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243A -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243A
KR19990084243A KR1019980015833A KR19980015833A KR19990084243A KR 19990084243 A KR19990084243 A KR 19990084243A KR 1019980015833 A KR1019980015833 A KR 1019980015833A KR 19980015833 A KR19980015833 A KR 19980015833A KR 19990084243 A KR19990084243 A KR 1999008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umen
unit members
sten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572B1 (ko
Inventor
김철생
심병국
안성순
Original Assignee
김서곤
주식회사 솔고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곤, 주식회사 솔고,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김서곤
Priority to KR101998001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5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61F2002/8483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굽혀진 내강에서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 및 탄성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직선부들과,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한 직선부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피크부들 및 밸리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부재들과; 상기한 단위부재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부와 감아서 상기한 단위부재들을 서로 대응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굽혀진 내강에서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내에 발생되는 질병에 의해 인체내의 내강들은 수축되어 기능이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축된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확장된 내장이 다시 수축되지 않도록 하는 기기가 요구된다.
예컨대, 내강이 수축되는 경우 식도암으로 식도가 협착을 일으키거나, 동맥경화증에 의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또는 간으로부터 나오는 담즙이 흐를 수 있는 트랙이 협착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내강이 협착된 상태에서는 음식물이나 혈액 또는 담즙 등이 원활히 흐를 수 없기 때문에 협착된 내강을 확장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방사방향으로 확장하는 성질을 갖는 이른바, 스텐트가 내강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되어 원통형상으로 감겨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스텐트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되어 원통형상으로 감겨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굽혀진 내강에서 통로를 형성하도록 스텐트의 와이어가 굽혀지게 되면 상기한 와이어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의 양단이 파이게 되며 이와 같이 와이어의 파인 부분으로 음식물 또는 혈액 등이 잔류되게 되기 때문에 음식물 또는 혈액 등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굽혀진 내강에서도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또는 혈액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 및 탄성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직선부들과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한 직선부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피크부들 및 밸리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부재들과; 상기한 단위부재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부와 감아서 상기한 단위부재들을 서로 대응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가 굽혀진 내강에 삽입되면 단위부재들은 연결부재와 연결된 직선부를 중심으로 일정한 곡률을 이루면서 굽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내강의 굽혀진 부분으로 단위부부재들은 탄성력을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만 탄성복원력이 단위부재들에 분산되면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연결부재의 탄성복원력은 단위부재들에 골고루 분산된 후 내강의 굽힘력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되므로 상기한 단위부재들은 굽혀진 내강에 삽입되어도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단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단위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내강 확장용 스텐트(1)는 일정한 길이 및 탄성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직선부(3)들과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한 직선부(3)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피크부(5)들 및 밸리부(7)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부재(9)들과; 상기한 단위부재(9)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부(3)와 감아서 상기한 단위부재(9)들을 서로 대응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단위부재(9)들의 직선부(3), 피크부(5) 및 밸리부(7) 또는 연결부재(11)는 기억형상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위부재(9)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밴딩하여 피크부(5)들 및 밸리부(7)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며 상기한 피크부(5)들 및 밸리부(7)들이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한 직선부(3)들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연결부재(11)는 굽혀진 내강에서 단위부재(9)가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위부재(9)들을 나선상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한 단위부재(9)들을 일정한 간격(예컨대, 180도)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연결부재(11)와 단위부재(9)의 연결은 연결부재(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단위부재(9)의 직선부(3)와 적어도 1회이상 꼬아서 연결하는 연결부(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재(11)의 일단부(11i)는 최선단으로 위치한 단위부재(9)의 피크부(5) 내측으로 배치하며 또한 연결부재(11)의 타단부(11f)는 최말단으로 위치한 단위부재(9)의 밸리부(7) 내측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일정한 단위 길이 및 탄성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부재(9)들을 구성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상기한 단위부재(9)들은 다수의 피크부(5)와 밸리부(7)를 가지도록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직선부(3)를 이루는 단계를 실시한다.
그 다음 도 3과 같이 상기한 일 단위부재(9)의 피크부(5)와 밸리부(7)를 다른 단위부재(9)의 피크부(5)와 밸리부(7)를 서로 대응하게 수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와 같이 배열된 일 단위부재(9)의 직선부(3)와 다른 단위부재(9)의 직선부(3)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1)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한 연결부재(11)는 굽혀진 내강에서 단위부재가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단위부재(9)들을 나선상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한 단위부재(9)들을 일정한 간격(예컨대,180도)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재(11)는 단위부재(9)들의 직선부(3)와 적어도 1회 이상으로 꼬아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1)가 굽혀진 내강에 삽입되면 단위부재(9)들은 연결부재(11)의 연결부(13)와 연결된 직선부(3)를 중심으로 일정한 곡률을 이루면서 굽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내강의 굽혀진 부분으로 단위부재(9)들의 직선부(3)와 피크부(5) 및 밸리부(7)는 탄성력을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됨과 아울러 연결부재(11)에만 일정한 크기의 탄성복원력이 단위부재(9)들에 분산되면서 일정한 크기 이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연결부재(11)의 탄성복원력은 단위부재(9)들에 골고루 분산된 후 내강의 굽힘력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되므로 상기한 단위부재(9)들은 굽혀진 내강에 삽입되어도 연결부재(11)에 의하여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굽혀진 내강에서도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의 양쪽으로 파인 부분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음식물 또는 혈액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일정한 단위 길이 및 탄성력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부재들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위부재들은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직선부를 이루는 단계와; 상기한 일 단위부재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다른 단위부재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서로 대응하게 수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배열된 일 단위부재의 직선부와 다른 단위부재의 직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재는 굽혀진 내강에서 단위부재가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위부재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선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재는 단위부재들의 직선부와 적어도 1회 이상으로 꼬아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4. 일정한 길이 및 탄성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직선부들과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한 직선부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피크부들 및 밸리부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부재들과; 상기한 단위부재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부와 감아서 상기한 단위부재들을 서로 대응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밴딩하여 피크부들 및 밸리부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며 상기한 피크부들 및 밸리부들이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재는 단위부재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선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재와 단위부재의 연결은 연결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단위부재의 직선부와 적어도 1회이상 꼬아서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19980015833A 1998-05-02 1998-05-02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26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833A KR100269572B1 (ko) 1998-05-02 1998-05-02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833A KR100269572B1 (ko) 1998-05-02 1998-05-02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243A true KR19990084243A (ko) 1999-12-06
KR100269572B1 KR100269572B1 (ko) 2000-10-16

Family

ID=1953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833A KR100269572B1 (ko) 1998-05-02 1998-05-02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319B1 (ko) * 1999-08-05 2002-09-10 송호영 인조혈관 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2761B1 (en) * 2003-06-02 2007-12-05 S & G Biotech, Inc. A cylindrical stent
WO2004105853A1 (en) * 2003-06-02 2004-12-09 S & G Biotech, Inc. A cylindrical s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319B1 (ko) * 1999-08-05 2002-09-10 송호영 인조혈관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9572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663B2 (en) Stent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CA2237476C (en) Coronary stent
KR100633020B1 (ko)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KR970004845Y1 (ko) 내강확장용 의료용구
US6340366B2 (en) Stent with nested or overlapping rings
KR0153031B1 (ko) 나선형 스텐트
JP2010521217A (ja) 内腔拡張用ステント
WO2023140214A1 (ja) ステント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6930A (ko) 스텐트
KR102428729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EP1235535B1 (en) Stent
KR10026957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20239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200194614Y1 (ko) 스텐트
KR100548781B1 (ko) 원통형 스텐트
KR100190755B1 (ko) 내강 확장용 의료용구 및 그 제조방법
EP1542761B1 (en) A cylindrical stent
KR100298047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
KR100337650B1 (ko) 이동 방지를 위한 팽창성 스텐트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KR102196226B1 (ko)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0329203B1 (ko)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