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169U -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169U
KR20000000169U KR2019980009456U KR19980009456U KR20000000169U KR 20000000169 U KR20000000169 U KR 20000000169U KR 2019980009456 U KR2019980009456 U KR 2019980009456U KR 19980009456 U KR19980009456 U KR 19980009456U KR 20000000169 U KR20000000169 U KR 200000001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sert
connection
insulating housing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9229Y1 (ko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김봉주
평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주, 평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봉주
Priority to KR2019980009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22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229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의 도체가 압착 결합된 접속슬리브가 절연하우징의 인서트접속체에 완벽하고 견고하게 결속되어서 전기적인 불완전 접촉, 흔들림이나 도체 풀림의 현상 등을 방지하고 케이블 변형 또는 휨에 따른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 인서트접속체(30)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접속체에는 접속슬리브(60)가 끼움에 의한 접속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접속슬리브가 케이블(100)의 도체(110)를 압착 결속한 상태로 상기 인서트접속체(30)에 접속되고 동시에 절연하우징(10)에 나사 조립되는 지지볼트(40)에 의하여 접속 및 고정상태가 완벽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인출구(11)에는 별도의 방수탭(20)이 조립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방수탭은 접속슬리브(60)에 결합되는 사이즈별 케이블(100)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 내경을 갖고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서 사용 시에 상기 케이블의 외경싸이즈에 맞는 내경부분을 절단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본 고안은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도체가 압착 결합된 접속슬리브가 절연하우징의 인서트접속체에 완벽하고 견고하게 결속되어서 전기적인 불완전 접촉, 흔들림이나 도체 풀림의 현상 등을 방지하고 케이블 변형 또는 휨에 따른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는 배전선의 분기접속 및 수용가의 종단접속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도 여러 태양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는 대부분이 절연하우징내에 인서트성형되는 도체의 접속체에 직접적으로 개복된 케이블의 도체를 끼운 다음 탭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로서 상기 접속체와 케이블의 도체를 결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개복된 케이블의 도체가 세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탭보울트와 같은 작은 체결부재의 압착으로 접속체에서 완벽한 결속을 제공할 수 없고, 따라서 접속이 불안정하며 장치의 최대사용능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케이블이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도체가 쉽게 풀리는 현상으로 이탈될 우려의 단점을 갖고 있어 장치의 신뢰도가 저하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는 하나의 장치로서 케이블이 갖는 외경에 따른 호환성을 갖고 효과적인 방수능률을 갖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여,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은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인출구가 상기 케이블의 외경크기에 따라서 각각 제조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인출구에 수용되는 케이블의 외경이 적어도 상기 인출구에서 외경이 압착상태로 끼워져야만이 외부의 빗물이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장치 제조에 따른 케이블 사이즈별로 금형의 구비가 필수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의 도체가 압착 결합된 접속슬리브가 절연하우징의 인서트접속체에 완벽하고 견고하게 결속되어서 전기적인 불완전 접촉, 흔들림이나 도체 풀림의 현상 등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 변형 또는 휨에 따른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케이블의 외경크기가 달라도 하나의 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제조에 따른 별도의 금형 구비가 필요 없어 제조원가 절감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장치를 구성하는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인서트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접속체에는 접속슬리브가 끼움에 의한 접속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접속슬리브가 케이블의 도체를 압착 결속한 상태로 상기 인서트접속체에 접속되고 동시에 절연하우징에 나사 조립되는 지지볼트에 의하여 접속 및 고정상태가 완벽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인출구에는 별도의 방수탭이 조립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방수탭은 접속슬리브에 결합되는 사이즈별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 내경을 갖고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서 사용 시에 상기 케이블의 외경사이즈에 맞는 내경부분을 절단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써 요부부분을 확대한 발췌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실시예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절연하우징 11 : 인출구
20 : 방수탭 21 : 케이블 수용공
30 : 인서트 접속체 31 : 인입공
40 : 지지보울트 41 : 걸림돌기
50 : 절연캡 60 : 접속슬리브
61 : 끼움홈 62 : 단차부
63 : 환홈 100 : 케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이상의 인출구(11)를 양방으로 형성한 절연하우징(10)과, 상기 인출구(11)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조립되는 케이블 수용공(21)을 갖는 방수탭(20)과,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인서트접속체(30)와, 상기 인서트접속체의 인입공(31)으로 수용되는 케이블(100)의 도체(110)를 수직 향으로 나사 조립되어 고정하는 지지보울트(40)와, 이 지지보울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상부에 직교 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12)을 밀폐하는 절연캡(50)과로 이루어지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접속체(30)에는 인입공(31)을 통하여 접속슬리브(60)가 끼움 접속되되, 상기 접속슬리브(60)는 케이블(100)의 도체(110)를 일측의 끼움홈(61)에 압착 결속한 상태로 끼움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볼트(40)에 의하여 접속 및 고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슬리브(60)의 선단부는 외경이 상기 인서트접속체(30)의 인입공(31)이 갖는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부(62)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로 환홈(63)이 형성되어 끼움 접속되되, 상기 지지보울트(40)가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41)로서 상기 환홈(63)을 맞물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슬리브(60)는 선단의 외주부분이 상기 인서트접속체(30)의 인입공(31)의 내주면과 접속됨은 물론 인입공(31)의 단부면에 상기 단차부(62)가 접속됨으로서 접속이 완벽하고 그 고정상태가 상기 지지보울트(40)의 선단에 돌출된 걸림돌기(41)에 의하여 상기 접속슬리브(60)의 환홈(63)을 맞물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인서트접속체(30)와 접속슬리브(60)와를 상기 지지보울트(40)로서 접속시킴으로서 상기 인서트접속체(30)와 접속슬리브(60) 상호간이 2중, 3중으로 완벽한 접속이 구현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인출구(11)에는 상기 방수탭(20)이 조립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방수탭(20)은 상기 접속슬리브(60)에 결합되는 사이즈별 케이블(100)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 내경을 갖고 단차식의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서 사용 시에 상기 케이블(100)의 외경사이즈에 맞는 내경부분을 절단하고 케이블(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0은 케이블(100)을 밀착 고정하여 수밀성을 위한 돌환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장치를 분리하고 먼저 방수탭(20)을 적용되는 케이블(100)의 외경부분에 맞는 내경부분을 가진 부분을 절단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끼운다.(도 5 및 도 6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슬리브(60)의 끼움홈(61)에 상기 케이블(100)의 선단을 개복하여 노출된 도체(110)를 끼운 다음 별도의 지그(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도체(110)를 상기 끼움홈(110)에서 압착 고정한다.
이러한 접속슬리브(60)를 절연하우징(10)의 인출구(11)를 통하여 끼우되, 내부의 인서트접속체(30)의 인입공(31)에 상기 접속슬리브(60)의 선단부를 끼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수용홈(12)을 통하여 지지보울트(40)를 상기 인서트접속체(30)에 나사 조립하여 조이게되고 상기 지지보울트(40)의 선단부에 돌출된 걸림돌기(41)가 상기 접속슬리브(60)의 외주연에 요설된 환홈(63)을 맞물어 고정시키게되면서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고정결합은 상기 인서트접속체(30)의 인입공(31)의 단부면에 상기 접속슬리브(60)의 단차부(62)와의 접속이 이루어져 2중, 3중의 완벽한 접속이 이루어져 불완전한 접속 및 도체(110)의 흔들림, 풀림이 배제되게 된다.
이러한 지지보울트(40)의 나사조임후 절연캡(50)을 상기 수용홈(12)에 결합하여 기밀을 유지시키고, 기 케이블(100)에 끼워진 상기 방수탭(20)을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인출구(11)측으로 밀어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인출구(11)의 외주연에 결합시키는 반복과정으로 접속작업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의 도체가 압착 결합된 접속슬리브가 절연하우징의 인서트접속체에 완벽하고 견고하게 결속되어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전기적인 불완전 접촉, 흔들림이나 도체 풀림의 현상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케이블의 외경크기가 달라도 하나의 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제조에 따른 별도의 금형 구비가 필요 없어 제조원가 절감의 극대화 및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이상의 인출구(11)를 양방으로 형성한 절연하우징(10)과, 상기 인출구(11)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조립되는 케이블 수용공(21)을 갖는 방수탭(20)과,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인서트접속체(30)와, 상기 인서트접속체의 인입공(31)으로 수용되는 케이블(100)의 도체(110)를 수직 향으로 나사 조립되어 고정하는 지지보울트(40)와, 이 지지보울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상부에 직교 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12)을 밀폐하는 절연캡(50)과로 이루어지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접속체(30)에는 인입공(31)을 통하여 접속슬리브(60)가 끼움 접속하다, 상기 접속슬리브(60)는 케이블(100)의 도체(110)를 일측의 끼움홈(61)에 압착 결속한 상태로 끼움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볼트(40)에 의하여 접속 및 고정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슬리브(60)의 선단부는 외경이 상기 인서트접속체(30)의 인입공(31)이 갖는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부(62)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로 환홈(63)이 형성되어 끼움 접속되되, 상기 지지보울트(40)가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41)로서 상기 환홈(63)을 맞물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인출구(11)에는 상기 방수탭(20)이 조립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방수탭(20)은 상기 접속슬리브(60)에 결합되는 사이즈별 케이블(100)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 내경을 갖고 단차식의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2019980009456U 1998-06-03 1998-06-03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200209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56U KR200209229Y1 (ko) 1998-06-03 1998-06-03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56U KR200209229Y1 (ko) 1998-06-03 1998-06-03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69U true KR20000000169U (ko) 2000-01-15
KR200209229Y1 KR200209229Y1 (ko) 2001-01-15

Family

ID=6951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456U KR200209229Y1 (ko) 1998-06-03 1998-06-03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22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470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드림텍 동축커넥터 및 그 조립구조
KR100613270B1 (ko) * 2004-07-21 2006-08-21 주식회사 평일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100677649B1 (ko) * 2006-09-04 2007-02-02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457349B1 (ko) * 2013-11-13 2014-11-12 주식회사 평일 스크류 압축식 지중저압 케이블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05A (ko)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평일 지중 저압 케이블 접속장치
KR200497135Y1 (ko) 2021-07-19 2023-08-07 주식회사 건원 지중 저압케이블 접속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470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드림텍 동축커넥터 및 그 조립구조
KR100613270B1 (ko) * 2004-07-21 2006-08-21 주식회사 평일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100677649B1 (ko) * 2006-09-04 2007-02-02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457349B1 (ko) * 2013-11-13 2014-11-12 주식회사 평일 스크류 압축식 지중저압 케이블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229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8220B2 (en) Multiple pole connector
US7311563B2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US5989056A (en) Cable connector with stress relief assembly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US6840804B2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JP4775907B2 (ja)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US4684201A (en) One-piece crimp-type connector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US5573429A (en) Wire holder for a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 u-shaped holder member and rubber plug
JPH0377282A (ja)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GB2079549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S5826469A (ja) 電気コネクタ
US4768970A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assembly for sealed electrical connection
US20060134965A1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JPH02132781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用の金属ケーシングスリーブ
JP2018523910A (ja) 防水可能な電気接続具
CA2387763C (en) A cable coupling device
US6437245B1 (en) Terminal processing method and structure for shield cable
EP0654860B1 (en) Waterproofing assembly for connector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JP2001250602A (ja) 防水コネクタ
KR20040005608A (ko) 케이블 연결 장치
US3551879A (en) Nonloosening electrical connector
US5752849A (en) Tool-less phone jack-to-cable connector
JPH0737258Y2 (ja) シールド線端末部用コネクタ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919

Effective date: 200801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311

Effective date: 200805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14

Effective date: 200904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