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411A -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접속 과정 및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접속 과정 및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411A
KR19990087411A KR1019980706827A KR19980706827A KR19990087411A KR 19990087411 A KR19990087411 A KR 19990087411A KR 1019980706827 A KR1019980706827 A KR 1019980706827A KR 19980706827 A KR19980706827 A KR 19980706827A KR 19990087411 A KR19990087411 A KR 1999008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ode
dial
recipient
dia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183B1 (ko
Inventor
토마스 덴네르트
Original Assignee
데테모빌 도이췌 텔레콤 모빌네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테모빌 도이췌 텔레콤 모빌네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테모빌 도이췌 텔레콤 모빌네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8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12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45Customizing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e.g. friends or fami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9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using Intelligent Networks [IN] or Advanced Intelligent Networks [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08Configuration, initialisation
    • H04Q3/54533Configuration data, translation, passwords,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08Customization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e.g. customer preferences, friends and family, selecting services or billing option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P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6Billing using Intelligent Networks [IN] or Advanced Intelligent Networks [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84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volume discounts, cell discounts, group billing, frequent calling destination(s) or user history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20Technology dependant metering
    • H04M2215/2026Wireless network, e.g. GSM, PCS, TA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32Involving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3Metering,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13UPT - personal as opposed to terminal mobility, inc. number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에서 가입자가 개인적으로 선택한 특정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접속하는 과정 및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에 관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가입자가 통신망 운영자에게 제한된 수의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알리면, 이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대해 특수한 요율이 적용된다. 이때 가입자 스스로가 통신망 내부의 서비스 코드를 선택함으로써 통신망의 서비스 제어국(SCP; service control point)에 설치된 데이터 뱅크에 개인적으로 선택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파일하고, 데이터 뱅크에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가입자가 임의의 빈도로 다이얼링할 수 있는 단축 다이얼 코드가 할당된다. 이때 단축 다이얼 코드를 다이얼링하면 데이터 뱅크에서 해당 수신자 다이얼 코드가 파악되고, 수신자 다이얼 코드와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축 다이얼 코드을 이용해 다이얼링한 모든 통화는 이 단축 다이얼 코드에 할당된 특수한 요율로 요금이 정산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접속 과정 및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
수많은 통신망에서 가입자 개인이 지정한 수신자에 대한 통신 접속에는 특수한 요율, 가령 보다 유리한 요율을 적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일반적으로 가입자가 자신의 통신망 운영자에게 특수한 할인 요율을 적용할 개별적인 다이얼 코드를 알림으로써 이 다이얼 코드에 대한 통신 접속에 할인 요율을 적용받게 된다. 이 경우 네크워크 운영자는 가입자가 전달한 데이터를 파악해서, 요금 정산 시스템에 접수해야 한다. 통신망 내에 가입자의 통화/요금 데이터가 수집되면, 요금 정산 시스템을 통해 이 데이터들을 평가한다. 이때 등록된 고객 정보를 근거로 고객이 선택한 수신자에 대한 적절한 요금이 정산된다. 이때 고객이 지정한 다이얼 코드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통신망 운영자에게 막대한 행정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요금 정산 시스템 내부에 사용할 특수한 처리 루틴의 개발이 요구된다.
종래의 과정들은 가입자의 입장에서도 몇 가지 단점을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입자 스스로가 할인 요율을 적용받도록 선택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변경하는 일은 드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자가 통신망 운영자에게 원하는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변경할 때마다 구술로 혹은 문서를 통해 이 사실을 통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변경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로 즉시 변경, 연결되지 않고, 지연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 개념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에서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한 특정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접속하는 과정 및 이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데이터 통신망에서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한 특정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접속하는 과정 및 이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을 제안하는 것으로, 이 과정은 종래의 과정들에 비해 훨씬 고객 지향적이고, 통신망 운영자에게도 관리 및 요금 정산을 위한 행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 설명 부분에 언급한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가입자에게 가입자 스스로가 자주 이용하는 개별적인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통신망의 데이터 뱅크에 파일해서, 이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간단한 선택 절차를 거치면 이 다이얼 코드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는 것을 기초로 한다. 데이터 엔트리(data entry)를 위해, 다시 말해 원하는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가입자는 자신이 통상 사용하는 선택 절차를 거쳐 통신망 내부에 지정된 서비스 코드를 호출한다. 이때 첫 번째 실시예에서는 선택 정보에 서비스 코드 외에 프로그래밍할 수신자 다이얼 코드도 포함되는데, 이 수신자 다이얼 코드가 가입자별 데이터 뱅크에 파일된다. 서비스 코드를 다이얼링하면 통신망 내에서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으로 접속된다. 가입자가 통신망에 접수된, 자신의 다이얼 코드로 데이터 뱅크 엔트리를 수행하면 이와 동시에 특수한 할인 요율이 적용될 수신자 다이얼 코드가 파일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가입자가 서비스 코드를 입력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만을 선택하고, 수신자 다이얼 코드는 음성 응답 장치 등을 통해 질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입자는 서픽스 다이얼링(suffix dialing)을 통해 원하는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선택한 서비스 제어국(SCP; Service Control Point)의 데이터 뱅크에 가입자 개인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같은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 운영자에게 사전에 통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같은 방식으로 가입자가 통신망에서 데이터 뱅크 엔트리를 수행한 후, 가입자는 입력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할당된 단축 다이얼 코드를 이용해서 임의의 빈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축 다이얼 코드는 사전에 알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고, 데이터 뱅크 엔트리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서비스 코드에 변경할 수 없도록 할당되어 있다. 이때 단축 다이얼 코드를 이용해서 전화를 걸면 그때마다 전문화된 네트워크 장치로 접속된다. 그러면 이 장치는 가입자 다이얼 코드를 이용해서 데이터 뱅크에서 단축 다이얼 코드에 저장된 가입자 엔트리를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엔트리에 할당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로 수신자 회선 접속 장치에 다시 접속한다.
이로써 결국 전화를 거는 가입자와 호출된 통화 상대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서비스 논리(service logic)를 처리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가입자에게 눈에 띄는 통화 접속 지연은 발생하지 않는다. 가입자가 다이얼링한, 네트워크를 통해 지정된 서비스 코드가 수신자 회선 접속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코드보다 훨씬 더 짧을 수도 있다.
가입자가 전화를 거는 다른 모든 접속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접속을 위해서도 통화 데이터 레코드를 기록한다. 이 통화 데이터 레코드로 접속에 대한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통화 데이터 레코드에 특별히 선택한 다이얼 코드, 즉, 서비스 코드가 목표 정보(target information)로서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요금 정산 시스템은 이 접속에 대해 특수한 요율을 할당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과정은 간단한 가입자별 요금 정산 절차를 가지고 가입자 개인이 지정하는 바에 따른 지적인 다이얼 코드 변환(intelligent conversion of dial codes)의 가능성들을 연계시킨다. 여기서 가입자는 통신망 운영자를 통한 행정 절차 없이 스스로 통신망 내에 자신의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동시에 이 과정은 가입자에게 통신망에서 관리하는 단축 다이얼 코드를 통해 자주 통화하는 통화 상대에게 다이얼링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매커니즘을 통상적인 요금 정산 시스템에 기초한 과정들과 연계함으로써 가입자가 지정한 수신자에 대한 특수한 요금 정산 체계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은 특별한 하드웨어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접속을 위해 수신자 다이얼 코드와 발신자 다이얼 코드를 전송하는 임의의 통신망과 통신 시설을 지원한다. 이같은 예로 특히 ISDN(ISUP)나 TUP 신호를 이용하는 공중망과 Q-SIG나 ISDN(DSS1) 신호를 이용하는 전용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R2, IKZ50 선택 절차를 가진 이전의 네트워크들도 원칙적으로 적합하다. 이때 공중망 및 전용망은 아날로그 전송 방식과 디지털 전송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고, 전화 통화(telephony)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유선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도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의 서비스 논리는 중앙의 서비스 제어국과 서비스 데이터 뱅크를 기초로 한다. 서비스 데이터 뱅크는 통신망의 교환국과 통신하면서 통신망을 제어한다. 이같은 기초를 전형적으로 변환한 것이 IN(Intelligent Network(지능망)) 기술이다.
이제 한 가지 예를 통해 표 1, 2와 도 1, 2를 가지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예는 GSM 표준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가입자가 원하는 특수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등록된다:
단계 1:
다이얼 코드(R)를 가진 가입자가 프로그래밍을 위한 서비스 코드(P1)를 선택하고, 이어 수신자 다이얼 코드(Z1)를 선택한다. 가장 인접한 가입자 교환국에 IN 기능(IN functionality)이 없으면, 서비스 코드(P1)가 우선 적절한 IN 교환국을 어드레싱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가입자 회선 접속 장치(이 경우 무선 네트워크의 공중 인터페이스)와 IN 교환국(IN-SSP) 사이를 교환한다.
이 예에서:
다이얼 코드가 0171-xx...인 가입자가 가령 서비스 코드 01704를 선택하고, 이어 수신자 다이얼 코드 0228-yy...를 선택한다.
단계 2:
IN 교환국(IN-SSP)에서 선택된 서비스 코드(P1)를 인식하고, 이어 모든 중요한 정보들, 즉, 가입자 다이얼 코드(R)와 수신자 다이얼 코드(Z1)를 가지고 신청 사항이 IN-SCP(Service Control Point(서비스 제어국))에 전송된다.
이 예에서:
통합 GSM/IN 교환국에서 선택된 서비스 코드 01704를 인식하고, 이어 모든 중요한 정보들, 즉, 가입자 다이얼 코드 0171-xx...와 수신자 다이얼 코드 0228-yy...를 가지고 신청 사항이 IN 서비스 제어국에 전송된다.
단계 3:
서비스 제어국(SCP)이 서비스 코드(P1)에 의해 지정된 서비스를 인식한다. 우선 다이얼 코드(R)를 가진 가입자에게 이미 데이터 뱅크 엔트리가 수행되었는지 파악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 가입자를 위해 새로운 데이터 뱅크 엔트리가 수행된다. 이때 데이터 뱅크에 파일된 전역 표(global table)를 이용해서 가입자가 가질 수 있는 1부터 m까지의 엔트리 중 어느 엔트리에 관한 것인지 파악한다.
이 예에서:
서비스 제어국은 서비스 제어국의 데이터 뱅크에서 가입자 0171-xx...를 위한 가입자 엔트리를 수행한다. 이 엔트리를 통해 첫 번째 단축 다이얼 코드(N1)(=예를 들어 01701) 하에 수신자 다이얼 코드 0228-yy...가 저장된다.
표 1: 프로그래밍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한 코드 분류
엔트리 번호 프로그래밍을 위한 서비스 코드 단축 다이얼 번호(이용을 위한 서비스 코드)
1 1704 1701
2 P2 N2
... ... ...
m Pm Nm
그런 다음 서비스 제어국(SCP)은 서비스 제어국의 데이터 뱅크에서 다이얼 코드(R)를 가진 가입자를 위해 새로운 가입자 엔트리를 수행한다(표 2). 이 엔트리를 통해 표 1에서 찾아낸 엔트리 번호 1에 따라 첫 번째 수신자 다이얼 코드로서 수신자 다이얼 코드(Z1)(=0228-yy...)를 저장한다. 그 결과 가입자별로 이루어지는 영구적인 데이터 뱅크 엔트리가 IN 서비스 제어국의 데이터 뱅크에 생성된다.
표 2: 가입자 데이터 뱅크. 가입자별 엔트리를 위한 데이터 뱅크의 구조
가입자 번호 수신자 전화 번호 1 수신자 전화 번호 2 수신자 전화 번호 ... 수신자 전화 번호 m
0171-xx... 0288-yy... Z2 ... Zm
... ... ... ... ...
... ... ... ... ...
... ... ... ... ...
단계 4:
교환국의 IN-IP(Intelligent Peripheral(지적 주변기기))가 가입자를 위한 확인 메시지를 생성해서, 데이터 뱅크 엔트리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고, 입력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Z1)에 할당된 단축 다이얼 코드(N1)를 불러준다.
이 예에서:
교환국의 IN-IP는 예를 들어 "감사합니다. 귀하의 수신자 다이얼 코드 0228-yy...가 등록되었습니다. 이제 귀하는 01701을 선택해서 이 코드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가입자를 위해 대체 조작 표면(alternate operating surface)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가입자가 서비스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입자가 우선 예를 들어 01704 등의 짧은 서비스 코드만을 선택하고, 이 서비스 코드로 IN 서비스가 시작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가입자는 지능망(지적 주변기기)의 음성 응답 기능을 통해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입력하도록 요구받는다. 일반적으로 이같은 입력은 테이프로 전송되는 DTMF 다이얼 톤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앞서 언급한 단계 2-4에 따라 IP를 통해 호출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IN 서비스 제어국에서 처리한다.
도 2에 따라 가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한다:
단계 1:
다이얼 코드(R)를 가진 이동 통신 가입자가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할당된 서비스 코드(N1)를 선택한다. 가입자 교환국에 IN 기능이 없으면, 이 서비스 코드가 우선 적절한 IN 교환국을 어드레싱하는 역할만을 함으로써, 가입자 회선 접속 장치(이 경우 무선 네트워크의 공중 인터페이스)와 IN 교환국(IN-SSP) 사이를 연결한다.
이 예에서:
다이얼 코드가 0171-xx...인 이동 통신 가입자는 단축 다이얼 코드 01701을 선택한다.
단계 2:
IN 교환국에서 선택된 서비스 코드(N1)를 인식하고, 이어 중요한 정보들(서비스 코드(N1)와 가입자 다이얼 코드(R))를 가지고 신청 사항이 IN 서비스 제어국에 전송된다.
이 예에서:
통합 GSM/IN 교환국에서 선택된 단축 다이얼 코드 01701을 인식하고, 이어 모든 중요한 정보들을 가지고 신청 사항이 IN 서비스 제어국에 전송된다.
단계 3:
표 1(위를 보라)을 근거로 서비스 제어국이 여기서 설명되는 서비스와 첫 번째 수신자 다이얼 코드(Z1)의 이용이 신청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이어 가입자 데이터 뱅크에 관한 표 2로부터 다이얼 코드(R)를 위한 엔트리에 있는 가입자 데이터에 의해 첫 번째 수신자 다이얼 코드(Z1)가 조회된다. 서비스 제어국이 이 다이얼 코드로 다이얼 코드(Z1)를 가진 가입자에게 다시 통화 연결을 시작한다.
이 예에서:
서비스 제어국은 가입자 다이얼 코드 0171-xx...에 속한 가입자 엔트리를 검색한다. 검색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서비스 제어국이 가입자 엔트리에서 단축 다이얼 코드 01701에 할당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 0228-yy...를 판독해서 다시 접속을 시작한다.
단계 4:
이어 IN 교환국이 전호를 거는 가입자와 수신자 다이얼 코드(Z1)를 접속한다.
이 예에서:
따라서 수신자 다이얼 코드로서 서비스 제어국과 교환국에 의해 수신자 다이얼 코드 0228-yy...가 다이얼링된다.
전화를 걸어 접속을 할 때마다 뿐만 아니라 단축 다이얼 코드를 이용해서 접속을 하는 경우에도 통신망에서 통화 데이터 레코드가 생성된다. 요금 정산 시스템은 이 데이터 레코드에 들어 있는 단축 다이얼 코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이용해서 접속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한다. 단축 다이얼 코드에 할당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따라, 그리고 필요한 경우 그밖의 다른 매개 변수에 따라 요율을 할당하는 것이 현대적인 요금 정산 시스템의 기본 기능이다. 따라서 수신자 다이얼 코드(Z1)와의 통화를 위한 선택 정보로서 이용된 서비스 코드 내지 단축 다이얼 코드(N1)에 특수한 할인 요율을 적용하고, 그 결과 고객에게 단축 다이얼 코드를 통해 이루어진 접속에 대해서는 특수한 요금 정산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의 장점은 통신망 운영자의 "능동적인" 개입 없이 가입자 스스로가 특수한 요율을 적용받기를 원하는 다이얼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은 저장된 데이터를 임의로, 그러나 가령 한 달에 2회 등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이동 통신망 뿐만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에도 적합하며, 통신망 운영자가 적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설치한 후에 통신망 운영자가 추가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현대적인 IN 교환 기술(IN switching technology)을 통해 여기에 필요한 전제 조건이 이미 충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관리 및 요금 정산, 판매 촉진을 위한 기존의 통합 교환 방식(integrated switching system)을 수정하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Claims (9)

  1. 가입자가 통신망 운영자에게 특수한 요율이 적용될 제한된 수의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알릴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에서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한 특정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접속하는 과정 및 접속에 대한 요금 정산 과정에 있어서,
    가입자 스스로가 통신망 내부의 서비스 코드를 다이얼링함으로써 통신망의 서비스 제어국(SCP)에 설치된 데이터 뱅크에 개인적으로 선택한 수신자 다이얼 코드를 파일하고,
    데이터 뱅크에서 수신자 다이얼 코드에 가입자가 임의의 빈도로 다이얼링할 수 있는 단축 다이얼 코드가 지정되되, 단축 다이얼 코드를 다이얼링하면 데이터 뱅크에서 해당 수신자 다이얼 코드가 파악되고, 수신자 다이얼 코드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단축 다이얼 코드를 통해 다이얼링한 모든 통화에 대해 단축 다이얼 코드에 할당된 특수한 요율로 요금이 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2. 제 1항에 있어서, 가입자가 자신이 선택한 다이얼 코드를 자신의 통신 단말기의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데이터 뱅크에 주로
    - 가능한 엔트리의 수(1-m),
    - 가입자를 통한 데이터 뱅크 엔트리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가능한 서비스 코드(P1-Pm),
    - 서비스 코드에 할당된 단축 다이얼 코드(N1-Nm)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글로벌 데이터 레코드가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4.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데이터 뱅크에 주로
    - 가입자의 다이얼 코드(R),
    - 가입자가 입력하고, 단축 다이얼 코드(N1-Nm)에 할당된 수신자 다이얼 코드(Z1-Zm)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별 데이터 레코드가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5.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데이터 뱅크 엔트리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가입자가 선택한 서비스 코드(P1-Pm)와 수신자 다이얼 코드(Z1-Zm)가 교환국(IN-SSP)에 의해 인식되고, 서비스 코드(P1-Pm)가 가입자 다이얼 코드(R) 및 수신자 다이얼 코드(Z1-Zm)과 함께 서비스 제어국(SCP)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6. 제 1항 내지 5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국에서 데이터 뱅크 엔트리가 수행되었는지 검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가입자 다이얼 코드(R)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 뱅크 엔트리가 시작되며, 데이터 뱅크 안에 수신자 다이얼 코드(Z1-Zm)가 연속하는 엔트리 번호(1-m) 하에 파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7. 제 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가입자가 선택한 단축 다이얼 코드(N1-Nm)가 교환국(IN-SSP)에 의해 인식되고, 단축 다이얼 코드(N1-Nm)가 가입자 다이얼 코드(R)와 함께 서비스 제어국(SCP)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8. 제 1항 내지 7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국(SCP)에서 가입자 다이얼 코드(R)와 단축 다이얼 코드(N1-Nm)를 이용해 데이터 뱅크에 저장된 해당 엔트리 번호(1-m)와 수신자 다이얼 코드(Z1-Zm)가 파악되고, 수신자 다이얼 코드(Z1-Zm)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9. 제 1항 내지 7항에 있어서, 요금 정산 시스템에 의해 단축 다이얼 코드(N1-Nm)를 이용해 이루어진 접속이 인식되고, 단축 다이얼 코드 및 필요하면 그밖의 다른 매개 변수를 고려해서 접속에 대한 요금이 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KR10-1998-0706827A 1996-03-05 1997-03-01 통신망연결설정및통신망연결요금정산방법 KR100452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8419A DE19608419C2 (de) 1996-03-05 1996-03-05 Verfahren zum Verbindungsaufbau und zur Abrechnung von Verbindungen in Telekommunikationsnetzen für bestimmte, vom Teilnehmer individuell auswählbare Zielrufnummern
DE19608419.9 1996-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11A true KR19990087411A (ko) 1999-12-27
KR100452183B1 KR100452183B1 (ko) 2005-01-27

Family

ID=778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827A KR100452183B1 (ko) 1996-03-05 1997-03-01 통신망연결설정및통신망연결요금정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269155B1 (ko)
EP (1) EP0885533B1 (ko)
JP (1) JP2000506336A (ko)
KR (1) KR100452183B1 (ko)
CN (1) CN1104818C (ko)
AT (1) ATE258358T1 (ko)
CZ (1) CZ288972B6 (ko)
DE (2) DE19608419C2 (ko)
ES (1) ES2214607T3 (ko)
HU (1) HU226651B1 (ko)
PL (1) PL183333B1 (ko)
WO (1) WO19970334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3680A1 (de) * 1997-05-22 2000-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abattierung von telekommunikationsdiensten
DE19735950C1 (de) * 1997-08-19 1999-04-22 Siemens Ag Mobil-Kommunikationssystem zur Vergebührung von Anrufen und Mobilstation
US6542733B1 (en) * 1998-10-15 2003-04-01 Openwa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telephone number dialing lists and dialing capabilities
DE19852845B4 (de) * 1998-11-10 2018-03-15 Vodafone Holding Gmbh Bonusbearbeitungsverfahren
GB0011832D0 (en) * 2000-05-18 2000-07-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and system for,providing reduced cost or free wireless service
US6678367B1 (en) * 2000-08-21 2004-01-13 SBC Properties, INC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lug-and-play downloading of speed dial lists
US6795535B1 (en) * 2000-11-01 2004-09-21 Intervoice Limited Partnership Using concurrently operating routines in telephony applications
US7110515B2 (en) * 2002-04-23 2006-09-19 Lucent Technologies Inc. Remembrance-promoted number receipt for call allowance
DE10343566A1 (de) * 2003-09-19 2005-05-04 Brunet Holding Ag Verfahren zur Abwicklung einer elektronischen Transaktion
US20080091612A1 (en) * 2006-10-17 2008-04-17 Kirk Joseph Witecha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I122996B (fi) 2007-05-10 2012-09-28 Teliasonera Ab Palveluun liittyvän pyynnön käsittel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004A (en) * 1987-03-13 1988-10-0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services method and apparatus
US5003584A (en) * 1990-04-16 1991-03-26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billing of value-added communication calls
US5181237A (en) * 1990-10-12 1993-01-19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on of telephone operator assistance calls
US5204894A (en) * 1990-11-09 1993-04-20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Personal electronic directory
US5182766A (en) * 1990-12-19 1993-01-26 At&T Bell Laboratories Generalized telecommunications customer signaling arrangement
AU8986091A (en) * 1991-01-11 1992-07-16 Strategic Telecom Access phone
US5325424A (en) * 1991-04-22 1994-06-28 Motorola, Inc. Method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wo devices
US5206899A (en) * 1991-09-05 1993-04-27 At&T Bell Laboratories Arrangement for outbound telecommunications
US5259026A (en) * 1991-12-18 1993-11-0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for speed calling automatic update
US5732132A (en) * 1992-05-11 1998-03-24 Canon Kabushiki Kaisha Telephone updating via network provided information
US5325421A (en) * 1992-08-24 1994-06-28 At&T Bell Laboratories Voice directed communications system platform
CA2078045C (en) * 1992-09-11 1999-11-16 Mark R. Sestak Global management of telephone directory
US5479494A (en) * 1992-10-05 1995-12-26 At&T Corp. Virtual calling card system
US5717738A (en) * 1993-01-11 1998-0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user defined spoken speed dial directories
CA2100699C (en) * 1993-07-16 1997-07-08 Deborah L. Pinard Portable telephone user profiles using central computer
FI98185B (fi) * 1993-08-26 1997-01-15 Finland Telecom Oy Menetelmä yhteyden muodostamiseksi
SG43099A1 (en) * 1994-03-02 1997-10-17 British Telecomm Charging for usage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719926A (en) * 1994-06-10 1998-02-17 Communications Product Development, Inc. Prepaid long-distance telephone service system with flexible operating parameters
EP0720395B1 (de) * 1994-12-30 2005-05-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rnmeldeverbindungen
JPH0936945A (ja) * 1995-07-24 1997-02-07 Sony Corp 電話装置
US5771279A (en) * 1995-07-31 1998-06-23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interacting with customer premises equipment
KR0154472B1 (ko) * 1995-11-21 1998-11-16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적응적인 특수서비스 사용절차 처리장치 및 방법
US5974133A (en) * 1996-04-30 1999-10-26 Southwestern Bell Technology Resour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across multiple lo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5533A2 (de) 1998-12-23
JP2000506336A (ja) 2000-05-23
DE19608419C2 (de) 1998-06-10
HUP9902910A3 (en) 2000-03-28
CN1104818C (zh) 2003-04-02
ATE258358T1 (de) 2004-02-15
PL328692A1 (en) 1999-02-15
PL183333B1 (pl) 2002-06-28
WO1997033439A2 (de) 1997-09-12
WO1997033439A3 (de) 1997-10-30
US6269155B1 (en) 2001-07-31
CZ288972B6 (cs) 2001-10-17
EP0885533B1 (de) 2004-01-21
HU226651B1 (en) 2009-05-28
CN1212814A (zh) 1999-03-31
KR100452183B1 (ko) 2005-01-27
DE19608419A1 (de) 1997-09-11
ES2214607T3 (es) 2004-09-16
CZ285198A3 (cs) 1999-01-13
DE59711235D1 (de)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8305A (en) Personal dial tone service with personalized caller ID
US5533108A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phone calls based on voice and data transport capability
US5206899A (en) Arrangement for outbound telecommunications
EP0711485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controlled call management services
US72602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lls based on identification of the calling party or calling line
US6404858B1 (en) Personal dial tone service with personalized call waiting
US7555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er control of a distinctive ring
US5978450A (en) Personal dial tone
US70467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rving telephone numbers
US60728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ing party control
JP3064627B2 (ja) サービス制御装置
JPH0865363A (ja) 電話の転送方法
JP2002528000A (ja) 個人電話番号のダイアリングリスト及びダイアリング性能をコントロー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52183B1 (ko) 통신망연결설정및통신망연결요금정산방법
US6069946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providing a calling party control service
US6256380B1 (en) Methods for processing operator service system calls
EP0792559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 traffic signals carrying information
JP2994838B2 (ja) 回線交換方法
JP2000232524A (ja) サービス制御装置
AU3112797A (en) A method relating to a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