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829A - 다이버시티안테나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이버시티안테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829A
KR19990082829A KR1019990011416A KR19990011416A KR19990082829A KR 19990082829 A KR19990082829 A KR 19990082829A KR 1019990011416 A KR1019990011416 A KR 1019990011416A KR 19990011416 A KR19990011416 A KR 19990011416A KR 19990082829 A KR19990082829 A KR 1999008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alculating
sum
levels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249B1 (ko
Inventor
스파이트티몬시제임스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1999008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5Weighted combining per branch equalization, e.g. by an FIR-filter or RAKE receiver per antenna bran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82Time delay steer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경로 전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 어레이 내의 각각의 안테나가 탭 출력 신호들이 가중되어 합계된 각각의 브랜치 탭 지연 라인을 갖는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그 합계들은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은 브랜치 가중치 W1S내지 WMS가 각각의 브랜치에 대해 합계된 탭 출력 신호들 y1내지 yM의 실수부를 한 설정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와,
논리 제로의 심벌값을 상기 설정 레벨의 한 쪽으로 되는 합계된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로 판단하고, 논리 1의 심벌 값을 상기 설정 레벨의 다른 쪽으로 되는 합계된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로 판단하는 단계와,
논리값 제로로 판단된 신호들의 레벨들의 평균 및 논리값 1로 판단된 신호들의 레벨들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와,
논리값 제로와 각각의 평균으로 판단된 각각의 신호의 레벨과 논리값 1과 각각의 평균으로 판단된 각각의 신호의 레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평균으로부터 거리들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신호들의 레벨들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신호들의 레벨들의 거리의 합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심벌들의 레벨들의 거리의 합계에 대한 상기 평균으로부터의 거리들의 합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비율의 역수에 따라 다른 브랜치 가중치 W1S내지 WMS를 설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Description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Diversity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은 예컨대, GSM과 같은 셀룰러 이동 전화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당업자들은 쉽게 다른 응용들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업링크 통신들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이동을 간섭하는 다경로 전파와 일반 잡음에 의해서 그 성능이 저하된다. 다경로 전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 어레이 내의 각각의 안테나가 탭 출력 신호들이 가중되고 합계된 각각의 브랜치 탭지연 라인을 갖는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상기 합계들은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종래의 결합 기법은 채널 응답의 추정에 의존하며, 최대 비율 결합에 참조된다. 임펄스 응답 측정은 부분 최적의 결합을 일으켜 부정확하게 될 수 있다.
도1은 적응성 안테나 및 그 탭된 지연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트레이닝 시퀀스 동안 수신기로부터 출력된 신호 레벨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안테나 4 : 수신기
8 : 가중치 설정 수단 12, 28 : 합산기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이 탭 가중치 만큼 가중되어 합계되는 각각의 브랜치 탭 지연 라인을 각각 갖는 안테나의 어레이와, 브랜치 가중치 만큼 브랜치 지연 라인 합계 각각을 가중시키는 수단과, 상기 가중된 합계들을 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브랜치 가중치는 각각의 브랜치에 대해 한 설정 레벨과 브랜치를 위한 합계된 탭 출력 신호들의 실수부를 비교하는 단계와, 논리 제로의 심벌 값을 상기 설정 레벨의 한 쪽으로 되는 합계된 블랜치 탭 출력 신호들로 판단하고, 논리 1의 심벌값을 상기 설정 레벨의 다른 쪽으로 되는 합계된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로 판단하는 단계와,
논리값 제로로 판단된 신호들의 레벨들의 평균과, 논리값 1로 판단된 신호들의 레벨들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와,
논리 제로 값과 각각의 평균으로 판단된 각각의 신호의 레벨과 논리값 1과 각각의 평균으로 판단된 각각의 신호의 레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으로부터의 거리들의 합계들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신호들의 레벨들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신호들의 레벨들의 거리들의 합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심벌들의 레벨들의 거리들의 합계에 대한 상기 평균으로부터의 거리들의 합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비율의 역수에 따른 브랜치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탭 가중치들은 각각의 브랜치 탭 지연 라인이 정합 필터가 되도록 설정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M 안테나의 한 어레이 내의 각각의 안테나(2)는 각각의 수신기(4)에 접속된다. 어레이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가우스 최소 시프트 키(GMSK) 변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들은 디로테이션(de-rotation)되어 GMSK 변조에 적용되는 차동 위상 인코딩을 제거한다. 각각의 수신기로부터 디로테이션된 신호는 하나 이상의 처리기들에 의해 물리적인 각각의 탭 지연 라인(6)에 공급되거나 또는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각각의 탭에서 신호는 가중치 설정 수단(8)에 의해 개개의 가중치들 W11내지 Wml만큼 가중되며, 가중된 신호들은 합산기(12)에서 합산된다. 각각의 이퀄라이저로부터의 합계들은 합산기(28)에서 합산된다.
각각의 브랜치의 가중치들은 정합 필터 실행을 나타내는 종래의 슬라이딩 상관 관계 기법에 의해 계산된다. 즉 가중치들은 설정되어 각각의 브랜치들에 있어서 측정된 채널 상태들에 정합된다.
논리 제로 또는 논리 1의 심벌 값을 판단하기 위한 일시적 결정은합산기(12)의 출력 y1내지 ym의 실수부의 레벨이 양인지 또는 음인지의 여부에 달려있다. 따라서 제로의 한 설정의 결정 레벨(16)(제2도 참조)은 논리 1의 심벌들(20)의 레벨로부터 논리 제로의 심벌들(18)의 레벨을 구별한다.
설정 레벨(16)과 논리값 제로로 판단된 심벌들(18)의 레벨들 사이의 거리들(d0)의 평균(22)이 계산된다. 상게 설정 레벨(16)과 논리값 1로 판단된 심벌들(20)의 레벨들 사이의 거리(d1)의 평균(24)이 계산된다.
논리값 제로로 판단된 각각의 심벌(18)의 레벨 및 각각의 평균(22) 사이의 거리가 계산된다. 논리값 1로 판단된 각각의 심벌(24)의 레벨 및 각각의 평균(24) 사이의 거리가 계산된다.
평균으로부터의 모든 거리들의 합이 계산된다.
설정된 결정 레벨(16)로부터의 모든 심벌들의 레벨들의 거리들이 계산된다.
설정된 레벨로부터의 모든 심벌들의 레벨들의 거리들의 합에 대한 평균으로부터의 거리들의 합의 비율이 계산된다(굿니스(goodness) 비율). 이것이 작을 수록 브랜치 응답의 신뢰성이 더 좋다. 계산된 m굿니스 비율이 있다.
합산기(12)에 의해 생성된 합계는 가중치 설정기(26)의 가중치 W1S내지 WMS에 의해 스스로 가중되어 합산기(28)에서 합산된다. 가중치는 각각의 브랜치에 대한 굿니스 비율의 역수에 비례한다.
다경로 전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 어레이 내의 각각의 안테나가 탭출력 신호들이 가중되고 합계된 각각의 브랜치 탭 지연 라인을 갖는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제공되며, 상기 합계들은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Claims (2)

  1.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이 탭 가중치 만큼 가중되고 합산되는 각각의 브랜치 탭 지연 라인을 각각 갖는 안테나의 어레이와,
    브랜치 가중치 만큼 브랜치 지연 라인 각각의 합산을 가중시키는 수단과,
    가중된 합을 합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랜치 가중치는 각각의 브랜치에 대해
    브랜치의 합산 탭 출력 신호들의 실수부를 한 설정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와,
    논리 제로의 심벌 값을 상기 설정 레벨 중 한 쪽으로 되는 합산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로 판단하고, 논리 1의 심벌 값을 상기 설정 레벨 중 다른 쪽으로 되는 합산 브랜치 탭 출력 신호들로 판단하는 단계와,
    논리값 제로로 판단된 신호들의 레벨 평균과, 논리값 1로 판단된 신호들의 레벨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와,
    논리값 제로와 각각의 평균으로 판단된 각각의 신호 레벨과 논리값 1과 각각의 평균으로 판단된 각각의 신호 레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신호들의 레벨들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신호의 레벨들의 거리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레벨로부터 모든 심벌들의 레벨들의 거리의 합에 대한 평균들로부터 상기 거리의 합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비율의 역수에 따른 브랜치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가중치는 각각의 브랜치 탭 지연 라인이 정합 필터가 되도록 설정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KR1019990011416A 1998-04-03 1999-04-01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KR100337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302654A EP0948081A1 (en) 1998-04-03 1998-04-03 Diversity antenna system
EP98302654.3 1998-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829A true KR19990082829A (ko) 1999-11-25
KR100337249B1 KR100337249B1 (ko) 2002-05-17

Family

ID=823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416A KR100337249B1 (ko) 1998-04-03 1999-04-01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04768A (ko)
EP (1) EP0948081A1 (ko)
JP (1) JP3634661B2 (ko)
KR (1) KR100337249B1 (ko)
CN (1) CN1235388A (ko)
AU (1) AU721254B2 (ko)
BR (1) BR9901219A (ko)
CA (1) CA226520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021B1 (ko) * 1999-03-22 2002-03-20 윤종용 다이버시티 안테나간의 이격거리 결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80272B (zh) * 2004-11-19 2011-01-05 上海宣普实业有限公司 路径合并和相关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9580B (en) * 1989-02-08 1993-07-21 Stc Plc Adaptive array processor
EP0449327B1 (en) * 1990-03-30 1998-07-15 Nec Corporation Noise-immune space diversity receiver
DE4018044A1 (de) * 1990-06-06 1991-12-12 Philips Patentverwaltung Empfaenger mit mindestens zwei empfangszweigen
JP2982504B2 (ja) * 1992-07-31 1999-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適応受信機
JP2780576B2 (ja) * 1992-08-05 199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干渉波除去装置
US5481570A (en) * 1993-10-20 1996-01-02 At&T Corp. Block radio and adaptive arrays for wireless systems
US5724390A (en) * 1994-03-02 1998-03-03 Lucent Technologies Inc. MLSE before derotation and after derotation
US5550872A (en) * 1994-10-24 1996-08-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Fourier Transform based maximal ratio combining
JPH08298483A (ja) * 1995-04-27 1996-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AT408933B (de) * 1996-05-20 2002-04-25 Josef Dipl Ing Fuh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teilnehmerkapazität von zellularen mobilfunknetz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021B1 (ko) * 1999-03-22 2002-03-20 윤종용 다이버시티 안테나간의 이격거리 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249B1 (ko) 2002-05-17
CA2265208A1 (en) 1999-10-03
JP3634661B2 (ja) 2005-03-30
US6104768A (en) 2000-08-15
EP0948081A1 (en) 1999-10-06
AU2353999A (en) 1999-10-14
BR9901219A (pt) 2000-02-01
AU721254B2 (en) 2000-06-29
CN1235388A (zh) 1999-11-17
JP2000013291A (ja) 2000-01-14
CA2265208C (en)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ang et al. Burst coherent demodulation with combined symbol timing, frequency offset estimation, and diversity selection
CA2036423C (en) Method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fading of a viterbi receiver having at least two antennas
CA2076061A1 (en) Method of forming a channel estimate for a time-varying radio channel
CA2037824C (en) Diversity circuit and frame phase (or sampling timing) estimation circuit using the diversity circuit
US6546026B1 (en) Multi-diversity synchroniz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synchroniz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applications over fading channels
JPH10303794A (ja) 既知系列検出器
AU724387B2 (en) Compensation of doppler shif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282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impulse response estimation in GSM systems
WO2007003715A1 (en) Speed detection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receiver, network element and processor
KR100311263B1 (ko) 파일롯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37248B1 (ko) 적응성 안테나 어레이의 탭 가중값 조정 방법
KR100337249B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US6553007B1 (en) Compensation of doppler shif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40377B1 (ko)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의 탭핑된 지연 라인 프로세서의 탭 가중치들 조절 방법
Auer et al. Robust channel prediction technique for decision directed RAKE receivers
KR100513024B1 (ko)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JPH0918399A (ja) 検波後ダイバーシチ受信回路
Gu et al. An effective lms equalizer for the gsm chipset
JPH08242196A (ja) ダイバーシチ等化装置
KR20040055111A (ko) 위상 정보를 이용한 도플러 주파수 추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