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529A - 공압 모터 - Google Patents

공압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529A
KR19990082529A KR1019980706265A KR19980706265A KR19990082529A KR 19990082529 A KR19990082529 A KR 19990082529A KR 1019980706265 A KR1019980706265 A KR 1019980706265A KR 19980706265 A KR19980706265 A KR 19980706265A KR 19990082529 A KR19990082529 A KR 1999008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hamber
piston
valv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챠드 케이 가드너
Original Assignee
로날드 지. 헬러
인거솔-랜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지. 헬러, 인거솔-랜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로날드 지. 헬러
Publication of KR1999008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52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11/00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without rotary main shaft, e.g. of free-pis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Actuator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Hydraulic Motors (AREA)

Abstract

공압 모터(10)는 대향의 챔버 단부를 구비한 피스톤 챔버(16)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34, 36)와, 가압유체를 피스톤 챔버(16)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34, 36)내로 흐르게 하기 위한 입구(38)와, 피스톤 챔버(16)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로부터 가압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에 제공된 출구 수단을 구비한 모터 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34, 36)의 각각에 위치된 3웨이 밸브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와 밸브 부재 몸체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한다. 스풀 부재는 상기 밸브 챔버의 하나에 위치되며, 각각의 스풀 부재는 밸브 부재의 개방 단부에 위치된 제 1 단부를 갖는다. 스풀 부재(96, 98)는 가압유체가 피스톤 챔버내로 공급되게 하는 밸브 부재에 대한 제 1 방향과 피스톤 챔버내의 가압유체가 챔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76)은 3웨이 밸브 부재(120)에 대해 스풀(96, 98)에 의한 이동에 응답하여 주 몸체(16)에서 왕복운동가능하다.

Description

공압 모터
공압 모터는 그리이스나 오일 등의 유체를 저장 탱크나 드럼으로부터 차량이나 트럭 등의 매개체로 펌핑하기 위해 피스톤을 실린더를 통하여 왕복식으로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피스톤에 의한 왕복 운동을 얻기 위하여, 공기와 같은 가압유체가 피스톤 실린더 챔버의 대향 단부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가압유체가 실린더 챔버의 한쪽 단부에 공급될 때, 대향의 챔버 단부에 있는 유체는 실린더 챔버로부터 배출된다. 예를 들어, 피스톤 챔버의 제 1 단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피스톤을 제 2 챔버 단부로 가압하게 되고, 제 1 실린더 챔버 단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고 공급 공기를 제 2 챔버 단부로 공급하면 피스톤을 실린더 챔버의 제 1 단부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급기/배기 패턴은 가압유체가 모터로 공급되는한 반복된다.
전형적으로, 선택적인 급기/배기 패턴은 4웨이 밸브 부재의 방향을 역전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4웨이 밸브 부재를 역전시키므로써, 실린더의 대향 단부는 공급 압력이나 배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4웨이 밸브의 이동 방향은 공압식이나 기계식으로 또는 공압식 및 기계식을 조합한 메카니즘에 의해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이동 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하며, 4웨이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트립 로드와, 트립 핀과, 포펫 부재와, 스프링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동 메카니즘이 공압식으로 작동되었을 때에도, 이동 메카니즘은 밸브를 리세트하기 위해 신호를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는 현존하는 장치와 방법에 있는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하나이상의 제한사항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은 특징을 포함하는 적절한 대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공압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스톤 챔버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과, 밸브 챔버에 위치되고 피스톤 실린더의 대향 단부에 가압유체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가압유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밸브 챔버에서 이동가능한 스풀을 갖는 적어도 2개의 3웨이 밸브를 구비한 개선된 공압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제 1 작동 위치에 있는 3웨이 밸브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모터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단면도.
도 2 는 모터 피스톤이 제 1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몸터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단면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3웨이 밸브중 하나의 확대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선 4-4 를 따른 모터 몸체의 측단면도.
도 5 는 도 1 의 선 5-5 를 따른 모터 몸체의 측단면도.
도 6 은 도 1 의 선 6-6 를 따른 모터 몸체의 측단면도.
도 7 은 각각의 밸브 단부에 위치된 밸브 슬리이브의 측면도.
도 8a 및 도 8b 는 피스톤과 3웨이 밸브가 제 2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 및 도 2 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 는 피스톤과 3웨이 밸브가 제 3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 및 도 2 의 단면도.
공압 모터는 대향의 챔버 단부를 구비한 피스톤 챔버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와, 가압유체를 피스톤 챔버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내로 각각 흐르게 하기 위한 입구 수단과, 피스톤 챔버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로부터 가압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에 제공된 복수개의 출구 수단을 구비한 모터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에 각각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와 상기 밸브 부재 몸체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하는 3웨이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스풀 부재는 상기 밸브 부재중 하나에 위치되며, 각각의 스풀 부재는 밸브 부재의 개방 단부에 위치된 제 1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플 부재는 가압유체가 피스톤 챔버내로 공급되게 하는 밸브 부재에 대한 제 1 방향과 피스톤 챔버내의 가압유체가 챔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은 3웨이 밸브 부재에 대해 스풀에 의한 이동에 응답하여 주 챔버에서 왕복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으며,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의 공압 모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모터는 압출 성형이나 머시닝 처리 또는 캐스팅 처리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적절한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주 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주 몸체는 피스톤 챔버(16)를 형성하는 원통형 벽을 구비한 피스톤 보어(14)를 포함한다. 챔버는 상기 주 몸체(12)를 통하여 연장된다.
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 몸체(1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18, 20, 22, 24)는 주 몸체(12)를 따라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는 피스톤 보어 주위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므로, 각각의 리브는 인접한 차후 리브로부터 90°이격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리브는 종래의 신장된 타이로드 부재(26)를 수용하며 리브를 통하여 연장되는 통로(25)를 포함한다.
몸체(12)는 리브(22)와 리브(24) 사이에서 몸체와 일체로 제조된 밸브부(28)을 포함한다(도 1 및 도 4 참조). 리브(18, 20, 22, 24)와 마찬가지로, 밸브부는 리브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원통형 보어(30, 3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원통형 보어는 제 1 및 제 2 밸브 챔버(34, 36)를 형성하는 원통형 벽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챔버는 밸브부(28)를 통해 연장되어 측부 대 측부로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밸브 챔버는 리브(22, 24) 사이에 배치되며, 하나의 밸브 챔버는 리브(18, 20) 사이에 배치된다.
주 공급 포트(38)는 밸브부(28)에 형성되며, 밸브 챔버(34, 36)의 벽을 통하여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입구는 밸브부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거의 중간부에 위치된다. 압축 공기와 같은 가압유체는 압축기로부터 입구 포트를 통하여 밸브 챔버로 흐른다. 주 몸체 포트의 벽은 공급 호스나 기타 다른 종래의 공급 수단이 공급 입구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챔버 공급 포트(40)는 주 몸체 포트와 피스톤 챔버(16)를 연결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챔버 공급 포트(40)는 공급 포트(38)만큼 넓지 않다.
도 4 에 점선으로 도시된 제 1 및 제 2 포트(42, 44)는 챔버(16)의 벽에 형성되어 챔버(16, 34)를 연결한다. 제 1 포트(42)는 포트(38) 위에서 헤드캡(58) 근처에서 챔버 벽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제 2 포트(44)는 베이스 캡(60)의 근처에서 포트(38) 아래에서 챔버벽의 하부를 따라 위치된다. 포트(44)는 도 1 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포트(42)도 도 8B 에 도시되어 있다. 제 3 포트(46)는 리브(22)를 통해 연장되어 챔버(34)를 주 몸체(12)의 외부와 연결시키도록 흐른다. 상기 제 3 포트(46)는 챔버(16)로부터 가압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포트이다. 포트(42, 44)는 가압유체를 밸브 챔버와 피스톤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 기능을 한다.
포트(42, 44, 46)와 마찬가지로, 제 4 포트와 제 5 포트와 제 6 포트(48, 50, 52)는 주 몸체(12)에 형성된다. 포트(42)와 마찬가지로, 제 4 포트(48)는 베이스캡(60) 근처에서 챔버(16)의 벽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포트(44)와 마찬가지로, 제 5 포트(50)는 헤드캡(58) 근처에서 챔버 벽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다. 포트(50)는 도 1 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3 포트(46)와 마찬가지로, 제 6 포트(52)도 리브(24)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포트(48, 50)는 챔버(16)와 밸브 챔버(36)를 연결하며, 제 6 포트(52)는 밸브 챔버(36)와 주 몸체의 내부를 연결한다. 포트(42, 44, 46)와 마찬가지로, 포트(48, 50)는 급기 및 배기 포트로서 작용하며, 포트(52)는 주로 배기 포트로 작용한다. 포트(52)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몸체(12)의 상단부는 헤드캡(58)으로 둘러싸이며, 몸체의 바닥 단부는 베이스캡(60)으로 둘러싸인다. 헤드캡과 베이스캡은 로드가 리브 통로(25)를 통과할 때 타이로드(26)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는 4개의 개구를 갖는다. 종래의 너트는 캡들을 정위치에 지지하기 위하여 나선결합에 의해 타이로드 자유단부에 고정된다. 헤드캡(58)과 베이스캡(60)은 각각의 캡을 따라 필요한 위치에 캡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에 위치된 일체형 돌기를 각각 포함하므로, 헤드캡이 상부 모터 단부에 위치될 때, 관련의 돌기는 챔버(34)에서 상단부에 위치되며, 베이스캡(60)이 하부 모터 단부에 위치될 때 관련의 돌기는 챔버(36)의 하단부에 위치된다(도 1 참조). 상기 돌기는 챔버(34, 36)내의 스풀 부재가 모터의 작동중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밀봉부(도시않음)는 각각의 모터 단부를 밀봉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와 주 몸체(12) 사이에서 샌드위치된다.
베이스캡(60)은 몸체(12)의 하단부에 안착될 때 챔버(16)의 하부에 위치되는 일체형 허브(68)를 포함한다. 계단형 개구(70)는 상기 허브(68)를 통해 연장된다. 종래의 O 링(72)은 개구의 계단부의 한쪽에 안착되어 부시(74)와 허브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피스톤 부재(76)는 축선(77)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챔버(16)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피스톤은 챔버(16)를 상부 챔버(17)와 하부 챔버(19)로 분리시킨다. 피스톤은 각각의 피스톤 몸체 단부 근처에서 피스톤 몸체의 외부에 형성된 환형의 홈(78)을 구비한 원통형 몸체를 포함한다. O 링형 밀봉부(80, 81)는 각각의 홈에 안착되어 챔버(16)의 벽과 밀봉가능하게 결합된다. 환형의 피스톤 홈(82)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78) 사이에서 피스톤 몸체의 외부를 따라 형성된다. 피스톤 홈은 일반적으로 U 형으로 형성되며, 챔버(16)의 벽과 조합하여 환형 챔버(84)를 형성하며, 이러한 환형 챔버는 모터(10)의 작동중 피스톤이 챔버를 통해 이동할 때 공급 포트(40)와 연속적으로 유체 수용연결된다. 피스톤은 계단형 피스톤 로드(88)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는 중앙 보어(86)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의 협소한 다부는 개구(86)를 관통하여 종래의 스냅링(90)에 의해 정위치에 지지되며, 계단형 연결 로드의 숄더는 피스톤에 대해 접촉된 상태로 지지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광폭부는 캡(60)의 개구(70)를 관통하며, 밀봉부(72)는 로드와 밀봉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드는 펌프(도시않음)나 기타 다른 장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모터(10)에 의해 생성된 왕복 운동은 유체를 필요한 목적물에 펌핑하는데 사용된다.
2개의 홈은 로드(88)의 협소부를 따라 형성되며, 밀봉부(92)는 각각의 홈에 안착된다. 상기 밀봉부는 보어(86)의 벽과 밀봉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상부 및 하부 챔버(17, 19)와 결합된다.
신장된 원통형의 제 1 및 제 2 스풀 부재(96, 98)는 축선(97, 99)을 따라 밸브 챔버에서 이동가능한 밸브 챔버(34, 36)에 위치된다. 적어도 2 개의 스풀이 사용되어야 하지만, 그러나 다른 적절한 갯수의 스풀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은 동일하며, 서로에 대해 180°를 향하고 있으므로 스풀 부재의 대응의 단부는 대향의 캡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은 동일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스풀에 대해서만 서술될 것이다. 그러나, 모터(10)의 작동에 대해 서술될 때, 스풀에 대한 상대적 이동도 서술될 것이다.
스풀(98)은 제 1 폐쇄 단부(91)와, 제 2 폐쇄 단부(93)를 갖는다. 제 1 흐름 통로(100)는 스풀의 직경을 따라 제 2 단부(93) 근처에 위치되며, 스풀 몸체를 통해 연장된다. 제 2 흐름 통로(102)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제 1 흐름 통로(10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의 포트 배치는 배기 영역에서 공급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모터 작동중 아이스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흐름 통로(102)는 제 2 단부(93)에서 개구를 형성하며, 제 1 통로(100)와 스풀의 내부를 연결한다.
제 1 스풀 밀봉부(104)는 제 1 스풀 단부(91) 근처에서 스풀 몸체를 따라 위치된다. 제 1 스풀 밀봉부는 밸브 챔버(36)의 벽을 갖는 밀봉부를 형성하며, 스풀을 따른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중 제 1 밸브 밀봉부는 언제나 포트(40)와 제 4 포트(48) 사이에 위치된다. 밀봉부(104)와, 베이스캡(60)과, 챕버(36)는 제 1 스풀 챔버(105)를 형성한다. 스풀(96)과 관련된 대응의 챔버는 밀봉부(104)와 헤드캡(58)과 챔버(34)에 의해 형성된다. 동작중, 스풀 챔버에 위치된 가압유체는 대응의 스풀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작동된다. 챔버의 체적은 모터의 동작에 따라 변화된다.
도 3 에 있어서, 스풀(98)은 제 1 흐름 통로(100)에 인접하여 위치된 일체형의 환형 숄더(106)를 포함하며, 챔버 벽과의 밀봉부를 형성하는 제 1 스풀 밀봉부(108)를 수용하는 환형의 홈도 포함한다. 환형의 스풀 홈(109)은 숄더(106)와 제 1 스풀 밀봉부(104) 사이에서 스풀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스풀 밀봉부(104)와 밸브 챔버벽과 숄더(106)와 스풀 홈(109)은 포트(38)와 유체 수용연결되는 환형의 챔버(110)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압유체는 환형 챔버(110)의 밸브 챔버내에 도입된다.
일체형의 제 2 환형 숄더 부재(112)는 제 2 단부(93)에서 스풀의 길이를 따라 포함되며, 제 3 스풀 밀봉부재(114)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한다. 숄더 사이의 스풀 부분과 2개의 숄더는 환형의 스풀 배기 공동(116)을 형성한다. 스풀 공동은 포트(46, 52)에 의해 대기와 유체연결된다.
도 1 및 도 7 에 도시된 개방 단부를 갖는 협소한 원통형의 슬리브 부재(120)는 중공 슬리브에 위치된 스풀 부재(98)의 제 2 단부(93)를 갖는 밸브 챔버(34)의 단부에 안착된다. 밀봉부(114)는 모터의 작동중 슬리브와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환형 홈(122, 124)을 갖는 원통형 몸체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제 1 및 제 2 슬리브 밀봉부(126, 128)는 홈(122, 124)에 위치되어 밸브 챔버벽과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제 3 환형 홈(129)은 홈(122, 124) 사이에서 슬리브를 따라 포함되며, 복수개의 불연속 포트(130)는 제 3 홈(129)의 슬리브를 따라 환형 패턴으로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12개의 불연속 포트가 제공되지만, 그러나 다른 적절한 갯수의 포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슬리브가 각각의 챔버에 위치될 때, 포트는 제 2 및 제 4 포트(44, 50)와 정렬된다[도 3 의 포트(50) 참조]. 제 3 및 제 6 포트(46, 52)는 각각의 캡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슬리브의 개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모터(10)의 작동중, 제 3 스풀 밀봉부(114)는 포트(130)를 횡단하여 반복적으로 이동한다. 밀봉부(114)가 캡(58)으로부터 벗어나서 포트의 한쪽에 위치될 때, 포트는 챔버(105)로 흐름연결되며, 밀봉부가 캡(58)에 인접하여 포트의 다른쪽에 있을 때, 포트(130)는 공도(116)에 흐름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슬리브는 3웨이 밸브로 작용한다.
모터(10)의 작동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겠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공기와 같은 가압유체는 주 입구(38)를 통하여 스풀(96, 98)과 관련된 환형의 챔버(110)내로 흐르고, 포트(40)를 통해 피스톤 환형 챔버(84)내로 흐른다. 챔버(110)내의 공기는 제 1 흐름 통로(100)와, 각 스풀의 제 2 단부(93)에 인접한 제 2 흐름 통로(102)를 흐른다. 공기는 제 2 단부(93)를 지나서 챔버내로 흐르고, 포트(130)와 제 2 및 제 4 포트(44, 50)를 통해 피스톤 챔버(16)내로 흐른다. 그 결과, 스풀(96)이 상향으로 가압되면 단부(91)는 캡(58)의 돌기(62)에 닿고, 스풀(98)이 하향으로 가압되면 제 1 단부(91)는 캡(60)의 돌기(62)에 닿게 된다. 피스톤 부재(76)는 헤드캡(58)이 아닌 베이스캡(60)에 가깝게 챔버(16) 위치된다.
공기는 제 2 포트(44)를 통하여 피스톤 챔버(19)내로 흐른다. 공기는 피제 5 포트(50)를 통해 피스톤위의 챔버에 유입된다. 하부 챔버가 공기로 채워졌을 때, 공기는 제 4 포트(48)를 흘러서 스풀(98)의 제 1 단부(91) 아래의 챔버(105)내로 흘러 스풀(98)을 캡(58)을 향하여 가압한다. 스풀(98)의 제 2 단부(93)는 캡(58)에 닿고, 피스톤위 챔버내의 공기는 제 5 포트(50)와 슬리브 포트(130)와 공동(116)을 통해 모터로부터 배기되며, 제 6 포트(52)를 통해 몸체(12)로부터 배기된다. 공기가 배출된 후, 피스톤은 압축공기 상자 피스톤 챔버(19)에 의해 헤드캡(58)을 향하여 상향으로 가압된다.
피스톤이 상향으로 이동될 때, 피스톤 밀봉부(80)는 제 1 포트(42)를 지나 이동되며, 그후 환형 피스톤 챔버(84)내의 공기는 챔버(105)내로 공급되고, 스풀은 베이스캡(60)을 향하여 하향으로 가압된다. 하부 피스톤 챔버내의 공기는 제 2 포트(44)와 슬리브 포트(130)와 슬리브(120)와 공동(116)을 통해 챔버로부터 배기되며, 제 3 포트(46)를 통해 주 몸체(12)로부터 배기된다. 이제, 스플과 피스톤은 도 8A 및 도 8B 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포트(46)를 통해 제 4 포트(48)로부터 배기되며, 공기가 외측을 향하여 흐름에 따라, 스풀(98)은 단부가 베이스캡(60)의 돌기에 닿을 때까지 하향으로 변위된다. 그후,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통로(100, 102)를 통해 피스톤위의 피스톤 챔버(16)내로 흐른다.
공기가 피스톤위로 흘러 하부 피스톤 챔버로부터 배기될 때, 피스톤은 캡(60)을 향하여 하향으로 가압되며, 피스톤 밀봉부(81)가 제 4 포트(48)를 통과할 때, 공기는 제 4 포트(48)를 통과하여 스플(98)을 단부캡(58)을 향하여 상향으로 가압하므로써 피스톤위의 공기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 5 포트(50) 및 제 6 포트(52)로부터 배기되게 한다. 공기는 제 1 포트(42)를 통해 배기된다. 공기가 포트(42)로부터 배기됨에 따라, 환형 챔버(110)내의 공기는 스풀(96)을 돌기(62)를 향하여 상향으로 가압한다.
입구 공기는 통로(100, 102)를 통해 피스톤 하부의 챔버내로 흐르며, 이러한 처리는 반복된다. 상기 피스톤은 공기 공급이 완료될 때까지 왕복으로 신속히 작동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2)

  1. 대향의 챔버 단부를 구비한 피스톤 챔버와, 가압유체를 피스톤 챔버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내로 흐르게 하기 위한 입구 수단과, 피스톤 챔버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로부터 가압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에 제공된 출구 수단을 구비한 모터 몸체와,
    적어도 2개의 밸브 챔버에 각각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와 상기 밸브 부재 몸체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하는 3웨이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중 하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풀 부재와,
    3웨이 밸브 부재에 대해 스풀에 의한 이동에 응답하여 주 챔버에서 왕복이동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스풀 부재는 밸브 부재의 개방 단부에 위치된 제 1 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풀 부재는 가압유체가 피스톤 챔버내로 공급되게 하는 밸브 부재에 대한 제 1 방향과 피스톤 챔버내의 가압유체가 챔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밸브 챔버와 2개의 스풀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모터 몸체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풀 부재는 제 2 스풀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쪽 스풀 부재의 제 1 단부는 제 1 몸체 단부에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한쪽 스풀 부재의 제 2 단부는 제 2 몸체 단부에 가깝게 위치되며, 다른쪽 스풀 부재의 제 1 단부는 제 2 몸체에 가깝게 위치되며, 다른쪽 스풀 부재의 제 2 스풀 단부는 제 1 몸체 단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풀은 제 1 스풀 단부에 인접한 제 1 스풀 밀봉부와, 제 2 스풀 단부에 인접한 제 2 스풀 밀봉부와, 상기 제 1 스풀 밀봉부와 제 2 스풀 밀봉부 사이에서 스풀 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스풀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과 피스톤 챔버는 스풀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풀 부재는 스풀 부재의 제 2 단부와 스풀 챔버 사이에서 연장되는 흐름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통로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는 몸체의 외측을 따라 복수개의 리브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챔버는 상기 2개의 리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7.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밸브 챔버는 제 2 스풀 단부에 인접하여 밸브 챔버에 안착되며, 상기 슬리브는 제 1 슬리브 밀봉부와 제 2 슬리브 밀봉부와 이러한 슬리브 밀봉부 사이의 흐름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스풀 단부에 있는 제 3 스풀 밀봉부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3 밀봉부는 슬리브 부재와 밀봉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9.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풀은 제 1 숄더와, 제 2 숄더를 포함하며, 상기 숄더와 스풀은 스풀 공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는 피스톤과 챔버 벽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밀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부재는 제 1 및 제 2 밀봉 수단 사이에서 피스톤 부재의 외주를 따라 환형 홈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벽과 홈은 이동가능한 피스톤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제 1 단부 캡에 의해 폐쇄되고 제 2 단부는 제 2 단부 캡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2개의 밸브 챔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단부 캡은 캡이 몸체 단부상에 안착될 때 챔버의 한쪽에 위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모터.
KR1019980706265A 1996-02-20 1996-12-23 공압 모터 KR19990082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04,147 US5586480A (en) 1996-02-20 1996-02-20 Pneumatic motor
US8/604,147 1996-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29A true KR19990082529A (ko) 1999-11-25

Family

ID=2441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265A KR19990082529A (ko) 1996-02-20 1996-12-23 공압 모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86480A (ko)
EP (1) EP0882174B1 (ko)
JP (1) JP2001515555A (ko)
KR (1) KR19990082529A (ko)
CN (1) CN1087387C (ko)
AU (1) AU709956B2 (ko)
DE (1) DE69612221T2 (ko)
ES (1) ES2154851T3 (ko)
HK (1) HK1018299A1 (ko)
WO (1) WO1997031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68B1 (ko) * 2009-06-24 2009-12-11 주식회사 하이워드 동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용 대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1046B1 (en) 2000-10-25 2002-08-13 Alemite Corporation Pneumatic motor
US6571680B2 (en) 2001-04-24 2003-06-03 Ingersoll-Rand Company Pneumatic shift reciprocating pneumatic motor
US7603854B2 (en) * 2007-04-10 2009-10-20 Illinois Tool Works Inc. Pneumatically self-regulating valve
US7587897B2 (en) * 2007-04-10 2009-09-15 Illinois Tool Works Inc. Magnetically sequenced pneumatic motor
US7603855B2 (en) * 2007-04-10 2009-10-20 Illinois Tool Works Inc. Valve with magnetic detents
BR102018003284B1 (pt) 2017-02-21 2021-07-20 Graco Minnesota Inc. Haste de pistão para uma bomba, bomba, pulverizador, e, método para substituir uma luva de desgaste
US11020761B2 (en) 2019-01-14 2021-06-01 Graco Minnesota Inc. Piston rod sleeve mounting for fluid sprayer pump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01A (en) * 1889-03-26 Piston water-meter
US616973A (en) * 1899-01-03 Steam engine
US2733688A (en) * 1956-02-07 badenoch
US785324A (en) * 1904-08-19 1905-03-21 Aurora Automatic Machinery Co Pneumatic hammer.
US1010859A (en) * 1910-04-20 1911-12-05 Charles Christiansen Valve mechanism.
US1353796A (en) * 1920-02-24 1920-09-21 Ingersoll Rand Co Fluid-operated percussive tool
US1626087A (en) * 1925-04-23 1927-04-26 Charles A Hultquist Fluid-operated percussive tool
US1804805A (en) * 1926-06-15 1931-05-12 Allen & Allen Pneumatic feeding mechanism for machine tools
US1726334A (en) * 1927-04-06 1929-08-27 Ingersoll Rand Co Valve for rock drills
US2389654A (en) * 1942-06-23 1945-11-27 Adel Prec Products Corp Hydraulic motor unit
US2380315A (en) * 1944-03-21 1945-07-10 Rollway Bearing Co Inc Double acting reciprocating air motor
US3635125A (en) * 1969-03-21 1972-01-18 Nordson Corp Double-acting hydraulic pump and air motor therefor
US3628419A (en) * 1969-08-21 1971-12-21 Doughton Mfg Co Inc Fluid-operated motor
US3918351A (en) * 1971-01-08 1975-11-1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Integrated piston-cylinder and control valve assembly
GB1450972A (en) * 1974-06-11 1976-09-29 Klemm G Percussive tool
US4006665A (en) * 1974-06-11 1977-02-08 Fa. Ingenieur Gunter Klemm Spezialuntrnehmen Fur Bohrtechnik Percussion tool
US4386888A (en) * 1980-09-29 1983-06-07 Mccann's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ouble diaphragm operated reversing valve pump
FR2591659B1 (fr) * 1985-12-18 1989-10-27 Fogautolube Sa Systeme de distribution pour moteur pneumatique alternatif
DE3916422A1 (de) * 1989-05-19 1989-10-26 Pressol Schmiergerate Gmbh Schmierstoffpum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68B1 (ko) * 2009-06-24 2009-12-11 주식회사 하이워드 동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용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2221D1 (de) 2001-04-26
EP0882174A1 (en) 1998-12-09
US5586480A (en) 1996-12-24
JP2001515555A (ja) 2001-09-18
AU709956B2 (en) 1999-09-09
EP0882174B1 (en) 2001-03-21
DE69612221T2 (de) 2001-10-18
CN1209185A (zh) 1999-02-24
CN1087387C (zh) 2002-07-10
AU1295297A (en) 1997-09-10
ES2154851T3 (es) 2001-04-16
WO1997031178A1 (en) 1997-08-28
HK1018299A1 (en) 199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761B1 (ko) 유압 실린더
JPH0176571U (ko)
KR19990082529A (ko) 공압 모터
US2804055A (en) Fluid motor with piston actuated valve means
US6386508B1 (en) Actuator having dual piston surfaces
US4846045A (en) Expansible chamber motor
US6123008A (en) Compressed-air piston engine
US5885061A (en) Pneumatic pump
US6719263B1 (en) Multi-piston valve actuator
EP0428406B1 (en) Reciprocating actuator
EP1253288B1 (en) Pneumatic shift reciprocating pneumatic motor
US5493945A (en) Apparatus for driving piston by fluid pressure
JPH06280501A (ja) エアーモータ
EP0488781B1 (en) Pumping device and containers fitted therewith
US20070253847A1 (en) Valve assembly
US3628419A (en) Fluid-operated motor
US1550933A (en) Compressed-air motor for pumps
US627399A (en) Hydraulic engine
JP2605521Y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2579889B2 (ja) 二重シール弁
US4443162A (en) Fluid pump
KR19980021763A (ko) 초소형 공압 작동밸브
KR20010035649A (ko) 유압식 증압기
JPH08291872A (ja) タンクバルブ
KR20000000415U (ko) 복수개의 피스톤 로드를 갖는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