸브(200)의 부스형 샤워기측 혼합수 유출구(220)를 통해 부스형 샤워기(100)로 급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도밸브의 냉온수 유출구(210)는 그대로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단순히 혼합수 유출구(220)와 부스형 샤워기(100)를 입수파이프(240)로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부스형 샤워기로 공급되는 물은 수도밸브(200)에서 수온이 조절된 혼합수이기 때문에 부스형 샤워기(100)에는 별도의 수온조절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샤워기의 배관 구성이 간소화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장치가 적용된 부스형 샤워기는 수도밸브(200)을 온시킨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냉온수의 양을 수도밸브(200)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면, 수도밸브의 혼합수 유출구(220)에서 적절하게 조절된 냉온수의 혼합수가 입수파이프(240)를 통해 부스형 샤워기(100)로 입수되고, 사용자가 다시 샤워기의 헤드 샤워헤드기(110), 바디 샤워헤드기(120)(130)(140) 또는 핸드타입 샤워헤드기(150) 중에서 필요한 조건의 샤워헤드기를 선택하여 개폐밸브(160)를 조절함으로써 샤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샤워도중에 혼합수의 수온을 조절하고자 하면, 수도밸브(200)의 조절손잡이(230)를 조작하면 되고, 샤워가 끝난 후에는 수도밸브(200)를 오프시켜 혼합수의 공급을 중단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 장치는 샤워기에 별도의 냉온수 조절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샤워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밸브에서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여 수온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샤워기의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샤워기의 중량이 가벼워지며, 샤워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도밸브에서 샤워기로 공급되는 물의 경로가 수도밸브의 부스형 샤워기측 혼합수 유출구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도밸브의 냉수유출구 및 온수유출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편리를 도모하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후에 추가적으로 샤워기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실시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샤워기 케이싱에 헤드 샤워헤드기, 바디 샤워헤드기 및 핸드타입 샤워헤드기를 구비하는 부스형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형 샤워기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인 입수파이프를 냉온수용 수도밸브의 샤워기측 토출부에 연결설치하여 부스형 샤워기로 유입되는 물의 수온조절을 수도밸브를 이용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 장치.
KR2019980012418U 1998-07-08 1998-07-08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KR200000025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18U KR20000002527U (ko) 1998-07-08 1998-07-08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18U KR20000002527U (ko) 1998-07-08 1998-07-08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27U true KR20000002527U (ko) 2000-02-07

Family

ID=6951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418U KR20000002527U (ko) 1998-07-08 1998-07-08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5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5870A (zh) * 2018-12-06 2019-03-08 常熟华东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淋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5870A (zh) * 2018-12-06 2019-03-08 常熟华东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淋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027A (en) Shower head
US5123628A (en) Water saving valve
US7748649B2 (en) Water discharging apparatus
US5408709A (en) Shower control assembly
US4286623A (en) Faucet control device
KR20000002527U (ko) 부스형 샤워기의 냉온수량 조절장치
CA2415679A1 (en) Laundry faucet
GB1570484A (en) Shower apparatus
KR200300761Y1 (ko) 바디샤워기의 절수장치
JP4114124B2 (ja) フットシャワーを有するシャワー装置
CN211511575U (zh) 一种具有人性化装置的节水淋浴器
KR200200802Y1 (ko) 수량 및 수온자동 조절장치
KR200355413Y1 (ko) 냉.온 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KR200376913Y1 (ko) 수전금구
JPH069598B2 (ja) 浴用噴出装置
KR200307063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KR200327570Y1 (ko) 연수기
KR200259945Y1 (ko) 수압조절용 냉온수 혼합꼭지
KR20060058853A (ko) 수전금구
KR200291245Y1 (ko) 난방 제어장치
JP2713423B2 (ja) 洗髪台
JPH08151667A (ja) 配管設備
JPH07324358A (ja) 混合水栓
KR960008199Y1 (ko) 수전금구의 급수전 급수전환장치
WO2004075705A3 (en) Whirlpool bath jet assembly with drainage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