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237U - 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237U
KR20000002237U KR2019980011001U KR19980011001U KR20000002237U KR 20000002237 U KR20000002237 U KR 20000002237U KR 2019980011001 U KR2019980011001 U KR 2019980011001U KR 19980011001 U KR19980011001 U KR 19980011001U KR 20000002237 U KR20000002237 U KR 200000022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obbin
roller
rotary shaft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호
Original Assignee
장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호 filed Critical 장병호
Priority to KR2019980011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237U/ko
Publication of KR20000002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37U/ko

Link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보빈에 감겨진 얀이 공급되는 중에 가벼워 튀는 것을 방지하여 얀의 공급이 원할하여 편직이 잘이루어지도록 하는 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의 구동력에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은 플리(101)가 축설된 회전축(102)이 축설되는 상부 하우징(103)과, 상기 회전축(102)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면서 보빈(104)에 감겨진 얀(105)을 회전시켜주는 롤러(106)(107)가 하부 하우징(108)에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104)내에 장착되어 얀(105)이 공급될 때 튀는 것을 방지하여 얀(105)이 균형을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균형유지편(109)을 구비하고, 상기 균형유지편(109)은 보빈(104)에 접하도록 하는 호형부(110)와 탄성력을 가지도록 꺽여진 꺽임부(111)와 절단된 부분이 일정하게 벌어진 간격부(112)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얀 공급장치
본 고안은 탄성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보빈에 감겨진 얀이 공급되는 중에 가벼워 튀는 것을 방지하여 얀의 공급이 원할하여 편직이 잘이루어지도록 하는 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얀 공급장치는 도1 및 도2와 같이 상,하부로 형성된 상,하부 하우징(1)(2)과, 상기 상부 하우징(1)에는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을 전달하는 플리(3)가 축설되어진 회전축(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4)의 하부에는 베벨기어(5)가 축설되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2)에는 상기 베벨기어(5)와 결합되어 수평으로 회전하는 베벨기어(6)가 축설되어진 수평축(7)의 양단을 베어링(8)으로 지탱하게 구비하고, 상기 수평축(7)에 축설된 플리(9)의 회전력이 타이밍벨트(9')에 의하여 전달되어 지도록 하는 플리(10)가 축설되고 베어링(11)에 의하여 지탱되어 회전하는 롤러(12)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12)에 축설되어진 플리(9)의 회전력이 타이밍벨트(13)에 의하여 전달되어 지도록 하는 플리(14)가 축설되고 베어링(15)에 의하여 지탱되어 회전하는 롤러(16)가 구비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구동부를 구동시켜주면 회전력이 플리(3)에 전달되어 상기 플리(3)가 회전하면 회전축(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4)의 하단에 축설된 베벨기어(5)가 회전한다.
상기 베벨기어(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베벨기어(5)에 결합되어진 베벨기어(6)가 회전하면서 하부 하우징(2)에 베어링(8)에 의하여 지탱되어진 수평축(7)이 회전한다.
상기 수평축(7)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평축(7)에 축설되어진 플리(9)가 회전하면서 타이밍벨트(9')를 회전시켜 회전력이 롤러(12)에 축설되어진 플리(10)에 전달됨에 따라 베어링(11)으로 하부 하우징(2)에 지탱되어진 롤러(12)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12)에 축설되어진 플리(14)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회전력이 타이밍벨트(13)에 의하여 롤러(16)에 축설되어진 플리(14)에 전달됨에 따라 베어링(15)에 의하여 하부 하우징(2)에 지탱되어진 롤러(16)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12)와 롤러(16)는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게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12)와 롤러(16)의 사이 위에 보빈(17)에 감겨진 얀(18)을 얹혀 놓는다.
이와같이 롤러(12)와 롤러(16)와의 사이 위에 얹혀진 얀(18)이 회전되면서 편직기에 얀(18)이 공급되었다.
그러나, 보빈(17)에 감겨진 얀(18)이 어느 정도 풀리게 되면 가벼워 지게 됨에 따라 회전하는 얀(18)이 롤러(12)와 롤러(16)위에서 튀게 되기 때문에 절사 되거나 얀(18)의 공급이 원할치 못하여 편직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편물기에 얀이 공급될 때 보빈에 감겨진 얀의 량이 적어지게 되면 보빈에 감겨진 얀이 풀리면서 롤러위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실이 절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얀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빈내에 보빈이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균형유지편을 구비함으로서 얀이 튀지않고 원할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얀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2는 일반적인 얀 공급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얀 공급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얀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플리 102 : 회전축
103 : 상부 하우징 104 : 보빈
105 : 얀 106 : 롤러
107 : 롤러 108 : 하부 하우징
109 : 균형유지편 110 : 호형부
111 : 꺽임부 112 : 간격부
본 고안 얀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3과 도4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의 구동력에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은 플리(101)가 축설된 회전축(102)이 축설되는 상부 하우징(103)과, 상기 회전축(102)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면서 보빈(104)에 감겨진 얀(105)을 회전시켜주는 롤러(106)(107)가 하부 하우징(108)에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104)내에 장착되어 얀(105)이 공급될 때 튀는 것을 방지하여 얀(105)이 무게에 의하여 균형을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균형유지편(109)을 구비하였다.
상기 균형유지편(109)은 보빈(104)에 접하도록 하는 호형부(110)와 탄성력을 가지도록 꺽여진 꺽임부(111)와 절단된 부분이 일정하게 벌어진 간격부(112)를 구비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얀 공급장치는 종래와 같이 구동부를 구동시켜주면 회전력이 플리(101)에 전달되어 상기 플리(101)가 회전하면 회전축(10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02)의 하단에 축설된 베벨기어(도면에 도시 않됨)가 회전한다.
상기 베벨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베벨기어에 결합되어진 베벨기어(도면에 도시되지않음)가 회전하면서 하부 하우징(108)에 베어링에 의하여 지탱되어진 수평축이 회전한다.
상기 수평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평축에 축설되어진 플리가 회전하면서 타이밍벨트를 회전시켜 회전력이 롤러(106)에 축설되어진 플리에 전달됨에 따라 베어링으로 하부 하우징(108)에 지탱되어진 롤러(106)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106)에 축설되어진 플리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회전력이 타이밍벨트에 의하여 롤러(107)에 축설되어진 플리에 전달됨에 따라 베어링에 의하여 하부 하우징(108)에 지탱되어진 롤러(107)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106)와 롤러(107)는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게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106)와 롤러(107)의 사이 위에 보빈(104)에 감겨진 얀(105)을 얹혀 놓는다.
이와같이 롤러(106)와 롤러(107)와의 사이 위에 얹혀진 얀(105)이 회전되면서 편직기에 얀(105)이 공급되었다.
이때, 상기 보빈(104)내에 균형유지편(109)에 삽입되어저 장착되어저 있기 때문에 보빈(1104)에 감겨진 얀(105)이 어느 정도 풀리게 되어도 가벼워 지지않게 된다.
상기 균형유지편(109)을 보빈(104)내에 장착코저 할 때는 간격부(112)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꺽임부(111)에 의하여 간격부(112)가 좁아진 상태에서 보빈(104)내에 삽입하였다가 놓으면 호형부(110)가 보빈(104)내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롤러(106)와 롤러(107)을 회전시키면, 롤러(106)와 롤러(107)와의 사이 위에 얹혀진 얀(105)이 회전하면서 회전하는 얀(105)이 롤러(106)와 롤러(107)위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얀(105)이 절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얀(105)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얀을 공급할 때 얀이 보빈에서 어느 정도 풀려도 균형유지편에 의하여 무게가 가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얀이 롤러위에서 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공급되는 얀이 절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얀의 공급이 원할하므로 편직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동부의 구동력에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은 플리(101)가 축설된 회전축(102)이 축설되는 상부 하우징(103)과, 상기 회전축(102)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면서 보빈(104)에 감겨진 얀(105)을 회전시켜주는 롤러(106)(107)가 하부 하우징(108)에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104)내에 장착되어 얀(105)이 공급될 때 튀는 것을 방지하여 얀(105)이 무게에 의하여 균형을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균형유지편(109)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장치.
  2. 상기 균형유지편(109)은 보빈(104)에 접하도록 하는 호형부(110)와 탄성력을 가지도록 꺽여진 꺽임부(111)와 절단된 부분이 일정하게 벌어진 간격부(1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장치.
KR2019980011001U 1998-06-24 1998-06-24 얀 공급장치 KR200000022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01U KR20000002237U (ko) 1998-06-24 1998-06-24 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01U KR20000002237U (ko) 1998-06-24 1998-06-24 얀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37U true KR20000002237U (ko) 2000-02-07

Family

ID=6951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001U KR20000002237U (ko) 1998-06-24 1998-06-24 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237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625A (ko) * 2000-10-18 2002-04-04 장경복 얀 공급장치
KR100345909B1 (ko) * 2000-05-01 2002-07-27 박윤석 실(絲) 공급장치
KR101932116B1 (ko) * 2018-05-08 2019-03-20 신익환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KR101961293B1 (ko) * 2018-12-27 2019-03-21 조진봉 메탈릭 얀 공급장치
KR102115261B1 (ko) * 2019-07-24 2020-05-26 우정후 편직물 제조를 위한 원사 급사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09B1 (ko) * 2000-05-01 2002-07-27 박윤석 실(絲) 공급장치
KR20020025625A (ko) * 2000-10-18 2002-04-04 장경복 얀 공급장치
KR101932116B1 (ko) * 2018-05-08 2019-03-20 신익환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KR101961293B1 (ko) * 2018-12-27 2019-03-21 조진봉 메탈릭 얀 공급장치
KR102115261B1 (ko) * 2019-07-24 2020-05-26 우정후 편직물 제조를 위한 원사 급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2237U (ko) 얀 공급장치
TW201043743A (en) Yarn feed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0846197B1 (ko)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및 코드사 봉착 방법
CA1079050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feeding yarn to yarn using machines
JP5788011B2 (ja) 給糸分離型装置
KR20020025625A (ko) 얀 공급장치
EP1713960A1 (en) Twisting machine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twisting speed and winding speed and method of the same
KR200216328Y1 (ko) 얀 공급장치
KR200172263Y1 (ko) 권사기의 보빈 홀더
JP4726615B2 (ja) 丸編機の積極給糸手段の駆動伝達装置
JPH11286856A (ja) 紡織機の糸供給装置
KR20020089185A (ko) 사조권취장치 및 사조패키지 제조방법
KR200204168Y1 (ko)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KR20090003741U (ko)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KR960002240Y1 (ko) 양말편직기용 실린더 지지장치
GB2037823A (en) Device for continuously depositing a ropelike strand of fibres
KR200321479Y1 (ko) 장식사 제조기의 회전스핀들 장력조절장치
JP2003306271A (ja) 水平糸道ローラー
JPS61252330A (ja) 繊維機械に弾性糸を強制的に供給する装置
KR200254543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구동풀리 구동장치
EP0732285A1 (en) Device for feeding webs of material alternately from two different reels
KR200254539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구동풀리 변속장치
KR950008405Y1 (ko) 킬팅머시인용 헤드
KR910004536Y1 (ko)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CN112160045A (zh) 一种仿漏绒雪尼尔纺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