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344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344A
KR19990084344A KR1019980016014A KR19980016014A KR19990084344A KR 19990084344 A KR19990084344 A KR 19990084344A KR 1019980016014 A KR1019980016014 A KR 1019980016014A KR 19980016014 A KR19980016014 A KR 19980016014A KR 19990084344 A KR19990084344 A KR 19990084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evel
brightness
projector
output screen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972B1 (ko
Inventor
문태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9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출력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프로젝터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와, 메모리부 및 광량측정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프로젝터는 출력화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줌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출력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원과 조명계로 구성되어 필름,화상 등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Projector)에는 음극선관을 채용한 프로젝터들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액정을 장착한 프로젝터들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들 프로젝터에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 또는 비디오(Video Tape Recorder; 이하 "VTR"라 함) 등을 접속하여 영화를 관람하거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에 활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젝터는 PC 및 VTR에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2 이하 "A-D변환기"라 함)와, 상기 VTR 입력신호에서 밝기정보를 갖는 Y신호와 색성분 정보를 갖는 C신호를 분리하는 콤 필터(Comb Filter;12)와, 상기 콤 필터(12)에서 분리된 Y신호 및 C신호에 의해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적색(Red; 이하 "R"라 함), 녹색(Green; 이하 "G"라 함) 및 청색(Blue; 이하 "B"라 함)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Decorder;14)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신호의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부(4)를 구비한다. 프로젝터에는 PC 또는 VTR이 접속되며, PC 입력신호는 A-D변환기(2)에서 PC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R,G,B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VTR 입력신호는 A-D변환기(2)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후, 콤 필터(12)에서 VTR 입력신호에 포함된 Y신호와 C신호로 분리된다. 상기 Y신호 및 C신호에 의해 디코더(14)에서 VTR입력신호에 대응하는 R,G,B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또한, 절환부(4)는 사용자의 선택(예를들면, 리모콘에 의한 키입력)에 의해 프로젝터에 접속된 PC 또는 VTR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형성하여 입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젝터는 절환부(4)에서 선택된 R,G,B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6)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를 아날로그 R,G,B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8 이하 "D-A변환기"라 함)와, 상기 아날로그 R,G,B신호를 액정(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이 요구하는 신호포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LCD를 구동하는 구동부(Driver;10)와, 설정된 밝기레벨에 따라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16)를 구비한다. 디지털신호 처리부(6)는 입력된 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함과 아울러, 화질의 향상하기 위해 신호를 처리하게된다. 상기 입력된 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해야하는 이유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프로젝터에 접속되는 그래픽 처리방법은 PC의 기종에 따라 VGA, SVGA, XGA등이 될수 있으며, 출력화면의 LCD의 그래픽 처리방법은 VGA, SVGA, XGA중 어느 하나로 지정되게 된다. 이로인해, 입력신호의 그래픽 처리방법과 출력화면의 그래픽 처리방법이 달라지게 되므로, PC의 기종에 관계없이 사용하기 위해 입력된 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에서 출력된 R,G,B신호는 D-A변환기(8)에 의해 아날로그 R,G,B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구동부(10)는 상기 아날로그 R,G,B신호를 LCD에서 요구하는 신호포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LCD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제어 프로세스부(16)는 사용자가 지정한 밝기레벨에 따라 출력화면이 일정한 밝기를 갖도록 구동부(1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프로젝터에서 영화를 관람할 경우 영화의 내용에 따라 화면의 밝기(Brightness)가 변화되어 스크린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 화면의 밝기는 입력신호에의해 달라지므로 주변밝기가 변하는 경우(예를들면, 실내전등을 켜거나 끄는경우)에 화면이 너무 밝거나 어둡게 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밝기레벨을 조정하여 관람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프리젠테이션의 경우 영화를 관람할때와는 달리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PC의 기종 또는 PC내의 전압레벨의 변화에 의해 입력신호가 변하게 되어 화면의 밝기레벨이 변화되어 진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밝기레벨을 조정하여 사용해야만 하다.
상기와같이, 종래의 프로젝터는 입력신호의 밝기변화 또는 주변의 밝기변화에 대해 사용자가 매번 원하는 출력밝기를 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출력밝기를 조절하는 프로젝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4,24 : 절환부
6,26 : 디지털신호 처리부 8,28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10,30 : 구동부 12,32 : 콤 필터
14,34 : 디코더 16,36 : 제어 프로세스부
38a 내지 38c : 메모리 40 : 광량측정 센서
42 : 컴퓨터 신호 처리부 44 : 비디오 신호 처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프로젝터는,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입력신호의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와, 광량측정 센서에서 검출된 주변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프로젝터는,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프로젝터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와, 메모리부 및 광량측정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는 PC 및 VTR에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2), 상기 PC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R,G,B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여 저장하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38a 내지 38c)와, 상기 VTR 입력신호에서 밝기정보를 갖는 Y신호와 색성분 정보를 갖는 C신호를 분리하는 콤 필터(Comb Filter;32)와, 상기 콤 필터(32)에서 분리된 Y신호 및 C신호에 의해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R, G 및 B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Decorder;34)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신호의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부(24)를 구비한다. 상기 A-D변환기(22), 콤 필터(32), 디코더(34) 및 절환부(2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내지 제3 메모리(38a 내지 38c)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PC 입력신호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영상을 소정개수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각의 블록에서 소정개수의 픽셀을 샘플링하여 R신호는 제1 메모리(38a), G신호는 제2 메모리(38b), B신호는 제3 메모리(38c)에 각각 저장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의 크기는 샘플링되는 픽셀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메모리는 자신에게 저장된 샘플링 정보(즉, R,G,B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스부(36)의 제어에 의해 처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절환부(24)에서 선택된 R,G,B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26)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26)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를 아날로그 R,G,B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28)와, 상기 아날로그 R,G,B신호를 LCD가 요구하는 신호포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LCD를 구동하는 구동부(Driver;30)와, 입력신호의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36)를 구비한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26), D-A변환기(28) 및 구동부(3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을 산출함과 아울러, 설정된 밝기레벨과 산출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의 산출은 제어 프로세스부(36)에서 수행된다. 입력신호의 밝기레벨 판단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샘플링되어 제1 내지 제3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의 픽셀에 대한 R,G,B 각각의 계조를 더한후 평균값을 구하여 하나의 픽셀이 갖는 밝기레벨을 산출한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하나의 픽셀에 포함된 R,G,B신호가 256계조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R성분이 갖는 계조값,B성분이 갖는 계조값, B성분이 갖는 계조값을 더한후 소정값(예를들면, 3)으로 나누어 하나의 픽셀이 갖는 밝기레벨을 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한 장의 영상에 대한 각각의 픽셀이 갖는 밝기레벨을 더한후, 평균값을 구하여 한 장의 영상이 갖는 밝기레벨을 산출한다. 이어서, 몇장의 영상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설정된 밝기레벨과 산출된 밝기레벨을 비교한후, 상기 비교한 값에 대응하도록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밝기레벨은 사용자 또는 프로젝터 메이커(Maker)에서 설정한 밝기레벨을 의미한다. 이때,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이 설정된 밝기레벨보다 높은 경우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낮추게 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높여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에 따라 출력화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줌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는 PC에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R,G,B신호로 처리하는 PC신호 처리부(42)와, VTR에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R,G,B신호로 처리하는 VTR신호 처리부(44)와,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4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신호의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부(24)와, 절환부(24)에서 선택된 R,G,B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26)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26)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를 아날로그 R,G,B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28)와, 상기 아날로그 R,G,B신호를 LCD가 요구하는 신호포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LCD를 구동하는 구동부(Driver;30)와, 입력신호의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36)를 구비한다. 상기, 절환부(24), 디지털신호 처리부(26), D-A변환기(28) 및 구동부(30)의 기능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PC신호 처리부(42)는 A-D변환기(2)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PC신호 처리부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의 A-D변환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VTR신호 처리부(44)는 A-D변환기(2), 콤 필터(12) 및 디코더(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부분의 설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뒷받침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주변의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주변 밝기레벨은 광량측정 센서(40)에서 검출되며, 상기 주변 밝기레벨 정보는 제어 프로세스부(36)에 전송된다. 또한,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설정된 밝기레벨과 검출된 주변 밝기레벨을 비교한후, 상기 비교한 값에 대응하도록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밝기레벨은 사용자 또는 프로젝터 메이커(Maker)에서 설정한 밝기레벨을 의미한다. 이때, 주변 밝기레벨이 설정된 밝기레벨보다 높은 경우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높이게 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낮추어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이 사용자가 느끼기에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주변의 밝기레벨에 따라 출력화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줌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PC 및 VTR에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2), 상기 PC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R,G,B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여 저장하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38a 내지 38c)와, 상기 VTR 입력신호에서 밝기정보를 갖는 Y신호와 색성분 정보를 갖는 C신호를 분리하는 콤 필터(Comb Filter;32)와, 상기 콤 필터(32)에서 분리된 Y신호 및 C신호에 의해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R, G 및 B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Decorder;34)와,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4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신호의 경로를 절환하는 절환부(24)와, 절환부(24)에서 선택된 R,G,B신호를 출력화면에 맞도록 처리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26)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26)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를 아날로그 R,G,B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28)와, 상기 아날로그 R,G,B신호를 LCD가 요구하는 신호포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LCD를 구동하는 구동부(Driver;30)와, 입력신호의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36)를 구비한다. 상기 A-D변환기(22), 제1 내지 제3 메모리(38a 내지 38c),광량측정 센서(40), 절환부(24), 디지털신호 처리부(26), D-A변환기(28), 구동부(30), 콤 필터(32) 및 디코더(3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입력신호의 밝기레벨 및 주변의 밝기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먼저,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의 변화에 따른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의 조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 프로세스부(36)는 도 2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을 산출함과 아울러, 설정된 밝기레벨과 산출된 밝기레벨을 비교한후, 상기 비교한 값에 대응하도록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밝기레벨은 사용자 또는 프로젝터 메이커(Maker)에서 설정한 밝기레벨을 의미한다. 이때,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이 설정된 밝기레벨보다 높은 경우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낮추게 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높여 출력화면의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주변의 밝기레벨의 변화에 따른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의 조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 프로세스부(36)는 광량측정 센서(40)에서 검출된 주변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한후, 상기 비교한 값에 대응하도록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밝기레벨은 사용자 또는 프로젝터 메이커(Maker)에서 설정한 밝기레벨을 의미한다. 이때, 주변 밝기레벨이 설정된 밝기레벨보다 높은 경우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높이게 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낮추어 출력화면의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어 프로세스부(36)는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이 변화될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조정한다. 또한, 주변 밝기레벨이 변화될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입력신호 및 주변의 밝기레벨이 동시에 변화될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이로인해, 입력신호의 밝기레벨 변화 및/또는 주변의 밝기레벨 변화에 대응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줌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입력신호의 밝기레벨의 변화 및/또는 주변의 밝기레벨 변화에 대응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므로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줌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프로젝터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와,
    상기 메모리부 및 광량측정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영상정보를 샘플링 하여 R신호, G신호, B신호로 나누어 저장하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샘플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입력신호의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영상정보를 샘플링 하여 R신호, G신호, B신호로 나누어 저장하는 제1 내지 제3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프로젝터 주변의 밝기레벨을 감지하는 광량측정 센서와,
    상기 광량측정 센서에서 검출된 주변 밝기레벨과 설정된 밝기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19980016014A 1998-05-04 1998-05-04 프로젝터 KR10054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14A KR100547972B1 (ko) 1998-05-04 1998-05-04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14A KR100547972B1 (ko) 1998-05-04 1998-05-04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344A true KR19990084344A (ko) 1999-12-06
KR100547972B1 KR100547972B1 (ko) 2006-04-14

Family

ID=3718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014A KR100547972B1 (ko) 1998-05-04 1998-05-04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47B1 (ko) * 2002-08-2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 표시 장치의 화면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66872B1 (ko) * 2002-08-28 2008-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 표시 장치의 화면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791A (ja) * 1993-12-03 1995-06-23 Sony Corp 映像投射装置
KR0147214B1 (ko) * 1994-09-23 1998-09-15 이헌조 프로젝터의 광량제어장치
KR970009302A (ko) * 1995-07-11 1997-02-24 구자홍 광대역 휘도 조절 회로
KR0164177B1 (ko) * 1995-11-13 1999-01-15 배순훈 프로젝터의 광원램프 휘도조절장치
KR980009968U (ko) * 1996-07-31 1998-04-30 양재신 무인차량에 장착된 ccd 카메라의 광량 자동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47B1 (ko) * 2002-08-2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 표시 장치의 화면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66872B1 (ko) * 2002-08-28 2008-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 표시 장치의 화면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972B1 (ko) 200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759B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태 자동 조정 장치와 방법
US7817171B2 (en)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display apparatus driving device, program therefor,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and display apparatus
US768391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display program
CA2413963C (en) Image display apparatus, light quantit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f
US757675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a luminance characteristic curve
US200602496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US200502591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080222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14805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US2007017687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isplay apparatus
US20070146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917462A (en) Display apparatus
JP2001134235A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1036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cidental image thereof
KR100547972B1 (ko) 프로젝터
JP2002196736A (ja) アスペクト比に応じたプロジェクタの投写サイズ調整
KR1005954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051652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798169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127635A (ja) デイスプレイ輝度自動調節装置
JP2003158747A (ja) 画像表示装置
KR100296417B1 (ko) 블랙화면의 화질 보정장치
JP2938264B2 (ja) 液晶映像表示装置
US20220130340A1 (en) Display apparatus that controls amount of light from light source in accordance with video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012804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