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274A -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반사판 - Google Patents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274A
KR19990085274A KR1019980017590A KR19980017590A KR19990085274A KR 19990085274 A KR19990085274 A KR 19990085274A KR 1019980017590 A KR1019980017590 A KR 1019980017590A KR 19980017590 A KR19980017590 A KR 19980017590A KR 19990085274 A KR19990085274 A KR 19990085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598B1 (ko
Inventor
김용범
김우현
손현호
Original Assignee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to KR101998001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598B1/ko
Priority to US09/311,705 priority patent/US6384885B1/en
Publication of KR1999008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제1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한 층으로 형성되고 요철면의 볼록부의 모양이 제1방향의 길이가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길이 보다 길며, 제2방향쪽으로 둥근표면을 갖는 요철층과,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과, 금속막 위에 형성되고 제1배향방향을 갖는 제1배향막과, 제2기판 상에 형성되고 제2방향과 평행한 편광방향을 갖는 편광판과, 제2기판과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광학필름과, 제2기판의 제1기판을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제2배향방향을 갖는 제2배향막과,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반사판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시야각 방향에서 높은 반사휘도를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동작모드에 따라, 개략적으로 TN(Twisted Nematic)형, GH(Guest Host)형,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형 및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형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광원의 이용방법에 따라, 백라이트를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와, 외부의 광원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두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근래에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백라이트의 사용은 액정표시소자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백라이트가 내장된 액정표시소자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우수한 시야각 특성을 갖기 위해 표면이 요철형상인 반사판을 이용한다. 도 1a 종래의 반사판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로써, 도 1b는 도 1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은 기판(1)과, 기판(1) 위에 형성된 볼록부(2)와, 볼록부(2) 위에 형성된 오버코트층(3)과, 오버코트층(3) 위에 형성된 금속막(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반사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스핀코팅(spin coating)방법으로 기판(1) 위에 감광성수지막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성수지막을 도 1a에 나타낸 볼록부(2)의 모양과 같은 형태의 홀을 갖는 마스크로 차단하고, 감광성수지막의 전면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그 후, 감광성수지막을 현상하여 기판(1) 위에 볼록부(2)를 형성한다. 이어서, 볼록부(2)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표면을 둥글게 형성한다. 그 후, 스핀코팅 방법으로 오버코팅층(3)을 형성하여 연속된 요철면을 갖게 한다. 마지막으로, Al, Mo, Ta 또는 Al합금 등과 같은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법으로 적층하여 금속막(4)을 형성한다. 표면이 요철형상으로 된 금속막(4)은 입사광을 여러각으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하여 반사판의 산란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은 요철의 볼록부 모양이 원모양이기 때문에 입사광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되어 넓은 시야각을 갖는다.
하지만, 주시야각 밖의 방향으로 빛이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주시야각에서의 반사율이 높지 않다. 또한, 빛이 볼록부의 바깥부분에 입사하면, 도 6a에 나타낸 것처럼, 입사면과 반사면 동일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빛의 편광방향이 바뀌게 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 점선은 편광방향을 나타낸다.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해, 볼록부(2)를 형성한 후에 오버코트층(3)을 추가로 형성하는 등 공정이 복잡한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주시야각 방향에서 높은 반사휘도를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및 그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의 볼록부의 상기 기판에 평행한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기판에 평행한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그 표면의 등선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기판과 평행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둥근 표면을 포함하는 요철층과, 상기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철층은 한 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요철면 형성을 위한 공정이 단순해진다.
상기 볼록부의 상기 기판에 평행한 단면 모양이 상기 제1방향에 평행인 두 변과, 상기 두 변의 양쪽을 잇는 두 개의 둥근 호로 이루어진 도형이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볼록부의 제1방향의 길이가 3μm 이상 10μm 이하이고, 상기 제2방향 길이가 2μm 이상 8μm 이하이며, 상기 두변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의 0.5배 이상 0.9배 이하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은 주시야각 방향에서 높은 반사휘도를 가지며, 한 층으로 된 요철층으로 요철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버코트층을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의 볼록부의 모양이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2방향쪽으로 둥근표면을 갖는 요철층과, 상기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과, 상기 금속막 위에 형성되고 제1배향방향을 갖는 제1배향막과, 상기 제2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편광방향을 갖는 편광판과, 상기 제2기판 상의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제2기판에 가까운쪽에 배치된 광학필름과,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1기판을 마주하는 면의 맨 바깥층으로 형성되고 제2배향방향을 갖는 제2배향막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학필름의 지상축(slow axis)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각 45°또는 135°을 가지며, 가시광선에 대해 λ/4 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배향방향은 상기 제2방향이 상하 시야각방향이 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하며, 상기 제1배향방향을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각 225° 을 가지고, 상기 제2배향방향을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각 315° 을 갖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주시야각에서 높은 반사휘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TE편광된 빛이 반사판에 입사하도록 하여 반사율이 더욱 증가한다.
도 1a는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I-I'선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편광축과 광학필름의 지상축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6b는 각각 종래 및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의 요철면에서 빛의 입사와 반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TM편광 및 TE편광된 빛의 금속막에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애정표시소자 및 그 반사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 도2f는 본 발명의 반사판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로써, 도 2c 및 2e는 각각 도 2a의 I-I'선 및 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반사판은 제1기판(10a)과, 제1기판(10a) 위에 형성된 요철층(11)과, 요철층(11) 위에 형성된 금속막(12)으로 구성된다. 요철층은 한 층으로 이루어지고, 볼록부(11a,11b)의 기판에 평행한 단면의 모양은, 도 2b에 나타내듯이, X축에 나란한 두 변과, 상기 두 변의 양쪽을 잇는 두 호로 이루어지며, X축방향의 길이가 Y축방향의 길이보다 긴 도형의 구조를 가진다. 도면에 나타내듯이, 상기 두 변의 길이는 F이고, 상기 도형의 장축(X축) 방향의 폭은 L이며, 상기 두 변 사이의 거리는 D이다. 이때, L , D 및 F의 바람직한 범위는 각각 3μm < L < 10μm, 2μm < D < 8μm 및 0.5L < F < 0.9L 이다. 도 2d에 나타내듯이, 볼록부(11a,11b)는 X축방향으로 기판에 평행한 등선을 가지며, 도 2e에 나타내듯이, Y축방향으로 둥근 표면을 가진다. 볼록부(11a,11b)는 타원형, 또는 반구가 X축 방향으로 늘어진 형태의 것도 가능하며, 이때, 장축 및 단축 길이의 범위는 상기 L 및 D의 범위와 같도록 한다. 또한, 빛의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1a,11b)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한다. 볼록부(11a,11b)의 충전밀도는 화소면적에 대해 20∼70%로 결정하며,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의 거리(S,T)의 범위는 3μm < L < 10μm 가 되도록 한다.
광원이 +Y방향에 위치하고 특정 입사각, 예를 들면, 30°로 종래의 원모양의 볼록부에 빛이 입사하게 되면, 주시야각 밖의 방향으로 빛이 산란하는 정도가 크게되어 주시야각에서의 반사휘도가 낮지만, 본 발명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요철면에 빛이 입사하면, 주시야각 방향인 -Y방향에서 반사휘도가 증가하여, 종래의 반사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얻을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반사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우선, 스핀코팅 방법으로 제1기판(10a) 위에 감광성수지막을 도포하고, 상기 감광성수지막을 마스크로 차단하고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도 2a에 나타낸 볼록부(11a,11b)와 같은 형태의 홀을 갖는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어서, 상기 감광성수지막을 부분현상(Partially developing)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면이 연속된 굴곡을 갖는 요철층을 형성한다. 이때, 오버코트층을 추가로 형성하지 않고 부분현상 방법으로 연속된 요철표면을 얻기 위해서는, 분해도(resolution)가 낮은 물질을, 예를 들면 JNPC수지를 상기 감광성수지막을 위한 재료로 사용한다. 그 후, 두께가 100 ∼ 300nm인 Al, Mo, Ta 또는 Al합금(Al-Ta, Al-Mg) 등과 같은 금속을 스퍼터링 방법으로 적층하여 금속막(12)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1기판(10a) 및 제2기판(10b)과, 제1기판(10a) 위에 형성되고 연속된 표면을 갖는 요철층(11)과, 요철층(11) 위에 형성된 금속막(12)과, 금속막(12) 위에 형성된 제1배향막(13a)과, 제2기판(10b) 위에 형성된 편광판(17) 및 광학필름(16)과, 제2기판(10b) 아래에 형성된 칼라필터층(15), 투명전극(14), 및 제2배향막(13b)과, 상기 제1기판(10a)과 제2기판(10b)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8)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금속막은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에 연결되어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반사전극 역할을 하며, R(적),G(녹), 및 B(청)층으로 구성되는 칼라필터층(15)은 칼라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17)의 편광축과 X축과 이루는 각(B)은 90°이고, 광학필름(16)의 지상축(slow axis)과 X축과 이루는 각(A)은 135°이다. 이때, 광학필름(16)은 두 개의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두 필름의 지상축과 X축과 이루는 각의 평균이 135°가 되도록 결정한다. 제1배향막(13a)에 결정된 제1배향방향과 X축과 이루는 각(D)은 225°이며, 제2배향막(13b)에 결정된 제2배향방향과 X축과 이루는 각(C)은 315°이다. 이때, 주시야 방위각(XY평면에서 X축과 이루는 각)의 범위는 225 ∼ 315°이며, 주시야 극각(Z축과 이루는 각)의 범위는 0 ∼ 30°이다. 광학필름(16)의 위상차(Δn*d)는 λ/4(파장λ= 550nm), 또는 범위 130 ∼ 150nm 내로 결정되어 입사광에 대해 λ/4위상차를 부여하며, 이때, 그 지상축의 방향을 X축에 대해 각 45°를 이루도록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층(18)의 위상차는 0.2 ∼ 0.25nm의 범위 내로 결정한다. 칼라필터층(18)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균투과율이 55 ∼ 75%가 되도록 결정한다. 각(A,B)은 각각 ±10° 범위 내에서 결정 가능하며, 각(C,D)는 각각 ±20°범위 내에서 결정 가능하다. 이때, 각(A) 와 각(B)은 45° 또는 135°를 유지하도록 결정한다. 편광판(17)에 입사하는 빛의 표면반사를 최소로 하기 위해, 편광판(17) 위에 굴절률이 1.3 ∼ 1.35인 반사 방지용 유전체(Anti-Reflecting dielectric) 물질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상기한 구조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Voff) 빛이 입사되면, 우선 편광판(17)에 의해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빛은 Y축과 평행한 전기장의 방향을 갖게 된다. 이어서, 광학필름(16)을 통과한 후 좌원편광으로 바뀌고, 액정층(18)을 통과하여 X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금속막(12)에 입사하게 된다. 이때, 도 2a내지 도 2f에 나타낸 모양의 요철면에 빛이 입사하기 때문에, 빛은 요철면과 평행한 편광방향(전기장의 방향)으로 입사하게 되어, 주시야각 방향에서, 빛의 휘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빛의 입사면과 반사면이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편광방향이 바뀌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금속막(12)에 반사된 후, 액정층(18)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으로 바뀌고, 광학필름(16)을 통과하여 Y축과 평행한 방향의 선평광으로 바뀐후 편광판(17)을 통과하게 되어 화소에 밝은 상태(white state)을 표시하게 된다.
전압이 인가될 경우(Von)에는, 우선 편광판(17)에 의해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이 선편광된다. 이어서, 광학필름(16)을 통과하면 좌원편광으로 바뀌고, 액정층(18)을 통과하여 좌원편광 그대로 금속막(12)에 입사하게 된다. 이어서, 금속막(12)에 반사된 후, 액정층(18)을 그대로 통과한다. 이어서, 광학필름(16)을 통과하여 X축과 평행한 방향의 선평광으로 바뀐다. 결국 편광판(17)에 의해 빛이 차단되게 되어 화소에 어두운 상태(black state)를 표시하게 된다.
도 7은 TM(transverse magnetic)편광된 빛과, TE(transverse electric)편광된 빛이 일반적인 금속막에 입사될 때, 입사각(θ)에 대한 반사율(R)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TE편광된 빛은 금속막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의 전기장을 가지며, TM편광된 빛은 금속막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의 자기장을 가진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TE편광된 빛이 금속막에 입사될 때, TM편광된 빛보다 광범위한 입사각에서 높은 반사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에서는 금속막에 TE편광된 빛이 입사하게 되기 때문에, 주시야각 뿐만 아니라, 다른 시야각 방향에서도 반사휘도가 증가되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백색모드(white mode)를 위한 구조로써, 흑색모드(black mode)를 위한 구조일 경우에는, 광학필름이 입사광에 대해 λ/2위상차를 갖도록 한다. 또한, 흑색모드를 위한 다른 구조로써, 광학필름을 형성하지 않고, 편광축의 방향을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흑색모드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에서도, 반사판에 입사될 때의 빛이 TE편광이 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반사휘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은 주시야각 방향에서 높은 반사휘도를 가지며, 한 층으로 된 요철층으로 요철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버코트층을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주시야각에서 높은 반사휘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TE편광된 빛이 반사판에 입사하도록 하여 반사율이 더욱 증가한다.
또한, 주시야각 방향으로 반사될 때, TE편광된 빛이 반사되므로 입사면과 반사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되어, 편광방향이 바뀌는 문제가 방지된다. 따라서, 반사휘도 및 컨트라스트비가 증가한다.

Claims (24)

  1.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의 볼록부의 상기 기판에 평행한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기판에 평행한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그 표면의 등선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기판과 평행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둥근 표면을 포함하는 요철층과,
    상기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으로 구성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이 한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이 저분해도를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의 재질이 JNPC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기판에 평행한 단면 모양이 상기 제1방향에 평행인 두 변과, 상기 두 변의 양쪽을 잇는 두 개의 둥근 호로 이루어진 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제1방향의 길이가 3μm 이상 10μm 이하이고, 상기 제2방향 길이가 2μm 이상 8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변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의 길이의 0.5배 이상 0.9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사이의 간격이 2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9.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의 볼록부의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2방향쪽으로 둥근 표면을 갖고, 한 층으로 이루어진 요철층과,
    상기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으로 구성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이 저분해도를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의 재질이 JNPC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기판에 평행한 단면 모양이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의 상기 제1방향 길이가 3μm이상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의 상기 제2방향 길이가 2μm 이상 8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15.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의 볼록부의 모양이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2방향쪽으로 둥근표면을 갖는 요철층과,
    상기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과,
    상기 금속막 위에 형성되고 제1배향방향을 갖는 제1배향막과,
    상기 제2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편광방향을 갖는 편광판과,
    상기 제2기판 상의 상기 편광판보다 상기 제2기판에 가까운쪽에 배치된 광학필름과,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1기판을 마주하는 면의 맨 바깥층으로 형성되고 제2배향방향을 갖는 제2배향막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각 135°또는 4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이 두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층의 지상축이 상기 제1방향과 이루는 각의 평균이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이 변화값 ±10°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이 가시광선에 대해 λ/4 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이 가시광선에 대해 λ/2 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배향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 상하 시야각방향이 되도록 그 방향이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향방향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각225°을 갖고, 상기 제2배향방향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각 3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이 변화값 ±20°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24.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위에 요철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의 볼록부의 모양이 제1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2방향쪽으로 둥근표면을 갖는 요철층과,
    상기 요철층 위에 형성된 금속막과,
    상기 제2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편광방향을 갖는 편광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KR1019980017590A 1998-05-15 1998-05-15 반사형액정표시소자및그반사판 KR10046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90A KR100463598B1 (ko) 1998-05-15 1998-05-15 반사형액정표시소자및그반사판
US09/311,705 US6384885B1 (en) 1998-05-15 1999-05-13 Reflective-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flecting substrat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90A KR100463598B1 (ko) 1998-05-15 1998-05-15 반사형액정표시소자및그반사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74A true KR19990085274A (ko) 1999-12-06
KR100463598B1 KR100463598B1 (ko) 2005-05-16

Family

ID=1953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90A KR100463598B1 (ko) 1998-05-15 1998-05-15 반사형액정표시소자및그반사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84885B1 (ko)
KR (1) KR1004635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025A3 (en) * 2001-10-04 2003-10-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reflector and display device using it
KR100433594B1 (ko) * 2001-07-06 2004-05-3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액정표시장치
KR100441915B1 (ko) * 2002-01-10 2004-07-27 에이유 오프트로닉스 코퍼레이션 거친 확산 부재를 갖는 반사형 tft-lcd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3830B2 (ja) * 2000-11-11 2012-08-08 三星電子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53017A1 (en) * 2001-09-20 2003-03-20 Hongqin Shi Thin cell gap microdisplays with optimum optical properties
US7271865B2 (en) * 2004-12-02 2007-09-18 Research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Inc. General film compensated reflective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CN101571654A (zh) * 2008-04-28 2009-11-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8218B2 (ja) * 1991-01-18 1998-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7945B2 (ja) * 1994-10-03 2000-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268069B1 (ko) * 1995-12-11 2000-10-16 마찌다 가쯔히꼬 반사판, 반사판이 결합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 법
JPH09244023A (ja) * 1996-03-12 1997-09-19 Toshiba Corp 反射型液晶表示素子
KR19990003237A (ko) * 1997-06-25 1999-01-15 구자홍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판 및 그 반사판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94B1 (ko) * 2001-07-06 2004-05-3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액정표시장치
WO2003032025A3 (en) * 2001-10-04 2003-10-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reflector and display device using it
KR100441915B1 (ko) * 2002-01-10 2004-07-27 에이유 오프트로닉스 코퍼레이션 거친 확산 부재를 갖는 반사형 tft-lcd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598B1 (ko) 2005-05-16
US6384885B1 (en) 200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579B1 (ko) 반투과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6380995B1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symmetry reflective electrode having a transparent portion facing a main viewing angle
JP3917417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0266150B1 (ko) 반사판 제조 방법
US684742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flector outside liquid crystal cell
EP1331509B1 (en) Transflectiv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100450693B1 (ko) 액정표시장치
US691202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viewing angle properly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74057B1 (ko) 액정표시소자
US693399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n anisotropic scattering layer
KR20030031401A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이용한 반사형액정표시장치
US68705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H0611711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47416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463598B1 (ko) 반사형액정표시소자및그반사판
US557914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leochroic dye and particular relationship of ratio d/po and twist angle
JP4510797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301512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2000029021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3035901A (ja) 液晶表示装置
JPH10186359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4029201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4102305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20042928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를 이용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20030011618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