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10Y1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10Y1
KR900006610Y1 KR2019870002032U KR870002032U KR900006610Y1 KR 900006610 Y1 KR900006610 Y1 KR 900006610Y1 KR 2019870002032 U KR2019870002032 U KR 2019870002032U KR 870002032 U KR870002032 U KR 870002032U KR 900006610 Y1 KR900006610 Y1 KR 900006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toothbrush
presen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2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694U (ko
Inventor
강길경
Original Assignee
강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길경 filed Critical 강길경
Priority to KR2019870002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610Y1/ko
Publication of KR8800156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6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솔
제1도는 본 고안의 치솔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치솔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치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치아와 치솔의 접촉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식설판 2a : 선단부
2b : 후단부 3 : 치솔모
3a : 중앙부 4 : 좌측변
5 : 우측변 6 : 만곡면
본 고안은 치아의 내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한 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닦을 때에는 치솔대를 움켜쥔채로 치솔을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치아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로닦기나 새로닦기방식을 취하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치와외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치아로부터 해리시켜 부분적으로 제거시키는 효과는 얻어지지만, 한편으로는 해리된 이물질을 치아와 치아사이에 끼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충치등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치아의 외면에는 세균이 침투하지 못하는 에나멜질 이라 불리어지는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술한 방식들로 치아를 닦으면 치아와 치아사이는 물론 치아와 잇몸사이에도 이물질이 끼이게 되고, 나아가 이들 이물질이 부패하게되면, 소위 치수라 불리어지는 신경에 영향을 미치며, 충치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건강한 치아를 보전키 위하여서는 치아와 치아사이는 물론, 치아와 잇몸사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그무엇보다 중요하다 할수 있고, 이를 위하여는 치아의 외면과 내면을 모두 청결히 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치솔은 치솔모의 형성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향의 형상을 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치솔모와 치아의 접촉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게되어, 전체치아를 깨끗이 닦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51-9963호 및 동 공개소 57-30032호에는 치아를 효율적으로 닦을수 있는 치솔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소 51-9963호의 치솔은, 치아에 직접닿는면의 치솔모에 치아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정도의 간격으로 기복을 형성하여 치솔모와 치아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치아의 외면을 닦는데에 효율적이다.
또한, 공개소 57-30032호의 치솔은 치솔의 선단부를 뾰족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치솔모의 높이를 후단부쪽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함으로써, 어금니나 사랑니같이 구강안쪽에 위치되어있는 치아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치솔도 치아의 내면을 닦는데에는 부적합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치아의 내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닦을수 있는 치솔을 제공함을 그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로서, 치솔대(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형성된 칫솔모 식설판(2)에는 치솔모(3)이 통상의 방식으로 심어져 있다.
상기한 식설판(2)는 제2도(a)에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같이 선단부(2a)가 좁게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2b)쪽으로 올수록 좌, 우측변(4),(5)가 넓게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설판(2)상에 심어져 있는 치솔모(3)는 중앙부(3a)에서 주변부인 좌우측변(4)·(5)및 후단부(2b)쪽으로 갈수록 만곡져 있어 치아내면과 접촉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 a), b) 및 c)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식설판(2)는 좌우측벽(4)·(5)가 후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3각 형상을 이루고, 선단부(2a)및 후단부(2b)는 둥글게 만곡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설판(2) 상에 치솔모(3)이 식설됨에 있어서는, 제2도 b),및 c)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앙부(3a)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3a)에서 주변부인 좌·우측변(4)·(5)및 후단부(2b)로 갈수록 만곡면(6)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치솔로 치아를 닦으면, 차아의 외면은 통상의 새로 방식으로 치솔질함에 있어, 치아와 치솔모(3)의 접촉면적이 넓게 되어 치아가 더욱 깨끗이 닦아지게된다.
그리고, 치아의 내면을 닦을때에는 후단부(2b)에 식설되어 있는 치솔모의 후측 만곡면(6)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아의 내면에 접촉시킨 상태로하여 치아의 매내면에 밀착시키고, 아랫니의 경우에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윗니의 경우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긁어내리는 방식으로 치솔질하면 치아와 치아사이는 물론 치아와 잇몸사이의 이물질을 손쉽고도 완전히 제거시킬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치솔은 후단부(2b)쪽이 넓게 형성되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다수개의 치아를 닦을 수 있다는 잇점도 있다.
그리고 송곳니에서 어금니에 이르는 치아의 내면을 닦을 때에는 앞니의 존재로 인하여, 식설판(2)가 경사지게 구강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경우에는 본 고안의 치솔모는 후단부(2b)가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변(4) 또는 우측변(5)상의 치솔모가 치아 내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좌우측변(4),(5)가 넓게 확장되어 있고, 치솔모(3)의 위쪽 주변부가 만곡면(6)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곳니의 내면에도 부드럽게 접촉하여 효율적으로 치아를 닦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식설판 및 치솔모의 형상을 치아의 내면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구성으로 함으로서, 모든 자아의 내면을 효율적으로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둥글게 만곡된 선단부(2a)로 부터 역시 둥글게 만곡된 후단부(2b)쪽으로 갈수록 좌우측변(4),(5)가 점차 넓게 확장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3각형상을 이루는 식설판(2)상에, 중앙부(3a)에서 좌우측변(4),(5)및 후단부(2b)쪽으로 갈수록 만곡면(6)이 형성되도록 치솔모(3)을 식설하여 이루어진 치솔.
KR2019870002032U 1987-02-23 1987-02-23 치솔 KR900006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032U KR900006610Y1 (ko) 1987-02-23 1987-02-23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032U KR900006610Y1 (ko) 1987-02-23 1987-02-23 치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694U KR880015694U (ko) 1988-10-06
KR900006610Y1 true KR900006610Y1 (ko) 1990-07-26

Family

ID=1925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2032U KR900006610Y1 (ko) 1987-02-23 1987-02-23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6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694U (ko) 198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457A (en) Toothbrush
AU632050B2 (en) Toothbrush for cleaning interstices
KR20070013844A (ko) 이종의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US4542552A (en) Toothbrushes
KR900006610Y1 (ko) 치솔
CN218588491U (zh) 一种弧形牙刷刷头及牙刷
KR20090124539A (ko) 효율적인 칫솔
CN218588488U (zh) 一种刷头可调节可替换的牙刷
KR200219014Y1 (ko) 칫솔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KR200201750Y1 (ko) 설태 제거용 칫솔
KR200377282Y1 (ko) 잇몸맛사지용 칫솔
KR890007110Y1 (ko) 치 솔
CN2292442Y (zh) 双面牙刷
JPS6132502Y2 (ko)
KR102054461B1 (ko) 칫솔
KR200183330Y1 (ko) 세척홈을 가지는 치솔
KR20230155667A (ko) 설태 제거부를 갖는 칫솔
KR200171271Y1 (ko) 칫솔용 본체
KR19980017607U (ko) 치솔
KR0114700Y1 (ko) 테이퍼링형 솔이 식모된 치솔
KR910001272Y1 (ko) 치아의 운동으로 양치질하는 개량칫솔
JPS6031533Y2 (ja) ハブラシ
KR200257403Y1 (ko) 칫솔모의 상단이 횡으로 경사진 칫솔
CN2218478Y (zh) 毛簇不等高保健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