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620U -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620U
KR20000000620U KR2019980010117U KR19980010117U KR20000000620U KR 20000000620 U KR20000000620 U KR 20000000620U KR 2019980010117 U KR2019980010117 U KR 2019980010117U KR 19980010117 U KR19980010117 U KR 19980010117U KR 20000000620 U KR20000000620 U KR 200000006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ir conditioner
blocking
condens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0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620U/ko
Publication of KR20000000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20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외 차단벽체, 구동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브라켓, 실내측 차단벽체에 조립되어 냉매싸이클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박스,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토출부,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이 압축기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 등이 조립되는 창문형 에어컨의 베이스판에 실내측 차단벽체의 전방으로 응축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차단벽의 홈에 끼워 지도록 실내측 차단벽체의 하단부를 리브 형상의 차단판을 구성하여 에어컨의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가 차단판으로 인하여 실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컨의 실내측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며, 역류되는 응축수를 차단함으로 인하여 에어컨의 장기간 사용 시 응축수로 인한 오염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컨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는 물론 오염으로 인한 냄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측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베이스판에 차단벽을 설치하고 실내측 차단벽체의 하단부를 베이스판의 차단벽에 끼워지도록 리브형상의 차단판을 구성하여 에어컨 내부의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가 실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응축수의 오염으로 인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룸 에어컨 및 용량이 대형인 패키지형 에어컨으로 그 용량에 따라 구분되어진다.
상기의 에어컨 중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이 압축기(10)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20)와, 이 응축기(20)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도시 없음)와, 이 팽창밸브에서 이송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증발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기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증발기(30)로 냉매사이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의 구성은 베이스판(40) 위에 조립되는 실내,외측 차단벽체(50,50')와, 이 실내,외측 차단벽체(50,5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판(40)에 조립된 모터 브라켓(61)에 고정되는 구동모터(60)와, 이 구동모터(60)의 구동축(62) 양단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실내,외측 차단벽체(50,50')에 설치되는 송풍팬(621) 및 냉각팬(622)과, 실내측 차단벽체(50)에 조립되어 냉매사이클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박스(도시 없음)와, 실내측 차단벽체(50)의 전방에 위치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토출부(70)와, 각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판(40)에 조립되어지는 상부 케이스(도시 없음)로 구성되어 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이 실내 및 실외로 노출되는 에어컨 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부는 실내차단벽체(50)와 실외차단벽체(50')에 의해 실내공간부와 실외공간부로 나누어지고, 실내차단벽체(50)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공간부내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30)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가 설치되며, 이 후방으로 상기 압축기(1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2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외주연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도시 없음)이 형성되어지며, 실외공간부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가 형성되고, 응축기(20)의 후방에 실외토출구(도시 없음)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에어컨 사용으로 실외측에 생성되어지는 응축수를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에 생성된 응축수를 차단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실내차단벽체(50) 하부를 밴딩(bending)형상으로 구성하여 베이스판(40)에 볼트(411)로 체결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차단벽체(50)의 밴딩부(502)와 베이스판(40)의 틈새로 응축수가 유동하는 관계로 실외측 응축수가 실내측으로 유입되어지며 효과적으로 배출되어지지 못함으로 인하여 장시간 에어컨 사용할 경우 응축수로 인한 부식으로 장치의 수명단축은 물론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여 수리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과 응축수로 인한 오염으로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판에는 응축수 차단벽을 형성하고 실내 차단벽체의 하단부를 라운딩 형상의 차단판을 구성하여 베이스판의 차단벽의 홈에 끼워 지도록 하여 에어컨의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가 차단판으로 인하여 실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에어컨의 외부로 배출함은 물론 장시간 에어컨 사용할 시에도 응축수의 오염등으로 인한 부식 및 냄새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외 차단벽체, 구동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브라켓, 실내측 차단벽체에 조립되어 냉매싸이클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박스,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토출부,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이 압축기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 등이 조립되는 창문형 에어컨의 베이스판에 실내측 차단벽체의 전방으로 응축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차단벽의 홈에 끼워 지도록 실내측 차단벽체의 하단부를 리브 형상의 차단판을 구성하여 에어컨의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가 차단판으로 인하여 실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을 구성함으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에 설치되어지는 응축수 차단판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차단판이 형성된 실내측 차단벽체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판이 베이스판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의 장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 : 베이스판 41 : 차단벽
50 : 실내측 차단벽체 50' : 실외측 차단벽체
51 : 차단판 401 : 홈
501 : 간격
이하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에 설치되어지는 응축수 차단판의 장착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컨의 작동으로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30), 스크롤(80) 및 실내,외 차단벽체(50,50') 등이 조립되어지는 베이스판(40)의 실내측 차단벽체(50)가 설치되어지는 차단벽체 고정판(42)에 실내측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고정판(42)의 일부에 형성하는 응축수 배출통로에 베이스판(40)과 일체로 성형된 차단벽(41)을 구성하고 상기 차단벽체 고정판(42)에 끼워져 조립되는 실내측 차단벽체(50)의 하단부를 리브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단판이 형성된 실내측 차단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차단벽체(50)에서 베이스판(40)의 응축수 배출통로에 조립되어지는 일측부의 끝단을 리브 형상의 차단판(51)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판이 베이스판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차단벽체(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차단판(51)은 베이스판(40)의 차단벽(41)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 베이스판(40)의 후단부(실외측)에는 차단판(51)의 리브 형상의 끝단이 밀착되어지며, 베이스판(40)의 차단벽(41)과 실내 차단벽체(50)의 전단부(실내측)을 향하는 차단판(51)과는 일정한 간격(501)을 가지도록 하며, 베이스판(40)의 밑면과 접촉되는 차단판(41)은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의 차단판으로 인한 실내측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실외측으로 배출되어진 후 실내측으로 역류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통로로 배출되어지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은 에어컨의 사용으로 증발기(30)에 의하여 생성되는 응축수는 에어컨의 베이스판(40)에 모여져 실내측 차단벽체(50)가 조립되는 고정판(42)을 타고 베이스판(40)의 차단벽(41)을 거쳐 실외측으로 배출된 후 응축수 배출구(90)를 통하여 에어컨의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러나 에어컨의 실외측으로 흘러든 응축수는 다시 실내측으로 역류되는 때에는 베이스판(40)의 고정판(42)에 끼워져 조립되어진 실내측 차단벽체(50) 일측의 하단부에 구성된 리브 형상의 차단판(51)으로 인하여 차단되어지며, 차단판(51)으로 흘러든 응축수는 차단판(51)의 리브 형상에 안내되어 실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컨의 실내측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며, 역류되는 응축수를 차단함으로 인하여 에어컨의 장기간 사용 시 응축수로 인한 오염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컨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는 물론 오염으로 인한 냄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실내,외 차단벽체(50,50') 구동모터(60)를 고정하는 모터 브라켓(61), 실내측 차단벽체(50)에 조립되어 냉매싸이클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박스,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토출부(70),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30),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 이 압축기(10)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20) 등이 조립되는 창문형 에어컨의 베이스판(40)에 실내측 차단벽체(50)의 전방으로 응축수 차단벽(4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40)의 차단벽(41)의 홈(401)에 끼워 지도록 실내측 차단벽체(50)의 하단부를 리브 형상의 차단판(51)을 구성하여 에어컨의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가 차단판(51)으로 인하여 실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
KR2019980010117U 1998-06-13 1998-06-13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KR200000006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17U KR20000000620U (ko) 1998-06-13 1998-06-13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17U KR20000000620U (ko) 1998-06-13 1998-06-13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20U true KR20000000620U (ko) 2000-01-15

Family

ID=6951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117U KR20000000620U (ko) 1998-06-13 1998-06-13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62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03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루버 프레임
ES2832449T3 (es) Unidad interior de un aire acondicionado
KR100315774B1 (ko) 창문형슬림에어컨
KR20000000620U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차단판(A plate for intercepting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wind type air-conditioner)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20000040090A (ko) 창문형 에어컨에서의 응축기 효율 증대장치
KR100768165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드레인패널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KR200228645Y1 (ko) 공조기기
KR200232361Y1 (ko) 패키지에어컨실외기용배플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KR10033508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
KR200232367Y1 (ko) 패키지에어콘의흡입구조
KR100898115B1 (ko)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
KR100982857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564457B1 (ko) 공기조화기
KR200272497Y1 (ko) 룸 에어콘의 드레인 호스 고정장치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100442484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부식방지장치
KR1002025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64456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14285U (ko) 천정 부착용 에어컨
KR20050089443A (ko) 공기조화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