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153A - 방송송신장치및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송신장치및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153A
KR19990088153A KR1019990016573A KR19990016573A KR19990088153A KR 19990088153 A KR19990088153 A KR 19990088153A KR 1019990016573 A KR1019990016573 A KR 1019990016573A KR 19990016573 A KR19990016573 A KR 19990016573A KR 19990088153 A KR19990088153 A KR 1999008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information
broadcast
catego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송신 장치는,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공간에서 형성되는" 카테고리 공간에 의해 구성되고, 방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며, 방송 수신 장치는, 해당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검색이나 프로그램 자동 축적, 축적 완료 프로그램 관리라고 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송 송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BROADCAS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계층 표현된 카테고리 분류에 근거하여 그룹핑(groupping)하도록 한 방송 송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송 송신 장치는, 영상, 음성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함과 동시에,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 및 그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다중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는,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 또는 축적한 방송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동시에 더욱 다중하여 축적하는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이 보급되어, 이미 일본에서도 디지털 CS 방송의 본 방송이 시작되어 있다.
디지털 방송의 기반 기술로서, EPG(전자 프로그램표)로 불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 전송 기술이, 존재한다.
이 전송 기술은, 영상, 음성 등의 방송 신호와 동시에, 프로그램이나 채널에 관한 부가 정보를 다중 송신하는 것이다.
이들 부가 정보는, 유럽에 있어서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에서는,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SI)로 불리고 있다.
이미 방송이 시작된 일본의 디지털 CS 방송도, DVB 규격에 따른 방송 규격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한편, 수신 단말은, 상기 SI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이나 프로그램 방송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시청자의 프로그램 선택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종래의 방송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젼 드라마 등은, 매주 고정 시간대에 연속적으로 방영되고, 복수회의 방영 프로그램에 의해 완결한다.
또한, 호평받았던 드라마 등은, 몇일후 재방송되어지거나, 속편이 작성되기도 한다.
시청자는, 녹화 매체를 갖는 수신 단말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드라마 단위로의(매주마다) 연속 녹화를 실행하는 요구나, 축적하는 것을 잊은 방송분의 프로그램을 재방송시에 녹화 또는 시청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를 갖는 경우가 있다.
또는, 시청자는, 연속하여 예약한 프로그램을 2차 기억 장치 등으로 관리하는 경우에는, 방송 모두를 정리하여 하나의 드라마 단위로 관리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현상태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1회의 방송마다, 개별로 기술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음주에 방송되는 동일한 드라마의 다음번 방송 프로그램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미 방송된 프로그램이 재방송되는 경우에도,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재방송 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는, 수신 단말상에서, "그 프로그램을 축적 완료인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없다.
또한, 속편이 방송된 경우에도,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이전의 특정한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는, 용이하게 속편의 방송을 알 수가 없다.
또한, 방송국에는, 프로그램 편성상의 이유 등으로부터, 여러가지 관점에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그룹핑하여, 시청자에게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이 그룹핑은, 방송국으로부터의 권장 프로그램이나 올림픽 특집 등의 프로그램 프로모션을 위한 그룹핑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그룹핑 정보는, 방송국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어필(appeal)하는 내용을 시청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유효하고, 시청자에게 있어서, 프로그램을 분류, 검색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되는 것이다.
그런데, 현상태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여러가지 각도로부터의 그룹핑 정보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는, 만족되지 않았다.
즉, 상기한 DVB 규격에서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 contents_nibble이라고 하는 쟝르 코드를 부가할 수 있지만, 그 쟝르 코드는, 드라마나 스포츠라고 한 쟝르에 대응시킨 값이 부여되는 것으로, 쟝르라고 하는 고정적인 시점에서, 프로그램의 분류를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쟝르 이외의 시점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분류하거나, 다양한 시점으로부터 본 분류를 계층적으로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분류한다라고 한 것이 가능하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임의의 목적에 따라서 그룹핑하기 위한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작성 가능한 방송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검색이나 프로그램 자동 축적, 축적 완료 프로그램 관리라고 칭한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프로그램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뿐만아니라, 출연자나 영화의 감독 등 프로그램에 관계(혹은 관련)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방송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이것에 알맞은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송 송신 장치는, 영상 음성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의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 및 그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한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 카테고리 정보는, 목적마다 복수의 도메인(이후, 카테고리 공간이라 칭함)을 형성하고, 각 카테고리 공간은,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복수의 노드(이후, 디렉토리(directory) 공간이라 칭함)로 형성된다.
이들에 의해서, 방송국은, 목적에 따라서 카테고리 공간을 설정하고, 그 중에서, 적선(適善)으로서, 디렉토리 공간을 작성함과 동시에, 방송 프로그램과 디렉토리 공간을 링크함으로써, 계층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는, 영상, 음성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의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 및 그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한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한다.
이 카테고리 정보는, 목적마다 복수의 카테고리 공간으로 형성된다. 각 카테고리 공간은,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수신기는, 필요에 따라서, 개개의 카테고리 공간을 수신하여, 디렉토리 공간에 의해 표시되는 계층 관계에 따라서, 프로그램 자동 녹화나 프로그램 검색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테고리 정보의 변경시에, 본 발명의 방송 송신 장치는, 갱신후의 카테고리 정보와 동시에, 갱신 내용이 기술된 차분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는, 이 차분 정보만을 수신함에 의해 축적 완료의 카테고리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청자는, 항상 최신의 카테고리 정보에 의해 축적 완료 프로그램을 검색, 분류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카테고리 정보를 축적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청자는, 갱신후의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최신의 카테고리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방송 송신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관한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카테고리 공간의 일례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는 디렉토리 공간의 속성의 일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5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6은 카테고리 공간의 갱신시의 차분 정보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7은 갱신후의 카테고리 공간의 일례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축적 프로그램의 관리 정보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0은 카테고리 공간 표시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카테고리 공간 갱신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카테고리 공간을 이용한 프로그램 자동 녹화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카테고리 공간을 출연자에 적용한 예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프로그램 관리부 102 : 프로그램 송신부
103 : 데이터 송신부 104 : 다중화부
105 : 업링크부 106 : 프로그램 배열 정보 작성부
107 :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 108 :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
109 :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 801 :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
802 :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 803 :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
804 : 축적 관리부 805 : 축적 매체
806 :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 807 : 모니터
808 : 프로그램 예약부 809 :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
810 : 지시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송 송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MPEG2 시스템의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위성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송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로서 설명을 실행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네트워크의 종류나 서비스의 종류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날로그의 지상파 방송에 있어서의 VBI를 이용한 형태나, CATV망 등을 이용한 쌍방향 또는 한쪽 방향 전송시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도 1은, 디지털 위성 방송에 있어서의 방송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프로그램 관리부(101)는,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 프로그램명, 소재(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의 저장 장소 등의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101)는, 관리하고 있는 방송 스케줄을 참조하여, 소재(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로부터 이루어지는 방송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송신부(102)에 보낸다.
프로그램 송신부(102)는,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다중화부(104)에 보낸다.
또한, 프로그램 관리부(101)는, 방송 스케줄을 참조하여, 독립 데이터 방송 등의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103)에 보낸다.
데이터 송신부(103)는,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다중화부(104)에 보낸다.
다중화부(104)는, 프로그램 송신부(102), 데이터 송신부(103)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하여, 업링크부(105)에 보낸다.
업링크부(105)는, 다중화부(10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방송 위성 등에 의해 업링크한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영상, 음성이나 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배열 정보라고 불리는 부가 정보가, 전송된다.
이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채널의 정보, 채널마다 프로그램 방송 스케줄 정보, 프로그램명이나 프로그램 설명문 등의 부가 정보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배열 정보 작성부(106)는, 프로그램 관리부(101)로부터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작성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받아, 그 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작성하여,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107)에 보낸다.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107)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작성부(106)가 작성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다중화부(104)에 보낸다.
다중화부(104)는, 프로그램 송신부(102), 데이터 송신부(103)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동시에,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107)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하여, 업링크부(105)에 보낸다.
도 2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개념도이다.
프로그램 배열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영 채널과 방영 시각의 2차원의 공간상에서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각 방송 채널마다 프로그램 방송 스케줄이 기술된다.
또한,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는,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이름(프로그램명)이나 프로그램 상세 설명 등의 부가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채널과 방영 시각에서의 프로그램 관리만으로는, "방송국이 의도하는 방송 내용을 시청자에게 제시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그 이유는, 방송 프로그램은, 통상 여러가지 각도로 그룹핑되어, 편성에 반영되는 것이므로, 방송 시간 및 방송 채널은, 프로그램 그룹핑을 위한 일부의 속성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금후, 대용량의 축적 매체를 갖는 수신 단말이 보급되는 것에 따라서, "한번 프로그램을 축적 매체에 축적한 후, 다시 시청한다고 한" 방송 시각에 영향받지 않는 시청 형태가 증가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시청 형태의 경우, 현재의 방송 시간 및 방송 채널만에 의한 프로그램 그룹핑으로는, "시청자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고르는" 것은, 어렵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송국에서의 자유로운,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그룹핑을 축적 매체상에서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도 1의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이 자유로운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그룹핑 정보를 표현하는"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가, 부가된다.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는, 방송국이 설정한 프로그램의 그룹핑을 위한 카테고리 정보를 프로그램 관리부(101)로부터 취득해서, 계층화하여,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로서 관리한다.
또한,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는, 취득한 카테고리 정보로부터 목적마다 복수의 카테고리 공간을 형성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에서 작성한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 및 카테고리 공간은,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에 보내어진다.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는,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다중화부(104)에 부호화한 데이터를 보낸다. 다중화부(104)는, 프로그램 송신부(102), 데이터 송신부(103), 프로그램 배열 정보 작성부(106)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와 동시에,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맞춰 다중하여, 업링크부(105)에 보낸다.
도 3은,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에서 작성하는 카테고리 공간의 일례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 예에서는, 방송국이 설정한 프로그램의 카테고리와, 연속 드라마 등 기본적인 편성 프로그램(이후, 프로그램 프레임이라고 칭함)을 하나로 하여, 계층화 표현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프로그램 프레임에 상당하는 부분은, 레이어 3의「시리즈 타이틀 A」나 「시리즈 타이틀 B」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이것에 대하여, 방송 프로그램은, 이 카테고리 공간상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 「시리즈 타이틀 A 타이틀 A1」이라고 한 형태로 형성되고, 프로그램 배열 정보중에서 정의된다.
도 3에 있어서는, 방송 프로그램 자신을 카테고리 공간상에서의 디렉토리 공간으로서 정의하고 있지 않고, 프로그램 배열 정보중에서 정의된다라고 기술하였지만, 카테고리 공간상에 레이어 3의 시리즈 타이틀 A의 하위에 레이어 4를 작성하여, 「타이틀 A1」을 정의하여도 상관없다.
도 3의 카테고리 공간(301) 중에는, 복수의 디렉토리 공간이 설정되어 있다.
각 카테고리 공간에는, 반드시, 계층 구조의 선두로 되는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공간이 1개 설정된다.
카테고리 공간(301)에서는,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가, 루트 디렉토리 공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구조의 설정은, 카테고리 공간(301)이,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라는 시점으로 계층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루트 디렉토리 공간은, 카테고리 공간 자체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된다.
카테고리 공간(301)은, 레이어 1로서, 「드라마」, 「다큐멘터리」, 「스포츠 A」, 「스포츠」라는 4개의 디렉토리 공간에 계층화되어 있다.
또한, 레이어 1의 「드라마」는, 레이어 2로서, 「드라마 A」와 「드라마 B」에 계층화되고, 레이어 2의 「드라마 A」는, 레이어 3으로서, 「시리즈 타이틀 A」, 「시리즈 타이틀 B」에 계층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테고리 공간은, 복수의 계층화된 디렉토리 공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디렉토리 공간의 계층은, 최대 3 계층에 의해 표현되어 있지만, 계층의 깊이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각 디렉토리 공간은, 속성을 갖는다.
그 속성은, 복수개 부가할 수 있다.
도 4는, 카테고리 공간(301)의 레이어 3의 「시리즈 타이틀 A」라고 하는 디렉토리 공간의 속성을 나타내는 일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디렉토리 공간명 속성은, 디렉토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이다. 카테고리 공간명 속성은, 디렉토리 공간이 속해 있는 카테고리 공간의 이름(즉, 카테고리 공간의 루트 디렉토리 공간의 이름)이다.
디렉토리 경로 속성은, 카테고리 공간내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시리즈 타이틀 A」는,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라는 카테고리 공간내에서, 「드라마」의 하위에 속하는 「드라마 A」라는 디렉토리 공간에 속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 속성은, 카테고리 공간내에서 디렉토리 공간을 일의(一意)에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또한 이 식별자는, 디렉토리 경로 속성과 마찬가지로, 그 계층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렉토리 공간에는, 상위의 디렉토리 공간내에서 일의에 식별 번호가 부여된다.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는, 계층 구조의 최상위로부터의 식별 번호를 "."을 사이에 두고 나열한 것이다.
「「시리즈 타이틀 A」의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가, 1.1.1이다」라고 말한 것은, 「「드라마」의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는, 1.1이고, 「드라마 A」의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는, 1.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축적 모드 속성은, 강제이거나 임의의 플래그이고, "디렉토리 공간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를 강제적으로 축적해야만 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축적 모드 속성이, 임의의 경우, 수신 장치에서 축적을 요구하지 않는 한, 수신한 정보 데이터는, 축적되지 않는다.
디렉토리 공간 영속성 속성은, 「디렉토리 공간이, 상위의 디렉토리 공간에 대하여 영속적으로 존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즉, 영속성이 있는 디렉토리 공간에서는, 식별 번호가 고정적으로 이용되지만, 영속성이 없는 디렉토리 공간에서는, 식별 번호의 자원이 고갈하였을 때 등에, 이전 사용한 번호를 돌려 쓰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예에서는, 「「시리즈 타이틀 A」라고 말하는 프로그램 프레임(디렉토리 공간)은, 「드라마 A」에 속하여 있고, 이 관계는 영속되고, 「시리즈 타이틀 A」의 방송가 종료한 후에도, 「드라마 A」라고 하는 디렉토리 공간이 존속하는 한, 그 하위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작성일 속성은, 디렉토리 공간이 작성된 날짜를 나타내고, 유효 기간 속성은, 디렉토리 공간이 유효한 기간을, 작성일로부터의 기간으로서 나타낸다.
최신 갱신일 속성은, 디렉토리 공간의 내용이 가장 최근에 갱신된 날짜를 나타낸다.
이 작성일, 유효 기간, 최신 갱신일의 데이터는, 도 4에서는 날짜 단위로 기술되어 있지만, 초까지 포함한 시간의 정보나, 복수의 표준 시간에 대응하기 위한 TIMEZ0NE(GMT;Global Management Time 등)의 정보도 포함하여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문 속성은, 문자열에 의해, 디렉토리 공간의 부가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디렉토리 공간과 방송 프로그램의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 속성이, 기술된다.
이 속성은, 복수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예에서는, 2개의 방송 프로그램 속성이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시리즈 타이틀 A」라고 하는 프로그램 프레임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으로서, 「타이틀 A1」과 「타이틀 A2」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디렉토리 공간의 정보로서,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에 의해, 디렉토리 공간과 방송 프로그램을 관련지음(즉, 방송 프로그램이 속하는 디렉토리 공간의 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디렉토리 공간과 방송 프로그램의 관련지음은, 프로그램 배열 정보 중에 디렉토리 공간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도 5는, 「타이틀 A1」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 프로그램은, 카테고리 공간명 및 디렉토리 경로를 이용하여,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 중의 「시리즈 타이틀 A」에 링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렉토리 공간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방법과,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 디렉토리 공간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방법 양자가 존재하고,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 정보로서 채널명과 방송 프로그램명을 이용하여 기술하고, 카테고리 공간으로의 링크 정보로서 카테고리 공간명과 디렉토리 경로를 이용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물론 각각 식별자를 이용하여 기술하여도 좋고, 그 밖의 방법이라도 상관없다. 루트 디렉토리 공간에 있어서도 상기의 속성은 유효하다.
이 경우는, 카테고리 공간의 속성으로 된다.
카테고리 공간의 내용은, 편성(編成)이나 그 이외의 상황에 의해 수시로 변경된다.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에서는, 그 갱신 내용을 갱신전으로부터의 차분으로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의 경우, 레이어 3의「시리즈 타이틀 A」라고 하는 프로그램 프레임은, 방송 프로그램이 모두 종료한 단계에서, 송신할 필요는 없어지고 있다.
따라서, 그 시점에서 「시리즈 타이틀 A」의 기술을 카테고리 공간으로부터 제외함으로써도 가능하지만, 축적 장치에 프로그램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방송 종료후에도 「시리즈 타이틀 A」를 카테고리 공간상에 남기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한편, 예를 들어, 뉴스 보도에서 오보가 존재한 경우 등에서는, 완전히 디렉토리 공간을 삭제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레이어 3의「시리즈 타이틀 E」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시리즈 타이틀 E」를 삭제하고, 레이어 2의 「다큐멘터리 A」의 하위에는「시리즈 타이틀 F」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 편성의 변경이나, 카테고리 공간의 변경에 의해, 레이어 3의「시리즈 타이틀 B」를, 다른 레이어 2의 하위로 이동시키거나, 레이어 2의「다큐멘터리 A」의 하위에, 새롭게 「타이틀 L」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렉토리 공간의 이름의 변경을 포함시키고, 디렉토리 공간의 속성의 변경도 가능하다.
도 6은, 수신 장치에 축적된 카테고리 공간의 갱신의 차분 정보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에는, 도 3의 카테고리 공간으로부터, 레이어 3의 「시리즈 타이틀 A」가 삭제되는 것, 레이어 2의「드라마 A」의 하위에 「시리즈 타이틀 K」가 추가되는 것, 및, "레이어 1의 「스포츠 A」"가, "레이어 1의 「스포츠」"의 하위에 이동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개개의 갱신을 상세히 설명한다.
구조도(601)는, 「「시리즈 타이틀 A」가, 1998년 6월 30일에,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의 기술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전송 내용으로서 「시리즈 타이틀 A」의 기술이 없어진」 것을 뜻하고 있는 것으로, 「「시리즈 타이틀 A」 자체를 「드라마 A」의 하위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드라마 A」와 「시리즈 타이틀 A」의 관계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디렉토리 공간의 속성인 곳의 디렉토리 공간 영속성 속성을 "영속성 없음"으로 설정해야 한다.
즉, 「카테고리 공간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은, 「전송을 정지하는」것이고, 「디렉토리 공간에서 삭제하는」 것은, 「축적 장치의 관리 정보로부터 삭제되는」 것이다.
디렉토리 공간으로부터 삭제된 경우, 「축적 장치에서, 그 디렉토리 공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조도(602)는, 「1998년 6월 30일에,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 중에서, 「타이틀 K」라고 하는 새로운 디렉토리 공간이, 「드라마 A」의 하위에 작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타이틀 K」에는, 「드라마 A」의 하위의 식별 번호로서, 이미 존재하는 「시리즈 타이틀 A」, 「시리즈 타이틀 B」와 상이한 번호(이 예에서는 3번)가, 부여된」 것을, 신규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구조도(603)는, 「1998년 6월 30일에, 「채널 A 프로그램 디렉토리」중에 속해 있는 「스포츠 A」라고 하는 디렉토리 공간이, 「스포츠」의 하위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할 때에는, 추가와 마찬가지로, 신규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가 부여되지만, 여기서는, 「「스포츠」의 하위의 식별 번호로서 3번이 부여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갱신 종별로서, "속성의 변경"이 기술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시리즈 타이틀 A」라고 하는 명칭을 「시리즈 타이틀 M」으로 변경하는 경우등에 이용된다.
도 7은, 도 3의 카테고리 공간에 대하여, 도 6의 갱신을 반영한 바의 갱신후의 카테고리 공간의 일례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한 차분 정보에 따라서, 도 3의 카테고리 공간에서 「시리즈 타이틀 A」가 삭제되고, 「타이틀 K」가 추가되며, 「스포츠 A」가 이동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에 있어서,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에서 작성된 카테고리 공간의 정보는,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에 보내어진다.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는, 계층화 카테고리 작성부(108)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다중화부(104)에 부호화한 데이터를 보낸다. 다중화부(104)는, 프로그램 송신부(102), 데이터 송신부(103), 프로그램 배열 정보 작성부(106)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와 동시에,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맞춰 다중하여, 업링크부(105)에 보낸다.
또,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에 있어서 부호화를 실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MPEG2 Section 구조로 부호화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영상 음성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의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 및, 그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한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계층 표현된 카테고리 분류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그룹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라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목적마다 복수의 카테고리 공간에 의해, 카테고리 정보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방송 프로그램을 여러가지 그룹에 정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공간에 의해, 각 카테고리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그룹의 내용이 쉽게 이해된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카테고리 공간 및, 카테고리 공간내의 개개의 디렉토리 공간에, 각각 일의에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디렉토리 공간의 검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디렉토리 공간의 식별자를 계층 구조의 깊이에 따라서, 가변 길이이도록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어떠한 계층 구조에 대해서도 디렉토리 공간을 작성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카테고리 정보의 변경시에, 갱신후의 카테고리 정보와 동시에, 갱신 내용의 차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카테고리 정보의 관리를 쉽게 실행하게 된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방송 프로그램 부가 정보중에, 카테고리 정보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기술이 가능하게 된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카테고리 정보로의 링크 정보에, 카테고리 공간의 식별자와, 디렉토리 공간의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거나, 혹은, 카테고리 정보중에,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카테고리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기술이 가능해진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송 송신 장치는,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와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확장하고, 그 중에,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송신해도, 본 발명의 범위의 것이다. 그러나,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는, 카테고리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적 데이터량이 많은 정보인 것이 상정된다.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와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보내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 정보에만 관련하도록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각각 개별적으로 보내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 정보에 대해서만, 변경점을 픽업하며, 신속히 데이터를 재작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 쌍방에 관련하도록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는, 신속히, 우선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변경하여 송신함으로써, 시청자에 변경의 포인트를 보다 빠르게 알리며, 이 후에,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를 변경하여 송신함으로써, 상세한 변경 내용을 시청자에게 전할 수 있다. 시청자는, 단계적으로 변경 내용을 입수할 수 있어, 한번에 큰 변경 내용이 전달되어, 혼란스러운 경우는 없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단말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럭도로서, 특히, 프로그램 정보의 처리에 관계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방송 수신 장치는, 축적 매체(805)를 갖고 있고,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임의로 축적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보내어져 온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그 방송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한 방송 송신 장치는, 프로그램 송신부(102), 데이터 송신부(103),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107), 계층화 카테고리 송신부(109)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부(104)에 의해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것은, 또한 기술한 바대로이다.
그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로는, 송신 장치에 의해서 다중화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다중 분리된, 프로그램 송신부(102)가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가, 입력된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는,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실행하여, 그 복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가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하는 경우, 그 복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로부터 축적 관리부(804)에 보내어진다.
축적 관리부(804)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 매체(805)에 축적하고, 그 축적한 방송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또, 도면 중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등을 모니터(807)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802)로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와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에 의해서 다중화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다중 분리된,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107)가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가, 입력된다.
프로그램 배열 수신부(802)는,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실행하여, 그 복호화된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관리한다.
마찬가지로,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에는, 송신 장치에 의해서 다중화 전송된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다중 분리된, 카테고리 송신부(108)가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가, 입력된다.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는,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실행하여, 그 복호화된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 및 카테고리 공간을 관리한다.
여기서는, 카테고리 공간을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얻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로부터 재현 작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카테고리 공간은, 루트 디렉토리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디렉토리 공간으로부터 구성되는 것은, 상기한 방송 송신 장치의 설명대로이다.
프로그램 배열 정보,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 카테고리 공간, 디렉토리 공간도 축적 관리부(804)에 보내어져, 축적 매체(805)에 있어서 축적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에 축적된 각 정보를 관리한다.
또, 축적 매체(805)는, 메모리, 혹은 DVD-RAM(수시 개서 가능한 디지털·비디오·디스크)과 같은 디스크 등 매체의 종별은 막론하고, 복수 종류의 혼재, 복수대의 매체도 가능하다.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에서 관리되고 있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나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EPG 등의 프로그램 정보를 모니터(807)상에 표시한다.
지시부(810)는, 리모트 콘트롤러 등의 시청자의 명령을 접수하는 지시부이다.
통상, 시청자의 명령은, EPG 등의 화면 표시를 동반하여 제공되는 기능의 조작 명령이다.
지시부(810)에서 접수된 명령은,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306)에 전하여져, 처리된다.
또한, 시청자의 명령이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인 경우에는, 지시부(810)에서 접수된 명령은,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를 거쳐서, 프로그램 예약부(808)에 전하여진다.
프로그램 예약부(808)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을 예약한다.
프로그램 예약부(808)는, 타이머 관리를 실행하여, 방송 시각이 되면,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로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을 명령한다.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카테고리 공간의 갱신을 관리한다.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809)는,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로 최신의 카테고리 공간 수신의 지시를 내린다.
도 9는, 축적 관리부(804)에 있어서의 축적 프로그램의 관리 정보의 일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축적 매체 관리 정보의 관리 구조부(901)이고, 축적 매체에 축적된 방송 프로그램의 실태를 관리함과 동시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관리 구조부(902) 및,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의 관리 구조부(903)이며, 프로그램 배열 정보나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과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를 관계를 맺기 위한 링크 정보가 기술되는」 것은, 상기한 바대로이고, 이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이 속하는 카테고리 공간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축적 완료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 카테고리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축적 프로그램 재생시에, 프로그램 설명문을 표시하거나, 프로그램 프레임(본 예에서는「시리즈 타이틀 A」)의 정보를 표시하기도 하는」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카테고리 공간을 표시할 때의 방송 수신 장치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는, 카테고리 공간내의 디렉토리 공간 표시시에 있어서, 우선, 축적 프로그램과 동시에 축적 완료의 카테고리 정보를 검색 취득하여, 각 디렉토리 공간에 연결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3의「시리즈 타이틀 A」에 속하는 프로그램을 축적하고 있는 상태로, 도 7의 카테고리 공간(701)을 표시할 때에는, 「드라마 A」에 대응하는 디렉토리 공간의 하위를 표시할 때에는, 도 10의 처리에 따라, 「시리즈 타이틀 A」, 「시리즈 타이틀 B」, 「시리즈 타이틀 K」의 3개의 디렉토리 공간이 표시되게 된다.
이 처리 동작에 있어서는, 처리가 시작되면, 처음에, 시청자가, 지시부(810)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에 대하여, "디렉토리 공간의 표시"를 지시한다.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에 대하여, "표시해야 하는 카테고리 공간이 축적되어 있는 정보가, 최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마찬가지로, 축적 관리부(804)는,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에 대하여, "표시해야 하는 카테고리 공간이, 최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001).
만약에 최신이 아닌 경우에는,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에 대하여, 최신의 카테고리 공간을 수신하도록 요구한다.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는, 요구된 카테고리 공간의 최신의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 관리부(804)에 전송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에 수신한 데이터를 보존한다(단계 1002).
만약에 최신의 카테고리 공간의 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축적 관리부(804)는,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에 그 취지를 되돌려 준 후에, 카테고리 공간과 마찬가지로 디렉토리 공간의 최신의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1003).
도 7의 최신 정보의 예에서는, 「시리즈 타이틀 B」, 「시리즈 타이틀 K」는, 최신 상태로 존재하지만, 「시리즈 타이틀 A」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표시해야 하는 디렉토리 공간을 경로에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축적 매체(805)에 축적되어 있는지」를 축적 관리부(804)에 문의한다.
만약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1008)로 건너뛴다(단계 1004).
다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매체(805)에 축적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표시해야 하는 디렉토리 공간의 하위 레이어의 디렉토리 공간에, 해당하는 축적 완료의 프로그램의 버스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축적 관리부(804)에 문의한다(단계 1005).
다음에, 만약에 축적 관리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 중에, 「시리즈 타이틀 A」에 속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시리즈 타이틀 A」에 관계되는 디렉토리 공간의 영속성을 체크한다(단계 1006).
도 4의 예에서는, 영속성이 있는 것으로,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표시해야 하는 계층 레이어 중에 축적 완료의 프로그램의 디렉토리 공간(본 예의 경우, 「시리즈 타이틀 A」)을 추가한다(단계 1007).
다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표시해야 하는 디렉토리 공간의 하위의 디렉토리 공간의 리스트를 모니터(807)에 표시한다(단계 1008).
다음에, 표시된 디렉토리 공간에 대하여, 시청자가 소정의 특정한 디렉토리를 선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선택하지 않고 있으면, 이 "선택했는지 여부의 체크"를 반복한다(단계 1009).
다른쪽, 방송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시청자가, 지시부(810)에 의해, 모니터(807)에 표시되어 있는 디렉토리로부터, 소정의 특정한 디렉토리를 선택한 경우, 단계(1003)의 처리를 실행한다.
"각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신 장치에 추가하는 경우에는, 단계(1003)와 단계(1004)의 사이에,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처리(단계 1010))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처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가, "최신의 디렉토리 공간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축적 관리부(804)에 문의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디렉토리 공간의 방송 프로그램과의 링크가 기입되어 있는 속성의 값을 조사한다(단계 1011).
만약에 링크가 연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에 대하여,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요구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를 참조하여, 취득한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에 되돌려 준다(단계 1012).
다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에 대하여,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모두 검색하여, 해당하는 디렉토리 공간으로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추출을 요구한다(단계 1013).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에 축적되어 있는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디렉토리 공간으로 링크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추출한다.
만약에 "축적 매체(805)에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것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축적 관리부(804)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802)에 대하여,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수신을 요구한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에 대하여, 축적 완료 프로그램의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디렉토리 공간에 링크된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하고 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를 조사하여 축적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1014).
축적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그 프로그램을 맞춰 이미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과 동시에 모니터(807)상에 표시한다(단계 1015).
이 때, "프로그램이 축적되어 있는지 축적되어 있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표시"를 실행함으로써, 보다 시청자에 대하여 이해하기 쉬운 표시로 된다.
이러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카테고리 공간의 계층 구조를 시청자에게 대화적으로 표시하면서, 방송 예정의 프로그램과 축적 완료 방송 프로그램의 양자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의 실체를 축적하지 않더라도,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계층화 카테고리 정보만을 축적해 놓으면, 시청자가, 「그 프로그램이 이미 방송 완료인」 것을 이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다.
도 11은, 카테고리 공간의 갱신시의 수신 단말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축적 완료 프로그램이 속하는 카테고리 공간은, 그 때마다 갱신되고 있는" 것으로서 기술하고 있다.
갱신시에는, 이미 설명한 바대로, 차분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방송 수신 장치는, 그 정보를 항상 조사한다.
여기서는, 디렉토리 공간의 이동시의 처리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디렉토리 공간의 추가의 처리나 영속성이 없는 디렉토리 공간의 삭제시의 처리도, 마찬가지의 사고 방식으로, 실현된다.
영속성이 있는 디렉토리 공간이 삭제된 처리는, 도 10의 설명에서, 이미 기술하였다.
카테고리 공간의 갱신시의 처리를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방송 수신 장치는, 축적 완료 프로그램이 속하는 카테고리 공간을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에, 세트한다(단계 1101).
다음에,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에 대하여 "최신의 카테고리 공간을 수신하여, 갱신 상황을 취득하도록" 요구한다(단계 1102).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의 수신내용을 조사하여,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에 갱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재차 최신 정보의 취득을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에 요구한다(단계 1103).
만약에 갱신이 행해진 경우,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축적 완료 프로그램의 카테고리 공간상에서의 경로의 갱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에 공간상의 경로의 갱신이 아닌 경우,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재차 최신 정보의 취득을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에 요구한다(단계 1104).
만약에 축적 완료 프로그램의 카테고리 공간상의 경로인 경우,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갱신 내용이 이동인지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1105).
이동의 경우,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는, 축적 완료 프로그램의 디렉토리 경로, 디렉토리 공간 식별자 등의 정보를 최신의 상황으로 갱신한다(단계 1106).
도 12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카테고리 공간을 이용하여 임의의 디렉토리 공간 이하에 속하는 프로그램을 자동 녹화하는"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서는, "프로그램을 예약하는" 처리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예약 실행후의 처리는, 프로그램 예약부(808),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 축적 관리부(804), 축적 매체(805) 등의 설명에서 이미 기술한 바대로이다.
카테고리 공간을 이용하여 임의의 디렉토리 공간 이하에 속하는 프로그램을 자동 녹화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우선, 최신의 카테고리 공간 및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축적 관리부(804)에 요구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계층화 카테고리 갱신 관리부(809)에 대하여, "최신의 카테고리 공간 및 프로그램 배열 정보"의 취득을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에 요구한다.
자동 녹화하는 처리 동작이, 개시되면, 계층화 카테고리 수신부(803)는, 최신 정보를 취득하여, 축적 관리부(804)에 최신 정보 데이터를 보낸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에 수취된 최신 정보 데이터를 축적한다(단계 1201).
다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로부터 최신의 정보를 취득하여, 모니터(807)에 카테고리 공간을 표시함과 동시에, 각 디렉토리 공간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여, 시청자의 선택을 기다린다(단계 1202).
시청자는, 모니터(807)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지시부(810)로부터 디렉토리 공간을 선택한다.
지시부(810)는, "시청자가, 선택한" 디렉토리 공간을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에 보낸다.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그 디렉토리 공간을 기억한다(단계 1203).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기억한 디렉토리 공간 이하의 전 디렉토리 공간에 대하여,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가 있는지 여부"를 축적 관리부(804)에 문의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를 참조하여,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에 되돌려 준다(단계 1204).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로부터의 정보를 조사하여,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축적 관리부(804)에 요구한다.
만약에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를 조사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프로그램 정보의 리스트는, 축적 관리부(804)로부터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로 되돌려진다.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그 프로그램 정보 리스트를 프로그램 예약부(808)에 전달한다(단계 1205).
다음에,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는, 축적 관리부(804)에 대하여,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요구한다.
축적 관리부(804)는, 축적 매체(805)를 조사하여, 최신의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요구한다.
취득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에 되돌려진다.
그 프로그램 정보 리스트는, 프로그램 정보 표시부(806)로부터 프로그램 예약부(808)로 보내어진다(단계 1206).
단계(1205)에서는, 디렉토리 공간에서 링크된 방송 프로그램을 취득하였지만, 단계(1206)에서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인 것으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디렉토리 공간을 조사하여, 본 층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프로그램 예약부(808)는, 예약된 시간이 되면,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801)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예약을 지시한다.
프로그램의 카테고리 공간의 정보는, 수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예약을 실행한 후(단계 1206), "카테고리 공간 및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 변경이 없는지 여부"를 재차 확인한다(단계 1201).
여기서는, "시청자가 선택한" 디렉토리 공간을 모두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물론, 시청자에 의해서 선택된 디렉토리 공간만을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시청자가, 디렉토리 공간을 대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선택하도록" 기술하고 있지만, "시청자의 시청 이력 등을 기초로, 시청자에게 알맞은 디렉토리 공간을 에이전트 등에 의해 자동 추출했다"라고 하여도,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여기서는, 프로그램의 자동 녹화의 동작을 예로 들어 기술하였지만, 프로그램의 예약에 관한 부분을 프로그램명의 표시와 치환하면, 프로그램 검색의 동작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처리에 있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가, 디렉토리 공간을 바탕으로,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추천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실행한 경우에서도, 이미 기술한 방법상에서 실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의 것이다.
도 13은, 카테고리 공간을 프로그램의 출연자에게 적용한 예의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예를 들면, 가령, "시청자가, 사무소 A의 신인의 멤버가 출연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예약했다"라고 하자.
그렇게 하면,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2에 도시한 처리 흐름과 마찬가지의 흐름에 따라서, 프로그램 예약의 처리를 실행한다.
본 예의 경우에는, 「신인」의 하위에 위치하는 모든 디렉토리 공간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즉, 팀 B 및 탤런트 B가 출연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예약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예로서, 레이어 0 즉 루트 디렉토리를 프로그램 쟝르의 시점에서, 「버라이어티」로 설정하고,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한데 묶어 그룹핑하도록 카테고리 공간을 작성하며, 레이어 1 이후는 도 13의 예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의 출연자의 시점에서, 디렉토리 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출연자, 영화 감독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모든 시점으로부터, 카테고리 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적인 시점에서만 속박되지 않으며, 복수의 시점에 의한 디렉토리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카테고리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영상 음성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의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스케줄 및 그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한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화된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프로그램의 그룹화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할 때에, 동시에, 프로그램 배열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축적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방송 수신시뿐만 아니라, 수신후 어느때에도, 프로그램의 그룹화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축적하고 있는 카테고리 정보의 갱신을 감시하여, 갱신 내용을 축적 완료 카테고리 정보에 반영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항상, 최신의 카테고리 정보를 축적해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카테고리 공간내의 계층 구조에 따라서, 대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고, 개개의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배열 정보로부터 검색하여 표시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그룹의 검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카테고리 공간내의 계층 구조에 따라 대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고, 개개의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축적 완료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표시함으로써, 기억 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그룹의 검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되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 예정의 방송 프로그램과, 축적 완료 방송 프로그램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방송 수신의 계획을 용이하게 세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선택된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 녹화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보다 간편히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는, 시청자가, 카테고리 공간내의 임의의 디렉토리 공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고,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 녹화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과 녹화가 보다 간편히 실행할 수 있다고 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49)

  1.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는 카테고리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와,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적어도 갖는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송신부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
  3.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을 송신하는 카테고리 공간 송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및 1개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중 최하위의 프로그램 속성에 관한 데이터군인 디렉토리 공간을 송신하는 디렉토리 공간 송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
  5.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중의 최하위의 프로그램 속성에 관한 데이터군인 디렉토리 공간을 송신하는 디렉토리 공간 송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을 송신하는 카테고리 공간 송신부와,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와,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적어도 갖는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송신부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
  7.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축적 모드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영속적으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디렉토리 공간 영속성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작성된 날짜를 나타내는 작성일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유효한 기간인 유효 기간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의 내용이 갱신된 최신 날짜를 나타내는 최신 갱신일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2.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공간 또는 디렉토리 공간에, 각각 일의에 식별하기 위한 가변 길이 또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공간에 있어서의 디렉토리 공간의 계층 정보를, 디렉토리 공간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가변 길이로 하는 것에 의해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을 식별하는 식별자의 길이가 계층 구조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변경시에, 적어도 갱신 내용의 차분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변경시에, 적어도 갱신 내용의 차분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변경시에, 적어도 갱신 내용의 차분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변경시에, 적어도 갱신 내용의 차분 카테고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배열 정보가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중 최하위의 프로그램 속성에 관한 데이터군인 디렉토리 공간으로의 링크 정보를 갖는 방송 송신 장치.
  20.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프로그램 배열로의 링크 정보를 갖는 방송 송신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의 하위의 속성을 식별하는 자(子) 속성 식별자를 갖는 방송 송신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의 상위의 속성을 식별하는 부모(親) 속성 식별자를 갖는 방송 송신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자 속성 식별자 및 부모 속성 식별자를 갖는 방송 송신 장치.
  24.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는 카테고리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신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와,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적어도 갖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 중, 적어도 1개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6.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을 수신하는 카테고리 공간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와,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적어도 갖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중, 적어도 1개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8.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인 프로그램 속성 사이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인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중 최하위의 프로그램 속성에 관한 데이터군인 디렉토리 공간을 수신하는 디렉토리 공간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을 수신하는 카테고리 공간 수신부와,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와,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적어도 갖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중, 적어도 1개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30.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축적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축적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1.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디렉토리 공간 영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2.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작성된 날짜를 나타내는 작성일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3.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유효한 기간인 유효 기간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4.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은, 상기 디렉토리 공간의 내용이 갱신된 최신의 날짜를 나타내는 최신 갱신일 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5.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배열 정보가 2개 이상의 프로그램 속성 및 1개 이상의 카테고리 정보로 이루어지는 계층화된 프로그램 속성군인 카테고리 공간중 최하위의 프로그램 속성에 관한 데이터군인 디렉토리 공간으로의 링크 정보를 갖는 방송 송신 장치.
  36.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 공간이 프로그램 배열 정보로의 링크 정보를 갖는 방송 수신 장치.
  37.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의 하위의 속성을 식별하는 자 속성 식별자를 갖는 방송 수신 장치.
  38.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의 상위의 속성을 식별하는 부모 속성 식별자를 갖는 방송 수신 장치.
  39.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자 속성 식별자 및 부모 속성 식별자를 갖는 방송 수신 장치.
  4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와,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를 키로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검색부와, 상기 프로그램 검색부에서 검색한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와,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를 키로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검색부와, 상기 프로그램 검색부에서 검색한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 수신부와,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를 키로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검색부와, 상기 프로그램 검색부에서 검색한 방송 프로그램 번호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검색 키워드가 적어도, 프로그램명, 프로그램의 쟝르 정보, 프로그램 출연자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와, 디렉토리 공간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선택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선택부와, 상기 프로그램 선택부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프로그램 녹화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공간과 디렉토리 공간과 프로그램 배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갖는 방송 수신 장치.
  46.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의 차분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분 정보를 축적 완료 카테고리 정보에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7. 제 2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공간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카테고리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8.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공간내의 계층 구조에 따라서, 대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49. 제 44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예정의 방송 프로그램과, 축적 완료 방송 프로그램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19990016573A 1998-05-11 1999-05-10 방송송신장치및방송수신장치 KR19990088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27642 1998-05-11
JP12764298 1998-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153A true KR19990088153A (ko) 1999-12-27

Family

ID=1496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573A KR19990088153A (ko) 1998-05-11 1999-05-10 방송송신장치및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57598A3 (ko)
KR (1) KR19990088153A (ko)
CN (1) CN1130078C (ko)
AU (1) AU761964B2 (ko)
HK (1) HK1024800A1 (ko)
SG (1) SG81981A1 (ko)
TW (1) TW41739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78B1 (ko) * 2002-12-06 2004-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3652B1 (ko) * 2000-04-26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의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65740B1 (ko) * 2001-06-26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A/v신호 저장 및 검색 방법과 그 장치
KR20120099208A (ko) * 2009-10-25 2012-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9268A1 (fr) * 2000-05-19 2001-11-23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navigation dynamique parmi des documents multimedias
GB2390785B (en) * 2002-07-12 2005-10-19 Nokia Corp Information service broadcasting or multicasting
US8375205B2 (en) * 2007-09-28 2013-02-1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over management channels
KR20130015802A (ko) * 2011-08-05 2013-02-14 이흥수 계층적 구조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284247A (zh) * 2013-07-02 2015-01-14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数字电视节目信息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5325B1 (en) * 1988-01-19 1996-09-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using an information carrier
RU2153234C2 (ru) * 1992-12-09 2000-07-20 Дискавери 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головной станции системы кабельн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ограмм абонентам в системе кабельн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GB9400101D0 (en) * 1994-01-05 1994-03-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onsumer interface for a satellite television system
US5623613A (en) * 1994-11-29 1997-04-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programming information
JP4032402B2 (ja) * 1996-10-14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
JPH10126750A (ja) * 1996-10-23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及び受信端末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652B1 (ko) * 2000-04-26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의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65740B1 (ko) * 2001-06-26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A/v신호 저장 및 검색 방법과 그 장치
KR100457178B1 (ko) * 2002-12-06 2004-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9208A (ko) * 2009-10-25 2012-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7393B (en) 2001-01-01
CN1130078C (zh) 2003-12-03
CN1239855A (zh) 1999-12-29
EP0957598A2 (en) 1999-11-17
AU2600999A (en) 1999-11-18
SG81981A1 (en) 2001-07-24
AU761964B2 (en) 2003-06-12
HK1024800A1 (en) 2000-10-20
EP0957598A3 (en) 200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318B1 (ko) 프로그램정보작성방법과장치및방송시스템의정보처리용수신장치
US64869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rogram information and receiv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program information
US868352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with database configurability
JP4608097B2 (ja) テレビのネットワーク、チャンネルおよび番組を広告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6012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cheduling program conflicts in a virtual channel scheduling gap
EP1492348A2 (en) Context-sensitive television tags
US20100257561A1 (en) Surfer's Paradise
US200502895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content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1452019A1 (en) Utilization of relational metadata in a television system
JP2006295973A (ja) クエリベースの電子式プログラム・ガイド
US20010047419A1 (en)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41096A (ko) 프로그램 가이드 및 관련 멀티미디어 객체를 처리하기위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EP162237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providing synchronised electronic program guide
KR19990088153A (ko) 방송송신장치및방송수신장치
US20030041327A1 (en) System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JP2001292383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0767103B1 (ko)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법과, 디지털 tv 네트워크 송신기 및 수신기
CN101242497B (zh) 存储与提供电子节目指南的方法与装置
JP3302940B2 (ja) 放送送信装置、放送受信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放送システム
JPH11341451A (ja) 放送型配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1784009A2 (en) Methods and apparatuses providing synchronised electronic program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