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265A - Leakage sensor for piping use - Google Patents

Leakage sensor for piping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265A
KR20000001265A KR1019980021447A KR19980021447A KR20000001265A KR 20000001265 A KR20000001265 A KR 20000001265A KR 1019980021447 A KR1019980021447 A KR 1019980021447A KR 19980021447 A KR19980021447 A KR 19980021447A KR 20000001265 A KR20000001265 A KR 2000000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leakage
pipe
detection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94121B1 (en
Inventor
황일순
이나영
유한일
송창록
양준석
Original Assignee
이장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육연구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육연구재단 filed Critical 이장무
Priority to KR101998002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121B1/en
Publication of KR2000000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PURPOSE: A leakage sensor for piping use is provided to install a leakage sensing unit connected in series around a piping and to sense leakage amount and a leakage position by analyzing an impedance change in real time. CONSTITUTION: The leakage sensor for piping use comprises:a leakage sensing unit(10) having a ceramic sensor device(10-1) changed by the change of a sensing factor such as a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 capacity(10-2) connected with the ceramic sensor device in parallel; and an impedance measuring unit(1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eakage sensing unit in parallel and measuring the impedance change according to the factor change that is sensed at the leakage sensing unit by feeding to the both sides through a voltage source(14).

Description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Leak Detection Device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 계통의 결함으로 인해 유출된 누설량 및 누설위치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a leak amount and a leak position due to a defect in a piping system.

대형 발전소의 배관 계통에는 배관의 파단 사고를 막기 위한 지지 구조물 등 고가의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막대한 유지 관리비가 지출되고 있다. 지역 난방용 배관에 노후화로 인해 누설이 발생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된다. 이와 같이 고온 고압 배관 계통에 있어서, 배관 결함 위치가 누설 감지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현재 사용되는 고정식 누설 감지기는 많은 양의 누수가 흘러나와 누설 감지기까지 전달되어야만 누수가 있음이 감지되었다.Expensive safety devices such as support structures to prevent pipe breakage are installed in the piping system of large power plants, and huge maintenance costs are being spent. Aging leaks in district heating pipelines can lead to significant economic losses. As such,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iping systems, when the pipe defect location is far from the leak detector, the current fixed leak detector is detected to leak only when a large amount of leak flows out to the leak detector.

일반적으로 고정식 누설 감지기에 의한 배관 누설 감지는 배관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다 전기 전도도가 변하는 화학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화학센서의 양단에 전압 측정기를 장착하여, 상기 전압 측정기를 통한 센서 양단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주변 환경에서 변화된 습도나 온도, 압력 등의 인자를 감지한다. 이로써 상기 변화된 인자에 의해 배관의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In general, pipe leakage detection by a fixed leak detector is provided with a chemical sensor whose electrical conductivity is ch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ipe, and a voltage measuring device is mounted at both ends of the chemical sensor, so that the resistance of both ends of the sensor through the voltage measuring device is measured. By measuring, it detects factors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and pressure that chan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detects the leakage of the pipe by the changed facto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누설감지기가 배관과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므로 배관의 결함 위치로부터 많은 양의 누수가 진행되어 감지기까지 전달되어야 누수가 감지됨으로써 배관 누수의 조기 발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식 누설 감지기는 주변 환경에서 변화된 습도나 온도, 압력 등의 변화량만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의 누설량은 감지할 수 있으나, 배관의 누설위치는 파악할 수 없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leak detector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pipe, a large amount of leak proceeds from the defective position of the pipe to be delivered to the detector, so that the leak is detected and thus early detection of the pipe leak is difficult. In addition, the fixed leak detector can detect only the amount of change in humidity, temperature, pressure, etc. chang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detect the leakage of the pipe, but can not determine the leak location of the pipe.

길이가 긴 배관 등에서 누설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개수의 개별적 센서를 배관에 병렬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비의 변경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길이가 긴 배관 등에서 예컨데, 단열재 피복관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는 개별적 센서를 배관에 병렬로 설치하면 각 센서의 신호선이 많아지기 때문에 설치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find the leak location in a long pipe, a large number of individual sensors have to be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pip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change of equipment and the cost increase. In addition, for example, in a long pipe, for example, in a narrow space such as the insi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pipe, when individual sensors are installed in parallel in a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ignal lines of each sensor.

게다가, 연속 누설 감지기의 경우 누설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별도의 센서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신호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누설량 만을 측정하고 나서, 누설 위치 검색을 별도로 수행하므로 인해, 상당한 비용과 처리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tinuous leak detectors can be equipped with separate sensors at regular intervals to find the location of the leak, and analyze each signal individually to measure only the leak volume, and then perform a separate leak location searc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time tak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직렬로 연결된 누설 감지부를 배관 주변에 설치하고 임피던스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누설량 및 누설 위치를 감지하는 배관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leak detection unit connected in series around the pipe and analyze the impedance change in real time to detect the leakage amount and the leakage loc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ipe leak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누설 감지부의 감지 센서의 점검 및 교정을 위한 기화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는 소형 배관이 더 구비된 배관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leak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small pipe that can inject a vaporization fluid for the inspection and corr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of the leak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1개 이상의 직렬 연결된 누설 감지 그룹을 하나의 배관에 병렬 설치하여 누설 위치 판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배관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leak detection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series connected leak detection group is installed in a single pipe in parallel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leak position determin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배관으로부터 누출된 유체의 감지 인자를 저항 변화로 측정하기 위한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 및 상기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의 감지 인자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여 누설량 및 누설 위치를 분석하는 임피던스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unit in series, and the series of the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the detection factor of the fluid leaked from the pipe by the resistance cha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mpedanc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detection factor of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on unit to analyze the leakage amount and the leakage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누설 감지부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easuring impedance of a leak detection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배관내의 유체 누설시, 도 1의 누설 감지부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치도,2 is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measuring the impedance change of the leak detection unit of FIG. 1 when leaking fluid in a pip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에 대한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leak detection device for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누설 위치 판단을 위한 캐패시터(capacitor)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표,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apacitor (capacitor) for determining the leakage position of FIG.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에 따라 누설이 없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선도에 대한 누설시의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5 to 7 are graphs illustrating an impedance change diagram at the time of leakage with respect to an impedance change diagram at the time of no leakage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a∼e, 10-v∼z : 누설 감지부10, 10-a to e, 10-v to z: leak detection unit

10-1 : 센서 소자 10-2 : 캐패시터10-1: sensor element 10-2: capacitor

12, 12-1, 12-2 : 임피던스 측정부 14 : 전압 원12, 12-1, 12-2: Impedance measuring unit 14: Voltage source

20 : 용기 22 : 감지 유체20: container 22: sensing fluid

23 : 감지 기체 24 : 가열장치23: sensing gas 24: heating device

30 : 배관 31 : 제 1 누설 감지그룹30: piping 31: first leak detection group

32 : 제 2 누설 감지 그룹32: second leak detection grou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은 누설 감지를 위해서 감지 인자의 변화에 의해 전기 전도도가 변화하는 세라믹 소자 등과 같은 소형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 고압 배관 계통과 같이 감시 대상 영역의 길이가 길고,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설치할 장소가 협소하며, 누설 시의 위험을 고려하여 감시자가 직접 접근하기에 열악한 환경에서는, 상기 소형 센서를 직렬로 연결하여 감지 대상부 주위에 설치한 후, 센서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면, 상기 감지 대상부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누설 등과 같이 확산하는 성질을 갖는 인자를 감지할 경우에는 배관 주변의 단열재 피복관 내부에 센서 등을 설치하게 되면, 누설 증기가 확산되기 전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미량의 누설도 감지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재 피복관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는 개별적인 센서의 신호선을 모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직렬로 연결된 센서 열을 사용하면 효율적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small sensor, such as a ceramic element whose electrical conductivity is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sensing factor for leak detection. In general, such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iping system has a long length of the area to be monitored, a place to install a sensing device such as a sensor is narrow, and in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ccess the monitor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leakage, the small sensor is connected in series. This is because when connected to the sensing target unit and installed around the sensing target unit, the impedance of both ends of the sensor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ensing target unit can be observed. In particular, when detecting a factor having the property of spreading, such as leakage, if a sensor or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pipe around the pipe, it can be measured before the leakage steam is diffused it can also detect a small amount of leakage. 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lines of the individual sensors cannot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the in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pipe, it is efficient to use the sensor lines connected in series.

즉, 직렬로 연결된 센서 열을 설치 공간이 협소한 설비시설 혹은 가압 중수형 원전의 압력관이나 가압 경수형 원전의 증기 배관 혹은 화학 물질 생산 공장 등의 접근이 어려운 배관 등에 설치하여 임피던스 측정치의 변화를 추적하여 누설량 및 누설 위치 등을 감지 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ensor lines connected in series are installed in a small installation space, a pressure pipe of a pressurized heavy-water nuclear power plant, a steam pipe of a pressurized light-water nuclear power plant, or a pipe that is difficult to access, such as a chemical production plant, to track changes in impedance measurement valu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leakage and leakage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누설 감지부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에서, 누설 감지부(10)는 온도, 습도 등과 같은 감지 인자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세라믹 센서 소자(10-1)와, 상기 세라믹 센서 소자(10-1)와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10-2)로 구성된다. 상기 누설 감지부(10)의 임피던스 측정은 상기 누설 감지부(10)의 양단에 임피던스 측정부(12)를 병렬로 연결시키고, 그 양단에 전압원(14)을 통해 정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누설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인자 변화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게 된다.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easuring impedance of a leak dete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leak detector 10 includes a ceramic sensor element 10-1 whos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sensing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eramic sensor element 10-1. It consists of (10-2).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leak detection unit 10 is connected to the impedance measurement unit 12 in parallel at both ends of the leak detection unit 10, and applied to a constant voltage through the voltage source 14 at both ends of the leak detection unit The impedance chang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factor detected in 10 is measured.

도 2는 배관내의 유체 누설시, 도 1의 누설 감지부(10)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치도이다. 도 2의 실험 장치는 누설 감지부(10)내의 캐패시터(10-2) 용량에 따라 누설시의 임피던스 변화 데이터를 획득하여 기준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가열장치(24)의 발열로 용기(20)내의 유체(22)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기체(23) 농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누설 감지부(10)의 센서 소자(10-1, 도 1 참조)의 저항이 변화함에 따라 임피던스의 변화를 실시간적으로 측정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캐패시터 용량을 갖는 누설 감지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캐패시터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데이터를 획득하여 기준 데이터 베이스로 확보해둔다. 이 기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실제 배관에 설치된 누설 감지 장치로부터 측정된 임피던스 변화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비교 분석 하므로써 누설량과 누설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FIG. 2 is an experimental device diagram for measuring impedance change of the leak detector 10 of FIG. 1 when a fluid leaks in a pipe. The experimental apparatus of FIG. 2 is for acquiring impedance change data at the time of leakage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apacitor 10-2 in the leak detector 10 to create a reference database. In FIG. 2, the fluid 22 in the vessel 20 is evaporated by the heating of the heating device 24, and the sensor element 10-of the leak detector 10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vaporized gas 23 concentration is changed. 1, see FIG. 1), the change in impedance is measured in real time. In this way, by using a leak detector having different capacitor capacities, the impedance change data according to each capacitor is obtained and secured as a reference database. This reference database can be used to measure leakage and lo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 real time the impedance change data measured from the leak detector installed in the actual pip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누설 감지 장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30), 상기 배관(30)의 상부 주변에 설치된 제 1 누설 감지 그룹(32), 및 상기 배관(30)의 하부 주변에 설치된 제 2 누설 감지 그룹(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누설 감지 그룹(32)은 복수개의 제1 누설 감지부(10-a∼10-e)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양단에 제 1 임피던스 측정부(12-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누설 감지 그룹(34)은 복수개의 제 2 누설 감지부(10-v∼10-z)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양단에 제 2 임피던스 측정부(12-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 1,2 누설 감지부(10-a∼10-e, 10-v∼10-z)는 각각 서로 다른 캐패시터 용량을 갖는다. 도 3에서는 긴 배관에 5개의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누설 감지부를 순서대로 배열하고, 두 그룹의 센서열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캐패시터의 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3 is a block diagram of a leak detection device fo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a pipe 30 through which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uid flows, a first leak detection group 32 install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pipe 30. ), And a second leak detection group 34 install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30. In the first leak detection group 32, a plurality of first leak detection units 10-a to 10-e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first impedance measurement unit 12-1 is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thereof. It is. In the second leak detection group 34, a plurality of second leak detection units 10-v to 10-z are connected in series, and second impedance measurement units 12-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thereof. It is.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eak detection units 10-a to 10-e and 10-v to 10-z respectively have different capacitor capacities. In FIG. 3, leak detectors having five different capacities are arranged in order in a long pipe, and two groups of sensor strings are formed, but this i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apacitor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 감지기를 배관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해서 임의의 위치에서 누설이 발생했을 경우 그 주변의 특정 습도 감지기에서 이를 감지하고, 각 습도 감지기의 출력신호를 받은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각각의 저항 변화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통해 누설이 감지된 습도 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a humid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humidity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ipe, and if a leak occurs at a certain location, it is detected by a specific humidity sensor around it, and the impedance measurement received the output signal of each humidity sensor. The resistance can be analyzed by comparing the resistance change with reference data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humidity sensing unit where the leakage is detected through the impedance change diagram.

이 때, 직렬로 연결되는 각 누설 감지부에는 용량이 다른 캐패시터를 연결하는데, 캐패시터 용량의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임피던스 변화선도의 형태를 구별하기가 어렵게 된다.In this cas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leak detectors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capacitances of the capacitors are small,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form of the impedance change diagram.

따라서, 각각 10배 이상의 용량 차이가 나는 캐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긴 배관에는 적절한 감지 효율을 위해 누설 감지부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나, 캐패시터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모두 다른 캐패시터 용량을 사용하지는 못한다.Therefore, capacitors having a capacity difference of 10 times or more can be used. In addition, long pipes may increase the number of leak detectors for proper sensing efficiency, but due to the limitation of capacitor capacity, not all capacitor capacities may be used.

이이서, 상기 도 3과 같이 2그룹으로 형성된 누설 감지부에 의해 배관의 결함으로 인한 누출량 및 누출 위치를 판별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4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for determining the leak amount and the leak position due to the defect of the pipe by the leak detection unit formed in two groups as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는 도 3의 누설 위치 판단을 위한 캐패시터(capacitor)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한 개의 배관에 2개의 누설 감지 그룹(도 3 참조)을 병렬로 설치하였을 경우, 5종류의 각기 다른 캐패시턴스(capacitance) C1, C2, C3, C4, C5 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두 그룹의 감지 결과를 조합하여 누설 위치를 획득하는 것이다. 일례로, 제 1 그룹의 캐패시턴스 C1, C2, C3, C4, C5 의 각각의 제 1 위치 인덱스는 a, b, c, d, e 이며, 제 2 그룹의 캐패시턴스 C2, C3, C4 의 각각의 제 2 위치 인덱스는 x, y, z 로 설정되어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apacitor for determining a leakage position of FIG. 3. When two leak detection groups (see FIG. 3) are installed in one pipe in parallel as shown in FIG. 3, five different capacitances C1, C2, C3, C4, and C5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y combining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two groups to obtain a leak position. In one example, each of the first positional indexes of the capacitances C1, C2, C3, C4, C5 of the first group is a, b, c, d, e, and each of the capacitances of the capacitances C2, C3, C4 of the second group The two-position index is set to x, y, z.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누설 감지부를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열시켜 배관 주변에 설치하고, 측정된 상기 각 누설 감지부의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조립하여 획득한 위치 인덱스 조합 결과에 따라 누설 위치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Leak pos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position index combination obtained by arranging the leak detectors having capacitances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in sequence and installing them around a pipe, and assembling the impedance change diagrams of the measured leak detectors. Can be obtained correctly.

다시말해서, 도 4의 제 1 그룹에서 캐패시턴스 C3의 위치에서 저항이 변화된 형태의 임피던스 파형도가 측정되면 누설 위치가 c 임을 알 수 있고, 제 2 그룹에서 캐패시턴스 C4의 위치에서 저항이 변화된 형태의 임피던스 파형도가 측정되면 누설 위치가 z 임을 알 수 있다. 이 둘의 결과를 조합하면 배관의 (c,z)위치 부근에서 주변 환경의 측정 인자에 변화가 생겼음을 인지 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impedance waveform diagram of the resistance change type at the position of capacitance C3 in the first group of FIG. 4 is measured, it can be seen that the leakage position is c, and the impedance of the shape change resistance at the position of the capacitance C4 in the second group is shown. If the waveform is measured, the leak position is z. Combining the two results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change in the measurement parameter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near the (c, z) position of the pipe.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캐패시턴스에 따라 누설이 없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선도에 대응하는 누설시의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배관이 정상상태일 경우 센서의 저항에 어떠한 변화도 없을 때의 임피던스 파형도에 대해 누설시 센서의 저항이 변화될 때의 각기 다른 캐패시턴스의 임피던스 파형도를 관측하였다. 도 5는 캐패시턴스 C1 을 갖는 제 1 누설 감지부가 위치한 배관 주변의 변화에 의해 센서 소자의 저항이 1㏁에서 10㏀으로 변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도시하였다. 도 6은 캐패시턴스 C2 을 갖는 제 2 누설 감지부가 위치한 배관 주변의 변화에 의해 센서 소자의 저항이 1㏁에서 10㏀으로 변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도시하였다. 도 7은 캐패시턴스 C3 을 갖는 제 3 누설 감지부가 위치한 배관 주변의 변화에 의해 센서 소자의 저항이 1㏁에서 10㏀으로 변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도시하였다. 도 5내지 도 7에서 보여지는 바대로, 센서 소자의 저항이 모두 동일하게 감소하였으나, 캐패시터의 용량을 달리하므로 인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측정할 수 있다.5 to 7 are graphs showing an impedance change diagram at the time of leakage corresponding to an impedance change diagram at the time of no leakage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FIG. 4. When the pipe is in a steady state, the impedance waveforms of the different capacitances of the sensor when the leakage of the sensor changes in the leakage wave are observed. FIG. 5 shows an impedance change diagram when the resistance of the sensor element is changed from 1 kV to 10 kV by the change around the pipe in which the first leak detector having the capacitance C1 is located. FIG. 6 shows an impedance change diagram when the resistance of the sensor element is changed from 1 k? To 10 k? By the change around the pipe in which the second leak detector having the capacitance C2 is located. Fig. 7 shows an impedance change diagram when the resistance of the sensor element is changed from 1 k? To 10 k? By the change around the pipe in which the third leak detector having the capacitance C3 is located. As shown in FIGS. 5 to 7, although the resistances of the sensor elements are all reduced equally, impedance change diagram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may be measured because of different capacitances of the capacitors.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와 센서 소자를 구비한 누설 감지부에 대한 임피던스 변화도를 기준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누설 감지부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변화도를 비교 분석하므로써, 누설량 및 누설 위치를 검출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constructing the impedance change chart for the leak detection unit having a capacitor and a sensor element having different capacities as described above as a reference database,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edance change measured in the actual leakage detection unit using the reference database. , The amount of leakage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can be dete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누설 감지부내의 감지 센서를 점검하고 유지 보수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누설 감지부내로 기화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는 소형 배관이 추가로 연결 배치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pipe capable of artificially injecting a vaporizing fluid into the leak detection unit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to inspect and maintain the detection sensor in the leak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누설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자료 분석기 등에 전송하여 누설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eakage by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eak detection unit to a remote data analyzer or the like remote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누설 감지용 센서를 직렬로 연결하여 협소한 공간에 설치를 용이하며, 누설 감지용 센서와 용량이 다른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시킨 누설 감지부를 이용하여 그 양단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므로써, 누설량 및 누설 위치를 동시에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by connecting the leak detection sensor in series, the impedance of both ends by using a leak detection un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the capacitor of different capacities By measuring the chang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etermine the amount of leakage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Claims (6)

배관으로부터 누출된 유체의 감지 인자를 저항 변화로 측정하기 위한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 및A plurality of leakage detectors connected in series for measuring a detection factor of a fluid leaking from a pipe as a resistance change; And 상기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에서 측정된 변화치와 기설정된 기준 데이터와를 비교하여 누설량과 누설 위치를 판단하는 임피던스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And an impedance measuring unit which is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ng units connected in series and compares the change value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ng units with preset reference data to determine a leak amount and a leak position.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pip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누설 감지부는 감지 인자에 의한 저항 변화를 갖는 센서 소자와 캐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The leak detec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leak detectors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nsor element having a resistance change due to a detection factor and a capacitor. 제 2 항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상기 누설 감지부중에서 서로 인접된 누설 감지부들간의 상기 캐패시터는 적어도 10배 이상의 용량 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The leak detection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apacitors between the leak detectio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ak detection units connected in series have a capacity difference of at least 10 times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렬 연결된 상기 누설 감지부를 하나의 센서 그룹으로 할 때, 상기 배관 주변에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상기 센서 그룹이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The leak detec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when the leak detection units connected in series are configured as one sensor group, at least one sensor group is installed in parallel around the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감지부의 센서 기능을 점거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인위적 기화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는 소형 배관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The leak detec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mall pipe capable of injecting an artificial vaporization fluid to occupy and maintain the sensor function of the leak detector. 배관으로부터 누출된 유체의 감지 인자를 저항 변화로 측정하기 위한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 및A plurality of leakage detectors connected in series for measuring a detection factor of a fluid leaking from a pipe as a resistance change; And 상기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누설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 받아 누설량과 누설 위치를 분석하는 자료 분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누설 감지 장치.And a data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 leak amount and a leak location by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serially connected leak detectors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KR1019980021447A 1998-06-10 1998-06-10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a distributing pipe KR100294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447A KR100294121B1 (en) 1998-06-10 1998-06-10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a distribut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447A KR100294121B1 (en) 1998-06-10 1998-06-10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a distribut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265A true KR20000001265A (en) 2000-01-15
KR100294121B1 KR100294121B1 (en) 2002-01-12

Family

ID=1953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447A KR100294121B1 (en) 1998-06-10 1998-06-10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a distribut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12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008B1 (en) * 2011-12-05 2012-05-11 주식회사 그린솔루션 Oil-leakage detector with control system
KR200468179Y1 (en) * 2012-02-29 2013-07-29 (주)일진에너지 Leak detection apparatus for liquid pipeline
CN111536430A (en) * 2020-05-09 2020-08-14 深圳市行健自动化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three-dimensionally positioning pipeline leakage monitoring based on temperature and humid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008B1 (en) * 2011-12-05 2012-05-11 주식회사 그린솔루션 Oil-leakage detector with control system
KR200468179Y1 (en) * 2012-02-29 2013-07-29 (주)일진에너지 Leak detection apparatus for liquid pipeline
CN111536430A (en) * 2020-05-09 2020-08-14 深圳市行健自动化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three-dimensionally positioning pipeline leakage monitoring based on temperature and humidity
CN111536430B (en) * 2020-05-09 2022-02-18 深圳市行健自动化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three-dimensionally positioning pipeline leakage monitoring based on humid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4121B1 (en)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421A (en) Leak detection system for gas, steam or the like that involves multi-point sampling
US4534662A (en) Device for detecting vapor leakages
CN107024629A (en) One kind is used for the few oily Condition Detection evaluation system of electric power and method for evaluating state
US3485085A (en) Leak detector
US3874222A (en) Pipeline leak detector
CN108700485A (en) Leak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KR01547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leaks trough the bushings of the cover of a nuclear reactor vessel
MXPA01010907A (en) Status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filled electrical equipment.
US4658208A (en) Downhole steam quality measurement
CN106644420B (en) A kind of metal o-ring flange connection stress relaxation test device
KR100294121B1 (en)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a distributing pipe
CN110553587B (en) Method for accurately positioning leakage point by using laser telemetering methane tester
CN101319940A (en) Test device and use method of long-rod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CN107883192B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for pipe leakage quasi-distributed real-time monitoring
RU2271045C1 (en) Moisture leakage checkup system for nps pipeline
CN108896101A (en) A kind of industrial waste gas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iber grating gas sensor array
KR101221619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cumulated powder on the pipe inside
EP31525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ondensation and/or advance of corrosion
CN104713912A (en) Underground pipeline testing system based on strain membranes
CN102401701A (en) Method of improving temperature measurement stability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 system
CN106122775A (en) Pipeline leakage che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05483457U (en) Continuous flow analysis appearance weeping detection device
EP3902963B1 (en)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Shui et al. Improved flexible sensing cable system for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CN111780928A (en) Distributed grid liquid leakage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