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660A -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 Google Patents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660A
KR19990087660A KR1019980707123A KR19980707123A KR19990087660A KR 19990087660 A KR19990087660 A KR 19990087660A KR 1019980707123 A KR1019980707123 A KR 1019980707123A KR 19980707123 A KR19980707123 A KR 19980707123A KR 19990087660 A KR19990087660 A KR 1999008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coffee machine
filter
coffee
annular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빌펠트
안드레아스 비르크
크리스토프 클리만
라인하르트 스튀쳐
베른트 트레비츠
Original Assignee
게.바우츠, 아이. 호프만
브라운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바우츠, 아이. 호프만, 브라운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게.바우츠, 아이. 호프만
Publication of KR1999008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6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에 관한 것이다. 커피 머신은 가루 커피(12)를 유지하도록 의도되고 필터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는 필터 요소(1)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3)이 마련된 탕비용 헤드(2)가 필터 요소(1)의 위에 배치되며, 이 배출 구멍(3)을 통하여 전기 온수기로 가열된 물(14)이 필터 요소(1)로 흘러서 커피 정분(精分)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상연부(9)에서 필터 요소(1)는 이 연부(9)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하는 환형 칼라(10)를 구비한다. 필터 요소(1)는 여과지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요소(1)를 지지하는 고정 장치(28)가 환형 칼라(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 칼라(10) 상에서 필터 요소는 거의 외팔보로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요소(1)와 커피 머신은 취급하기 용이하다. 동시에, 정분 추출 결과는 향상되며, 마지막 방울이 떨어지기 까지의 시간은 감소된다.

Description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독일 특허 출원 제41 30 446호에는 탕비용 헤드가 커피 필터 위에 마련된 배출 구멍을 구비하여, 연속 흐름 가열기(continuous flow heater) 또는 물탱크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흘러 나가서 커피 필터의 상부 구멍으로 유입되어 구멍 아래에 위치된 가루 커피를 적시고 정분을 추출하는 커피 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커피 정분은 배출 구멍을 통하여 배출 구멍 아래에 배치된 커피 그릇으로 방출된다.
전술한 커피 머신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커피 머신에 있어서는 필터 요소가 종이로 제조되며, 필터 요소가 필터 하우징 안에 위치될 때 절두(截頭) 원뿔 형상을 가진다. 탕비 공정에서, 가루 커피에는 물이 충분히 균일하게 스며들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루 커피로 부터 정분은 적절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것은 커피 필터의 저부 구석 영역에 있는 정분이 추출되지 않았거나 불충분하게 추출된 커피 찌꺼기로서 종종 인식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전기 커피 머신에 사용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이 필터는 독일 특허 출원 제20 34 409호에도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이 실례에서, 예컨대 커피 가루가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탕비되는 경우, 가루 커피는 정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뜨거운 물이 필터 요소의 저부 영역의 구석구석으로 적절히 이송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탕비 공정(brewing process)에 있어서, 물이 튀기는 방식(splash-like)으로 커피 가루에 주입되기 때문에, 커피 가루가 반복적으로 흩날려서(whirled up) 커피 가루의 미세한 성분이 표면 위에서 부유하다가 그 표면에 침적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결과, 뜨거운 물이 충분히 빠르게 커피 가루에 스며드는 것이 억제되며, 이에 따라 정분 추출 시간이 길어진다. 탕비 공정의 종료시에, 드립핑 시간(dripping time)이 시작되는데, 이 드립핑 시간은 압축된 커피 가루를 통하여 물이 너무 느린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다소 오래 걸린다. 또한, 너무 많은 커피 가루가 구석과 엣지에 모여서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다.
또한, 독일 실용신안 제7037082호는 컵의 구멍에 걸려있는 원뿔형 필터 요소를 개시한다. 이 경우, 필터 요소의 날카로운 원뿔 구조 때문에 덜 바람직한 정분 추출이 이루어진다.
독일 특허 출원 제15 79 354호는 종이로 제조된 필터 요소가 필터 하우징의 구멍에 배치되는 필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필터 요소는 필터 하우징에 형성된 리브(ribs)의 내부면과, 립 사이의 홈 영역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되며, 이제까지의 커피 머신에 있어서 자주 있는 일이지만, 립은 필터 요소로부터 여과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것은 주로 젖은 필터 종이때문에 통상적으로 휘어져서 필터 외부면의 대부분이 폐쇄되기 때문이다. 필터 요소의 저부가 오목한 구조인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상기 필터 요소의 저부는 필터 요소의 리브와 홈에 지지되어, 리브와 홈이 필터 요소의 외부면을 둘러싸기 때문에 추출된 커피 정분이 필터 요소 밖으로 흐르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4,656,932호에는 하향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그릇 형태(bowl-shaped)의 필터 요소가 삽입되는 리세스(recess)가 마련된 그릇 형태의 필터 하우징이 개시되어 있다. 필터 요소의 외측면은 요철형이다(undulated). 필터 요소는 필터 하우징의 저부 및 측벽과 맞닿아서 커피액의 외부 흐름은 이 경우에 또한 억제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물이 필터 요소에 도달할 때까지 커피 가루에 침투하여 퍼져야 하는 거리는 하향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필터 요소의 그릇 형태의 구조 때문에 차이가 난다.
미국 C- 제3,089,405호에는 탕비 음료(brewed beverage)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전술한 타입의 커피 머신용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필터 장치는 물 파이프, 소위 링 파이프의 링 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링 파이프의 외측에서 여과지는 자유로이 현가된다. 여과지는 가루 커피로 채워질 수 있으며, 뜨거운 물이 여과 목적으로 필터 구멍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정분이 추출되는 물질로부터 추출 물질을 취한 후(추출 공정), 뜨거운 물은 환형 물 파이프의 개방 단부를 통하여 유입되어 여과지의 외측벽에서 자유롭게 흘러나간다. 커피액은 그 아래에 위치된 용기에 모인다.
여과지를 삽입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유지 수단으로 필터 받침대(filter support)에 부착시킨다. 이를 위해서, 탄성 스트립 또는 탄성 끈(elastic cord)은 여과지의 구멍과 함께 여과지의 상단부에서 연장하며, 상기 스트립 또는 끈은 필터 받침대로서 구성된 링 파이프의 둘레에서 외측으로부터 당겨진다. 링 파이프 위에서 여과지의 확장된 구멍이 느슨해진 후에, 탄성 끈은 조여지며, 이에 따라 링 파이프 위의 여과지의 지름은 링 파이프의 둘레 부분보다 작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과지는 탕비 공정 중에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것이 링 파이프에 부착된다.
여과지를 링 파이프에 맞추는 것이 복잡한 것은 별개로 하더라도(여과지의 구멍이 링 파이프의 외측면에 걸쳐서 아래로부터 당겨질 때까지 탄성 끈을 팽창시킴으로써 개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터 요소가 탄성 끈에 의하여 필터 받침대에 유지될 때 탄성 스트립 또는 탄성 끈을 여과지의 상단부로 잡아끄는 것도 또한 매우 복잡하다.
탕비 음료를 제공하는 머신에 여과지를 부착하는 이러한 방법은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숙련되었느냐에 달려있고, 필터 요소의 구멍이 링 파이프의 위로 연속적으로 미끄러지게 확장하고 그 후에 필터 요소의 종방향 축선이 거의 수직하게 연장하도록 필터 요소가 필터 받침대에 정렬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다. 부적절하게 설치하면, 원뿔형 여과지가 횡방향으로 현가되거나, 찢어지거나 심지어는 필터 받침대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쉽게 발생하는데, 여과지가 떨어지면 사용자가 심각한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특히 필터 요소에 맞는 탄성 끈 또는 고무 링을 이용해야 하는 필연성과 고무 링을 여과지에 장착함에 따른 복잡성으로 인하여 불편하며, 각각의 낱장 여과지의 가격을 상승시킨다. 특히, 커피를 하루에 여러번 끓일 경우 가격이 상승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필터 매체가 안정한 여과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만 이러한 타입의 여과지를 부착하는 것이 적용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며 가루 커피를 수용하는 필터 요소와 이 필터 요소 위에 마련되는 탕비(湯沸)용 헤드(brewing head)를 구비하고, 상기 탕비용 헤드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이 마련되며, 전기 온수기에 의하여 가열된 물은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필터 요소로 유입되어 커피 정분(精分)을 추출하며, 상기 필터 요소는 필터 하우징 내에 매달려 있는 전기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타입의 커피 머신과 취급이 용이한 커피 추출용 필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과 청구항 제16항의 특징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 장치는 필터 요소를 부착하는데 이용된다. 이것은 필터 요소를 취급하고 필터 요소를 커피 머신에 현가하는 것을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고정 장치는 커피 머신에 구비된 필터 하우징의 일부분이다(청구항 제2항). 청구항 제3항의 특징에 따르면, 커피 정분(精分)은 필터 요소 밖으로 흐르는 것이 방해받지 않고 전체 외측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흐를 수도 있다.
뜨거운 물이 필터 요소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상태로 필터 요소의 커피 가루를 가능한한 균일하게 추출하는 것은, 필터 요소가 최대로 큰 외측면을 제공하도록 오목하게 설계되고 또한 현가되었기 때문에(청구항 4항 참조) 달성된다. 물의 균일한 흐름에 기인하여, 커피 가루는 거의 흩날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뜨거운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커피 층(coffee bed)을 점차적으로 폐쇄하는 미세한 커피 입자가 커피 가루의 표면에 가라앉는 것이 억제된다. 추가로, 커피 가루는 과도하게 흩날리지 않으며 대략 연속적인 물의 흐름에 의하여 응축되어, 커피 가루는 상대적으로 침투성이 유지되며 좋은 추출 결과를 얻는다. 필터 요소는 자유로이 현가되어 있기 때문에, 커피 정분은 방해받지 않고 필터 요소로부터 흘러나갈 수 있고, 전체 외측면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흘러나갈 수도 있다.
청구항 제5항의 특징에 따르면, 탕비 공정(brewing process)에 있어서, 커피 가루는 필터 요소의 벽에 정착되어 다시 흩날리지 않게 되는데, 이는 미세 입자를 포화시켜서 커피층을 다소 불투과성으로 만든다. 뜨거운 물을 가능한한 연속적으로 필터 요소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연속 흐름 가열기(청구항 제7항 및 제8항) 또는 물탱크(청구항 제9항 및 제10항)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연속 흐름 가열기의 가열 용량은 충분한 양의 물이 구멍의 단면 치수에 따라 배출 구멍으로부터 대략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필터 시스템에서, 커피 정분은 필터 요소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균일하게 흘러나오기 때문에, 커피 정분이 필터 요소를 범람하는 것은 방지된다. 그 이유는 커피 층이 거의 균일하며 탕비 공정으로 인하여 압축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필터 요소로서 요철이 있는 표면(undulated surface)을 가진 여과지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것들의 엔벨로프 곡선(envelope curve)은 수용기를 향하여 외측으로 만곡된 오목한 표면을 제공하며 반구형 형태(청구항 제17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피 가루가 내측으로부터 균일하게 놓이는 매우 큰 여과 표면이 마련된다. 커피 층의 거의 전체 영역에서 온도가 거의 동일함을 보여주는 온도 측정으로 뜨거운 물이 커피 가루를 거의 균일하게 통과한다는 사실을 또한 알 수 있다. 어떤 영역을 뜨거운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이것은 종래의 상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뜨거운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영역의 온도가 상당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필터 요소는 약간 타원형일 수도 있으며 외측으로 만곡된 균일한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배출 구멍이 커피 머신의 탕비용 헤드에 있는 필터 요소 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커피 가루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표면이 넓은 살수(water shower)는 커피 가루를 흩날리게 하는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필터 요소가 오로지 여과지로만 제조된 경우, 필터 요소는 필터 요소를 커피 장치에 현수하는 고정 장치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그러나, 종이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종이 필터 요소는 격자 타입의 네트(grid-type net)로 둘러싸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청구항 제12항), 이 필터 요소는 오목하거나 구형이여서 필터 요소의 형상과 맞는다. 청구항 제13항에 따르면, 격자에는 고정 장치가 설치되며, 이 고정 장치를 매개로 필터 요소는 격자 위에 지지되며, 뒤이어 이 격자는 필터 받침대에 지지된다. 추출된 커피는 거의 방해받지 않고 필터 요소를 침투하여 그 외측으로 유출될 수도 있다(청구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청구범위의 제18항 내지 26항에 나타나 있다. 엣지는 청구범위의 제21항 내지 제26항에 따른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하나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반구형으로 도시되어 있는 필터 요소(1) 위에 탕비용 헤드(2, brewing head)가 있으며, 이 탕비용 헤드는 저부측에 상기 필터 요소(1)의 거의 중앙으로 연장하는 3개의 배출 구멍을 포함한다. 배출 구멍(3)은 3개 이외에도, 3개 초과 또는 3개 미만의 구멍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배출 단면은 상응하게 크거나 작아야 한다. 필터 요소(1)의 반경은 약 40 내지 70㎜이며, 바람직하게는 60㎜(12잔의 경우에), 배출 구멍은 약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또는 그 이하의 직경으로 배치되어 있다. 탕비용 헤드(2)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커피 머신의 일부분이다. 필터 요소(1)의 아래에는 커피 포트(4), 바람직하게는 손잡이(5)가 있는 유리 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커피 포트(4)의 구멍(6)은 중앙에 흡입 구멍이 있는 커버(7)에 의하여 덮여있다.
필터 요소(1)는 외측 상연부(9)에서 약간 원통형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며, 이 연부(9)에 비스듬히 연장하는 환형 칼라(10, annular collar)에서 끝난다. 환형 칼라(10)는 종이로 제조되며 필터 요소(1)와 합체되거나 또는 예컨대, 접합, 플랜지 결합, 열 고정, 코킹 또는 다른 다른 단순한 결합 형태에 의하여 필터 요소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1)의 수용 공간(11)은 커피 가루(12)를 포함하며, 이 커피 가루는 충전된 후에 일반적으로 쌓인다. 도면에서, 커피 가루(12)는 중앙 영역(31)에서 크레이터 형상의 오목부(13)를 가지며, 이 커피 가루는 탕비 공정 중에 유입되는 물(14)에 의하여 분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배출 구멍(3)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거의 반구형의 오목부(13)를 탕비 공정 중에 형성한다. 그러나, 개별적인 뜨거운 물 분사류(15)가 개별적인 국부 오목부(도시 생략함)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배출 구멍(3)이 나란히 배열되지 않고 원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이 오목부는 서로 약간 분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3)가 거의 반구형 인 경우에, 추출이 최고로 되며, 이에 따라 내측면(17)이 있는 커피 가루에 의하여 형성된 커피 층(16)은 필터 요소(1)의 구형 벽(18)을 따라간다.
커피 층(16)의 중앙 영역에는 약간 큰 정도로 홈이 파져서(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깊은 영역에서의 뜨거운 물의 침투 속도를 측방향 영역의 침투 속도에 맞춘다. 이것은 깊은 영역에서 물(14)의 높은 유체 정압에 기인하여, 물이 압축이 덜된 높은 측방향 영역에서 만큼 빠르게 이 영역에서 흘러 나가도록 커피 층(16)이 깊은 영역에서 가장 압축되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명백히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속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물의 최대 높이(19)는 커피 층(16)의 상부의 가장자리 영역(20, fringe area)을 초과하지는 않는다. 커피 기포(21)는 커피 가루(12)가 적셔지고 축축해질 때 생성되는 상승 거품에 기인하여 물높이의 표면에서만 형성된다. 뜨거운 물(14)은 본 발명의 필터 요소와, 이 필터 요소(1)에 뜨거운 물을 연속적으로 도입하고 실질적으로 매우 자유로이 현수되는 필터 요소(1)에 기인하여 매우 균일하게(큰 화살표(22)로 도시됨) 커피 가루(12)를 통과한다. 커피 가루(12)로부터 추출된 탕비는 필터 요소(1)로부터 흘러 나가는데, 이것은 작은 화살표(23)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탕비 커피의 하향 흐름(25)은 필터 요소(1)의 외측면(24)에서 형성되며, 탕비 커피가 필터 요소(1)의 가장 깊은 지점으로 흐르고 그 다음에 연결 분출부(26)로 모이는데 방해받지 않는다. 그 다음에, 이 분출부(26)는 덮개의 구멍을 통하여 음료가 모이는 포트(4)로 흐른다.
환형 칼라(10) 아래에, 필터 요소를 힌지시키는데 이용되는 고정 장치(28)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은 필터 요소(1)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하며 커피 머신 또는 수용기(4)에 필터 요소를 현수한다. 그러나, 환형 칼라(1)에 의하여 필터 요소(1)를 고정 장치에 현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고정 장치(28)는 커피 머신에 구비된 필터 하우징의 일부분이다.
탕비용 헤드(2)의 중심에 정렬된 배출 구멍(3)으로부터 분출된 물 분사류(15)가 때리는 지점에서 가루 커피(12)는 흐트러지며, 커피 가루(12)는 이러한 크레이터 또는 오목부(13)의 저부 영역에서 응축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여분의 커피 가루(12)는 비교적 느슨하게 유지되며 뜨거운 물의 배수를 좋은 배수 장치이다. 또한, 커피 가루(12)는 어려움없이 유지되어 커피 층(16)을 빠르고 완전하게 포화한다. 그 결과 커피 가루(12)는 잘 추출된다. 필터를 범람하는 것은 방지된다.
탕비 공정이 종료된 후에, 즉 뜨거운 물(14)이 배출 구멍(3)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자 마자, 뜨거운 물(14)은 필터 요소가 중공 상태가 될때까지 침투성 커피 가루(12)를 통과한다. 그리고 드립핑이 시작된다. 필터 요소(1)의 최하점(29)에 있는 필터 요소(1)의 외측면으로부터 몇 개, 즉 약 5 내지 8 방울이 드립된 후에, 마지막 방울은 떨어지지 않고 필터 요소(1)를 매개로 여과 표면에서 증발되고,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여 스폰지식 커피 층의 내측으로 흡수되어, 방울이 외측면(24)으로부터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스폰지식의 침투성 커피 층(16)에 기인하여, 드립핑 시간은 그전의 2 내지 3분과 비교할 때 상당히 줄어들어 약 30초의 속도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요소(1)에 의하여 특히 큰 작용 여과 표면(30)을 얻을 수 있으며, 필터 요소(1)의 볼록 구조 또는 원형 구조로 인하여 필터 요소(1)의 커피 가루(12)를 분배하며 이에 따라 동일한 추출 방법이 내측벽(18)에 수직한 모든 방향으로 적용된다. 말하자면, 물을 크레이터 형상의 오목부(13)로부터 커피 가루(12)를 통하여 이송하는 방법은 모든 점에서 거의 동일하다. 그 결과 종래의 여과 공정에 비교하여 컵의 숫자는 같은 상태로 여과 공정은 매우 짧아지며, 이 공정은 약 2 분 내지 3분이 걸리며 경제적이다.

Claims (26)

  1. 필터 하우징(28)에 의하여 지지되며 커피 가루(12)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 요소(1)와, 이 필터 요소(1) 위에 마련되는 탕비용 헤드(2)를 구비하며, 상기 탕비용 헤드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3)이 마련되며, 전기 온수기에 의하여 가열된 물은 이 배출 구멍을 통하여 필터 하우징(28)에 현수된 필터 요소(1)로 흘러가서 커피 정분(精分)을 추출하는 전기 커피 머신에 있어서,
    외측 상연부(9)에서 필터 요소(1)는 이 연부(9)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하는 환형 칼라(10)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요소는 여과지로 제조되며, 필터 요소(1)를 지지하는 고정 장치(28)는 환형 칼라(10)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28)는 커피 머신에 구비된 필터 하우징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1)는 커피 머신의 고정 장치(28)에 자유로이 현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추출 영역에서 거의 오목한 구조를 가지며, 탕비용 헤드의 배출 구멍(들)은 필터 요소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며, 필터 요소의 외측벽은 필터 요소의 벽을 통하여 유출되는 탕비 음료가 외측벽에서 흘러나가는 것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배출 구멍과 뜨거운 물 공급부의 단면은 뜨거운 물이 거의 연속 흐름으로 배출되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을 저장하는 중간의 저장 탱크를 탕비용 헤드에 설치하고, 중간의 저장 탱크의 저부는 하나 이상의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자동 이송식 연속 흐름 가열기(self-feeding continuous flow heater)가 온수기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흐름 가열기는 1200 내지 2000 와트, 바람직하게는 1600 와트의 열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9.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를 구비한 물 탱크가 온수기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탕비용 헤드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탕비용 헤드의 아래에 설치되며, 전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펌프는 탕비용 헤드로 유도되는 뜨거운 물 공급선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1)는 필터 요소의 형상에 맞는 네트-형 격자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메시 크기가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내부식성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피 머신.
  16. 필터 요소의 외측면은 오목한 구조의 엔벨로프 곡선(envelope curve)을 가지는 전기 커피 머신 또는 티 머신에 사용되는 필터 요소에 있어서,
    외측의 상연부(9)에서 필터 요소(1)는 상연부(9)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하는 환형 칼라(10)를 구비하며, 필터 요소는 여과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거의 반구형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18. 제1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1) 연부(9)의 상부 영역은 원뿔형으로 외측으로 확장하며, 반경 외측으로 향하는 환형 칼라(10)는 계속적으로 원뿔형으로 확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부분의 내측벽의 반경(r)은 약 3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0㎜의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저장될 커피 정분의 양은 최대 12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0. 제16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는 단지 여과지로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두 부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2. 제21항에 있어서, 환형 칼라(10)가 필터 요소(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3. 제21항에 있어서, 환형 칼라(10)는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4. 제21항에 있어서, 환형 칼라(10)는 플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5. 제21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1)의 환형 칼라(10)는 열 고정되거나, 환형 칼라(10)는 필터 요소에 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26. 제25항에 있어서, 환형 칼라(10)는 필터 요소(1)에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요소.
KR1019980707123A 1996-03-12 1997-03-11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KR19990087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9561.1 1996-03-12
DE19609561A DE19609561A1 (de) 1996-03-12 1996-03-12 Kaffeemaschine sowie Filterelement hierz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660A true KR19990087660A (ko) 1999-12-27

Family

ID=778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123A KR19990087660A (ko) 1996-03-12 1997-03-11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06655A (ko)
EP (1) EP0893960B1 (ko)
KR (1) KR19990087660A (ko)
AT (1) ATE218830T1 (ko)
AU (1) AU2287497A (ko)
CA (1) CA2247833A1 (ko)
DE (2) DE19609561A1 (ko)
PL (1) PL328657A1 (ko)
WO (1) WO19970335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41B1 (ko) * 2011-08-31 2013-07-26 김교전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25307A1 (en) * 2002-05-06 2003-11-17 Bunn-O-Matic Corporation Spray head
DE602004030554D1 (de) * 2003-03-21 2011-01-27 Lg Electronics Inc Mikrowellenofen mit kaffeemaschine
CA2526280C (en) * 2003-05-19 2013-12-03 Aroma Fresh, Llc Coffee brewer
US7340991B2 (en) * 2003-05-19 2008-03-11 Aroma Fresh, Llc Coffee brewer
US20050051478A1 (en) * 2003-09-10 2005-03-10 Basil Karanikos Beverage filter cartridge
US7472643B2 (en) * 2004-12-31 2009-01-06 Whirlpool Corporation Disposable flavor insert for water dispenser
FR2885289B1 (fr) * 2005-05-04 2010-09-10 Seb Sa Machine a caf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nfection de mousse
WO2007059275A2 (en) * 2005-11-16 2007-05-24 Conair Corporation Improved hot beverage apparatus
US9084511B2 (en) 2009-10-22 2015-07-21 Bunn-O-Matic Corporation Flexible spray head
JP6293587B2 (ja) * 2014-06-27 2018-03-14 株式会社小野測器 流量計校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537C (de) * E. SCHLESINGER in Pforzheim Federring
US857676A (en) * 1906-08-02 1907-06-25 Charles S Rogers Coffee-making device.
US1165480A (en) * 1915-05-21 1915-12-28 Robert T Wood Coffee-pot.
US1972264A (en) * 1931-11-21 1934-09-04 Millie Patent Holding Co Inc Receptacle
US1961947A (en) * 1933-10-30 1934-06-05 Edward H Sieling Urn bag
CH241385A (de) * 1944-09-28 1946-03-15 Grueter Hans Kaffee-Filtriervorrichtung.
US3089405A (en) * 1962-01-26 1963-05-14 Lionel D Ackerman Coffee brewing element
CH453619A (de) * 1965-01-22 1968-03-31 Hugentobler Max Filtriergerät, insbesondere für Kaffee
DE1579354A1 (de) * 1965-01-22 1969-10-02 Max Hugentobler Filtriergeraet,insbesondere fuer Kaffee
US3446624A (en) * 1967-07-28 1969-05-27 William David Luedtke Disposable coffee drip brewer
DE1974198U (de) * 1967-08-18 1967-12-07 Oswald Brunn Kaffeefilteraufsatzgeraet mit nachlaufautomatik, mass- oder abdeckschale.
FR1562008A (ko) * 1968-01-03 1969-04-04
DE2034309A1 (de) * 1970-07-10 1972-01-27 Jacobs Joh & Co Filtereinsatz für Filtertrichter
GB2028675A (en) * 1978-08-25 1980-03-12 Winberg R Improved beverage filter
US4656932A (en) * 1985-07-08 1987-04-14 Earl Kopp Coffee filter ring
DE4130446A1 (de) * 1991-09-13 1993-03-25 Braun Ag Bruehgetraenkemaschine
ES1021256Y (es) * 1992-05-12 1993-03-16 Penalba Corpas Miguel Angel Filtro dosificador para cafeteras express industriales o domesticas.
JPH07275127A (ja) * 1994-04-08 1995-10-24 Sasaki Tsusho Kk 濾 紙
US5865094A (en) * 1996-02-13 1999-02-02 Kealy; Michael J. Filtered beverage m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41B1 (ko) * 2011-08-31 2013-07-26 김교전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707509D1 (de) 2002-07-18
US6006655A (en) 1999-12-28
DE19609561A1 (de) 1997-09-18
EP0893960B1 (de) 2002-06-12
WO1997033508A1 (de) 1997-09-18
PL328657A1 (en) 1999-02-15
AU2287497A (en) 1997-10-01
EP0893960A1 (de) 1999-02-03
ATE218830T1 (de) 2002-06-15
CA2247833A1 (en) 199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8083B1 (en) Filter holder for coffee cartridges
US4921712A (en) Automatic low volume beverage brewing system
US6279460B1 (en) Tea brewing funnel
AU2001289907B2 (en) Coffee maker
CA236276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a fluid extract using an inclined filter pouch containing flavor extractable particles
US4149454A (en) Coffeemaker basket and filter assembly
US5582730A (en) Coffee filter unit having a filter basket and a detachable distributing cover
US4527467A (en) Filter device for making tea
US4867880A (en) Brewing device
AU2001289907A1 (en) Coffee maker
KR19990087660A (ko) 커피 머신과 이 커피 머신용 필터 요소
PL182757B1 (pl) Ekspres przelewowy do zaparzania kawy, herbaty lub podobnych napojów
CA2908568A1 (en) Adapter for use in a coffee machine
US6138551A (en) Filter device
US20050005774A1 (en) Holder for coffee pod
US2780162A (en) Coffee extractors
US3451330A (en) Drip coffee maker
JPS5941766Y2 (ja) コ−ヒ−沸し器
CA1100322A (en) Coffeemaker basket and filter assembly
EP0806167B1 (en) Assembly for preparing coffee
USRE27959E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2241990A (en) Commercial coffee urn
JPS5817539Y2 (ja) コ−ヒ−、紅茶等の抽出器用補助具
JPS5812670Y2 (ja) コ−ヒ−沸し器
RU98118917A (ru) Кофеварка, а также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к 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