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172U - 경사식 칫솔모 칫솔 - Google Patents

경사식 칫솔모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172U
KR20000002172U KR2019990010429U KR19990010429U KR20000002172U KR 20000002172 U KR20000002172 U KR 20000002172U KR 2019990010429 U KR2019990010429 U KR 2019990010429U KR 19990010429 U KR19990010429 U KR 19990010429U KR 20000002172 U KR20000002172 U KR 20000002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ip
bristles
head
bri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기
Original Assignee
윤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기 filed Critical 윤진기
Priority to AU453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AU4532399A/en
Priority to PCT/KR1999/000353 priority patent/WO2000074523A1/en
Publication of KR20000002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7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진 칫솔모가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칫솔은 한 개의 칫솔머리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칫솔머리 부분은 칫솔대와 칫솔대 위에 고정된 칫솔모를 가지고 있다. 칫솔대는 구강의 가장 깊은 곳까지 들어 갈 수 있는 칫솔머리 끝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칫솔모는 칫솔대의 종향방향과 90도보다 작거나 같은 경사각 θ를 형성하며, 적어도 칫솔대의 끝 부분에 가까운 경사각 θ는 90도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칫솔대의 끝 부분에 가까이 있는 칫솔모의, 칫솔대로부터 떨어져 있는 끝 부분이 칫솔대의 종향방향으로 보아 칫솔대의 끝 부분보다 튀어나오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치 시에 칫솔대의 끝 부분이 구강 깊숙한 어금니의 끝 부분에 이르지 아니하더라도 칫솔모의 끝 부분이 어금니의 마지막 부분까지 용이하게 접촉하게 하여 효과적인 양치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경사식 칫솔모 칫솔{toothbrush with inclined hair}
본 고안의 목적은 일종의 경사식 칫솔을 제공하여 양치 시에 구강의 깊은 곳에 있는 치아의 내외 측 부분을 청결하게 하는 데 존재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의 효과를 제고하는 데 있다.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를 칫솔대에 직각으로 심거나 부착 또는 연결하였기 때문에 칫솔모가 칫솔머리 끝 부분보다 약간 안쪽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서 양치질을 할 경우 구강의 가장 깊숙한 어금니 끝 부분이 제대로 닦여지지 않았다. 구강의 구조상 어금니 끝의 바깥쪽과 안쪽 부분은 칫솔모의 위치가 칫솔대의 끝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종래의 칫솔로는 양치하기가 쉽지 않았으며, 완전히 청결하게 닦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빨이 썩거나 치석이 많이 쌓일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잇몸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일반 칫솔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칫솔은 한개의 칫솔머리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칫솔머리 부분은 칫솔대와 칫솔대 위에 고정된 칫솔모를 가지고 있다. 칫솔대는 구강의 가장 깊은 곳까지 들어갈 수 있는 칫솔머리 끝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칫솔모는 칫솔대의 종향방향과 90도보다 작거나 같은 경사각 θ를 형성하며, 적어도 칫솔대의 끝 부분에 가까운 경사각θ는 90도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칫솔대의 끝부분에 가까이 있는 칫솔모의, 칫솔대로부터 떨어져 있는 끝 부분이 칫솔대의 종향방향으로 보아 칫솔대의 끝 부분보다 튀어나오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치 시에 칫솔대의 끝 부분이 구강 깊숙한 어금니의 끝 부분에 이르지 아니하더라도 칫솔모의 끝 부분이 어금니의 마지막 부분까지 용이하게 접촉하게 하여 효과적인 양치가 가능하게 한다.
도 1 : 칫솔모와 칫솔머리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칫솔머리 부분
2. 칫솔머리의 안쪽 부분
3. 칫솔대의 표면
4. 칫솔대
5. 칫솔대의 표면
6. 칫솔모
7. 칫솔머리의 끝 부분
8. 칫솔대의 홈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칫솔은 칫솔머리 부분(1)과 칫솔손잡이 부분(미표시)으로 이루어져 있다. 칫솔머리는 칫솔대(4)와 칫솔모(6)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칫솔대(4)는 상표면(3)과 하표면(5)를 가지고 있고, 칫솔대 표면에 여러 개의 칫솔모(6)를 고정시키는 홈(8)을 가지고 있으며, 칫솔대의 홈(8)은 칫솔대(4)에 대한 종향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도 θ를 이루고, 칫솔머리 안쪽 부분(2)으로 갈수록 경사각도를 크게 하고, 칫솔머리 안쪽 부분(2)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경사각도가 90도가 되게 한다. 칫솔모(6)를 칫솔대의 홈(8)에 고정시키며, 칫솔모(6)의 칫솔대(4)에 대한 종향방향의 경사각도는 삽입한 칫솔대의 홈(8)과 같이 역시 θ로 한다. 따라서 칫솔모(6)의 배열에 있어서 칫솔대 끝 부분(7)의 칫솔모(6)의 경사각도는 비교적 작게 되고, 칫솔머리 안쪽 부분(2)에 가까울수록 경사각도는 더욱 크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90도가 되어 직립으로 삽입되게 한다. 그 중 칫솔대 끝 부분(7)에 가까이 있는, 칫솔대로부터 떨어진 칫솔모의 끝 부분은 칫솔대의 끝 부분보다 약간 튀어나오도록 한다.
칫솔대의 홈(8)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칫솔모(6)를 칫솔대에 부착하거나 연결시키는 칫솔의 경우에는 칫솔모(6)를 칫솔대(4)에 대한 종향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도 θ를 이루게 부착하거나 연결하며, 칫솔모(6)의 배열에 있어서 칫솔대 끝 부분(7)의 칫솔모(6)의 경사각도는 비교적 작게 하고, 칫솔머리 안쪽부분(2)에 가까울수록 경사각도를 더욱 크게 하여, 최종적으로는 90도로 하여 직립으로 부착하거나 연결되도록 한다. 그 중 칫솔대 끝 부분(7)에 가까이 있는, 칫솔대로부터 떨어진 칫솔모의 끝 부분은 칫솔대의 끝 부분보다 약간 튀어나오도록 한다.
위의 각 경우에 칫솔머리 끝 부분(7)의 칫솔모(6)의 경사각도 θ의 범위는 30도에서 89도 사이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칫솔을 사용할 때, 칫솔대의 끝 부분(7)이 구강깊은 곳의 어금니 끝 부분에 도달하지 않을지라도 칫솔대 끝 부분(7)의 칫솔모(6)가 쉽게 어금니의 가장 안쪽 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더욱 효과적으로 구강의 깊은 곳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 위와 같은 칫솔모의 배열방법은 칫솔모를 경사지게 배열하더라도 고른 칫솔모의 배열을 가능하게 하여 칫솔모가 균일하게 마모되도록 하고 아울러 부드럽고 균일한 양치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5)

  1. 칫솔대의 칫솔머리 부분(1)이 칫솔대(4)와 칫솔대에 고정된 칫솔모(6)를 가지고 있는 칫솔로서, 칫솔대(4)는 구강의 깊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는 끝 부분(7)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징은 적어도 칫솔대의 끝 부분(7)에 가까이 있는 칫솔모(6)가 칫솔대(4)의 종향방향과 90도보다 작은 경사각도 θ를 형성하게 하여, 칫솔대 끝 부분(7)에 가까이 있는 칫솔모(6)의, 칫솔대(4)로부터 떨어진 끝 부분이 칫솔대(4)의 종향방향으로 보아 칫솔대의 끝 부분(7)보다 튀어나오게 한 것에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그 칫솔의 특징은 칫솔대(4) 위에 칫솔모(6)를 고정시키는 홈(8)이 있고, 이 홈(8)이 칫솔대의 종향방향으로 형성한 경사각도와 고정된 칫솔모(6)의 경사각도는 일치하며, 역시 θ를 이루고, 칫솔대의 홈(8)은 칫솔머리 안쪽 부분(2)에 가까울수록 그 경사각도 θ를 크게 하며, 최후에는 90도가 되도록 하는 데 있다.
  3. 제1항에 있어서, 그 칫솔의 특징은 칫솔머리 끝 부분(7)의 칫솔모(6)의 경사각도 θ를 30도에서 89도 사이로 하는 데 있다.
  4. 칫솔대의 칫솔머리 부분(1)이 칫솔대(4)와 칫솔대에 고정된 칫솔모(6)를 가지고 있는 칫솔로서, 칫솔대(4)는 구강의 깊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는 끝 부분(7)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징은 칫솔대의 홈(8)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칫솔모(6)를 칫솔대(4)에 부착하거나 연결시키고, 적어도 칫솔대의 끝 부분(7)에 가까이 있는 칫솔모(6)가 칫솔대(4)의 종향방향과 90도보다 작은 경사각도 θ를 형성하게 하여, 칫솔대 끝 부분(7)에 가까이 있는 칫솔모(6)의, 칫솔대(4)로부터 떨어진 끝 부분이 칫솔대(4)의 종향방향으로 보아 칫솔대의 끝 부분(7)보다 튀어나오게 한 것에 있다.
  5. 제4항에 있어서, 그 칫솔의 특징은 칫솔머리 끝 부분(7)의 칫솔모(6)의 경사각도 θ를 30도에서 89도 사이로 하는 데 있다.
KR2019990010429U 1998-06-16 1999-06-09 경사식 칫솔모 칫솔 KR2000000217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45323/99A AU4532399A (en) 1999-06-09 1999-07-02 Toothbrush with inclined bristles
PCT/KR1999/000353 WO2000074523A1 (en) 1999-06-09 1999-07-02 Toothbrush with inclined brist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98214222U CN2380096Y (zh) 1998-06-16 1998-06-16 牙刷
CN98214222.6 1998-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72U true KR20000002172U (ko) 2000-01-25

Family

ID=3396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429U KR20000002172U (ko) 1998-06-16 1999-06-09 경사식 칫솔모 칫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00002172U (ko)
CN (1) CN2380096Y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380096Y (zh)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0509A (en) Double sulcus toothbrush
US4328604A (en) Toothbrushes
BR9508399A (pt) Escova de dentes de cabeça articulada com cerda resilientemente flexível
JPH08214947A (ja) 歯及び身体の手入れのためのブラシ
KR910700014A (ko) 칫솔
JPH01501448A (ja) 歯ブラシ
US5873140A (en) Toothbrush crimped contour filament
NZ512639A (en) Toothbrush with a head shaped to correspond with the inner cocave/lingual curve of the teeth.
US6732398B2 (en) Stepped diameter bristles for a toothbrush
KR20000002172U (ko) 경사식 칫솔모 칫솔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0302942Y1 (ko) 앞니 안쪽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된경사모 칫솔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CN2111027U (zh) 两用牙刷
KR200219014Y1 (ko) 칫솔
KR20050117837A (ko) 칫솔헤드
KR200304233Y1 (ko) 치솔
KR900006610Y1 (ko) 치솔
KR200248840Y1 (ko) 슬림형 칫솔
KR200209729Y1 (ko) 개량칫솔
KR200405206Y1 (ko) 칫솔
JPS6132502Y2 (ko)
KR200242573Y1 (ko) 치솔
KR200178189Y1 (ko) 칫솔모
KR910001272Y1 (ko) 치아의 운동으로 양치질하는 개량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