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240A -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240A
KR19990085240A KR1019980017521A KR19980017521A KR19990085240A KR 19990085240 A KR19990085240 A KR 19990085240A KR 1019980017521 A KR1019980017521 A KR 1019980017521A KR 19980017521 A KR19980017521 A KR 19980017521A KR 19990085240 A KR19990085240 A KR 1999008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tate
switch means
switch
usag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965B1 (ko
Inventor
김대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9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교환시 하드웨어 감지에 의해 램프 수명을 초기화할 수 있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는 광빔을 발생하며 시스템에 착탈이 가능한 램프와, 신구 램프를 구분하여 상태가 전이되는 스위치수단과, 스위치수단의 상태에 따라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투사형 시스템의 중요변수인 램프 사용시간을 하드웨어 감지에 의해 초기화하여 정확하게 카운트함과 아울러 램프케이스에 형성된 박막의 파열여부로 신구램프의 구분을 육안으로 할 수 있으므로 램프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Using Time of Lamp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램프를 이용한 액정투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 교환시 하드웨어 감지에 의해 램프 수명을 초기화할 수 있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투사 시스템은 액정투사방식의 TV 및 화면표시장치(Display)를 일컫는 것으로서, 램프로부터 출사된 강한 광빔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통과하면서 LCD에 표시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램프는 높은 광효율의 특성을 가짐에 따라 비교적 수명이 짧아서 수시적으로 교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램프의 수명은 통상 액정투사 시스템에 구비된 마이컴에 의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체크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램프를 교환한 후 사용자 조정 메뉴 또는 서비스맨 조정 메뉴 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램프수명을 초기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램프가 실제로 교환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램프수명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세히 하면, 사용자 조정메뉴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초기화할 수 있으므로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원하지 않게 초기화될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램프 수명을 반영하기 어렵다. 또한, 서비스맨 조정 메뉴에서 숙력된 서비스맨에 의해 초기화되는 방식은 비밀코드를 사용함에 따라 비교적 정확한 초기화를 할 수 있지만 램프 교환 시기마다 서비스를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웨어적으로 램프사용시간을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램프사용시간을 이용하여 램프의 수명과 관련된 시스템의 문제점을 사용자에게 사전에 정확하게 알려줄수 있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신램프로 교환되는 경우 스위치의 상태변이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구램프로 교환되는 경우 스위치의 상태변이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램프 케이스 10a, 18a : 돌출부
10b, 18b : 박막 12 : 램프
14 : 스위치 14a : 헤드
16 : 마이컴 20 : 액정 투상형 시스템 본체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장치는 광빔을 발생하며 시스템에 착탈이 가능한 램프와, 신구 램프를 구분하여 상태가 전이되는 스위치수단과, 스위치수단의 상태에 따라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방법은 램프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교환여부를 판단하는 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램프를 교환하는 경우 신구램프를 구분하여 램프와 접촉된 스위치의 상태가 전이되는 2단계와, 시스템의 전원을 켜고 램프와 접촉된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를 결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는 램프(12)가 장착된 램프 케이스(10)와, 램프 케이스(10)와 접촉되는 스위치(14)와, 스위치(14)에 접속되는 마이컴(16)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에서 고출력의 광빔을 출사하는 램프(12)가 장착된 램프 케이스(10)는 액정투사형 시스템 본체(20)에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램프 케이스(10)가 본체(20)에 장착될 때 본체(20)에 마련된 스위치(14)와 접촉하게 되고, 스위치(14)에 접촉되는 부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0a)에는 스위치(14)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스위치(14)와 접촉되는 경우 파열될 수 있는 박막(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박막(10b)의 파열여부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조정메뉴에 대한 지식 없이도 육안으로 신구램프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스위치(14)는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켜짐상태가 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꺼짐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여, 스위치(14)는 램프 케이스(10)의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켜짐상태가 되며 제어라인(13)을 통한 마이컴(16)의 꺼짐신호에 의해 꺼짐상태가 된다. 마이컴(16)은 시스템의 전원이 켜지면 항상 먼저 제1 라인(11)을 통하여 스위치(14)의 상태를 읽어서 램프 케이스(10), 즉 램프(12)의 교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세히 하면, 마이컴(16)은 스위치(14)가 켜짐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새로운 램프(12)로 교환된 것으로 판단하고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함과 아울러 제어라인(13)을 통해 스위치(12)를 꺼짐상태로 복귀시킨 후 원래의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새로운 램프(12)로 교환되는 경우 스위치(14)의 상태변이를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스위치(14)가 신램프 케이스(10)와 접촉되기 전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꺼짐상태를 유지하다가, 신램프 케이스(10)와 접촉되는 경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램프 케이스(10)의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스위치(14)의 헤드(14a)가 눌림으로써 켜짐상태로 변환되게 된다. 신램프 케이스(10)가 본체(20)에 완전이 장착된 경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10b)은 스위치 헤드(14a)에 의해 파열되게 된다. 이어서, 시스템에 전원이 켜지면 마이컴(16)은 스위치(14)의 켜짐상태로 신램프(12)로 교환된 것을 인식하여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하게 된다. 또한, 마이컴(16)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2)를 꺼짐상태로 복귀시킨 후 원래의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했던 램프 케이스로 교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램프 케이스는 사용했던 램프 케이스이므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8a)에 형성된 박막(18b)은 이미 파열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이 구램프 케이스가 (b) 와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에 접촉되어도 스위치(14)는 꺼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10)의 물리적인 압력 및 마이컴의 제어신호 이외의 다른 여러가지 방식들에 의해 켜지거나 꺼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이컴(16)의 제어방식도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새로운 램프가 교체될 때마다 상태를 변화시키는 형태, 즉 토글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컴은 이전의 스위치 상태를 저장하고 있다가 시스템의 전원이 켜지면 스위치의 상태를 읽어 이전에 저장했던 상태와 다를 경우 새로운 램프로 교환된 것으로 판단하여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시스템(20)을 통하여 램프의 사용시간을 체크하고 램프의 수명이 다한 경우 시스템(20)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램프(12), 즉 램프 케이스(10)를 교환하게 된다(제1 단계). 여기서, 교환된 램프가 새로운 램프(12)인 경우 램프 케이스(10)의 박막(10b)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가 켜지게 된다(제2 및 제3 단계). 그 다음, 시스템(20)의 전원이 켜지면 마이컴(16)은 먼저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의 상태를 확인한다(제4 및 제5 단계). 상기 5단계에서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가 켜짐상태로 확인된 경우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한다(제6 단계). 이어서, 마이컴(16)은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를 꺼짐상태로 복귀시킨 후 시스템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시스템 동작과 함께 통상적인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제7, 8, 9 단계). 한편, 상기 5단계에서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가 꺼짐상태로 확인된 경우, 즉 구램프로 교환되거나 램프가 교환되지 않은 경우 마이컴(16)은 상기 8단계로 진행하여 시스템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시스템 동작과 함께 통상적인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제8 및 제9 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시스템(20)을 통하여 램프의 사용시간을 체크하고 램프의 수명이 다한 경우 시스템(20)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램프(12), 즉 램프 케이스(10)를 교환하게 된다(제11 단계). 여기서, 교환된 램프가 새로운 램프(12)인 경우 램프 케이스(10)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의 상태가 전이되게 된다(제12 및 제13 단계). 그 다음, 시스템(20)의 전원이 켜지면 마이컴(16)은 먼저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의 상태를 확인한다(제14 및 제15 단계). 상기 15단계에서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의 상태가 마이컴(16)에 저장된 스위치(14)의 상태와 다른 경우, 즉 신램프로 교환된 경우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한다(제16 단계). 이어서, 마이컴(18)은 현재의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의 상태를 저장한다(제16 단계). 그리고, 마이컴(16)은 시스템(20)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시스템 동작과 함께 통상적인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제18 및 제19 단계). 한편, 상기 15단계에서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 스위치(14)의 상태가 저장된 스위치(14)의 상태와 같은 경우, 즉 구램프로 교환되거나 램프가 교환되지 않은 경우 마이컴(16)은 상기 18단계로 진행하여 시스템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시스템 동작과 함께 통상적인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제18 및 제19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액정투사형 시스템의 중요변수인 램프 사용시간을 하드웨어 감지에 의해 초기화하여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램프케이스에 형성된 박막의 파열여부로 신구램프의 구분을 육안으로 할 수 있으므로 램프에 대한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투사형 시스템에 있어서,
    광빔을 발생하며 상기 시스템에 착탈이 가능한 램프와,
    신구 램프를 구분하여 상태가 전이되는 스위치수단과,
    상기 스위치수단의 상태에 따라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수단에 접촉되는 램프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케이스는
    상기 스위치수단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수단과의 접촉시 파열되는 박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케이스 박막의 파열여부로 신구램프의 구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신램프의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켜짐상태가 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꺼짐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시스템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스위치수단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수단이 켜짐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한 후 상기 스위치수단을 꺼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신램프의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상태가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시스템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스위치수단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 스위치수단의 상태가 저장된 스위치수단의 이전상태와 다른 경우 상기 램프 사용시간을 초기화한 후 상기 스위치수단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9. 램프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교환여부를 판단하는 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램프를 교환하는 경우 신구램프를 구분하여 램프와 접촉된 스위치의 상태가 전이되는 2단계와,
    시스템의 전원을 켜고 램프와 접촉된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램프 사용시간 초기화를 결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사용시간 처리 방법.
KR1019980017521A 1998-05-15 1998-05-15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6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21A KR100262965B1 (ko) 1998-05-15 1998-05-15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21A KR100262965B1 (ko) 1998-05-15 1998-05-15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40A true KR19990085240A (ko) 1999-12-06
KR100262965B1 KR100262965B1 (ko) 2000-08-01

Family

ID=1953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21A KR100262965B1 (ko) 1998-05-15 1998-05-15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09B1 (ko) * 2004-03-29 2007-08-07 아주조명공업주식회사 형광등 수명 자동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09B1 (ko) * 2004-03-29 2007-08-07 아주조명공업주식회사 형광등 수명 자동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2965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7378A (ko) 스마트 배터리의 실제 잔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604481B1 (ko)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용 칼라 휠의 회전 감지 장치 및방법
CN1784106B (zh) 用于诊断投影装置故障的方法和系统
KR100813965B1 (ko) 화상형성장치의 덮개 열림 감지방법 및 장치,화상형성장치의 덮개 열림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방법 및장치
KR0163706B1 (ko) 주변 장치 교환 회로 및 방법
KR100262965B1 (ko) 램프 사용시간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70182940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N101241297A (zh) 一种控制dlp灯管的dlp投影设备和方法
JPH11194157A (ja) 電池種類識別装置
JPH10239767A (ja) プロジェクタ
JP4853763B2 (ja) 光源寿命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並びに光源寿命判定方法
JP7160018B2 (ja) 投影装置、設置状態検知方法、および設置状態検知プログラム
WO2003038758A1 (fr) Dispositif d&#39;edition, procede d&#39;edition, programme d&#39;edition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contenant ce programme d&#39;edition
KR20010009555A (ko) 투사장치의 램프교환시기 판별장치
KR100234422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자동 제어회로
JPH10191192A (ja) 部品交換時期報知装置
JP5151423B2 (ja) 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47285B1 (ko) 카메라에서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오동작을 제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15863A (ja) 投射型表示装置
KR200151784Y1 (ko) 교환부품 상태 표시 및 검출장치
KR100396679B1 (ko) Lcd 프로젝터 및 그 화면변경 방법
KR20040019527A (ko) 램프교환시기 알림 기능을 갖는 투사형 텔레비젼 및 그 방법
JP2014153585A (ja) 信号入力端子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装置、信号入力端子制御方法及び信号入力端子制御プログラム
JP5532114B2 (ja) 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980003949A (ko) 빛 감지에 의한 전원 자동차단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