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884A - 부호분할다원접속방식이동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원접속방식이동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884A
KR19990087884A KR1019990010722A KR19990010722A KR19990087884A KR 19990087884 A KR19990087884 A KR 19990087884A KR 1019990010722 A KR1019990010722 A KR 1019990010722A KR 19990010722 A KR19990010722 A KR 19990010722A KR 19990087884 A KR19990087884 A KR 19990087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eriod code
period
short
sp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294B1 (ko
Inventor
스즈끼마이
도이노부까즈
야노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0235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8788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1999008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35Code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8Parallel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68Arrangements for Wireless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CDMA 방식)을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확산 부호의 동정(同定) 및 프레임/슬롯 타이밍 동정(셀 서치)을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을 이용하여 행하고,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의 확산비를 다른 통상의 심볼의 확산비에 비해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의 회로 규모 및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셀 서치를 고속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어치 채널(perch channel)에서의 롱 코드 마스크 심볼(서치 코드)을 사용한 셀 서치(cell search)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이 통신을 개시할 때, 혹은 이동 단말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1개의 기지국 영역(셀)으로부터 인접하는 셀로 이동할(핸드 오버) 때, 기지국(핸드 오버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확산 부호의 동정(同定) 및 프레임/슬롯 타이밍 동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처리를 셀 서치라 한다.
종래의 셀 서치 방법의 예로서, 슬롯의 말미의 1심볼만, 통상의 롱 코드·쇼트 코드가 아니라, 롱 코드 마스크 심볼(서치 코드)이라 불리는 특수한 쇼트 코드를 이용하여 확산하는 방법이 신학기보(Technical Report of IEICE: DSP-96-116, SAT96 -111, RCS96-122)(1997-01)에 기재되어 있다.
이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을 이용한 셀 서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셀 서치는, 도 1에 도시된 퍼어치 채널을 사용한다. 퍼어치 채널이란, 기지국에서 측정한 상승 간섭 전력치나 시스템 프레임 번호 등을 통지하는 제어 채널이다. 또한, 이 퍼어치 채널은 항상 일정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되어 있다. 퍼어치 채널의 제어 신호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 사이에서의 동기 포착의 기준 신호로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확산되어 있다. 퍼어치 채널은 제1 퍼어치 채널과 제2 퍼어치 채널이 다중되어 있다. 제1 퍼어치 채널(106)의 롱 코드 마스크 심볼 위치(서치 코드 위치; 101)에 CSC(Common Short Code : 공통 쇼트 코드), 즉 제1 서치 코드(104), 제2 퍼어치 채널(107)의 롱 코드 마스크 심볼 위치(101)에 GISC(Group Identification Short Code : 그룹 식별 쇼트 코드), 즉 제2 서치 코드(105)가 매핑되어 있다. 데이타 심볼 구간[102; 1슬롯 구간 중 롱 코드 마스크 심볼 구간(서치 코드 구단)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이동 단말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가 롱 코드 및 쇼트 코드(103)에 의해 확산되어 있다.
롱 코드는 기지국에 고유로 할당된 장주기 확산 부호이고, 쇼트 코드는 해당 기지국의 통신 중의 각 채널(제어 채널 및 전송 채널을 포함한다)에 고유로 할당된 단주기 확산 부호이다. 롱 코드는 부호 길이가 길고 다종류의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동기 포착을 쉽게 하기 위해, 복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GISC는, 롱 코드의 분류에 대응하여 설치된 단주기 부호이다. 이동 단말은 퍼어치 채널의 동기 포착을 행하는 경우, GISC를 동정하여 롱 코드를 일정 범위로까지 집광 (사용되고 있는 가능성이 있는 롱 코드의 후보를 한정)함으로써, 해당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롱 코드의 동정의 부하를 경감하고 있다(롱 코드 동정 처리에 필요한 시간, 회로, 전력 등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CSC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고유로 정해진 단주기 확산 부호이다.
이 퍼어치 채널을 이용한 기지국이 사용하는 롱 코드의 동정 및 프레임/슬롯 타이밍의 검출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1) 이동 단말은 CSC를 이용하여 퍼어치 채널을 역확산하고, 상관치의 높이에 따라 슬롯 타이밍을 동정한다. (2) 동정한 슬롯 타이밍에 합쳐서 모든 GISC에서 역확산을 행하고, 상관치의 높이에 의해 GISC를 동정한다. (3) GISC에 대응된 그룹에 속하는 모든 롱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행하고, 상관치의 높이에 따라 롱 코드를 동정한다.
종래 방법의 퍼어치 채널의 포맷 및 송신 전력을 도 2에 도시한다. 퍼어치 채널의 심볼 레이트는, 롱 코드 마스크 심볼도 포함하는 모든 구간에서 16kps(확산비; 256)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 송신 전력은 제2 퍼어치 채널이 송신되는 롱 코드 마스크 심볼 구간에서는 제2 퍼어치 채널의 송신 전력분 P2만큼 제1 퍼어치 채널의 송신 전력 P1을 내림으로써, 다중 후의 퍼어치 채널의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롱 코드 마스크 심볼 구간에서 데이타 심볼 구간과 동일한 심볼 레이트로 확산 처리를 행하는 종래 방식에서는, 셀 서치의 제1 단계(슬롯 타이밍의 동정)에서, 가장 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타이밍 동정을 단시간에 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상관 결과를 한번에 얻어지는 매치 필터(MF)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 13은 64TAP 단의 MF를 사용하여, 확산비가 256인 퍼어치 채널을 역확산함으로써 셀 서치를 행하는 경우에, 셀 서치의 각 단계에 요하는 소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가장 시간이 걸리는 것이 슬롯 타이밍 동정 1301이다. 셀 서치의 고속화에는, 타이밍 동정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이 필수 과제이다. MF를 사용한 타이밍 동정에서는, 1심볼(256chip) 구간의 모든 타이밍에서의 상관치를 복수 슬롯의 CSC를 사용하여 누산하고, 그것에 의해 정밀도 좋게 슬롯 타이밍을 동정한다. 예를 들면, 48슬롯분의 CSC에 대해 얻은 상관치를 누산한다. 도 13에서, 타이밍 동정의 1사이클 1301로 MF의 TAP 단수와 동일한 64chip분의 타이밍에 대해 1개의 누산치를 얻는다.
64 TAP단의 MF를 이용하면, 모든 타이밍에서의 상관치를 얻기 위해 계수 모드의 전환이 필요해지고, 타이밍 동정의 소요 시간 나아가서는 셀 서치의 소용 시간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에 대해, 256 TAP단의 MF를 이용하면, 1심볼분의 계수를 MF에 셋트한 상태 그대로 수신 신호의 역확산을 행할 수 있어, 계수 모드의 전환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고속으로 모든 타이밍의 상관을 취할 수 있지만, MF의 회로 규모, 소비 전력 모두 매우 커진다.
회로 규모 및 소비 전력을 억제하면서 고속으로 셀 서치를 행하기 위해,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의 확산비를 퍼어치 채널의 다른 부분의 확산비보다도 작게 한다.
특히 이동 단말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MF의 TAP 단수에 따른 심볼 레이트를 정한다. 예를 들면, 마스크 심볼의 확산비가 64인 경우에, 64단의 MF를 이용하여 타이밍 동정을 행한다. 이 경우, 심볼 길이가 MF의 TAP 단수와 일치하기 때문에, MF에 1심볼분의 계수를 셋트한 상태 그대로 수신 신호의 역확산을 행하고, 64chip 구간 모든 타이밍의 서치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규모 및 소비 전력을 증대시키지 않고, 고속인 셀 서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들 혹은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퍼어치 채널의 채널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방식의 퍼어치 채널 포맷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낸 도면.
도 3는 제1 실시 형태의 퍼어치 채널 포맷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퍼어치 채널 포맷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퍼어치 채널 포맷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4 실시 형태의 퍼어치 채널 포맷 및 송신 전력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서치 시간의 단축, 회로 규모·송신 전력의 삭감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이동 단말의 구성도.
도 9는 이동 단말의 셀 서치 타이밍 동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이동 단말의 셀 서치 GISC 동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이동 단말의 제1 롱 코드 동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이동 단말의 제2 롱 코드 동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셀 서치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1 : RF부
802 : RF 인터페이스부
803 : 송신부
804 : 수신부
805 : 셀 서치부
806 : 제어부
807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811 : GISC 동정부(同定部)
812 : 롱 코드 동정부
901 : MF
902 : CSC 발생기
903, 1004 : 누산기
904 : 최대치 판정부
1001 : 상관기
1002 : RAM
1003 : GISC 발생기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안테나로 수신된 반송파 주파수의 수신 신호는 RF부(801)에서 주파수를 내리고, RF 인터페이스부(802)를 통해 베이스 밴드 대역의 수신 신호가 셀 서치부(805) 및 수신부(804)에 입력된다. 셀 서치부(805)는 상술한 셀 서치를 행한다. 수신부(804)는 퍼어치 채널 이외의 물리 채널의 역확산 및 오류 정정 등을 행한다. 복호된 전송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07)를 통해 출력되고, 그 후의 처리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07)를 통해 송신부(803)에 입력된다. 송신부(803)은, 송신 신호의 부호화 및 확산을 행한다. 제어부(806)에서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여 각부에의 초기치의 설정이나 타이밍 관리 등을 행한다.
도 9∼도 12에, 셀 서치부의 각 블럭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9는 타이밍 동정부(810)의 구성을 나타낸다. 타이밍 동정부에서는, 1심볼분의 타이밍의 상관치를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수의 타이밍에서의 상관 결과를 한번에 얻어지는 MF(901)를 이용한다. MF(901)의 계수로서는, CSC 발생기(902)로부터 발생되는 CSC가 사용된다. 누산기(903)는 복수 슬롯에 대해 MF로부터 출력되는 상관치를 누산한다. 최대치 판정부(904)는 누산한 상관치가 최대가 된 타이밍을 슬롯 타이밍으로서 검출한다.
도 10은 GISC 동정부(811), 도 11은 제1 롱 코드 동정부, 도 12는 제2 롱 코드 동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롱 코드 동정부(812)는 제1 롱 코드 동정부와 제2 롱 코드 동정부를 포함한다. 이들 회로에서는 타이밍 동정부에 의해 이미 프레임/슬롯 타이밍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검출된 1개의 타이밍으로 역확산을 행하는 상관기(1001)를 병렬화함으로써, 효율 좋게 고속 처리를 할 수 있다.
GISC 동정부(811: 도 10)는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의 수신 신호를 RAM(1002)에 저장하고, DSP에 의해 GISC를 GISC 발생기(1003)로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1칩마다의 상관을 구하고, 누산기(1004)에 의해 1심볼에서의 상관치를 구한다. 이들 처리는, 적절하게 병렬 처리함으로써,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구해진 상관치 중에서 가장 높은 것을 선택하여, GISC를 동정한다.
제1 롱 코드 동정부(도 11)는, 약 10심볼에 걸쳐 상관치를 산출하고, 동정한 GISC에 대응하는 분류에 속하는 롱 코드 중으로부터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롱 코드를 동정한다. DSP에 의해 롱 코드 발생기(1102)가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발생된 롱 코드는, 쇼트 코드 발생기(1103)로부터 발생되는 퍼어치 채널의 쇼트 코드와 승산되고, 상관기(1001)에 의해 1타이밍마다의 상관이 구해지고, 누산기(1101)에 의해 10심볼분의 상관치가 누산된다. 이 처리는 다른 롱 코드로 병렬 처리되고, 10심볼 정도에서의 상관치의 누산 결과에 기초하여 확실한 듯한 롱 코드가 특정된다.
제2 롱 코드 동정부(도 12)는, 제1 롱 코드 동정부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제1롱 코드 동정부에서 특정된 롱 코드에 대해 1프레임 구간에 걸쳐 행하고, 소정의 누적치가 얻어진 경우에, 셀 서치가 완료한다.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을 이용한 셀 서치 방법을 행하는 CDMA 통신 시스템에서, 통상 16ksps(확산비 256)로 송신되는 퍼어치 채널의 롱 코드 마스크 심볼 부분만을 확산비 64로 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확산비 64뿐만 아니라, 확산비가 256보다 작으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3에 제1 실시 형태로서, 퍼어치 채널의 다른 심볼에 비해 CSC와 GISC의 확산비를 함께 작게 하고(예에서는 64), 다른 타이밍으로 삽입한 경우의 채널 포맷과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다른 통상의 심볼 부분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도록, 마스크 심볼 구간(13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256chip으로 한다. CSC 및 GISC는, 마스크 심볼 구간을 64chip마다 구획된 4개의 위치(133, 134, 135, 136) 중, 어떤 구간에 삽입하여도 좋다. GISC의 심볼 길이가 짧게 됨으로써, GISC의 수가 할당해야되는 롱 코드의 분류수에 대해 부족하게 된 경우에는, 4개의 삽입 위치 중 어디에 넣을지에 따라 롱 코드 식별 그룹을 나누는 방법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크 심볼 구간에서 CSC와 GISC 이외의 구간은 무신호로 한다.
송신 전력은, 심볼 길이를 짧게 하면 누산할 수 있는 횟수가 감소하므로, 동일한 수신 감도를 얻기 위해서는 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퍼어치 채널은 항상 일정한 전력으로 계속 송신하는 데다가, 롱 코드 마스크 심볼 부분은 직교성이 나빠 간섭 전력이 되어 다른 채널에 영향을 주기 쉽기 때문에, 송신 전력은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CSC와 GISC를 다중하지 않고, 롱 코드 마스크 심볼 부분으로 시분할하여 CSC와 GISC를 송신한다. 이 때, 확산비를 1/4로 하더라도 CSC의 송신 전력 P3은, 종래 기술의 경우의 송신 전력 P1의 2배로 동등한 수신 감도가 얻어진다. GISC의 송신 전력 P4도 마찬가지이다.
도 4에 제2 실시 형태로서, 퍼어치 채널의 다른 심볼에 비해 CSC와 GISC의 확산비를 충분히 작게 하고(예에서는 16), 다중하여 송신한 경우의 채널 포맷과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CSC의 송신 전력 P5 및 GISC의 송신 전력 P6은, 확산비에 대응하여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퍼어치 채널 이외의 채널의 심볼 레이트가 빠르면, 퍼어치 채널의 전력이 커지는 것의 영향을 받는 심볼의 수가 많아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CSC와 GISC를 다중함으로써 송신 전력이 커지는 구간을 짧게 함으로써, 퍼어치 채널의 다른 채널에 주는 영향은 커지지만, 영향을 주는 심볼 구간을 짧게 함으로써, 전체로서 영향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제3 실시 형태로서, 퍼어치 채널의 다른 심볼에 비해 CSC와 GISC의 확산비를 함께 작게 하고(예에서는 64), GISC를 복수회(예에서는 3회) 반복한 경우의 채널 포맷과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GISC를 n회 반복 송신함으로써 누산 횟수를 늘려, 그 만큼 1회의 GISC의 송신 전력 P8을 CSC의 송신 전력 P7의 1/n로 한다. 이에 따라, 다른 채널에의 영향을 억제한다.
도 6에 제4 실시 형태로서, CSC의 확산비를 GISC의 확산비보다 작게 한 경우(예에서는 CSC의 확산비 64, GISC의 확산비 256)의 채널 포맷과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상술한 셀 서치의 3단계에서, GISC 동정은 CSC로부터 지정된 타이밍만으로 역확산을 행하면 좋기 때문에, MF가 아니라 상관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면 도 10).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MF의 TAP 단수에 영향을 주는 CSC의 확산비를 작게 하고, GISC의 확산비는 송신 전력을 억제하기 때문에 그 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다른 채널에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서치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에,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의 확산비로 사용하는 MF의 TAP 단수를 변화시킬 때의, 셀 서치의 각 단계에서의 소요 시간 일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롱 코드 마스크 심볼의 확산비를 작게 함으로써, 종래 방법보다도 타이밍 동정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MF의 TAP 단수를 짧게 하여 회로 규모 및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고, 당업자는 이 개시에 의해 이 실시예에 대해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참된 정신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전부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1)

  1.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슬롯 타이밍 동정(同定)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퍼어치 채널에 의해 1슬롯의 제1 구간이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장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되고, 제2 구간이 소정의 단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의 단주기 부호에 의해 역확산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지는 상관치에 의해 슬롯 타이밍을 동정하며,
    상기 소정의 단주기 부호의 확산비는,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 및 단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타이밍 동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은, 상기 제1 구간의 송신 전력보다도 상기 제2 구간의 송신 전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타이밍 동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지국에 공통의 제1 단주기 부호와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의 분류에 대응하는 제2 단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타이밍 동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주기 부호의 확산비는, 상기 제2 단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타이밍 동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을 복수의 부분 구간으로 시분할하고, 제1 부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주기 부호를 확산하고, 제2 부분 구간에서 상기 제2 단주기 부호를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타이밍 동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주기 부호 및 상기 제2 단주기 부호가 확산된 부분 구간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의 분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타이밍 동정 방법.
  7.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서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퍼어치 채널에 의해, 1슬롯의 제1 구간이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장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되고, 제2 구간이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낮은 확산비를 갖는 제1 단주기 부호와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와 같거나 혹은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낮은 확산비를 갖는 제2 단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단주기 부호에 의해 역확산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지는 상관치에 의해 슬롯 타이밍을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서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주기 부호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지국에 공통인 단주기 부호이고, 상기 제2 단주기 부호는,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의 분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주기 부호로 이루어지며,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동정된 슬롯 타이밍으로 상기 제2 단주기 부호인 복수의 단주기 부호에 의해 역확산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지는 상관치에 의해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의 분류를 특정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동정된 슬롯 타이밍으로 상기 특정된 장주기 부호의 분류에 속하는 장주기 부호에 의해 역확산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지는 상관치에 의해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서치 방법.
  9.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수신 신호로 변환하는 RF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대역의 수신 신호의 입력을 받고, 상기 수신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관치를 출력하는 매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신호에는, 1슬롯의 제1 구간이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장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되고, 제2 구간이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낮은 확산비를 갖는 제1 단주기 부호와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와 같거나 혹은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낮은 확산비를 갖는 제2 단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된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매치 필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단주기 부호에 의해 역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주기 부호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지국에 공통인 단주기 부호이고, 상기 제2 단주기 부호는, 상기 제1 구간을 확산하는 장주기 부호의 분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주기 부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1.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반송파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수신 신호로 변환하는 RF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대역의 수신 신호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역확산하여 상관치를 출력하는 매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신호에는, 1슬롯의 제1 구간이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장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되고, 제2 구간이 소정의 단주기 부호에 의해 확산된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매치 필터의 탭수는, 상기 제어 신호의 상기 장주기 부호의 확산비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19990010722A 1998-05-13 1999-03-27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291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9995A JPH11331036A (ja) 1998-05-13 1998-05-13 符号分割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で用いるスロットタイミング同定方法と移動端末
JP98-129995 1998-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884A true KR19990087884A (ko) 1999-12-27
KR100291294B1 KR100291294B1 (ko) 2001-05-15

Family

ID=1502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722A KR100291294B1 (ko) 1998-05-13 1999-03-27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7576B1 (ko)
EP (5) EP1956724B1 (ko)
JP (1) JPH11331036A (ko)
KR (1) KR100291294B1 (ko)
CN (3) CN1878387B (ko)
DE (3) DE69924914T2 (ko)
SG (1) SG89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571B1 (en) * 1998-05-13 2005-04-12 Hitachi, Lt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11331036A (ja) * 1998-05-13 1999-11-30 Hitachi Ltd 符号分割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で用いるスロットタイミング同定方法と移動端末
US7130332B1 (en) * 1999-04-20 2006-10-31 Symmetricom, Inc. Pilot tracking for synchronization using correlation between digital signal and locally generated version of PN signal
KR100720332B1 (ko) * 1999-05-28 2007-05-2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시분할 쌍방향 통신시스템의 셀 검색 절차
US6363060B1 (en) * 1999-06-30 2002-03-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WCDMA acquisition
JP2001086035A (ja) * 1999-09-14 2001-03-30 Nec Corp Cdmaにおけるセルサーチ方法
GB2360426B (en) * 2000-03-14 2004-06-02 Nec Technologies Method for acquisition of slot timing in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receiver
AU2002217057A1 (en) * 2000-11-27 2002-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6064549A1 (ja) 2004-12-14 2006-06-22 Fujitsu Limited 拡散コード割当方法、逆拡散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JP4538018B2 (ja) * 2007-04-06 2010-09-08 フィパ フローウィッタ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エイジー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セルサーチ方法
CN101383636B (zh) * 2007-09-05 2012-11-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划分方法及发送上行导频的方法、装置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723B2 (ja) 1985-04-26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装置
US4969159A (en) * 1989-03-22 1990-11-06 Harris Corporatio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composite spreading codes with matched filter demodulator
DE69535838D1 (de) * 1994-02-09 2008-10-2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Verfahren und Gerät für CDMA mobile Kommunikationen
US5530716A (en) * 1994-06-30 1996-06-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coded communication signal
JP3491349B2 (ja) 1994-09-05 2004-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CA2217575C (en) * 1996-03-05 2005-07-12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receiver, and spreading code sychroniz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376224B2 (ja) * 1996-10-23 2003-0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JP3373746B2 (ja) * 1997-01-07 2003-02-04 株式会社鷹山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US5930366A (en) * 1997-08-29 1999-07-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ynchronization to a base station and code acquisition with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6018667A (en) * 1998-01-20 2000-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synchronization status of a base station
US6208632B1 (en) * 1998-01-29 2001-03-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System and method for CDMA channel estimation
JPH11331036A (ja) * 1998-05-13 1999-11-30 Hitachi Ltd 符号分割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で用いるスロットタイミング同定方法と移動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8387A (zh) 2006-12-13
CN1523920A (zh) 2004-08-25
EP1804392A1 (en) 2007-07-04
EP1473854A3 (en) 2004-11-10
EP1473854B1 (en) 2008-04-30
DE69938627T2 (de) 2009-06-10
US6507576B1 (en) 2003-01-14
EP0957594A2 (en) 1999-11-17
EP1804392B1 (en) 2012-08-01
KR100291294B1 (ko) 2001-05-15
JPH11331036A (ja) 1999-11-30
EP2299608B1 (en) 2019-02-13
EP0957594A3 (en) 2003-01-08
DE69938627D1 (de) 2008-06-12
EP1956724B1 (en) 2013-04-17
EP2299608A2 (en) 2011-03-23
CN1235501A (zh) 1999-11-17
EP1473854A2 (en) 2004-11-03
EP0957594B1 (en) 2005-04-27
DE69924914D1 (de) 2005-06-02
DE69924914C5 (de) 2024-04-18
EP1956724A2 (en) 2008-08-13
CN1878387B (zh) 2012-12-05
EP1956724A3 (en) 2008-11-05
EP2299608B8 (en) 2019-04-03
SG89274A1 (en) 2002-06-18
EP2299608A3 (en) 2012-03-07
CN100367818C (zh) 2008-02-06
CN1145399C (zh) 2004-04-07
DE69924914T2 (de)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831B2 (en) CDMA mobil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base station detecting method used therefor
US9577745B2 (e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91294B1 (ko)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
EP0942543B1 (en) Slot timing detection method and circuit
KR20010031524A (ko) 동기 포착 장치 및 동기 포착 방법
KR100572904B1 (ko) 송신기와 수신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방법
JP396539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で用いる基地局
KR100594164B1 (ko)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셀 탐색 장치 및 방법
JP453801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セルサーチ方法
JP5079843B2 (ja)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
JP432786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用いる端末
KR100914404B1 (ko) Wcdma 시스템의 신호품질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0091956A (ja)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1025057A (ja)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248094B1 (ko)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2 파일럿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40260B1 (ko) Tdd w-cdma 시스템에서 코드위치 변조를 이용한 고속 셀탐색방법
WO2003034605A1 (en) Ray class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