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217U - 플러그인출기능을가지는멀티코드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인출기능을가지는멀티코드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217U
KR20000002217U KR2019990007711U KR19990007711U KR20000002217U KR 20000002217 U KR20000002217 U KR 20000002217U KR 2019990007711 U KR2019990007711 U KR 2019990007711U KR 19990007711 U KR19990007711 U KR 19990007711U KR 20000002217 U KR20000002217 U KR 20000002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port
lever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8988Y1 (ko
Inventor
김금택
Original Assignee
김금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택 filed Critical 김금택
Priority to KR2019990007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98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3Separation or disconnection ai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를 콘센트의 접속구로부터 분리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멀티 코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는 플러그가 꽂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와, 접속구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접속구를 관통하는 봉이 형성된 테이블부재와, 버튼부재와 테이블부재에 공통으로 접촉되며 본체 하우징 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튼부재에 연동되어 테이블부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테이블부재에 연동되어 버튼부재를 들어 올리는 레버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는 플러그를 간편하고 안정되게 접속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Multi-code Consent with Function of Pulling Plug Out}
본 고안은 다수의 플러그가 꽂혀지게 되는 멀티 코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를 콘센트의 접속구로부터 분리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멀티 코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멀티 코드 콘센트는 다양한 가정기기들 각각에 연결된 코드들을 옥외로부터 공급되는 공중 전력원과 접속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멀티 코드 콘센트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4)가 꽂혀지는 복수 개의 접속구(2A,2B,2C)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멀티 코드 콘센트는 플러그(4)가 삽입되기는 쉽지만은 플러그(4)를 뽑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는 플러그(4)를 접속구(2A,2B,2C)로부터 뽑기 위해서는 먼저, 콘센트 본체(6)를 손이나 발로 고정시킨 다음 플러그(4)를 잡고 뽑아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플러그(4)와 코드(5) 사이의 경계부를 잡고 뽑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4)와 코드(5)의 경계부분에서 인장력이 누적되므로 해당 부분의 전선이 접속불량되거나 단선 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소62-62777"호에 개재된 플러그 인출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콘센트 본체(16) 상에 안정판(17)을 고정시키고 안정판(17)에 레버(18)를 설치하게 된다. 레버(18)는 안정판(17)의 돌기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 레버(18)는 안정판(17)의 돌기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일단은 콘센트 본체(16)의 상면에 밀착된다. 플러그는 레버(18)의 끝단을 사이에 두고 접속구(12)에 꽂혀지게 된다. 플러그를 뽑는 경우, 레버(18)를 누르게 되면 레버(18)에 연동되어 플러그가 외부로 빠지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 인출장치는 안정판(17)과 레버(18) 만으로 구성되지만, 외부의 충격에 의해 레버(18)가 파손되기 쉬울 뿐 아니라 플러그를 접속구(12)에 꽂을 때 플러그 또는 손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소61-114774"호에 개재된 플러그 고정기구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거리를 두고 콘센트 본체(26)를 관통하는 복귀봉(27) 및 인출봉(29)과, 복귀봉(27) 및 인출봉(29) 사이에 설치된 레버(28)와, 레버(28)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편(32)을 구비한다. 복귀봉(27)의 끝단은 헤드(27a)가 부착되어 있다. 이 복귀봉(27)은 플러그(24)가 접속구(22)에 꽂혀지지 않으면 스프링(31)과 레버(28)에 의해 콘센트 본체(26)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플러그(24)가 접속구(22)에 꽂혀지면 레버(28)에 연동되어 들어 올려지게 된다. 레버(28)는 복귀봉(27)에 연동되어 인출봉(29)을 플러그(24)에 나란한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킴과 동시에, 고정편(32)을 콘택(30) 쪽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편(32)은 플러그(24)가 접속구(22)에 꽂혀질 때 레버(28)에 연동되어 콘택(30)과 플러그(24)의 전극편(25)을 관통함으로써 플러그(2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출봉(29)은 플러그(24)와 레버(28) 사이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 고정기구는 플러그(24) 고정시키는 기능과 함께 복귀봉(27)을 이용하여 플러그(24)를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가진 장점이 있다. 반면, 도 3과 같은 플러그 고정기구는 콘센트 본체(26) 내에 복귀봉(27), 레버(28), 레버 지지판(26a), 스프링(31), 인출봉(29) 및 고정편(32) 등이 설치되어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동작이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콘센트 내부에 많은 부품들이 조립됨으로써 조립 난이도를 증대시킴은 물론 콘센트의 부피를 커지게 한다. 또한, 길이가 긴 인출봉(29)이 플러그(24)와 레버(28)에 점접촉된 상태로 구동력을 상호 전달하기 때문에 인출봉(29)이 파손되기 쉽고 구동력이 편심지게 플러그(24) 또는 레버(28)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24)를 접속구(22)로부터 뽑는 동작과 접속구(22)에 꽂는 동작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러그가 접속구로부터 안정되게 분리되도록 한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코드 콘센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플러그 인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플러그 고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코드 콘센트와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코드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코드 콘센트를 위에서 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A,2B,2C,12,52,52A,52B,52C : 접속구 4,24,50 : 플러그
5 : 코드 6,16,26,46 : 콘센트 본체
17 : 안정판 18,28,42 : 레버
25,51 : 플러그의 전극편 26a : 레버 지지판
27 : 복귀봉 27a : 헤드
29 : 인출봉 30 : 콘택
31,45 : 스프링 32 : 고정편
41 : 푸쉬버튼 43 : 테이블
43a : 가이드봉 43b,47c : 삽입홀
44 : 이물질 삽입 방지판 46a : 가이드 리브
47 : 환형홈 47a : 환형홀
47b : 스프링 고정 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는 플러그가 꽂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와, 접속구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접속구를 관통하는 봉이 형성된 테이블부재와, 버튼부재와 테이블부재에 공통으로 접촉되며 본체 하우징 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튼부재에 연동되어 테이블부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테이블부재에 연동되어 버튼부재를 들어 올리는 레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는 플러그가 꽂혀 지는 소정 깊이의 환형홈(47)이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46)와, 환형홈(47)에 수납되는 테이블(43)과, 테이블(43)을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42)와 레버(41)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버튼(41)을 구비한다. 환형홈(47)의 저면에는 테이블(43)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환형홀(47a) 및 레버(42)를 안내하기 위한 길이홀(47c)이 형성된다. 또한, 환형홈(47) 저면에는 플러그의 전극편이 관통되는 두 개의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이 홀들을 개폐하기 위한 이물질 삽입 방지판(44)는 설치된다. 이물질 삽입 방지판(44)은 플러그가 인출된 상태에서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환형홈(47) 저면에 형성된 삽입홀을 차폐시켜 손이나 타물질(못, 젓가락, 기타 전기가 통하는 물질)의 삽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이물질 삽입 방지판(44)은 양 끝단이 동시에 힘을 받을 때 스프링(45)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홀을 개방시키게 된다. 스프링(45)은 환형홈(47)의 저면에 형성된 리브(47b)와 이물질 삽입 방지판(44)의 일측 끝단 사이에 설치된다. 테이블(43)은 환형홈(47)과 대면하는 저면에서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가이드봉(43a)이 신장되며, 환형홈(47)에 형성된 삽입홀과 대향하는 삽입홀(43b)이 형성된다. 이 테이블(43)은 레버(42)에 의해 플러그에 나란한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환형홈(47)에 꽂혀진 플러그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봉(43a)은 환형홈(47)에 형성된 환형홀(47)에 관통되어 테이블(43)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레버(43)는 테이블(43)과 푸쉬버튼(41) 사이에서 환형홈(47) 상에 힌지점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레버(43)는 푸쉬버튼(41)에 의해 구동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테이블(43)을 직선운동시키게 된다. 푸쉬버튼(41)은 콘센트 본체(46)의 상면을 관통하여 레버(42)의 일단에 접촉된다. 이 푸쉬버튼(41)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가이드리브(46a)를 따라 수직으로 강하되어 레버(42)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코드 콘센트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멀티 코드 콘센트와 플러그(5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테이블(43)이 소정 높이로 부상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푸쉬버튼(41)은 레버(42)의 일단을 누르고 있으며, 레버(42)는 테이블(43)을 아래에서 지지하게 된다.
플러그(50)가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접속구(52) 중 어느 하나에 꽂혀지는 동작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50)의 전극편(51)이 테이블(43)의 삽입홀(43b)을 관통하면서 플러그(50)가 테이블(43)에 결합된다. 플러그(50)와 결합된 테이블(43)은 플러그(50)가 누르는 힘에 의해 수직으로 강하된다. 이 때, 레버(42)는 테이블(43)에 연동되어 힌지점(46h)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반면, 푸쉬버튼(42)은 레버(42)에 의해 연동되어 가이드리브(46a)를 따라 수식으로 상승하게 된다. 플러그(50)의 전극편(51)이 테이블(43)의 삽입홀(43b)을 관통한 후, 환형홈(47)의 삽입홀(47c)을 관통함과 아울러 이물질 삽입 방지판(44)를 밀면서 도시하지 않은 콘택(contact)에 접속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50)가 접속구(52)에 완전히 꽂혀지게 되면 푸쉬버튼(41)은 레버(42)에 의해 소정 높이만큼 수직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레버(42)의 일단은 테이블(43)과 평행하게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쉬버튼(41)을 누르게 되면 전술한 플러그(50)와 접속구(52)의 결합 동작의 역순으로 레버(42)와 테이블(43)이 구동되어 플러그(50)를 접속구(52)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사용자가 푸쉬버튼(41)을 누르게 되면 레버(42)는 푸쉬버튼(41)에 연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테이블(43)을 들어 올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테이블(43)은 레버(42)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플러그(50)를 들어 올리게 된다. 플러그(50)의 전극편(51)이 콘택으로부터 분리된 후, 순차적으로 이물질 삽입 방지판(44), 환형홈(47)의 삽입홀(47c) 및 테이블(43)의 삽입홀(43b)로부터 분리되면 플러그(50)와 접속구(52)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50)가 접속구(52)로부터 분리되면 도 5와 같이 푸쉬버튼(41)은 콘센트 본체(46)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코드 콘센트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43)이 삽입홀(43b)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레버(42)와 가이드봉(43a)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된다. 이에 따라, 테이블(43)은 승강시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회전되지도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는 푸쉬버튼, 레버, 테이블로 구성된 플러그 인출기구들에 의해 사용자가 푸쉬버튼을 누름으로써 플러그를 간편하게 접속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러그 인출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이 단순하면서 소요되는 부품수가 최소화됨과 아울러 테이블이 면접촉된 상태로 플러그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를 안정되게 접속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플러그가 꽂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접속구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접속구를 관통하는 봉이 형성된 테이블부재와,
    상기 버튼부재와 테이블부재에 공통으로 접촉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테이블부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상기 테이블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들어 올리는 레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상기 플러그의 전극편이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부재는 상기 삽입홀과 대향하게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구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개폐하기 위한 삽입홀 개폐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접속구 저면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KR2019990007711U 1999-05-07 1999-05-07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KR200258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711U KR200258988Y1 (ko) 1999-05-07 1999-05-07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711U KR200258988Y1 (ko) 1999-05-07 1999-05-07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17U true KR20000002217U (ko) 2000-02-07
KR200258988Y1 KR200258988Y1 (ko) 2002-01-09

Family

ID=5475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711U KR200258988Y1 (ko) 1999-05-07 1999-05-07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9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097B1 (ko) * 2000-12-21 2003-03-19 김양수 음극선관 검사 소켓유니트
KR100633363B1 (ko) * 2005-01-26 2006-10-30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100914146B1 (ko) * 2007-10-12 2009-09-14 (주)퓨전디자인 멀티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22B1 (ko) * 2009-11-30 2013-03-05 김금택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097B1 (ko) * 2000-12-21 2003-03-19 김양수 음극선관 검사 소켓유니트
KR100633363B1 (ko) * 2005-01-26 2006-10-30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KR100914146B1 (ko) * 2007-10-12 2009-09-14 (주)퓨전디자인 멀티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988Y1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458B2 (ja) 安全コンセント
WO2023036039A1 (zh) 一种轨道的密封结构、适配器的解锁结构、适配器的行程结构、适配器的开关结构、导电结构、适配器及电源分配装置
KR200258989Y1 (ko)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
KR200258988Y1 (ko)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CN110571563A (zh) 一种防触电插座
CN212434520U (zh) 一种可强制断电的漏电保护器
CN216850398U (zh) 一种导电结构及电源分配装置
CN216850655U (zh) 一种适配器的行程结构、适配器及电源分配装置
CN216850503U (zh) 一种电源分配装置
CN216850627U (zh) 一种适配器的开关结构、适配器及电源分配装置
CN216850400U (zh) 一种适配器及电源分配装置
CN216850650U (zh) 一种适配器的解锁结构、适配器及电源分配装置
CN216850508U (zh) 一种轨道的密封结构及电源分配装置
KR101259535B1 (ko) 커넥터
CN216850399U (zh) 一种电源分配装置
JP4588206B2 (ja) 電気機器と接続コードとの接続構造
CN216850504U (zh) 一种电源分配装置
KR200341326Y1 (ko) 콘센트
CN113809583A (zh) 一种电源分配装置
CN113809573A (zh) 一种电源分配装置
CN113809584A (zh) 一种电源分配装置
CN113937581A (zh) 一种轨道的密封结构
KR20050024530A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189072Y1 (ko) 매립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