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44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443A
KR20050089443A KR1020040014864A KR20040014864A KR20050089443A KR 20050089443 A KR20050089443 A KR 20050089443A KR 1020040014864 A KR1020040014864 A KR 1020040014864A KR 20040014864 A KR20040014864 A KR 20040014864A KR 20050089443 A KR20050089443 A KR 2005008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ondenser
air conditioner
ai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443A/ko
Publication of KR2005008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에서 형성되는 응축수를 응축기에 분사하여 열교환성능을 극대화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응축기(840)와, 열교환시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840)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공급수단은, 응축수의 양정을 변화시키는 펌프(620)와; 상기 응축수를 응축기(840) 상단부로 안내하는 응축수배관(640)과; 상기 응축기(840)에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무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공급수단은, 모세관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응축수배관(640)과; 상기 응축기(840)에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무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 An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형성되는 응축수를 응축기에 분사하여 열교환성능을 극대화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방열측(일반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므로 일명 '실외측' 또는 '실외기'라 칭하기도 함)과, 흡열측(일반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주로 실내에 설치되므로 일명 '실내측' 또는 '실내기'라 칭하기도 함)으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방열측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흡열측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방열측과 흡열측이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방열측과 흡열측이 일체로 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장착형태에 따라서는 패키지형, 벽부착형, 천장부착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을 중심으로 실내에는 흡열측이 형성되고 실외에는 방열측이 위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창문외에 벽속에 설치되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체형 공기조화기 중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결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외관은 대략 사각통상의 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0),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패널(20),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30),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패널(40) 그리고,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5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데, 상기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30) 사이에는 베리어(60)가 전후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6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흡열측(70)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방열측(80)이 형성된다.
상기 흡열측(70)의 후단부에는 실내팬(72)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72)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열측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72)의 주위에는 팬하우징(72')이 구비되며, 이러한 팬하우징(72')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팬(50)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후면패널(3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면패널(20)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열측흡입구(22)와,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간으로 다시 토출되는 출구가 되는 흡열측토출구(24)가 형성된다.
즉, 전면패널(1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측면패널(20)의 전반부에는 상하로 길게 흡열측흡입구(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열측흡입구(22)의 테두리에는 흡입구덕트가이드(22')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덕트(도시되지 않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흡열측흡입구(22)의 후방에는 흡열측토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흡열측토출구(24)는 상기 실내팬(72)의 좌측,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팬(72)의 상반부 좌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팬(72)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흡열측토출구(24)의 테두리에는 토출구덕트가이드(24')가 형성되어 덕트(도시되지 않음)의 설치를 안내한다.
상기 흡열측(70)에는 실내측열교환기라고도 불리는 증발기(74)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74)는 상기 흡열측흡입구(22)와 흡열측토출구(24) 사이로부터 상기 베리어(60)의 선단부에 걸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열측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간의 공기는 증발기(7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흡열측토출구(24)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증발기(74)의 하측에는 드레인팬(76)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76)은 상기 증발기(74)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증발기(74)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가운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74)가 온도가 높은 실내공기와 접하여 실내공기의 온도와 공기중의 습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이때 상기 떨어진 습도만큼의 물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하게 되고, 이는 다시 하방으로 흘러내려서 상기 드레인팬(76)에 고이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물을 응축수 라고 한다.
상기 드레인팬(76)의 선단에는 드레인부(76')가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팬(76)에 모아지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부(76')는 상기 전면패널(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드레인홀(10')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베리어(60) 우측에 형성되는 방열측(80)의 내부 중앙에는 압축기(82)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2)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시키는 것으로, 비교적 대형인 스크롤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방열측(80)에는 실외열교환기라고도 불리는 응축기(84)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84)는 상기 방열측(80)의 우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응축기(84)는 대략 '⊃'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30) 그리고, 우측의 측면패널(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0)과 측면패널(20) 그리고, 후면패널(30)에는 흡입그릴(도시되지 않음)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상면패널(40)에는 실외팬(86)이 구비된다. 즉, 상기 방열측(80) 상측에 해당되는 상면패널(40)에 방열측토출구(42)가 형성되고, 이러한 방열측토출구(42) 하부에 실외팬(86)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외팬(86)의 외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리피스(44)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방열측토출구(42)의 상측에는 토출그릴(4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측(80)의 후단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패널(58)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50)의 하부에는 베이스프레임(52)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2)은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프레임(52)의 전면과 후면에는 리프트홀(52')이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홀(52')에는 지게차 등의 리프트 일부분이 삽입되어 공기조화기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가 사용되는 경우는 외부의 온도가 높을때 이다. 그런데 외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상기 응축기(84)에서 일어나는 열교환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제대로된 냉방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높은 온도에서도 일정한 냉방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보다 큰 용량의 압축기(82)를 적용하거나 상기 응축기(84)의 크기를 더 크게하여 열교환성능을 보전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높은 외부 온도에서 냉방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의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실외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를 단순히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프 또는 모세관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이 일어나는 응축기와, 열교환시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공급수단은 응축수의 양정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응축수를 응축기 상단부로 안내하는 응축수배관과; 상기 응축기에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공급수단은 상기 모세관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응축수배관과; 상기 응축기에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응축수배관은 내부에 그물형태의 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배관은 내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배관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슬이 충진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에 분사하여 상기 응축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흡입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결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열교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외관은 대략 사각통상의 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00),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패널(200),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300),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패널(400) 그리고,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50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데, 상기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300) 사이에는 베리어(600)가 전후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60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흡열측(700)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방열측(800)이 형성된다.
상기 흡열측(700)의 후단부에는 실내팬(72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702)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열측흡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720)의 주위에는 팬하우징(720')이 구비되며, 이러한 팬하우징(720')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후면패널(30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면패널(200)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열측흡입구(220)와,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간으로 다시 토출되는 출구가 되는 흡열측토출구(240)가 형성된다.
즉, 전면패널(10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측면패널(200)의 전반부에는 상하로 길게 흡열측흡입구(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열측흡입구(220)의 테두리에는 흡입구덕트가이드(220')가 좌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덕트(도시되지 않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흡열측흡입구(220)의 후방에는 흡열측토출구(240)가 형성된다. 상기 흡열측토출구(240)는 상기 실내팬(720)의 좌측,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팬(720)의 상반부 좌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팬(720)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흡열측토출구(240)의 테두리에는 토출구덕트가이드(240')가 형성되어 덕트(도시되지 않음)의 설치를 안내한다.
상기 흡열측(700)에는 실내측열교환기라고도 불리는 증발기(740)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740)는 상기 흡열측흡입구(220)와 흡열측토출구(240) 사이로부터 상기 베리어(600)의 선단부에 걸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열측흡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간의 공기는 증발기(7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흡열측토출구(240)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증발기(74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76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760)은 상기 증발기(740)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증발기(74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가운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740)가 온도가 높은 실내공기와 접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공기중의 습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떨어진 습도만큼의 물이 상기 증발기(740) 표면에서 발생하게 되고 이는 다시 하방으로 흘러내려서 상기 드레인팬(760)에 고이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물을 응축수라고 한다.
상기 드레인팬(760)의 우측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팬(760)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840) 상단으로 끌어올려 양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펌프(620)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620)는 원심식펌프, 기어식펌프, 진공식펌프 등 다양한 펌프가 이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펌프(620)는 상기 드레인팬(760)의 우측 상부 즉, 상기 증발기(740)와 응축기(84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팬(760)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840)의 상단부로 끌어 올리기 위해 일측이 상기 드레인팬(760)과 연통되고,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응축수배관(640)의 일측과 연통된다.
상기 응축수배관(640)은 상기 응축기(840)의 상측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상기 펌프(620)에 연통되고 상측은 분무장치(660)에 연통된다. 상기 분무장치(660)는 대략 '⊃'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840)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응축기(840)로 일정한 양의 응축수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600) 우측에 형성되는 방열측(800)의 내부 중앙에는 압축기(8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20)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시키는 것으로, 비교적 대형인 스크롤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방열측(800)에는 실외열교환기라고도 불리는 응축기(84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840)는 상기 방열측(800)의 우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응축기(840)는 대략 '⊃'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300) 그리고, 우측의 측면패널(2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00)과 측면패널(200) 그리고, 후면패널(300)에는 흡입그릴(도시도지 않음)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상면패널(400)에는 실외팬(8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방열측(800) 상측에 해당되는 상면패널(400)에 방열측토출구(420)가 형성되고, 이러한 방열측토출구(420) 하부에 실외팬(86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외팬(860)의 외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리피스(4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방열측토출구(420)의 상측에는 토출그릴(4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측(800)의 후단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패널(5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프레임(520)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20)은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프레임(520)의 전면과 후면에는 리프트홀(520')이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홀(520')에는 지게차 등의 리프트 일부분이 삽입되어 공기조화기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흡열측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측면패널(20)의 덕트가이드(220',240')에는 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공기조화기 내부가 실내공간(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연통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팬(720)이 구동된다.
상기 실내팬(720)의 구동에 따라 흡인력이 발생하여 상기 흡열측흡입구(220)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7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냉각)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팬하우징(720')의 측면을 통해 팬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팬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팬(72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흡열측토출구(24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흡열측토출구(240)와 연결된 덕트(도시되지 않음)를 거쳐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되어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74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드레인팬(760)에 집수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760)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76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펌프(620)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응축수배관(640)을 통해 응축기(840)의 상부까지 끌어올려지게 되어 양정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상측과 연통된 분무장치(660)로 유입된다. 상기 분무장치(660)는 상기 응축기(8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무장치(660)로 유입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분사하게 되면 상기 응축기(840) 표면에 응축수가 분사되게 된다.
다음으로, 방열측(800)의 공기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실외팬(860)의 회전에 따라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응축기(840)를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840)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고온의 공기가 상기 실외팬(860)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분무장치(660)에서 상기 응축기(840) 표면으로 응축수를 분사하게 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온도가 고온일 경우, 고온의 공기가 응축기(840)를 통과하기 전에 응축수를 거치게 되므로 상기 응축기(840)를 통해서 상기 공기조화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다소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필요에 따라 간단히 이동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즉,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리프트를 상기 리프트홀(520)에 삽입하여 들어올린 다음, 간단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도 8, 도 9,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열교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도 9, 도 10 에는 도 7 의 A-A'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다르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앞에서 언급한 일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드레인팬(76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펌프(620)를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드레인팬(760)에 직접 응축수배관(6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일측은 상기 드레인팬(760)의 우측 상부에서 연통되어 상기 드레인팬(760) 내부의 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740)와 응축기(840)의 사이를 따라 상기 응축기(840)의 상단부까지 연장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타측은 상기 응축기(840)의 상부에 형성된 분무장치(66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배관(640)은 모세관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장치가 내부에 구성되어 펌프(620)의 작용을 대신하여 상기 드레인팬(760)에 집수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840)의 상단까지 끌어올려 상기 응축수의 양정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모세관현상은 물의 부착력과 응집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부착력은 물이 어떤 물체의 표면에 붙는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물이 좁은 관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그 관 안에서도 부착력이 생겨서 관의 벽을 따라 수위가 약간 올라가게 된다.
한편 응집력은 물이 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모여있으려고 하는 힘이다. 따라서 물이 좁은 관을 통과할때 부착력에 의해서 벽을 타고 약간 수위가 올라가게되면 응집력에 의하서 아래쪽의 물이 따라 올라오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어 물이 좁은관을 타고 올라오는 것을 모세관현상이라고 한다.
상기 응축수배관(640)에 모세관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치로는 우선,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내부에 그물망(640a) 형태의 기구를 삽입하여 모세관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내부에 그물망(640a) 형태의 기구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그물망(640a)의 촘촘한 틈(640a')에서 모세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가 그물망의 촘촘한 틈(640a')을 통해서 분무장치(660)가 위치한 상기 응축기(840)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양정의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는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내부에 다수개의 길이방향으로 실게 형성된 돌기(640b)를 형성하게 되면 다수의 돌기(640b)가 인접한 틈(640b')에서 모세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응축수배관(640)을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 다음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내측에 그루브(Groove,640b')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그루브(640b')에서 모세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가 상기 돌기사이의 틈(640b') 또는 그루브(640b')를 통해서 분무장치(660)가 위치한 상기 응축기(840)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양정의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구슬(640c)을 상기 응축수배관(640)의 내부에 충진하게 되면 상기 구슬(640c)과 구슬(640c)간에 좁은 틈(640c')이 생기게 되고, 상기 틈(640c')을 통해서 모세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가 상기 다수개의 구슬(640c')간에 형성된 좁은 틈을 통해서 분무장치(660)가 위치한 상기 응축기(840)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양정의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무장치(660)로 유입된 응축수는 하방으로 분사되어 상기 응축기(840)의 표면에 분사된다. 따라서 외부의 고온의 공기가 직접 응축기(840)로 유입되는것을 막아주고, 공기의 온도를 일정수준 만큼 낮추어 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드레인팬에서 집수하고, 상기 집수된 응축수를 장치를 이용하여 양정에 변화를 주어 응축수배관을 통해 응축기의 상단부까지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배관을 거친 응축수는 분무장치에 의해서 응축기의 표면에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공기의 온도가 고온일때 고온의 공기가 직접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분무장치에 의해서 분사된 응축수에 의해 온도가 다소 낮추어진 다음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응축수에 의해서 온도가 낮추어진 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성품들이 무리하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한낮이나 여름철에도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응축기나 압축기의 용량이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원활한 냉방성능을 발휘하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밖으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내부에서 이용함으로서 미관상으로도 많은 개선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전기적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모세관효과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양정을 변화시킬 경우에는 추가적인 동력을 요구하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결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결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열교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열교환 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8 은 도 7 의 A-A'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9 는 도 7 의 A-A'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 은 도 7 의 A-A'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면패널 200. 측면패널
220. 흡열측흡입구 220'. 흡입구덕트가이드
240. 흡열측토출구 240'. 토출구덕트가이드
300. 후면패널 400. 상면패널
420. 방열측흡입구 440. 오리피스
460. 토출그릴 500. 베이스팬
520. 베이스프레임 520'. 리프트홀
580. 컨트롤판넬 600. 베리어
620. 펌프 640. 응축수배관
640a. 그믈망 640b. 돌기
640c. 구슬 640a',640b',640c'. 틈
660. 분무장치 700. 흡열측
720. 실내팬 720'. 팬하우징
740. 증발기 760. 드레인팬
800. 방열측 820. 압축기
840. 응축기 860. 실외팬

Claims (6)

  1. 열교환이 일어나는 응축기와,
    열교환시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수단은,
    응축수의 양정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응축수를 응축기 상단부로 안내하는 응축수배관과;
    상기 응축기에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수단은,
    모세관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응축수배관과;
    상기 응축기에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배관은 내부에 그물형태의 기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배관은 내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배관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슬이 충진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14864A 2004-03-05 2004-03-05 공기조화기 KR20050089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864A KR20050089443A (ko) 2004-03-05 2004-03-0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864A KR20050089443A (ko) 2004-03-05 2004-03-0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443A true KR20050089443A (ko) 2005-09-08

Family

ID=3727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864A KR20050089443A (ko) 2004-03-05 2004-03-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4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70B1 (ko) * 2006-11-17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16988B1 (ko) * 2006-11-06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88B1 (ko) * 2006-11-06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783170B1 (ko) * 2006-11-17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443A (ko) 공기조화기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564465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57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4716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530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7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55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76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안내 구조
KR2005002479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64456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64458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8B1 (ko)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 설치구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KR100564463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토출구조
KR20000055580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553049B1 (ko) 공기조화기
KR200296840Y1 (ko) 에어컨의 흡입구조
KR10054767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3410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441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55314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