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302U -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302U
KR20000000302U KR2019980009666U KR19980009666U KR20000000302U KR 20000000302 U KR20000000302 U KR 20000000302U KR 2019980009666 U KR2019980009666 U KR 2019980009666U KR 19980009666 U KR19980009666 U KR 19980009666U KR 20000000302 U KR20000000302 U KR 200000003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building
aluminum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진
Priority to KR2019980009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302U/ko
Publication of KR20000000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02U/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서로 적층되어 소정면적의 외벽을 이루도록 단부에 조립수단을 구비한 세라믹 코팅재질의 알미늄 판재(10)와, 구조물의 벽면에 최소한의 손상을 가하면서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알미늄판재(10)가 부착고정되는 부착수단 및 상기 판재(10)의 선단과 측면간에 각각 체결되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마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로는, 첫째로 알미늄재로 되어 가볍고 기존 건물 외벽의 시공부위를 최소화 함으로서,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타 외장재에 비해 경제적으로 저렴하고, 둘째로 판재를 끼움방식으로 조립함으로서 시공과 철거가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원하는 색상의 알미늄 판재를 선택하여 건물 형태에 따라 개별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음으로서 수요자의 욕구나 건물의 외관미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Aluminum wall-decoration plat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되는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벽에 고정 시공시 벽재판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시공을 편리하도록 한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된지 10여년이 지나게되면 열화가 진행되어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바, 이런 열화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건물 내부마저도 손상을 입게 되어 건물자체의 수명이 단축되고, 개인의 자산가치도 줄게 되며, 특히 노후된 타일 등의 외벽이 떨어져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의 소지가 있게 된다.
따라서 노후된 건물의 외벽을 개보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장재를 사용한 여러 가지 시공법이 제안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축물의 외장재로 요구되는 성능의 특색은 제어기능으로서 벽면에 내충격성과 화재에 대한 안전성, 존속기능으로서 거주성, 쾌적성, 그리고 작용기능으로서 내구성, 마감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외장재는 대표적으로 금속계와 비금속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금속계 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또는 아연강판 등이 사용되며, 비금속계 외장재로는 대리석 등의 석재와, 유기질, 세라믹을 이용한 타일의 복합판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외장재는 각각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갖추고 있는 바, 석재의 경우 외관미를 높일 수 있으나, 자체 무게가 많이 나가고 표면에 공해물질이 쉽게 부착되어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타일 법랑재질 등은 청소가 용이하나 타일은 부분적으로 잘 떨어지고 법랑은 평활도 및 깨지는 성질이 강하며 깨진 곳에서 녹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색상과 미려한 외관을 이루어 노후화된 건물의 부가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면서, 개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시공이 간편하고, 건물에 하중부담이 없도록 가벼운 재질로 된 마감용 외장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팅처리된 알미늄 재질의 외장재를 조립식으로 시공함으로서 건물벽에 고정 시공시 건물 벽재판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적층되어 소정면적의 외벽을 이루도록 단부에 조립수단을 구비한 알미늄 판재와, 구조물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판재가 설치고정되는 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타일, 대리석 또는 법랑 재질보다 가벼운 알미늄을 사용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물이 받게 되는 부담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시공시 구조물 벽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알미늄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코팅처리를 하게 되면 내식성이 향상되어 부식에 강해지게 되는 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미늄 외장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의 수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건물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외장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된 외장재의 상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알미늄 판재 20 : 삽입부
21 : 저면 22 : 리브
23 : 걸림턱 30 : 끼움부
31 : 리브 32 : 걸림턱
40 : 베이스판 41 : 채널부
42 : 프레임 50 : 연결판
51 : 리브 52 : 걸림턱
60 : 이음판 61 : 리브
62 : 걸림턱 70 : 코너마감재
71 : 리브 72 : 걸림턱
80 : 선단마감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미늄 외장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의 수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의 수직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서로 적층되어 소정면적의 외벽을 이루도록 단부에 조립수단을 구비한 알미늄 판재(10)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판재(10)가 부착고정되는 부착수단 및 상기 판재(10)의 선단에 체결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판재(10)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처리가 되어 있는 알미늄재질의 압출성형품으로서, 일측 선단에는 삽입부(20)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는 상기 삽입부(20)에 끼워지는 끼움부(30)가 형성되어, 일개 판재(10)의 삽입부(20)에 다른 판재(10)의 끼움부(30)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여러개의 판재(10)로 원하는 크기의 외벽면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0)는 판재(10)의 선단부를 절곡시켜 저면(21)을 이루도록 하고, 이 저면(21)에 소정높이의 ㄷ자 채널형상의 리브(22)가 전면을 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양 리브(22) 선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30)의 구조는 판재(10)의 후면에 ㄷ자 채널형상의 리브(31)를 형성시키고, 이 리브(31)는 상기 삽입부(20)의 리브(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적은 폭을 이루도록 하며, 이 리브(31) 선단에는 외측으로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0)의 리브(22)에 형성된 걸림턱(23)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판재(10)의 전면으로는 삽입부(20)로서 형성된 채널형상의 리브(22)가 돌출되고, 후면에는 끼움부(30)로서 형성된 소형 리브(31)가 돌출되는 바, 일개 판재(10)의 삽입부(20)에 다른 판재(10)의 끼움부(30)를 결합시키게 되면 삽입부(20)의 리브(22) 내부로 끼움부(30)의 리브(31)가 삽입되면서 각 리브(22,3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3)과 걸림턱(32)이 맞물리게되어 판재(10)와 판재(10)가 연결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재(10)가 놓여져 고정되는 부착수단을 살펴보면, 판재(10)가 고정되는 사각 프레임(42)과, 이 프레임(42)을 건물의 벽면에 세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42)은 판재(10)와 접하는 평접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부를 이루는 사각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정구는 건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40) 윗면 일측에 프레임(4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채널부(41)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40)과 채널부(41) 측면에는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홀을 통헤 벽면과 측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베이스판(40)은 벽면에 고정되고, 프레임(42)은 고정구의 채널부(41)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의 프레임(42)에 판재(10)의 후면을 밀착시키게 되면 판재(10)에 형성된 삽입부(20)의 저면(21)이 프레임(42)의 평접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저면(21)과 프레임(42)을 스크류로 관통체결하게 되면 판재(10)가 프레임(42)에 고정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즉, 시공되는 외장면은 원하는 크기만큼 다수개의 판재(10)를 조립해서 완성되는 바, 판재(10)의 저면(21)과 프레임(42)에 스크류를 관통체결하여 일개 판재(10)를 고정시킨 후, 판재(10)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부(20)의 리브(22)에 다른 판재(10)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부(30)의 리브(31)를 삽입시켜주게 되면 상기 각 리브(22.3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3,32)이 맞물리면서 판재(10)간에 연결이 되고, 연결된 다른 판재(10)도 마찬가지로 저면(21)과 프레임(42)간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고정하므로서, 외벽 전체를 판재(10)로 치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판재(10)와 판재(10)의 측면이 놓여지는 곳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프레임(42)에는 상기 두 개의 판재(10)가 하나의 프레임(42)에 스크류 체결될 수 없는 바, 별도의 체결용 부재를 사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용 부재는 프레임(42)에 스크류 체결되면서 프레임(42) 후면까지 연장되는 소정 크기의 연결판(50)으로 중앙에는 선단에 걸림턱(52)이 형성된 ㄷ자 채널형상의 리브(51)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후술하는 마감부재가 결착되게 된다.
한편, 판재(10)의 측면 또는 선단에 체결되는 마감부재는 판재(1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언급하는 모든 마감부재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시공되는 건물에 따라 그 형상을 얼마든지 바꿀수 있는 바, 모두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에 속한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마감부재는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모서리부분과 판재(10)의 측면간 연결부분 및 판재(10)의 상단과 하단별로 그 형상이 상이하나, 모두 리브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한 끼움방식으로 체결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마감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판재(10)와 판재(10)의 측면이 만나는 부분에는 판재(10)의 측면이 가려질 수 있도록 된 이음판(60)을 사용하고, 이 이음판(60)의 후면에는 상술한 걸림턱(62)이 형성된 리브(61)가 돌출되어 상기 연결판(50)의 리브(5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음판(60)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길이 형상을 달리할 수 있는 바, 평면 또는, 판재(10)와 판재(10) 사이에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홈을 형성시키며, 홈은 홈의 양측면에 연결판(50) 리브(51)의 걸림턱(52)에 끼워지도록 걸림턱(62)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판(50)의 리브(5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판재(10)와 판재(10)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의 마감재는, 곡면 또는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절곡시킨 코너마감재(70)로 양 측면이 프레임(42)에 스크류 체결되도록 하고, 코너마감재(70)와 판재(10)의 측면 사이에는 이미 언급한 이음판(60)을 끼워서 판재(10) 측면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코너마감재(70)의 측면에도 이음판(60)이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턱(72)이 구비된 리브(71)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모든 마감재와 판재(10)의 연결부분, 판재(10)의 측면간에는 각각의 구조에 맞도록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이음판(60)이 사용되어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외관미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판재(10)의 선단과 하단 또는 창문틀이 위치한 곳에 사용되는 선단마감재(8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창틀과의 거리에 맞도록 제작되고 역시 후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리브를 형성하여 끼움식으로 체결되게 된다.
이와같이 판재(10) 판재(10)의 측면과 측면의 연결은 모두 마감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판재(10)간에 정밀한 조립을 이루지 않고서도 마감재의 간단한 끼움방식으로 판재(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시공 후 외장재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측면 정밀시공에 따른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의 설치과정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화된 건물의 벽면에 고정구를 설치할 위치를 선정하여 벽면에 스크류 삽입구멍을 형성시킨 후 고정구의 베이스판(40)을 벽면에 스크류 체결시키고, 상기 베이스판(40)의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채널부(41)에 프레임(42)을 끼우고 측면에서 스크류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판재(10)의 측면이 설치되는 쪽의 프레임(42)에는 연결판(50)을 미리 프레임(42)에 스크류로 고정시켜 판재(10)의 측면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벽면에 판재(10)가 부착될 고정구가 설치되게 되면, 이 고정구에 판재(10)를 조립시킴으로서 노화건물의 외벽을 코팅처리된 알미늄 외장재로 치장할 수 있게 된다. 즉 판재(10)를 상기 고정구의 프레임(42)에 밀착시키게 되면 판재(10)의 중앙부분과 양 측면부분이 각각 고정구의 프레임(42)과 연결판(50)에 위치하게 되는 바, 판재(10) 삽입부(20)의 저면(21)과 프레임(42)의 평접면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판재(10)의 측면은 측면쪽의 프레임(42)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판(50)에 스크류로 체결하여 조립하며, 이 판재(10)에 끼워져 적층되는 다른 판재(10)도 상기한 방식으로 계속 조립한다.
한편, 판재(10)와 판재(10)의 측면사이와 건물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판재(10), 건물의 모서리부분에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은 각종의 마감부재를 끼워 조립함으로서, 건물의 외벽 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이와같이 판재(10)의 조립과 마감재의 부착으로 건물의 기능 및 성격에 맞추어 자유롭게 외관을 디자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에 의하면, 첫째로 알미늄재로 되어 가볍고 기존 건물 외벽의 시공부위를 최소화 함으로서,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타 외장재에 비해 경제적으로 저렴하고, 둘째로 판재를 끼움방식으로 조립함으로서 시공과 철거가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원하는 색상의 알미늄 판재를 선택하여 건물 형태에 따라 개별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음으로서 수요자의 욕구나 건물의 외관미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서로 적층되어 소정면적의 외벽을 이루도록 단부에 조립수단을 구비한 알미늄 판재(10)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판재(10)가 부착고정되는 부착수단 및 상기 판재(10)의 선단과 측면간에 각각 체결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10)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처리가 되어 있는 알미늄재질의 압출성형품으로서, 일측 선단에는 삽입부(20)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는 상기 삽입부(20)에 끼워지는 끼움부(30)가 형성되어, 일개 판재(10)의 삽입부(20)에 다른 판재(10)의 끼움부(30)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여러개의 판재(10)로 원하는 크기의 외벽면을 이루는 한편, 상기 삽입부(20)는 판재(10)의 선단부를 절곡시켜 저면(21)을 이루도록 하고, 이 저면(21)에 소정높이의 ㄷ자 채널형상의 리브(22)가 전면을 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양 리브(22) 선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0)는 판재(10)의 후면에 ㄷ자 채널형상의 리브(31)를 형성시키고, 이 리브(31)는 상기 삽입부(20)의 리브(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적은 폭을 이루도록 하며, 이 리브(31) 선단에는 외측으로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0)의 리브(22)에 형성된 걸림턱(23)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판재(10)가 고정되는 사각 프레임(42)과, 이 프레임(42)을 건물의 벽면에 세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42)은 판재(10)와 접하는 평접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부를 이루며, 상기 고정구는 건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40) 윗면 일측에 프레임(4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채널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40)과 채널부(41) 측면에는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헤 벽면과 측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베이스판(40)은 벽면에 고정되고, 프레임(42)은 고정구의 채널부(41)에 고정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모서리부분과 판재(10)의 측면간 연결부분 및 판재(10)의 상단과 하단별로 각각 구비되고, 각각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리브가 형성되어, 끼움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KR2019980009666U 1998-06-08 1998-06-08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KR200000003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66U KR20000000302U (ko) 1998-06-08 1998-06-08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66U KR20000000302U (ko) 1998-06-08 1998-06-08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02U true KR20000000302U (ko) 2000-01-15

Family

ID=6951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66U KR20000000302U (ko) 1998-06-08 1998-06-08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3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69B1 (ko) * 2007-05-14 2008-06-13 썬파크 주식회사 외장재 마감구조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69B1 (ko) * 2007-05-14 2008-06-13 썬파크 주식회사 외장재 마감구조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341B2 (en) Contoured stucco reveal
CA2979613C (en) Ventilated facade
EP0470814A1 (en) Tile-supporting tool, tiled wall structure and tiled curtain wall
KR102034895B1 (ko) 내장벽 시공구조
US20110000160A1 (en) Alumin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WO2006090195A1 (en) Support structure and profile rail therefore
KR101147011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00000302U (ko) 건축물 마감용 알미늄 외장재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SK50362009A3 (sk) Zábradlie na ohradenie priestorov a profily tvoriace toto zábradlie
KR100363524B1 (ko) 건축용외장패널
KR100318006B1 (ko)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98409Y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KR20180000354A (ko) 건축패널
CH679055A5 (en) Ceramic cladding panel for building facade - has edge or corner slots for flanges of rear anchorage or suspension brackets
KR200373828Y1 (ko) 욕실용 천장패널 이음부 장식몰딩
KR102020875B1 (ko)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US20230078761A1 (en) Facade fastening system having profile elements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JPH0460041A (ja) 仕上げユニットパネル及びタイル貼りカーテンウォール
EP1435427A1 (en) Accident-prevention finishing means
KR200257131Y1 (ko) 일체형 4각 바 경량 벽체 시스템
KR960003563Y1 (ko) 베란다용 창문 가이드 레일
KR20060000733A (ko) 건축용 외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