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259A -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259A
KR20000000259A KR1019990043228A KR19990043228A KR20000000259A KR 20000000259 A KR20000000259 A KR 20000000259A KR 1019990043228 A KR1019990043228 A KR 1019990043228A KR 19990043228 A KR19990043228 A KR 19990043228A KR 20000000259 A KR20000000259 A KR 2000000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r
rubber cover
container
cctv camera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586B1 (ko
Inventor
이원상
Original Assignee
이원상
모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541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64400A/ko
Application filed by 이원상, 모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원상
Priority to KR101999004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58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에 관한 본 발명은, 콘테이너와; 상기 콘테이너에 설치되는 공기압축기와; 복수의 약품탱크와; 발전기와; 신축성이 내재하는 고무커버가 씌워져 원통형상을 취하며 상기 발전기와 약품탱크 및 공기압축기와 연결되어 작업유체 및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며, 고무커버 원주면에 개폐의 조절이 가능한 유출구가 마련된 패커(packer)와; 상기 패커에 장착되어 패커와 같이 이동하며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고, 하수관내의 상태를 촬영하여 외부 모니터로 전송하는 CCTV카메라와; 콘테이너에 설치되며, 제어케이블에 의해 CCTV카메라와 연결되어 CCTV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콘테이너에서 작업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수관 보수장치는, 하나의 차량에 여러가지 보수공법을 수행 할 수 있는 장비를 상호 연결된 상태로 탑재하여, 여러공법이 요구되는 공사라 하더라도 작업차량으로 인하여 작업장 주변의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높고 작업인원이 적어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CCTV카메라를 패커에 취부하여 패커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CCTV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져 작업의 속도가 신속해지고, CCTV카메라를 움직이는 동작기구가 필요 없어 보다 단순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GL-LC Un-excavating type sewerage repairing device}
본 발명은 하수도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수가 필요한 하수도에 투입하여 보수를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된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 1998년 특허출원 제54191호의 개량발명이다.
여기서 GL-LC라 함은 그라우팅(Grouting), 라이닝(Lining), 리키지테스트 (Leakage test), 카메라조사(Camera investigation)를 의미하는 영문 첫글자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장치를 통하여 상기 그라우팅공정과 라이닝공정과 리키지테스트공정 및 카메라조사공정을 동시에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수관이 노후되면 크랙이 생성되거나 파손되어 오폐수의 외부유출이 발생하게 되고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한다. 파손된 하수관을 복구하기 위한 공법은 하수관의 손상부위의 특성 및 주위여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땅을 굴착하지 않는 비굴착공법으로 하수관의 보수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하수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CCTV카메라와 보수장비인 패커(packer)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에 수행되고 있는 각 공법은 패커를 하수관로에 들여보낸 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CCTV카메라를 뒤따라 보내어, CCTV카메라를 통해 손상된 부위를 찾아 패커의 작업위치를 선정하는 두 번의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느리고 번거롭다.
또한, 하수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른 공법으로 처리되어야 하는데, 각 공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는 상이하고, 하나의 장비로서 하나의 공법만을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있어, 2가지 이상의 공법을 수행할 경우 작업장 주위에 2가지 이상의 장비를 탑재한 이동차량이 모여 통행이 불편하고 작업인원이 증가하게 되며, 여러 가지 불필요한 요소들이 증가하게 됨으로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한 대의 이동차량에 상호 연결되어 탑재된 장비로서 여러 가지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CCTV카메라를 패커에 취부하여 패커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CCTV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져 작업의 속도가 신속해지고, 별도의 CCTV카메라를 투입 및 주행시킬 필요가 없어 보다 단순한 작업환경에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수관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에 적용되는 패커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패커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바퀴의 구름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패커의 일측평면부에 설치대를 고정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설치대에 CCTV카메라가 취부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에 적용된 CCTV카메라 설치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에 적용된 패커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차량 12:콘테이너
14,15:약품탱크 16:발전기
17:액츄에이터 18:CCTV카메라
20,21:주입구 22:유출구
24:설치대 26,119:패커(packer)
28:콘트롤러 30:모니터
31:입출력장치 32:공기압축기
34:평면부 36:원주면
38:바퀴 40:롤러
42:돌기 44:설치구
46:작업유체공급선 47:압축공기공급선
48:하수관 50:윈치
52:가이드롤러 54:맨홀
56:동력선 64:롤러설치판
66:핀 68:와이어
70:케이스 72:모터
74:위치조절클램프 76:구동축
78:파지부 80:조절나사
81:제어케이블 83:고무커버
85:설치구 89:돌기
91,92:바디 95:분기용탱크
97:유압펌프 99:릴장치
101:바퀴 103:유압모터
105:감속기 107:유압라인
111:공간부 113:공급파이프
115:핀 117:로드
123:제 1축부 125:제 2축부
126:신축밀봉부재 127:탄성스프링
128:유연성바디 134:제 1바디
136:제 2바디 138:주름관
140:브레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콘테이너와; 상기 콘테이너에 설치되는 공기압축기 및 발전기와; 상기 공기압축기 연결되며 작업유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약품탱크와; 축을 이루는 바디(body)와, 상기 바디 양단에 일체로 구비된 평면부와, 상기 양측의 평면부의 외주를 감싸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고무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와 약품탱크 및 공기압축기와 연결되어 전력과 작업유체 및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며, 고무커버 원주면의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위치에 개폐의 조절이 가능한 유출구가 마련된 패커(packer)와 상기 패커에 장착되어 패커와 같이 이동하며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고, 하수관내의 상태를 촬영하여 외부 모니터로 전송하는 CCTV카메라와; 콘테이너에 설치되며, 제어케이블에 의해 CCTV카메라와 연결되어 CCTV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콘테이너내에서 작업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커의 양측 평면부에는 패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패커의 원주면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높이를 제공하는 다수의 바퀴가 각각 구비되며, 각 바퀴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롤러가 동일평면상에서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커의 바디는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제 1바디와, 제 2바디 및 상기 제 1바디와 제 2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기밀을 유지하는 플렉시블한 유연성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연성바디는 벨로우즈(bellows)형태의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구비된 브레이드(brai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콘테이너와; 상기 콘테이너에 설치되는 공기압축기와 발전기 및 유압펌프와;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며 작업유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약품탱크와; 축을 이루는 파이프형태의 바디와, 상기 바디 양단에 일체로 고정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외주를 감싸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고무커버로 구성되고, 작업유체와 유압유와 전력 및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압축기와 약품탱크와 발전기 및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고무커버 원주면의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위치에 유출구가 구비되고 조사수단과 구동수단이 설치된 패커와; 콘테이너에 설치되며 제어케이블에 의해 패커와 연결되어 조사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콘테이터내에서 작업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사수단은 패커 내부의 축부에 지지되어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 단부에 핀결합하여 회전가능하고 피스톤운동을 통하여 패커의 전방으로 필요 길이만큼 연장되는 CCTV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패커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패커의 외측부에 구비된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무커버의 외주면에는 'ㄹ'자 형태의 돌기가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각 돌기의 상면에는 'V'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커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바디는 제 1축부와 제2축부로 나뉘어져, 제 1축부는 제 2축부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축방향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제 2축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축부의 선단에는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는, 한 대의 이동차량(10)에 보수를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장비들이 탑재되어 있다.
콘테이너(12) 내부에는 두 개의 약품탱크(14,15)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품탱크(14,15)와 연결되어 공기압축기(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32)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는 일부가 각 약품탱크(14,15)로 공급되어, 약품탱크(14)내에 저장된 작업유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외부로 공급한다. 약품탱크(14)로부터 외부로 공급되는 작업유체는 작업유체공급선(46)을 통해 후술할 패커(26)에 공급되어, 균열이 발생되었거나 파손된 하수관의 내벽에 도포되도록 하여 틈새를 매워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압축공기의 일부는 압축공기공급선(47)을 통해 패커(26)에 직접 전달된다.
상기 공기압축기(32)와 함께 발전기(16)가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16)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는 동력선(56)을 통해 하수관에 투입되는 CCTV카메라(18)에 전달되며 콘트롤러(28)와 모니터(30) 및 입출력장치(31)를 포함한 여러 주변장비를 작동 시킨다.
상기 콘트롤러(28)는 하수관에 투입되는 CCTV카메라(18)의 동작을 제어하여 CCTV카메라(18)로 하여금 보다 정확한 각도에서 영상을 얻도록 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28)와 CCTV카메라(18)는 제어케이블(81)로 연결되어 콘트롤러(28)로 CCTV카메라(18)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은 플렉시블한 호스인 작업유체공급선(46)을 통해 유동하여 패커(26)에 공급된다. 상기 작업유체공급선(46)과 압축공기공급선(47)과 제어케이블(81) 및 동력선(56)은 릴장치(99)에 감기며 작업중 패커(26)의 이동에 따라 릴장치(99)로부터 풀려나간다. 따라서 각종 공급선이나 케이블로 인해 작업장이 어지럽지 않고 정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여러 장치들이 콘테이너(12)내에 고정설치됨에 비해 패커(26)와 CCTV카메라(18)는 공사지역으로 이동시에는 콘테이너(12)내에 보관되지만, 공사중에는 하수관등에 투입되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패커(26)는 양단에 둥근 원판의 평면부(34)가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형태의 바디(도 2의 92)와, 상기 평면부(34)의 외주에 지지되며 양 평면부(34)를 감싸는 고무커버(8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무커버(83)는 팽창 가능한 고무재질의 커버로서 원주면의 중앙부에는 네 군데에 유출구(22)가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22)는 고무커버(8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일종의 노즐(Nozzle)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작업유체공급선(46)을 통해 공급된 약품이 분출하는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유출구(22)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사용되는 작업유체가 두 가지 종류이기 때문이다. 상기 각 유출구(22)는 패커(26)의 내부에서 작업유체공급선(46)과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무커버(83)는 재질의 물성상 신축가능하여 주입구(21)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면 마치 풍선처럼 늘어나 패커(26)의 전체적인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상기 고무커버(83)의 외주면에는 대략 'ㄹ'자 형태의 돌기(89)가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89)는 보수할 하수관의 내주면과 고무커버(83)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돌기(89)가 연속된 'ㄹ'자의 형태를 취하므로 고무커버(83)는 원주방향 및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어, 패커(26)와 하수관의 내주면의 밀착성이 양호하여 그만큼 작업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패커(26)의 일측 평면부에는 설치구(85)와 세 개의 유입구(20,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20)는 작업유체공급선(46)이 각각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작업유체공급선(46)은 약품탱크(14,15)내의 작업유체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압축공기공급선(47)은 압축공기가 흐르는 공급관으로서 주입구(21)에 연결되어 패커(26)내에 압축공기를 압입하여 압축공기로 하여금 패커를 팽창시킨다.
또한 설치구(85)는 동력선(56) 및 제어케이블(81)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지상의 발전기(16)와 콘트롤러(28)로부터의 전력과 제어신호를 CCTV카메라(18)에 전달 하도록 한다.
한편, 패커(26)의 타측 평면부(34)에 액츄에이터(17)를 위한 설치대(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설치대(24)는 부분원호의 단면 형상을 취하여 원통형인 액츄에이터(17)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아울러 설치대(24)에는 복수개의 설치구(44)가 형성되어 액츄에이터(17)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도 7의 42)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하수관의 관경에 따라 패커(26)에 대한 액츄에이터(17)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CCTV카메라(18)는 액츄에이터(17)의 로드(117) 단부에 설치되어 마치 피스톤처럼 액츄에이터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하수관의 관경에 대응한 위치를 잡는다. 만약 하수관의 관경이 클 경우, CCTV카메라(18)는 액츄에이터(17)로부터 최대한 연장되어 위치하게 될 것이고, 관경이 작을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CCTV카메라(18)는 패커(26)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패커(26)의 양단부에는 네 개의 바퀴(3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바퀴의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부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커(26)의 양측 평면부(34)를 지지하는 바디(92)는, 제 1바디(134)와 제 2바디(136) 및 상기 제 1바디(134)와 제 2바디(136) 사이에 구비되는 유연성바디(128)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바디(134) 및 제 2바디(136)는 각각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여 속이 빈 상태를 취하며, 제 2바디(136)의 내부에는 액츄에이터(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바디(134) 및 제 2바디(136)는 강체로 이루어져 휠 수 없으나, 이에 반해 제 1바디(134)와 제 2바디(136) 사이에 설치되는 유연성바디(128)는 플렉시블하여 휠 수 있다. 따라서 패커(130)는 전체적으로 중앙부에서 휠 수 가 있어, 패커(130)가 곡관을 지나갈 경우, 곡관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벤딩되어 원활이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유연성바디(128)는 양단이 제 1바디(134) 및 제 2바디(136)에 고정되어 밀봉을 이루는 벨로우즈타입의 주름관(138)과, 상기 주름관(138)을 감싸는 브레이드(140,brai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138)은 양측의 제 1바디(134) 및 제 2바디(136)와 연결되며 밀봉을 이루고 있다. 상기 브레이드(140)는 외주면이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격자구조를 갖는 망으로서 양단이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바디(134) 및 제 2바디(136)와 플렌지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7)로 연결되는 제어케이블(81)과 동력선(56)은 제 1바디(134)와 유연성바디(128) 및 제 2바디(136)를 통과하여 액츄에이터(17)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무커버(83)는 양 평면부(34)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되며 체결부재를 통하여 밀폐를 이루어 내부에 공간부(111)를 제공한다. 이 때 패커(26)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면 상기 고무커버(83)의 평면부를 감싸는 부위에 비하여, 중앙부의 부위의 지름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고무커버(83)의 중앙부 전체적인 외주면은 패커(26)의 양단의 부위에 해당하는 고무커버(83)의 지름에 비하여 작어 대체로 잘록한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그만큼 고무커버(83)의 외주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수관 내에서 패커(26)의 이동시 하수관 바닥에 긁히지 않는다. 상기 고무커버(83)의 형상은 고무의 성형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성형에 따라 더욱 잘록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평면부(34)중 도면상 좌측의 평면부(34)에는 주입구(도 1의 20,21)가 형성되어 패커(26)내부로 압축공기와 작업유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부(111)는 밀폐를 이루어야 하므로 주입구(20,21)를 관통하는 작업유체공급선(46) 및 압축공기공급선(47)은 주입구(20,21)에 대해서 실링처리 되어 있다.
또한 CCTV카메라(18)와 연결되는 동력선(56) 및 제어케이블(81)은 설치구(도 1의 85)를 통하여 CCTV카메라(18)와 직접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고무커버(8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89)의 상면에는 'V'자 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은 돌기(89)와 하수관 내면과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 성형한 것이다. 상기 돌기(89)는 유출구(22)를 통해 유출하는 작업유체가 양측의 돌기(89)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간부(111)내에는 분기용탱크(9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용탱크(95)는 제 1바디(134)에 지지되며 작업유체공급선(46)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약품탱크(도 1의 14,15)로부터 공급된 작업유체는 분기용탱크(95)에 임시로 모인 다음 분기되어 각 공급파이프(113)를 통해 네 개의 유출구(22)로 공급된다.
상기 유출구(22)의 설치개소를 네 군데가 아닌 다수의 개소에 설치하고 그에 따른 공급파이프(113)의 개수를 가감시켜 연결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분기용탱크(95)와 공급파이프(113)는 패커(26)의 공간부(111)에 충분히 포함되어 설치되므로 고무커버(83)의 팽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압축공기공급선(47)은 공간부(111)에 직접 연통되어 공급된 압축공기는 공간부(111)를 채우고 고무커버(83)를 팽창시켜 패커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패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패커(26)의 원주면을 이루는 고무커버(83)에는 'ㄹ'자 형태의 돌기(89)가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커(26)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는 유출구(22)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유출구(22)를 본 실시예에서 네 군데에 설치함은 상기한 바와같다. 아울러, 각 유출구(22)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바와같이 내부에서 공급파이프(도 2의 11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무커버(8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89)가 'ㄹ'자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고무커버(83)는 화살표 p 및 q방향으로 용이하게 팽창하며 하수관의 내주면과 고르게 밀착할 수 있다. 아울러 고무커버(83)가 이루는 패커(26)의 전체적인 지름이 양 평면부에 해당하는 부위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패커(26)가 하수관내의 장애물이나 돌출물을 지나가는 동안에도 고무커버(83)가 장애물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바퀴(38)는 패커(26)의 양측 평면부(34)에 지지되며 설치되어 패커(26)를 하수관 바닥면에 대해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패커(26)가 하수관 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패커의 이동방향에 있는 단차를 본 실시예의 바퀴가 넘어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패커의 이동방향에 장애물이 있을 때, 바퀴(38)가 장애물을 넘어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패커(26)에 대해 롤러설치판(도 4의 64)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종래에는 하나의 롤러만이 바퀴를 구성하므로 바퀴에 독립적인 구동력이 있지 않는 한 상기와 같은 장애물이나 단차가 있을 경우 넘어가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단차나 장애물이 없이 평탄한 지면을 이동할 때에는 지면과 접촉한 롤러(40)는 그 자리에서 회전하며 롤러설치판(64)은 회전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보수장치에 사용되는 패커에 고정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는 CCTV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에 있어서, CCTV카메라(18)는 하수관에서 패커(26)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패커(26)의 측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같이 패커(26)를 위치시키기 위해 패커(26)를 지지하는 설치대(24)가 구비되는데, 상기 설치대(24)는 지지로드(19)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며 부분원호의 단면을 가져 액츄에이터(17)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설치대는 액츄에이터의 형상 및 종류에 따라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CCTV카메라(18)는 제어케이블(도 2의 81) 및 전력선(56)에 의해 지상의 장비와 연결되며, 액츄에이터(17)의 로드(117)에 설치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7)가 작동하면 CCTV카메라(18)는 마치 피스톤처럼 왕복운동 하며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움직여 패커(26)로부터 적당한 위치를 잡는다. 아울러 상기 CCTV카메라(18)는 로드(117)에 핀(115) 결합되어 핀(115)을 중심으로 화살표 n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로드(117)는 액츄에이터(17)몸체에 대해 화살표 s방향의 축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CCTV카메라(18)는 하수관내의 모든 방향을 지향할 수 있으며 그만큼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치대(24)에는 다수의 설치구(44)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구(44)는 액츄에이터(17)의 저면에 있는 돌기(42)가 삽입되는 것으로,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패커(26)에 대한 액츄에이터(17)의 설치위치가 달라짐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CCTV카메라(18)와 패커(26)간의 간격을 조절가능 하도록 한 것은 하수관(도 9의 48)의 직경에 대응하여 CCTV카메라(18)로 하여금 정확한 각도의 촬영을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에 있어서, CCTV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패커(26)에 CCTV카메라(18)를 설치하기 위하여, 패커(26)의 일측평면부에 모터(72)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72)의 구동축(76)에는 구동축(7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70)를 연결한다. 상기 케이스(7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액츄에이터(17)를 수용한다. CCTV카메라(18)는 액츄에이터(17)에 의해 왕복운동하므로 케이스(70)내에는 액츄에이터(17)만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7)는 케이스(70)내에서 복수개의 위치조절클램프(7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위치조절클램프(74)는 케이스(70) 내부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7)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단에 파지부(7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78)는 액츄에이터(17)의 외주면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액츄에이터(17)를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위치조절클램프(74)는 공지의 나비너트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케이스(70)의 외부에서 조절나사(80)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7)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CCTV카메라 설치수단에 있어서, 케이스(70)가 모터에 의해 자유로이 축회전 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70)내에 위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17)는 물론 CCTV카메라(18)도 축회전하여, CCTV카메라(18)로 하여금 하수관 내부를 빈틈없이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CCTV카메라(18)도 액츄에이터(17)에 핀(115)를 중심으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보수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공사가 필요한 하수관(48)을 보수하기 위해 작업자는 맨홀(54)을 개방한 후, 가이드롤러(52)를 설치하고 하수관에 패커(26)를 투입시킨다. 이 때 패커(26)에는 CCTV카메라(18)가 장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패커(26)의 양단은 와이어(68)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68)는 외부에서 윈치(winch)를 이용하여 당긴다. 상기 윈치(50)는 작업자에 의해 작동되어 와이어(68)를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당겨 하수관 내에서 패커(26)를 이동시킨다.
패커(26)가 와이어(68)에 이끌려 하수관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CCTV카메라(18)는 계속 작동하여 하수관내의 상태를 지상의 이동차량(10)에 있는 콘트롤러(28)를 통해 모니터(도 1의 30)에 송신한다. 모니터를 통해 하수관내의 상태를 계속 감시하는 작업자가 보수공사를 하여야 할 부분을 발견하면, 와이어(68)를 그만 당기고 보수공사를 하여야 할 손상부위에 패커(26)를 정지시켜 보수공사를 개시 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차량(10)의 콘테이너(도 1의 12)에는 공기압축기(32)와 발전기(16)와 약품탱크(14,15)등 각종 보수공사에 필요한 장비가 모두 탑재되어 있으므로, 맨홀에 근접하여 있는 이동차량으로부터 작업유체 및 압축공기가 각각 작업유체공급선(46)과 압축공기공급선(47)을 통해 패커(26)에 전달된다. 종래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차량이나 약품탱크(14,15)를 탑재한 차량들이 맨홀 주위에 정차하여 작업에 참여하므로 공사장이 매우 복잡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한 대의 작업차량만 작업에 투입되므로 공사장 주변이 번잡하지 않다.
특히, CCTV카메라(18)가 패커(26)에 설치되어 패커(26)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하므로, 종래와 같이 CCTV카메라(18)를 이동시키기 위한 독립된 자주차 및 자주차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선이 필요하지 않아, 하수관(48) 내부가 번잡하지 않다. 하수관의 상태에 따라 행하여져야 하는 공법이 다르므로, 패커(26)에 공급되는 작업유체 또는 압축공기의 공급여부는 각 상황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한 구체적인 보수공법은 본 출원인에 의한 1998년 특허출원 제54192호에 설명되어 있다.
보수가 필요한 위치에 패커(26)가 도착하면 상기한 공급선(46,47)을 통해 작업유체가 하수관의 파손된 부위에 공급됨으로써 상황에 맞는 보수작업이 수행되고, 보수작업이 완료되면 패커(26)는 와이어(68)에 이끌려 다른 손상부위를 찾아 이동하고, 손상부위를 찾으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수작업을 하고 모든 보수공사를 완료한다.
상기 보수장치는 하수관에서는 물론이고 상수관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어서 파손된 상수관을 보수할 수 있어 상수관으로부터 누설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바퀴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에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각 장비 이외에 유압펌프(97)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펌프(97)는 패커(119)에 설치된 유압모터(도 11의 103)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이다. 즉, 상기 유압펌프(97)로부터 펌핑된 유압유는 유압라인(107)을 통하여 패커(119)내에 설치된 유압모터(103)로 전달되어 바퀴(101)를 구동한다.
한편,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의 패커(119)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7) 및 CCTV카메라(18)는 패커(119)를 구성하는 제 2축부(125)내부에 설치된다. 즉, 액츄에이터(1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축부(125)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위치하며 CCTV카메라(18)는 항상 평면부(34)외부로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7)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CCTV카메라(18)는 패커(119)에 바짝 붙어있다가 액츄에이터(17)의 작동시 필요길이만큼 연장되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패커(119)에 설치되는 바퀴는 도 12를 통해 도시된 바와같이 자체의 구동력을 가지며 패커(119)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패커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커(119)는 바디(91)와 고무커버(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91)는 축을 이루며 프레임의 역할을 하고 제 1축부(123)와 제 2축부(125)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 1축부(123)는 속이 빈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탄성스프링(127)을 포함한다. 제 2축부(125)는 상기 제 1축부(123)내에 삽입되어 마치 피스톤처럼 화살표 t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한다.
따라서 패커(26)의 공간부(111)에 압축공기가 압입되어 고무커버(83)가 팽창하면 제 2축부(125)는 제 1축부(123)내로 이동하여 양단의 평면부(34)는 상호 근접한다. 즉,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고무커버(83)가 점차 팽창하면, 이 팽창력에 의해 제 2축부(125)는 탄성스프링(127)를 압축하며 제 1축부(123)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무커버(83)를 지지하고 있는 양측의 평면부가 상호 근접하므로 고무커버(83)의 팽창율은 그만큼 더 커진다.
도면부호 126은 신축밀봉부재이다. 이는 제 1축부(123)와 제 2축부(125)사이로 압축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하는 파이프형태의 실링부재로서, 제 1축부(123)와 제 2축부(125)의 상호 진퇴운동을 감안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다. 상기 신축밀봉부재(126)의 양단부는 제 1축부(123)의 외주면과 제 2축부(125)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무커버(83)는 양 평면부(34)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되며 체결부재를 통하여 밀폐를 이루어 내부에 공간부(111)를 제공한다. 이 때 패커(119)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면 상기 고무커버(83)의 평면부를 감싸는 부위에 비하여, 그 이외의 부위의 지름은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고무커버(83)의 전체적인 외주면은 패커(26)의 양단의 부위에 해당하는 고무커버(83)의 지름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그만큼 고무커버(83)의 외주면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수관 내에서 패커(26)의 이동시 하수관 바닥에 긁히지 않는다. 상기 고무커버(83)의 형상은 고무의 성형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성형에 따라 더욱 잘록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평면부(34)중 도면상 좌측의 평면부(34)에는 주입구(도 1의 20,21)가 형성되어 패커(26)내부로 압축공기와 작업유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부(111)는 밀폐를 이루어야 하므로 주입구(20,21)를 관통하는 작업유체공급선(46) 및 압축공기공급선(47)은 주입구(20,21)에 대해서 실링처리 되어 있다.
또한 CCTV카메라(18)와 연결되는 동력선(56) 및 제어케이블(81)은 설치구(85)를 통하여 CCTV카메라(18)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평면부(34)의 테두리부에 걸쳐지며 공간부(111)를 제공하는 고무커버(83)는, 테두리부 선단을 감싼 상태로 볼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벤딩수단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패커가 이동함에 따라 고무커버(83)에 길이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무커버(83)는 평면부(34)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고무커버(8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89)의 상면에는 'V'자 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은 돌기(89)와 하수관 내면과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 성형한 것이다. 상기 돌기(89)는 유출구(22)를 통해 유출하는 작업유체가 양측의 돌기(89)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간부(111)내에는 분기용탱크(9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용탱크(95)는 제 1축부(123)에 지지되며 작업유체공급선(46)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약품탱크(도 1의 14,15)로부터 공급된 작업유체는 분기용탱크(95)에 임시로 모인 다음 분기되어 각 공급파이프(113)를 통해 네 개의 유출구(22)로 공급된다.
상기 유출구(22)의 설치개소를 네 군데가 아닌 다수의 개소에 설치하고 그에 따른 공급파이프(113)의 개수를 가감시켜 연결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분기용탱크(95)와 공급파이프(113)는 패커(26)의 공간부(111)에 충분히 포함되어 설치되므로 고무커버(83)의 팽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압축공기공급선(47)은 공간부(111)에 직접 연통되어 공급된 압축공기는 공간부(111)를 채우고 고무커버(83)를 팽창시켜 패커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이 때 상기 제 1축부(123)와 제 2축부(125)가 상호 진퇴운동 가능하므로, 고무커버(83)가 팽창하면 제 2축부(125)가 탄성스프링(127)을 가압하여 양측의 평면부(34)는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와같은 진퇴운동에 의해 고무커버(83)는 더욱 크게 팽창할 수 있어 결국 일정지름을 갖는 하수관에 보다 적은 크기의 패커를 적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패커(119)의 공간부(111)내에는 유압모터(103)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모터(103)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감속기(105)가 평면부(34)외측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감속기(105)의 회전축에는 바퀴(10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압모터(103)는 지상의 유압펌프(도 13의 97)와 연결되어 유압펌프(97)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 유압모터(103)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줄이기 위해 유압모터(103)의 구동축에는 감속기(10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105)는 공지의 워엄(worm) 및 워엄기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력을 바퀴(101)에 전달한다.
상기 바퀴(101)는 패커(119)의 외측에 위치하며 유압모터(103)에 의해 회전하여 하수관내에서 패커(119)를 이동시킨다. 상기 바퀴(101)는 구동력을 제공받아 직접 회전하므로 하수관내에 장애물이나 단차가 있더라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다. 상기 바퀴(101)는 본 실시예에서는 패커(119)의 양측에 두 개 씩 설치되어 총 4개가 구비된다. 하지만 더 많은 수의 바퀴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각 바퀴에 독립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바퀴마다에 유압모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에 있어서, 패커(119)는 유압모터 및 구동바퀴를 가져 자체의 주행력이 있으므로 상기 도 12에서와 같이 끌어당길 와이어(도 13의 68)가 필요없다. 따라서 작업환경에 따라 인출용 와이어를 위한 윈치를 설치할 수 없어 작업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자체주행 능력이 있는 본 실시예의 패커(119)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상의 이동차량(10)과 패커(119)사이에는 유압라인(107)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압라인(107)은 유압펌프(98)로부터 발생한 유압유가 패커(119)내의 유압모터(103)로 유동하는 호스임은 물론이다. 이외의 작동은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세한 설명에서 본 장치를 하수관에만 적용하였으나 상수관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수관 보수장치는, 하나의 차량에 여러가지 보수공법을 수행 할 수 있는 장비를 상호 연결된 상태로 탑재하여, 여러공법이 요구되는 공사라 하더라도 작업차량으로 인하여 작업장 주변의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높고 작업에 소요되는 인원이 적어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CCTV카메라를 패커에 취부하여 패커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CCTV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고, 현장에서 각 공정에 따른 보고서를 즉시 입출력 할 수 있어 작업의 속도가 신속해지고, CCTV카메라를 주행시키기 위한 자주차가 필요 없어 보다 단순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패커내에 유압모터 및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를 설치하여 자체적인 구동력을 가지게 하여 와이어를 사용하여 패커를 끌어당기는 공정이 필요없어 한 군데의 맨홀만 개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차량에 탑재된 콘테이너(12)와;
    상기 콘테이너(12)에 설치되는 공기압축기(32) 및 발전기(16)와;
    상기 공기압축기(32)와 연결되며 작업유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약품탱크(14,15)와;
    축을 이루는 바디(body,92)와, 상기 바디 양단에 일체로 구비된 평면부(34)와, 상기 양측의 평면부의 외주를 감싸 내부공간(111)을 제공하는 고무커버(83)로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16)와 약품탱크(14,15) 및 공기압축기(32)와 연결되어 전력과 작업유체 및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며, 고무커버(83) 원주면(36)의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위치에 개폐의 조절이 가능한 유출구(22)가 마련된 패커(packer,26)와;
    상기 패커(26)에 장착되어 패커(26)와 같이 이동하며 발전기(16)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고, 하수관내의 상태를 촬영하여 외부 모니터(30)로 전송하는 CCTV카메라(18)와;
    콘테이너(12)에 설치되며, 제어케이블(81)에 의해 CCTV카메라(18)와 연결되어 CCTV카메라(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8) 및
    콘테이너내에서 작업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입출력장치(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커(26)의 양측 평면부(34)에는 패커(26)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패커(26)의 원주면(36)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높이를 제공하는 다수의 바퀴(38)가 각각 구비되며, 각 바퀴(38)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롤러(40)가 동일평면상에서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커(126)의 바디(92)는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제 1바디(134)와, 제 2바디(136) 및 상기 제 1바디(134)와 제 2바디(136) 사이에 설치되며 기밀을 유지하는 플렉시블한 유연성바디(128)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연성바디(128)는 벨로우즈(bellows)형태의 주름관(138)과, 상기 주름관(138) 내에 구비된 브레이드(braid)(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4. 차량에 탑재된 콘테이너(12)와;
    상기 콘테이너(12)에 설치되는 공기압축기(32)와 발전기(16) 및 유압펌프(97)와;
    상기 공기압축기(32)와 연결되며 작업유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약품탱크(14,15)와;
    축을 이루는 파이프형태의 바디(91)와, 상기 바디 양단에 일체로 고정된 평면부(34)와, 상기 평면부(34)의 외주를 감싸 내부공간(111)을 제공하는 고무커버(83)로 구성되고, 작업유체와 유압유와 전력 및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압축기(32)와 약품탱크(14,15)와 발전기(16) 및 유압펌프(97)와 연결되며, 고무커버(83) 원주면의 적어도 한 개소 이상의 위치에 유출구(22)가 구비되고 조사수단과 구동수단이 설치된 패커(119)와;
    콘테이너(12)에 설치되며 제어케이블(81)에 의해 패커(119)와 연결되어 조사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8) 및
    콘테이터(12)내에서 작업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입출력장치(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수단은 패커(119) 내부의 축부(91)에 지지되어 설치된 액츄에이터(17)와, 상기 액츄에이터(17)의 로드(117) 단부에 핀(115)결합하여 회전가능하고 피스톤운동을 통하여 패커(119)의 전방으로 필요 길이만큼 연장되는 CCTV카메라(18)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패커(119) 내부의 공간부(111)에 설치되며 유압펌프(97)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유압모터(103)와, 상기 유압모터(103)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패커(119)의 외측부에 구비된 다수의 바퀴(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커버(83)의 외주면에는 'ㄹ'자 형태의 돌기(89)가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각 돌기(89)의 상면에는 'V'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커(119)가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바디(91)는 제 1축부(123)와 제2축부(125)로 나뉘어져, 제 1축부(123)는 제 2축부(125)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축방향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제 2축부(125) 내부로 삽입되는 제 1축부(123)의 선단에는 탄성스프링(127)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KR1019990043228A 1998-12-10 1999-10-07 수밀시험과 씨씨티브이(cctv)조사를 병행하는 하수도의 비굴착에 의한 지수 및 보강공사 장치 KR10035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28A KR100358586B1 (ko) 1998-12-10 1999-10-07 수밀시험과 씨씨티브이(cctv)조사를 병행하는 하수도의 비굴착에 의한 지수 및 보강공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91 1998-12-10
KR1019980054191A KR19990064400A (ko) 1998-12-10 1998-12-10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KR1019990043228A KR100358586B1 (ko) 1998-12-10 1999-10-07 수밀시험과 씨씨티브이(cctv)조사를 병행하는 하수도의 비굴착에 의한 지수 및 보강공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59A true KR20000000259A (ko) 2000-01-15
KR100358586B1 KR100358586B1 (ko) 2002-10-25

Family

ID=2663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228A KR100358586B1 (ko) 1998-12-10 1999-10-07 수밀시험과 씨씨티브이(cctv)조사를 병행하는 하수도의 비굴착에 의한 지수 및 보강공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5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33B1 (ko) * 2002-05-20 2004-12-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용 신축 주름 방식 에어 패커장치
KR100955513B1 (ko) * 2008-07-01 2010-04-30 한국과학기술원 노후 배관 라이닝 스프레이 장치의 연결 케이블
KR20220004372A (ko) * 2020-07-03 2022-01-11 고성민 하수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673B1 (ko) 2004-06-23 2006-07-06 한국원자력연구소 원터치 삽입형 가압 중수로용 급수배관 검사용 이동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33B1 (ko) * 2002-05-20 2004-12-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용 신축 주름 방식 에어 패커장치
KR100955513B1 (ko) * 2008-07-01 2010-04-30 한국과학기술원 노후 배관 라이닝 스프레이 장치의 연결 케이블
KR20220004372A (ko) * 2020-07-03 2022-01-11 고성민 하수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586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2544B1 (en) In-pipe robot
US5374174A (en) Apparatus for/installing a liner within a service pipe or the like
US5372162A (en) Repair device for the in situ repair of pipes, and a method of repairing pipes
AU20102542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ing a pipe
JPH0337615B2 (ko)
EP0518978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interior of a lateral pipeline
US2011029724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lining a pipe
JP2002507714A (ja) 内部にガスが存在するパイプの継ぎ手又は他の切れ目を内部被覆するための装置
JP2003502156A (ja) コ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ライブガスパイプライン中およびライブガスパイプラインを通して挿入および推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212929186U (zh) 一种气动式管道爬行作业机构的驱动装置
KR20170037908A (ko) 지하 도관의 보수 장치 및 그의 보수 방법
KR100822336B1 (ko)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1907405B1 (ko) 지하 도관의 보수 장치 및 그의 보수 방법
KR20000000259A (ko)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KR20070047211A (ko) 관 라이닝재의 관로 내로의 반전 삽입방법 및 관라이닝재의 압압장치
US201002951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ing a pipe
JP3221857B2 (ja) 枝管ライニング装置
KR102302805B1 (ko) 슬라이더와 링크 결합에 의한 신축 프레임과 가압튜브의 팽창과 접착과 성형 기술을 이용한 하수도 비굴착 보수 장치 및 공법
JP4087963B2 (ja) 管路の分岐部の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US20240027013A1 (en) An apparatus for curing a liner
CN209816859U (zh) 通信管道内障碍点修复用喷浆抹平装置
DE19717746C2 (de) Vorrichtung zum Sanieren eines in einen Abwassersammler einmündenden Seiteneinlaufs oder dergleichen
KR102300898B1 (ko) 하수관 보수용 가지 관 밀폐 팩 및 이를 가진 하수관 보수 장치
KR102250308B1 (ko)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KR19990064400A (ko)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