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357A -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357A
KR19990081357A KR1019980015238A KR19980015238A KR19990081357A KR 19990081357 A KR19990081357 A KR 19990081357A KR 1019980015238 A KR1019980015238 A KR 1019980015238A KR 19980015238 A KR19980015238 A KR 19980015238A KR 19990081357 A KR19990081357 A KR 19990081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ushioning material
far
cushioning
vin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문
Original Assignee
정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문 filed Critical 정병문
Priority to KR101998001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1357A/ko
Publication of KR1999008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357A/ko

Link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되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으로 쿠션재를 제조하므로서 인체를 편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항균 방취 효과를 나타내며, 신발 깔창의 경우에는 발냄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내장재 등에서는 원적외선에 의한 부수적인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발 깔창,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 내장재 등과 같은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과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깔창,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 내장재 등과같은 쿠션재는 인체에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약한 발포체가 주로 사용되거나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용 쿠션재로는 발포 정도가 다소 강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쿠션재 중 신발 깔창의 재질로는 통상적으로는 발포 합성수지의 표면에 직물지의 부착한 것을 사용하며, 발바닥의 형상과 거의 비슷하게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고, 방석의 내장재 또는 의자시트 내장재로는 솜과 같은 섬유사나 합성섬유사 뿐만 아니라 발포 합성수지 조각 또는 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트 내장재로는 발포 합성수지 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발 깔창은 발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흡수력 및 통기성이 좋지 못하여 각종 세균이 번식하여 발냄새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 내장재에서도 여러 가지 해악한 미생물이 번식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요즈음에는 항균 방취 처리를 별도로 행하고 있어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신발 깔창,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 내장재 등과 같은 쿠션재는 인체에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한 기능 외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바닥을 통한 인체의 경미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를 편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항균 방취 효과를 나타내며, 신발 깔창의 경우에는 발냄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내장재 등에서는 원적외선에 의한 부수적인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쿠션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쿠션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되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으로 쿠션재를 제조하므로서 인체를 편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항균 방취 효과를 나타내며, 신발 깔창의 경우에는 발냄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석의 내장재,의자시트 내장재, 매트 내장재 등에서는 원적외선에 의한 부수적인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재의 제조 방법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되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무작위 공중합체로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에 따라 성질이 다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비닐아세테이트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고무 탄성, 유연성,접착성, 용해성이 증가하고, 역으로 에틸렌 함유량이 증가하면 강도가 크게 되고 내마모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분자량이 증가하면 내충격성, 스트레스 크랙성이 향상되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유량이 적은 것은 일반적으로 중포장지나 필름 또는 라미네이트에 사용되며, 비닐아세테이트의 함유량이 높은 것은 접착제나 섬유의 코팅,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과 같은 다른 수지의 개질, 왁스에 첨가하여 종이의 방습, 보강, 히트실성의 부여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 탄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0내지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10% 미만일경우에는 고무 탄성이 저하되어 탄성력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고,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쿠션재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량은 25 ∼ 52중량%가 바람직하고, 사용량이 2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쿠션재의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5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주사슬 중에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총칭하는 것으로 디올과 디카르복실산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되며, 물리 화학적인 특성이 우수하여 사진 필름, 포장용 필름, 콘덴서 등의 자기부품, 자기테이프 등에 사용되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쿠션재의 주재료 중 일부로 사용되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의 사용량은 20 ∼ 47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고, 47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탄성이 저하되어 쿠션재로의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원적외선 방사 물질로는 황토, 맥반석, 바이오세라믹, 제오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을 사용하며, 사용량은 15 ∼ 42중량%인 것이 쿠션재의 제조 용이성 및 원적외선 방사 효율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사용량이 15중량% 미만이면 원적외선 방사량이 미약하여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완전히 달성할 수 없고, 4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쿠션재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황토는 담황색 혹은 회색의 흙으로 석영이 많고 소량의 점토광물, 장석, 각섬석, 휘석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원적외선 방사량은 적지만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수맥파 등으르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맥반석, 바이오세라믹, 제오라이트 역시 항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취 효과, 원적외선에 의한 인체의 건강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의 쿠션재 제조시 첨가하므로서 인체를 편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항균 방취 효과를 나타내며, 신발 깔창의 경우에는 발냄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내장재 등에서는 원적외선에 의한 부수적인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경탄 및 카본블랙은 충진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 5 ∼ 32중량% 및 7 ∼34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상기 범주 미만일 경우에는 경제성이 저하되고, 사용량이 상기 범주를 초과할 경우에는 쿠션재료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카본 블랙의 경우에는 대전성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범주로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발포제는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쿠션재로 제조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1 ∼ 28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발포 정도가 미약하여 제조되는 쿠션재의 탄성이 약한 단점이 있고, 28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한 발포가 이루어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포제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포제는 모두 사용가능하며, 제조될 쿠션재의 종류, 용도, 제조 성분의 종류 및 양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상술한 성분들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쿠션재의 제조 용이성 측면을 고려한 각각의 성분들의 혼합 용이성 및 반응성의 관점에서 볼 때 0.1 ∼ 27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교제로는 디쿠아닐 퍼옥사이드(DCP : Dicuanyl peroxide)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되 발포제를 제외하여 혼합하고 특정 용기내에 투입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소정 형상으로 발포 성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션재를 제조한다. 발포시의 발포 온도 및 시간 등과 같은 조건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으로 행할 수 있으며, 반복 실험을 통하여 가장 적절한 조건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금호석유화학(주) 제품) 25Kg, 폴리에스테르(선경인더스트리(주) 제품) 20Kg, 경기도 여주 지방에서 얻은 황토 15Kg, 경탄1OKg, 카본 블랙 8Kg, 가교제로서 디쿠아닐 퍼옥사이드(DCP : Dicuanyl peroxide) 0.75K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신발 깔창 제조용 형틀에 투입하되 발포제 2kg을 첨가하여 150g씩 투입하여 110℃의 온도로 순간 발포시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재의 일종인 신발 깔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신발 깔창을 발에서 땀이 많이 나거나 발냄새가 심하게 나는 사람 100명에게 1달 동안 신발에 깔아 사용하게 한 결과, 95명 이상에서 발냄새가 거의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되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으로 쿠션재를 제조하므로서 인체를 편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항균 방취 효과를 나타내며, 신발 깔창의 경우에는 발냄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석의 내장재, 의자시트 내장재, 매트 내장재 등에서는 원적외선에 의한 부수적인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7)

  1.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황토, 맥반석, 바이오세라믹, 제오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조성물.
  3.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되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쿠션재는 신발 깔창임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쿠션재는 방석의 내장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쿠션재는 의자시트 내장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쿠션재는 매트 내장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KR1019980015238A 1998-04-29 1998-04-29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KR19990081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38A KR19990081357A (ko) 1998-04-29 1998-04-29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38A KR19990081357A (ko) 1998-04-29 1998-04-29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357A true KR19990081357A (ko) 1999-11-15

Family

ID=6589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238A KR19990081357A (ko) 1998-04-29 1998-04-29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13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61B1 (ko) * 1999-12-17 2003-02-05 주식회사 바이오월드 신발용 인솔의 제조방법
KR100403269B1 (ko) * 2000-10-13 2003-10-30 권혁성 원적외선 패드의 제조방법
KR100661877B1 (ko) * 2005-06-02 2006-12-27 김재열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입자의 혼합물이 함유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1838B1 (ko) 2015-11-11 2016-07-21 김동환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KR20180059118A (ko) 2016-11-25 2018-06-04 김숭권 소음방지용 에어포켓을 갖는 쿠션 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61B1 (ko) * 1999-12-17 2003-02-05 주식회사 바이오월드 신발용 인솔의 제조방법
KR100403269B1 (ko) * 2000-10-13 2003-10-30 권혁성 원적외선 패드의 제조방법
KR100661877B1 (ko) * 2005-06-02 2006-12-27 김재열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입자의 혼합물이 함유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1838B1 (ko) 2015-11-11 2016-07-21 김동환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KR20180059118A (ko) 2016-11-25 2018-06-04 김숭권 소음방지용 에어포켓을 갖는 쿠션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7691A (en) Shoe insole with bottom surface compression relief
US10548367B2 (en) Footwear sole comprising a propylene-based elastomer, footwear comprising said sole, and methods of making them
EP0707536A1 (en) Gamma radiation treated material
US6025414A (en) Heat moldable composition
KR19990081357A (ko)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
JP2009279409A (ja) 天然ラテックスを主成分とする靴底の製造方法
US3589036A (en) Footwear assembly
USRE28236E (en) Footwear assembly
KR102391445B1 (ko) 패각을 활용한 친환경 pvc 신발
US6726985B2 (en) Shoe sole
KR100894963B1 (ko) 구두바닥재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천연가죽재질의 느낌이 나는 구두바닥재
KR100691857B1 (ko) 성형용 스폰지 조성물
KR101648447B1 (ko) 복원력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신발 중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KR20010055446A (ko) 신발용 폴리올레핀 발포 조성물
KR102360878B1 (ko) 구리분말을 함유한 항균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195256A (ja) 耐摩耗性弾性シート、発泡性シート及びこれらから作った弾性発泡体
US2416874A (en) Treatment of interpolymers of vinyl chloride and esters of ethylenedicarboxylic acids
KR100813184B1 (ko) 향균, 탈취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가지는 발포체
KR101252269B1 (ko) 신발 깔창용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깔창
KR100426204B1 (ko) 합성수지판제조방법
KR20030061112A (ko) 발포성고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13945A (ko) 신발 인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96562A (ja) 透明インサ−トゴム片を一体化した靴底の成形法
KR102629940B1 (ko) 합성수지재 슬리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슬리퍼
KR102130344B1 (ko)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인솔,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