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168A -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168A
KR19990086168A KR1019980019029A KR19980019029A KR19990086168A KR 19990086168 A KR19990086168 A KR 19990086168A KR 1019980019029 A KR1019980019029 A KR 1019980019029A KR 19980019029 A KR19980019029 A KR 19980019029A KR 19990086168 A KR19990086168 A KR 1999008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sub
pixels
scanning direction
main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331B1 (ko
Inventor
오향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331B1/ko
Priority to US09/320,287 priority patent/US6415064B1/en
Priority to DE19924144A priority patent/DE19924144C2/de
Publication of KR1999008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7Image rotation
    • H04N1/3878Skew detection or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6Aligning or centring of the image pick-up or image-field
    • G06V30/1475Inclination or skew detection or correction of characters or of image to be recognised
    • G06V30/1478Inclination or skew detection or correction of characters or of image to be recognised of characters or characters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틀린 형태로 입력되어 판독된 원고의 형태를 바로 잡아 팩스 전송시 또는 광학문자판독기(OCR)에서 사용할 때에 전송효율이나 인식효율을 높이기 위한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독취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의 부주사방향의 두 지점부터 원고 구별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화소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해당하는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판독된 비틀림 보정 정보와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저장된 한 페이지 원고의 모든 부주사 라인에 대해 주주사방향으로 부주사 한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 화상의 비틀림에 따른 비틀림 각 연산이나 검출된 비틀림 각에 따라 원고화상을 회전시켜 주는 복잡한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처리과정을 통하여 비틀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여 저가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원고 비틀림각 보정을 가능하게 해 제품 원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틀어진 형태로 입력되어 판독된 원고의 형태를 바로 잡아 팩스 전송시 또는 광학문자판독기(OCR)에서 사용할 때에 전송효율이나 인식효율을 높이기 위한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원고를 독취하여 독취된 원고 화상 데이터를 가지고 특정 데이터 처리를 하는 여러 종류의 원고화상처리장치들이 존재한다.
원고화상처리장치의 종류를 살펴보면, 독취된 원고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전송하는 팩시밀리와,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캐너와, 원고를 독취하여 원고의 문자를 인식하는 광학문자판독기(OCR)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원고화상처리장치에서 원고가 비틀려서 판독된 경우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는데 팩시밀리를 통해 이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팩스 메시지 전송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팩시밀리의 스캐너는 사용자가 삽입한 원고를 독취하고, 원고 독취시 발생한 화상신호를 이치화 화상데이터(binarization image data)로 변환하여 팩시밀리의 중앙처리장치에 제공한다. 중앙처리장치는 이치화 화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다. 이후, 중앙처리장치는 CCITT(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T.4 권고 안에 따르는 MH, MR, MMR 등의 코딩방식에 따라 이치화 화상데이터를 코딩하여 압축한다. 여기서, 압축된 이치화 화상데이터를 팩스 메시지라고 한다.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팩스메시지를 전화라인을 통하여 상대측 팩시밀리로 송출한다.
원고독취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도시한 원고가 팩시밀리에 삽입되면 팩시밀리는 원고를 부주사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스캐너는 주사방향의 독취라인에 해당하는 원고부분을 독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주사방향으로 원고의 종단까지 독취함으로써 원고 한 장의 완전한 독취가 이루어진다.
한 독취라인의 화상과 그에 따른 화상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이 도 2이다. 도 2에서 화상의 흑화소(black pixel)는 '1' 데이터로 백화소(white pixel)는 '0' 데이터로 각각 대응한다. 도 2에서 한 독취라인의 화상은 2개의 흑화소, 6개의 백화소, 6개의 흑화소, 7개의 백화소, 3개의 흑화소, 3개의 백화소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화상데이터도'110000001111110000000111000"으로 구성된다.
이하, 전술한 화상데이터를 다수의 압축코딩 방식 중에 MH코딩방식으로 코딩하여 압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MH 코딩방식은 런-랭스-코딩(Run-Length-Coding)이라고 불리는 1차원 코딩방식에 따른다. 런-랭스-코딩방식이란 화상데이터에서 같은 값의 화상데이터가 연속되는 수에 대응하는 코딩데이터를 판독(read)하여 새로이 구성하는 방식이다. 상기 같은 값의 화상데이터가 연속되는 수와 코딩데이터를 대응시켜 놓은 테이블로는 터미네이트 코드표(Terminate Code Table) 또는 메이크업 코드표(Makeup Code Table) 등이 있다.
상기 터미네이트 코드표를 나타낸 것이 표 1이다.
백화소 흑화소
0 110101 0000110111
1 11111 10
2 111 11
3 1000 10
표 1에서 런 값은 화상데이터가 연속되는 수를 일컫는다. 이에 따라 화상데이터에서 백화소에 대응하는 값(이하 '0'이라 함)이 3개 연속되면 코딩데이터는 1000이 되고, 화상데이터에서 흑화소에 대응하는 값(이하 '1'이라 함)이 3개 연속되면 코딩데이터는 10이 된다.
통상 원고는 행에 문자가 위치하고, 행과 행사이(이하 '행간'이라 함)에는 여백이 위치한다. 원고의 행부분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는 불특정개수의 연속되는 1과 연속되는 0이 번갈아 가면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는 불특정개수만큼 연속되는 1과 0에 대응하는 코딩데이터를 판독(read)하여 화상데이터의 코딩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연속되는 1과 0의 개수가 작을수록 코딩데이터의 양이 늘어난다.
이와 달리 원고의 행간부분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는 0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연속된다. 이에 따라 행간부분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는 단일 코딩데이터로서 대표되므로 코딩데이터의 양이 원래의 화상데이터에 비하여 급격히 감소된다. 즉, 원고코딩시 압축율은 행간부분이 행부분에 비하여 매우 크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원고 독취시 원고가 비틀려져서 이송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행간부분과 원고의 독취라인이 서로 구별되지 않게 되어, 원고의 모든 부분에 해당되는 화상데이터에서 1과 0이 불특정개수만큼 연속되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이치화된 화상데이터를 코딩하여도 그 압축율이 그리 크지 않게 된다. 이때, 원고가 도 3과 같이 비틀려서 이송되는 것을 원고에 스큐(Skew)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용지에 스큐가 발생함에 따라 이치화된 화상데이터의 코딩시 압축율이 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팩스메시지의 양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팩스메시지 전송시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른 팩스전송료도 더 부과된다.
이와 같은 원고 용지 비틀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97-9308 "원고 비틀림 보정 팩스전송방법"에서 도 4와 같이 보정할 수 있었다.
종래의 원고 비틀림 보정 팩스전송방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상처리장치가 입력된 화상에 부주사방향으로 수직선(V)을 그은 후, 수직선과 화상의 흑화소가 만나는 원고 비틀림 검출지점들(D[0]∼D[n])을 검출하여, 원고 비틀림 검출지점을 지나는 주주사방향의 수평직선(H)을 그은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비틀림 검출지점(이를테면, D[0])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직선(H)에서부터 일정각도(α。) 간격으로 직선들(L1∼L16)을 그은 후, 직선들에서 화상의 흑화소와 가장 많이 만나는 비틀림 보정직선(이를테면, L3)을 검색한다.
이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정밀한 비틀림 보정 직선을 얻기 위해 L3을 중심으로 의 범위 안에서 다시 소정각도(β。) 간격으로 각도를 조정하여 가며 직선들(ℓ1∼ℓ10)을 그어 가장 많이 만나는 직선을 최종의 비틀림 보정직선으로 정한다.
비틀림 보정직선을 검색한 후, 비틀림 보정직선과 수평직선과의 각도인 비틀림 각도를 획득한다.
한편, 통상 원고의 문자열을 따라 수평선을 그었을 경우에 그 수평선이 흑화소와 만나는 지점이 가장 많은 반면 그림과 문서가 혼재한 수평적으로 비정형화된 화상에 대해 수평직선을 그으면 흑화소와 만나는 지점이 더 적을 수 도 있으므로, 모든 비틀림 검출지점들(D[0]∼D[n])에서의 비틀림 보정각도의 평균을 산출한다. 상기 모든 비틀림 검출 지점들(D[0]∼D[n])에서의 비틀림 보정각도들의 평균이 최종 비틀림 보정각도가 된다.
이처럼, 보정각도를 획득한 후, 획득된 비틀림 각도만큼 화상을 회전시켜 비틀려진 화상을 보정한다.
원고 화상이 비틀림에 따라 원고 화상에 대한 기준 좌표축이 변화하고, 다음과 같은 좌표변환 또는 이미지 회전은 수학식 1에 따라 변화된 좌표점을 찾아 읽어내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서, θ 는 비틀림 각도, x, y는 비틀림 원고의 임의의 좌표, x'.y'는 비틀림 보정된 원고의 좌표를 가리킨다.
이러한 연산은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한다해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이처럼, 원고 비틀림을 보정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비틀림 각을 검출하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처리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와 검출된 각을 기준으로 원고 화상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모리와 고성능의 중앙처리 장치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팩스장치에 적용시키기에는 원가 부담이 너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팩시밀리나 스캐너에 입력되는 원고가 문자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고, 그림과 문서가 혼재한 화상이라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틀림 각도를 검출하여 비틀림을 보정하는 것이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 화상의 비틀림에 따른 비틀림 각 연산이나 검출된 비틀림각에 따라 원고화상을 회전시켜 주는 복잡한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처리과정을 통하여 비틀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여 저가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원고 비틀림각 보정을 가능하게 해 제품 원가를 줄이는데 있다.
도 1은 원고를 독취할 때 주주사방향과 부주사방향을 나타내고,
도 2는 화상과 화상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3은 비틀림이 발생한 원고를 독취함에 따라 발생한 화상 데이터로 구성한 화상을 나타내며,
도 4는 도 3의 화상의 비틀림을 보정하여 새로이 구성된 화상을 나타내며.
도 5 내지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원고의 비틀림 각도를 검색하기 위하여 독취된 원고의 화상에 다수의 직선을 그은 예를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를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의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틀림 보정을 위한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10은 원고가 왼쪽으로 기운 경우를 나타내며,
도 11은 도 10과 같이 원고가 기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정 방법에 의해 80번째 부주사 라인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며,
도 12는 원고가 오른쪽으로 기운 경우를 나타내며,
도 13은 도 12와 같이 원고가 기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정 방법에 의해 80번째 부주사 라인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 화상의 비틀림을 보정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 중 하나의 부주사 라인에 대한 비틀림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810 : 독취데이터저장부 820 : 카운터
830 : 처리부 840 : 룩업테이블데이터저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 처리하는 원고화상처리장치에서, 상기 독취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를 저장하는 독취데이터저장부; 상기 독취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의 부주사방향의 두 지점부터 원고 구별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해당하는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화소수의 차에 해당하는 보정 정보에 따라 상기 독취데이터저장부로부터 부주사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룩업테이블 데이터는, 상기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 상기 화소수 차에 따라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로부터 주주사방향으로 읽을 화소수를 결정하는 화소간격; 상기 부주사 한 라인 전 또는 후로 변화된 좌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를 상기 화소간격만큼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는 회수를 결정하는 반복회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비틀려 독취되어 저장된 한 페이지의 원고를 보정하는 방법에서, 상기 독취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의 부주사방향의 두 지점부터 원고 구별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화소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해당하는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를 판독하한 후, 상기 판독된 비틀림 보정 정보와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저장된 한 페이지 원고의 모든 부주사 라인에 대해 주주사방향으로 부주사 한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틀림방향감지단계는 상기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의 첫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로부터 상기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의 두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뺀 값이 '0' 보다 크면 비틀림 방향이 오른쪽이고, 상기 첫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로부터 상기 두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뺀 값이 '0' 보다 작으면 비틀림 방향이 왼쪽으로 감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는 상기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따라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로부터 주주사방향으로 읽을 화소수를 결정하는 화소간격; 상기 부주사 한 라인 전 또는 후로 변화된 좌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를 상기 화소간격만큼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는 회수를 결정하는 반복회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틀림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반복회수가 '0'이면 주주사 방향의 화소수가 상기 화소간격이 반복되는 동안 부주사 라인의 한 라인을 상기 비틀림 방향에 따라 이동한 좌표에 해당하는 화소를 판독하고, 상기 반복회수가 '0'이 아니면 상기 화소간격을 상기 반복회수만큼 반복하여 판독하여 부주사 라인의 한 라인을 상기 비틀림 방향에 따라 이동한 좌표에 해당하는 화소를 판독하여 보정하고 상기 반복회수 + 1 번째 반복은 상기 화소간격 + 1 화소가 진행하는 동안 부주사 한 라인을 상기 비틀림 방향에 따라 이동한 좌표에 해당하는 화소를 판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한 좌표는 상기 비틀림 방향이 왼쪽인 경우 상기 부주사 라인 한 라인을 감소시킨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이고, 상기 비틀림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상기 부주사 라인 한 라인을 증가시킨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를 살펴보면, 원고검출센서(미도시)에 의해 원고가 독취부(미도시)에 도착한 것을 감지한 후, 독취부(미도시)는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하여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한다. 카운터(820)는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의 부주사방향의 두 지점부터 원고 구별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화소수를 카운트한다.
바람직하게, 원고 구별 데이터는 원고에 대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으로의 최초의 백화소데이터(white pixel data)이다. 따라서, 카운터(820)에 의해 카운트되는 화소는 흑화소이다.
한편,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840)는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해당하는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부(830)는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를 이용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을 감지하고,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840)에 저장된 화소수의 차에 해당하는 보정 정보에 따라 독취데이터저장부(810)로부터 부주사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한다.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840)는 도 9와 같이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즉, 흑화소수 차 : x3)와, 화소수 차에 따라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로부터 주주사방향으로 읽을 화소수를 결정하는 화소간격(n), 그리고 부주사 한 라인 전 또는 후로 변화된 좌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를 화소간격만큼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는 회수를 결정하는 반복회수(m)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데이터는 제품 양산시 미리 연산되어 저장된다.
이하, 도 8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고검출센서(미도시)에 의해 원고가 독취부(미도시)에 도착한 것을 감지한 후, 독취부(미도시)는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하여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한다(단계 : S141).
한편, 일반적인 모든 규격의 문서는 반드시 여백이 존재하고, 원고가 비틀려서 입력되는 경우 문서의 여백을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입력화상데이터가 흑으로 검출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카운터(820)는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도 10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주사방향으로 소정 간격(이를테면 100 화소)을 갖는 두 지점(a, b)의 유효화소시작에서부터 최초의 백화소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의 흑화소를 카운트한다(단계 : S142, S143).
두 지점(a, b)의 주주사방향에 대한 최초의 백화소 데이터까지의 흑화소를 각각 카운트한 후, 처리부(830)는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흑화소수 차를 계산하여 원고 비틀림 방향을 감지한다(단계 : S144).
즉,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의 첫 번째 지점(a)에 대한 카운트된 흑화소수로부터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의 두 번째 지점(b)에 대한 카운트된 화소수를 뺀 값이 '0' 보다 크면 원고가 오른쪽 방향으로 비틀렸음을 감지하게 되고, 첫 번째 지점(a)에 대한 카운트된 화소수로부터 두 번째 지점(b)에 대한 카운트된 화소수를 뺀 값이 '0' 보다 작으면 원고가 왼쪽 방향으로 비틀렸음을 감지하게 된다.
원고의 비틀리 방향을 감지한 후, 비틀림 보정을 위해 계산된 두 지점간의 흑화소 차에 대한 비틀림 보정 정보 즉 룩업데이터를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840)로부터 판독한다(단계 : S145).
두 지점간의 흑화소 차에 대한 비틀림 보정 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비틀림 보정 정보에 따라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된 한 페이지 원고의 모든 부주사 라인에 대해 주주사방향으로 부주사 한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한다(단계 : S146).
주주사방향으로 부주사 한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하는 과정을 원고가 왼쪽으로 비틀린 경우와 오른쪽으로 비틀린 경우를 구분하여 80번째 부주사 라인 보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원고가 왼쪽으로 비틀린 경우 살펴보면, a 부주사 라인에서 계수한 흑화소수는 x1, b 부주사 라인에서 계수한 흑화소수는 x2이다. 두 부주사 라인의 흑화소수차가 22이라고 하면, 도 9에 도시된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840)에 저장된 룩업데이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수차 22에 대해서 화소간격(n)은 4이고, 반복회수(m)는 2이다. 이와 같은 보정 정보를 통해 부주사 라인에 대해 보정을 실시할 경우 주주사 화소수가 4개 증가할 때 부주사라인의 변위가 하나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이 처리가 두 번 반복된 후에는 주주사 화소수 5개가 증가할 경우에 부주사라인의 변위가 한라인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80번째 부주사 라인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다고 가정하고, 원고의 각 화소를 (x, y) 좌표 형태로 표기하며, 비틀림이 보정된 부주사 라인의 화소 데이터는 도 11과 같은 좌표값으로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읽어 냄으로써 비틀림 보정이 수행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도 12와 같이 원고가 오른쪽으로 비틀리고, 두 지점간의 흑화소차가 22인 경우에 있어서 부주사 라인 80번째에 대한 보정은 도 13과 같은 좌표값으로 독취데이터저장부(810)에 저장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읽어 냄으로써 비틀림 보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부주사 라인에 대한 비틀림 보정과정을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14의 단계 S145에서 흑화소차에 따른 룩업테이블데이터 즉, 화소간격(n)과 반복회수(m)를 기준으로 반복회수(m)가 0이면, 먼저 현재의 좌표(x,y)로 지정된 독취데이터저장부(810)의 화소 데이터를 읽어내어 저장하고, 주주사방향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킨다(단계 : S151).
주주사 어드레스가 최대인지를 판단하여 최대이면 해당 부주사 라인에 대한 비틀림 보정을 종료하고, 최대가 아니면 화소간격(n)을 하나 감소한다(단계 : S152).
이어, 화소간격(n)이 0인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 단계로 돌아가고, 0이면 비틀림 방향을 판단한다(단계 : S153).
비틀림 방향을 판단한 결과, 비틀림 방향이 왼쪽이면 부주사라인을 하나 감소시키고, 비틀림 방향이 오른쪽이면 부주사라인을 하나 증가시킨다(단계 : S154).
비틀림 방향에 따라 부주사라인을 조정한 후, 화소간격(n)을 재설정하고 ⓐ 단계로 돌아간다(단계 : S155).
만일, 반복회수(m)가 0이 아니면, 먼저 현재의 좌표(x,y)에 저장된 독취데이터저장부(810)의 화소 데이터를 읽어내어 저장하고, 주주사방향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킨다(단계 : S156).
주주사 어드레스가 최대인지를 판단하여 최대이면 해당 부주사라인에 대한 비틀림 보정을 종료하고, 최대가 아니면 화소간격(n)을 하나 감소시킨다(단계 : S157).
이어, 화소간격(n)이 0인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① 단계로 돌아가고, 0이면 비틀림 방향을 판단한다(단계 : S158).
비틀림 방향을 판단한 결과, 비틀림 방향이 왼쪽이면 부주사라인을 하나 감소시키고, 비틀림방향이 오른쪽이면 부주사라인을 하나 증가시킨다(단계 : S159).
여기서, 반복회수(m)를 하나 감소시키고, 반복회수(m)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면 화소간격(n)을 화소간격 + 1로 설정하고, ① 단계로 돌아간다(단계 : S160).
반복회수(m)가 0이 아니면 다시 반복회수(m)가 0보다 작은지 판단하여 0보다 크면 바로 ① 단계로 진행하고, 0보다 작으면 화소간격(n), 반복회수(m)를 재설정하고 ① 단계로 진행한다(단계 : S16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 화상의 비틀림에 따른 비틀림 각 연산이나 검출된 비틀림 각에 따라 원고화상을 회전시켜 주는 복잡한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처리과정을 통하여 비틀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여 저가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원고 비틀림 각 보정을 가능하게 해 제품 원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9)

  1.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 처리하는 원고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취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를 저장하는 독취데이터저장부;
    상기 독취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의 부주사방향의 두 지점부터 원고 구별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해당하는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룩업테이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화소수의 차에 해당하는 보정 정보에 따라 상기 독취데이터저장부로부터 부주사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구별 데이터는,
    상기 원고에 대한 상기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으로의 최초의 백화소데이터(white pixel 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 데이터는,
    상기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
    상기 화소수 차에 따라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로부터 주주사방향으로 읽을 화소수를 결정하는 화소간격;
    상기 부주사 한 라인 전 또는 후로 변화된 좌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를 상기 화소간격만큼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는 회수를 결정하는 반복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화상처리장치는,
    팩시밀리기능을 갖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5. 비틀려 독취되어 저장된 한 페이지의 원고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독취된 한 페이지의 원고데이터의 부주사방향의 두 지점부터 원고 구별 데이터를 만날 때까지 주주사방향으로 화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단계;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을 감지하는 비틀림방향감지단계;
    상기 카운트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해당하는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를 판독하는 비틀림 보정 정보 판독단계;
    상기 판독된 비틀림 보정 정보와 상기 원고의 비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저장된 한 페이지 원고의 모든 부주사 라인에 대해 주주사방향으로 부주사 한 라인 단위로 변화된 좌표점을 판독하여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방향감지단계는,
    상기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의 첫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로부터 상기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의 두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뺀 값이 '0' 보다 크면 비틀림 방향이 오른쪽이고, 상기 첫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로부터 상기 두 번째 지점에 대한 상기 카운트된 화소수를 뺀 값이 '0' 보다 작으면 비틀림 방향이 왼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보정을 위한 정보는,
    상기 카운트된 두 지점의 주주사방향의 화소수 차에 따라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로부터 주주사방향으로 읽을 화소수를 결정하는 화소간격;
    상기 부주사 한 라인 전 또는 후로 변화된 좌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원고 데이터를 상기 화소간격만큼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는 회수를 결정하는 반복회수를 포함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반복회수가 '0'이면 주주사방향의 화소수가 상기 화소간격이 반복되는동안 부주사 라인의 한 라인을 상기 비틀림 방향에 따라 이동한 좌표에 해당하는 화소를 판독하고, 상기 반복회수가 '0'이 아니면 상기 화소간격을 상기 반복회수만큼 반복하여 판독하여 부주사 라인의 한 라인을 상기 비틀림 방향에 따라 이동한 좌표에 해당하는 화소를 판독하여 보정하고 상기 반복회수 + 1 번째 반복은 상기 화소간격 + 1 화소가 진행하는 동안 부주사 한 라인을 상기 비틀림 방향에 따라 이동한 좌표에 해당하는 화소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한 좌표는,
    상기 비틀림 방향이 왼쪽인 경우 상기 부주사 라인 한 라인을 감소시킨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이고, 상기 비틀림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상기 부주사 라인 한 라인을 증가시킨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비틀림 보정 방법.
KR1019980019029A 1998-05-26 1998-05-26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26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029A KR100264331B1 (ko) 1998-05-26 1998-05-26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US09/320,287 US6415064B1 (en) 1998-05-26 1999-05-26 Skew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DE19924144A DE19924144C2 (de) 1998-05-26 1999-05-26 Schiefekorrekturapparat und -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029A KR100264331B1 (ko) 1998-05-26 1998-05-26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168A true KR19990086168A (ko) 1999-12-15
KR100264331B1 KR100264331B1 (ko) 2000-08-16

Family

ID=1953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029A KR100264331B1 (ko) 1998-05-26 1998-05-26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15064B1 (ko)
KR (1) KR100264331B1 (ko)
DE (1) DE1992414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4250B2 (en) * 2000-04-03 2004-01-27 Quov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geographic location of a networked entity
US7411593B2 (en) * 2001-03-28 2008-08-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rotation with substantially no aliasing error
US7321671B2 (en) * 2002-12-06 2008-01-22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review display in a print capturing system using a non-planar prism
KR100977713B1 (ko) * 2003-03-15 201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글자 인식을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US7081951B2 (en) * 2003-10-09 2006-07-25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Palm print scanner and methods
KR100580183B1 (ko) * 2004-01-09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영역의 좌우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548131B1 (ko) * 2004-01-28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인쇄방법
US7483591B2 (en) * 2004-02-17 2009-01-27 Xerox Corporation Image transfer apparatus with streak removal system
WO2005086681A2 (en) * 2004-03-04 2005-09-22 Quova, Inc. Geo-location and geo-compliance utilizing a client agent
CN100419785C (zh) * 2004-04-08 2008-09-17 佳能株式会社 基于网络服务应用的光学字符识别系统和方法
DE102005000820B4 (de) 2004-12-08 2007-07-05 Carl Zeiss Ag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Sehfähigkeit einer sehbehinderten Person und Sehhilfe
US7420719B2 (en) * 2005-06-30 2008-09-02 Xerox Corporation Skew correction
JP5111794B2 (ja) * 2005-08-08 2013-01-0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識別方法、及び辞書作成方法
US8508823B2 (en) * 2007-03-28 2013-08-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8064729B2 (en) * 2008-04-03 2011-11-22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skew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038223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 및 화상형성장치와, 스캐너의 화상 보정 방법
US20110176154A1 (en) 2010-01-18 2011-07-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255593A (ja) * 2010-06-09 2011-12-22 Canon Inc 記録装置
KR101969965B1 (ko) 2012-12-24 2019-08-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독취장치,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917975B2 (en) 2013-05-29 2018-03-1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Facsimile requirements monitoring
JP6642833B2 (ja) * 2016-10-28 2020-0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CN107680108B (zh) * 2017-07-28 2019-06-2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倾斜图像的倾斜值获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3971A (en) * 1978-12-19 1980-06-24 Fujitsu Ltd Skew correction system for optical character reader
JPS5887652A (ja) * 1981-11-19 1983-05-2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940960B2 (ja) * 1989-10-31 1999-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の傾き検出方法および補正方法ならびに画像情報処理装置
US5245676A (en) * 1989-12-21 1993-09-14 Xerox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image skew angle from data including data in compressed form
JP3320759B2 (ja) * 1991-12-26 2002-09-03 株式会社東芝 文書画像傾き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452374A (en) * 1992-04-06 1995-09-19 Ricoh Corporation Skew detection and correction of a document image representation
US5818976A (en) * 1993-10-25 1998-10-06 Vision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skew and size/shape detection
US5517587A (en) * 1994-09-23 1996-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 scanned images
JP3534128B2 (ja) * 1995-01-24 2004-06-07 オムロン株式会社 書類の上下方向検知方法及び装置
US5937106A (en) * 1995-04-04 1999-08-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rotating an original image
US5901253A (en) * 1996-04-04 1999-05-04 Hewlett-Packard Company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image cropping and skew correction
JP3631333B2 (ja) * 1996-08-23 2005-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24144A1 (de) 1999-12-02
US6415064B1 (en) 2002-07-02
KR100264331B1 (ko) 2000-08-16
DE19924144C2 (de)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331B1 (ko)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US5557091A (en) Method and system for bar code image processing
JP3636332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5434933A (en) Image processing
US57487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outline data and encoding image data using the outline data
JP2670273B2 (ja) 画像処理装置
JP449543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74626B1 (ko) 원고비틀림보정장치및방법
EP05962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ype of an electronically stored image of a document
KR100260911B1 (ko) 원고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방법
EP0870276B1 (en) A method for transforming a gray-level image into a black-and-white image
US6269191B1 (en) Prediction image generating apparatus using mask and apparatus for coding, transmitting and decoding a binary image using the same
JP4260908B2 (ja) ランレングス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EP0898413A2 (en) Method of eliminating garbage data of a scanner
KR910006682B1 (ko) 화상전송기기의 이미지 데이터 변곡점 검출방법
JP3330013B2 (ja) 2値データ圧縮/伸張回路、それらを用いた2値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2値データ圧縮/伸張方法
US8184910B2 (en) Image recognition device,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having image recognition device
JP322021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60007909B1 (ko) 팩시밀리 원고의 부분 전송방법
KR100229028B1 (ko) 연속성에 따른 이치화방법
KR19980073782A (ko) 원고 비틀림 보정 팩스전송방법
KR100245021B1 (ko) 현재 처리중인 라인영상의 임계치 값 결정방법
KR100214331B1 (ko) 영상 축소 방법
JP3009325B2 (ja) カルラコードの解析方法
KR0154698B1 (ko) 팩시밀리에서 기록용지 절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