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356A -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 Google Patents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356A
KR19990080356A KR1019980013558A KR19980013558A KR19990080356A KR 19990080356 A KR19990080356 A KR 19990080356A KR 1019980013558 A KR1019980013558 A KR 1019980013558A KR 19980013558 A KR19980013558 A KR 19980013558A KR 19990080356 A KR19990080356 A KR 19990080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larm
theft
signa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혁도
Original Assignee
권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도 filed Critical 권혁도
Priority to KR101998001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0356A/en
Publication of KR1999008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356A/en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센서 및 전자감응센서의 신호입력에 따라 주장치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하고, 실린더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시켜 자동차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닌 휴대장치를 통해 도난에 처한 상황을 알림으로써, 도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장치와 휴대장치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충격감지센서 및 전자감응센서에 의해 신호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주장치내의 제 1마이컴이 램프부를 구동하고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밸브개폐부로 하여금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시동이 걸려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연료가 실린더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차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 및 상기 주장치는 사용자가 지닌 휴대장치에 경보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도난상황을 인지시켜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조작되어, 자동차의 시동, 도어의 개폐 및 밸브의 개폐가 원격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heft prevention and alarm device, in particular,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by the mai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of the shock sensor and the electromagnetic sensitive sensor, and the fuel supplied to the cylinder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heft prevention and alarm device that notifies the situation of theft through a portable device possess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main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when a signal input is generated by the shock sensor and the electromagnetic sensor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the first microphone in the main device drives the lamp unit and the alarm sound is At the same time, since the fuel valve is not supplied to the cylind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engine is opened by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moving and preventing theft accident Alarm signal is sent to the user's portable device to recognize the situation by the user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button provided on the portable device, so that the start of the car,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By making adjustments, automobiles that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ft quickly and reliably It has presented the Prevention and alarm system.

Description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센서 및 전자감응센서의 신호입력에 따라 주장치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하고, 실린더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시켜 자동차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닌 휴대장치를 통해 도난에 처한 상황을 알림으로써, 도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A warning apparatus for car robbery)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heft prevention and alarm device, in particular,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by the mai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of the shock sensor and the electromagnetic sensitive sensor, and the fuel supplied to the cylinder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ning apparatus for car robbery that prevents theft in advance by notifying a situation of theft through a portable device of a user.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고도화되어가면서 자동차의 수요가 늘게 되는 반면,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한국특허공고 90-6453 호에 소개된 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의 장치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general,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advances, the demand for automobiles increases, while theft accidents frequently occur. Conventional apparatuses for preventing such theft accidents include the apparatus introduc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0-6453. The conventional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첨부된 도 1은 종래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자동차 도아의 각 손잡이부에 부착시킨 센서(S1-S4)와 각 도아, 본네트 및 트렁크에 부착시킨 센서(S5-S10)와 자동차의 진동을 검출하는 바란스 센서(SN)를 구성한 이상상태 감지 센서부(1)의 각 출력이 저항(R1-R11)을 통하여 경보신호 입력처리회로(2)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신호입력 처리회로(2)의 출력과 상기 이상상태 감지 센서부(1)의 센서(S5)출력은 경보 제어회로(3)에 입력되어 이 출력이 경보신호 증폭 및 멀티 바이브레이터회로(4)에 인가되며, 상기의 출력신호가 경고등 점멸회로(5), 경고음 발생회로(6) 및 시동정지회로(7)에 각각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경고등 점멸, 경고음 발생 및 시동정지회로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ttached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the sensor (S1-S4) attached to each handle portion of the car door and the sensor (S5-S10) attached to each door, bonnet and trunk and Each output of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sensor unit 1 constituting the balance sensor SN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is input to the alarm signal input processing circuit 2 through the resistors R1-R11.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input processing circuit 2 and the output of the sensor S5 of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sensor unit 1 are input to the alarm control circuit 3 so that the output is an alarm signal amplification and multivibrator circuit ( 4), the output signal is input to the warning light flashing circuit 5,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circuit 6 and the start stop circuit 7, respectively, thereby driving the warning light flashing, generating a warning sound and starting stop circuit. You lose.

즉, 자동차의 도아와 본네트에 전자감응센서(S1-S10)를 부착시키고, 소정의 위치에 진동균형 신호를 검출하는 바란스 센서(SN)를 부설시켜, 도난시 자동차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하여 도난 경보기가 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였다.That is, the electronic sensors (S1-S10) are attached to the door and the bonnet of the vehicle, and a balance sensor (SN) for detecting the vibration balance signal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detect all signals that may occur in the vehicle in the event of theft. 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burglar alarm to s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t of the car in advance.

그 외에, 자동차의 운전대를 열쇠로 제어하는 방식과 자동차문 또는 여러 개폐장치에 센서들을 부착하여 경보음 또는 경고 등을 제어하는 방식과 상기 센서들에서 인가되는 신호로 점화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방식등이 제시되어 있었다.In additio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with a key, a method of controlling alarm sounds or warnings by attaching sensors to a car door or various switching devices, and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ignition coil by signals applied from the sensors To prevent the engine from starting.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난방지방식들은 보안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센서에 의해 자동차의 주변상태를 감지하기 때문에 제 3자가 상기 센서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오프시키면 경보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으며, 자동차의 외부에 장착된 밧데리로부터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도난경보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방식도 완벽하게 도난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anti-theft methods have a problem in security and stability, and because the sensor detects the surrounding condition of the vehicle by a sensor, when a third party locates the sensors and turns off the alarm system, the alarm system does not operate properly.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rom the battery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urglar alarm devic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does not operate proper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completely prevent the starting does not prevent thef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감지센서 및 전자감응센서에 의해 신호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주장치내에 구비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밸브개폐수단이 여과기로부터 브란자로 이동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시동동작과 관계없이 실린더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시킴으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휴대장치에 경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자동차의 연료공급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밸브의 개폐, 시동 및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rol provided in the main device when the signal input is generated by the shock sensor and the electronic sensor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means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means cuts off the supply of fuel moving from the filter to the Bran, thereby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by cutting off the fuel supplied to the cylinder regardless of the starting operation. Providing an alarm signal, a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to provide an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to shut off or supply the fuel supply of the vehic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re 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주장치 내의 제 1제어수단이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램프수단, 제 1경보음 발생수단 및 밸브개폐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키고, 제 1버튼수단이 상기 제 1제어수단에 버튼신호(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밸브개폐수단의 밸브가 열리도록 하며, 휴대장치 내의 제 2제어수단이 상기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수단, 제 2경보음 발생수단 및 LCD구동제어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더불어 제 2버튼수단이 상기 제 2제어수단에 버튼신호를 입력하여 시동과 도어의 개폐 및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drive the first control means in the main unit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ramp means, the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means and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means by inputting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The first button means inputs a button signal (password) to the first control means to open the valve of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second control means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es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device and vibrates. Means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means, the second alarm sound generating means and the LCD driving control means, and the second button means inputs the butt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eans to control the sta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o.

도 1은 종래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의 주장치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laimed value of the vehic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i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의 휴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device of the vehicle anti-theft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5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충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5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이상상태 감지센서부 2 : 경보신호 입력처리회로1: Abnormal state sensor 2: Alarm signal input processing circuit

3 : 경보 제어회로 4 :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3: alarm control circuit 4: multivibrator circuit

5 : 경고등 점멸회로 6 : 경고음 발생회로5: warning light flashing circuit 6: warning sound generating circuit

7 : 시동정지회로 10, 100 : 안테나7: Start stop circuit 10, 100: Antenna

15 : 제 1송수신부 20 : 제 1신호처리부15: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0: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25 : 제 1마이컴 30 : 센서부25: first microcomputer 30: sensor unit

35 : 램프부 35a : 녹색램프35 lamp part 35a green lamp

35b : 적색램프 40 : 제 1경보음 발생부35b: red lamp 40: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5 : 제 1버튼부 50 : 메모리45: first button unit 50: memory

55 : 시동제어부 60 : 도어개폐제어부55: start control unit 60: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65 : 기름탱크 70 : 여과기65: oil tank 70: filter

75 : 밸브개폐부 80 : 브란자75: val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80: Branza

85 : 실린더 90 : 충전용밧데리 개구부85: cylinder 90: charging battery opening

95 : 제 1자동커버 150 : 제 2송수신부95: first automatic cover 150: second transmitter and receiver

200 : 제 2신호처리부 250 : 제 2마이컴200: second signal processor 250: second microcomputer

300 : 전원스위치 300a : 해제스위치300: power switch 300a: release switch

300b : 선택스위치 350 : 진동부300b: Selection switch 350: Vibration unit

400 : 제 2경보음 발생부 450 : 제 2버튼부400: second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50: second button unit

500 : LCD구동제어부 550 : LCD표시부500: LCD drive control unit 550: LCD display unit

600 : 전원입력부 650 : 전압변환부600: power input unit 650: voltage conversion unit

700 : 제 2자동커버700: second automatic cover

이하,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의 주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주장치는 안테나(10)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여 변환하는 제 1송수신부(15)와, 상기 제 1송수신부(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1신호처리부(20)와, 자동차의 도어나 본네트, 트렁크 등에 설치되어 충격 및 열림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및 전자감응센서로 구성된 센서부(30)와,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aim value of the vehic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laim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5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antenna 10, and the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20 for processing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 and a sensor unit including an impact sensor and an electronic sensitive sensor installed on a door, a bonnet, a trunk of a vehicle, and detecting shock and opening ( 30) and,

상기 센서부(30)의 입력신호에 따라 램프부(35), 제 1경보음 발생부(40) 및 밸브개폐부(7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 1마이컴(25)과, 상기 제 1마이컴(25)의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과 적색의 빛을 발하는 램프부(35) 및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 1경보음 발생부(40)와, 10개의 숫자 및 샵(#)표시의 밸브잠금버튼으로 구성되는 제 1버튼부(45)와,A first microcomputer 25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lamp unit 35, the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0, and the valve opening / closing unit 75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sensor unit 30, and the first microcomputer The lamp unit 35 emitting green and red light and the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0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25), and the valve lock button of ten numerals and the shop (#) display. The first button portion 45 and

상기 제 1버튼부(45)의 조작으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50)와, 후술하는 휴대장치의 송신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시동 및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시동제어부(55) 및 도어개폐 제어부(60)와, 상기 제 1마이컴(25)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름탱크(65), 여과기(70)를 거쳐 브란자(80)로 이동하는 연료를 공급 및 차단하는 밸브개폐부(75)와, 상기 브란자(8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실린더(85)로 이루어진다.Memory 50 for storing the password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button unit 45, the start control unit 55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unit 60,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5 for supplying and blocking the fuel moving to the Branza 80 through the oil tank 65, the filter 7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25 and The cylinder 85 is supplied with fuel from the Branza 80.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2 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상기 주장치는 화물자동차의 경우 그 외부에 설치되는 밧데리(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보조 전원인 충전용 밧데리에 의해서도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한편,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및 도어, 본네트 및 트렁크의 열림을 감지하는 전자감응센서가 각각 다수 개씩 부착되어 있다.First of all, the claim is connected to a battery (not shown) installed outside of a freight car, and is supplied with power and operated by a rechargeable battery, which is an auxiliary power supply, while also impacting the vehicle. There are a plurality of shock sensors to detect and electronic sensors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bonnet and trunk.

이 때, 도난자에 의해 자동차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가 강제적으로 열리는 경우, 또는 운전석 탑 및 본네트가 올라가거나 화물자동차의 외부에 있는 밧데리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등의 도난 상황이 발생하여 이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들에 의한 신호입력이 발생할 때, 그 신호는 제 1마이컴(25)에 입력되고, 상기 제 1마이컴(25)은 램프부(35), 제 1경보음 발생부(40) 및 밸브걔폐부(75)에 각각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eft may cause a strong shock to the car, forcibly open the door, raise the driver's tower and bonnet, or stop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outside the truck. When a signal input by the sensors for detecting this occurs, the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microcomputer 25, the first microcomputer 25 is the lamp unit 35, the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0 And control signals are applied to the valve closing portion 75, respectively.

즉, 상기 램프부(35)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과 녹색의 빛을 각각 발하는 두 개의 램프(35a, 35b)로 구성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녹색의 빛을 발하는 녹색램프(35b)가 점등되어 있다가 상기와 같은 제 1마이컴(25)의 제어신호에 따라 녹색 램프(35b)는 오프되는 반면, 적색의 빛을 발하는 적색램프(35a)가 점등되어 후술하는 밸브걔폐부(75)에 의한 밸브닫힘상태를 나타내게 된다.That is, the lamp unit 35 is composed of two lamps 35a and 35b that emit red and green light,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 and the green lamp 35b that emits green light normally. ) Is turned on and the green lamp 35b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25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red lamp 35a which emits red light is turned on so that the valve closing part 7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later. Valve closed by).

그리고, 상기 제 1경보음 발생부(40)는 제 1마이컴(25)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특정위치에 설치된 스피커(도시 안됨)를 통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밸브걔폐부(75)는 여과기(70)와 브란자(8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된 기름탱크(65)를 지나 여과기(70)를 거쳐 브란자(80)로 이동하는 연료의 공급을 중간에서 차단함으로써, 시동이 걸리더라도 브란자(80)에 남아있는 연료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소진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게 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0 generates an alarm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speaker (not shown)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25, the valve The closing part 75 is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70 and the Branza 80 and passes through the oil tank 65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70 to the Branza 80. By interrupting the supply in the middle, even if the engine is started, the fuel remaining in the brand 80 is exhausted after a certain time,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move, which i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밸브개폐부(75)를 여과기(70)와 브란자(80)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밸브개폐부(75)를 기름탱크(65)와 여과기(70)와의 사이에 설치한 경우 상기 밸브개폐부(75)에 의해 연료가 차단되더라도 상기 여과기(70)에 연료가 잔류되어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브란자(80)에 차게 된 공기는 빼주지 않아도 정상적인 운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밸브개폐부(75)를 기름탱크(65)와 여과기(70)와의 사이에 설치한 경우, 연료공급이 차단된 때 상기 여과기(70)에 생기는 공기를 빼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5 is installed between the strainer 70 and the brandza 80 is that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5 is disposed between the oil tank 65 and the strainer 70. Even if the fuel is blocked by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5, the fuel remains in the filter 70 to prevent supply of fuel, and the air filled in the Branza 80 does not need to be drained. Because this is done. In addition, when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5 is installed between the oil tank 65 and the filter 70, since the inconvenience that the air generated in the filter 70 is to be removed when the fuel supply is cut off does not occur to be.

동시에, 상기 제 1마이컴(25)은 제 1신호처리부(20)에 경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 1신호처리부(20)는 경보신호를 증폭 및 처리하여 제 1송수신부(15)에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 1송수신부(15)는 처리된 경보신호를 일정한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10)를 통하여 송신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microcomputer 25 applies an alarm signal to the first signal processor 20, and the first signal processor 20 amplifies and processes the alarm signal and outputs the alarm signal to the first transmitter / receiver 15. The first transmitter / receiver 15 converts the processed alarm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then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antenna 10.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송신된 경보신호는 자동차의 사용자가 지닌 휴대장치를 통하여 수신된다.The alarm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received through the portable device of the user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장치의 안테나(100)를 통하여 수신된 경보신호는 제 2송수신부(150)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제 2신호처리부(200)에 의해 제 2마이컴(250)이 처리하기에 알맞는 신호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상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은 제 2마이컴(250)은 진동부(350), 제 2경보음 발생부(400), LCD구동제어부(500) 및 전압변환부(650)에 각각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The alarm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00 of the portable devic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150 and then processed by the second microcomputer 250 by the second signal processor 200. The second microcomputer 250, which is converted into a suitable signal form and is outputted, receives the output signal and includes a vibrator 350, a second alarm sound generator 400, an LCD driving controller 500, and a voltage converter. Each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650.

상기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진동부(350)는 일정시간 동안 휴대장치가 진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 2경보음 발생부(400)는 장치에 장착된 소형 스피커(도시 안됨)를 통하여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LCD구동제어부(500)는 LCD표시부(550)가 구동되도록 하여 경보신호가 수신된 시간 및 휴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정한 메시지, 예를들면 밧데리의 부족을 나타내는 '로우 밧데리(low bat)'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항시 휴대장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vibration unit 35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causes the portable device to vib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cond alarm sound generator 400 aler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a small speaker (not shown) mounted in the device. Sound is generated, and the LCD driving control unit 500 causes the LCD display unit 550 to be driven so that a constant message indicating a time when an alarm signal is received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for example, a low battery indicating a lack of battery. Battery (low bat)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always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여기서, 상기 휴대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스위치(300)는 휴대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항상 온절환된 상태이고, 해제스위치(300a)는 진동부(350) 및 제 2경보음 발생부(400)의 동작을 해제하며, 선택스위치(300b)는 주장치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동작을 진동과 경보음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power switch 300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is always switched on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the release switch 300a includes the vibrator 350 and the second alarm sound generator 400. ), And the selection switch 300b may set an operation of informing the alarm signal to one of vibration and alarm sounds when the alarm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또한, 첨부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제 2버튼부(450)의 조작을 통하여 자동차 도어의 개폐, 연료공급밸브의 개폐 및 시동의 걸림과 중지 동작을 원격조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A, through operation of the second button unit 450 having six buttons, remote control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fuel supply valve, and stopping and stopping of the start may be performed. do.

이하, 상기 제 2버튼부(450)가 구비된 휴대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provided with the second button unit 4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첨부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장치의 충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휴대장치의 일측면과 상측면에는 각각 전원스위치(300), 해제스위치(300a) 및 선택스위치(300b)와 LCD표시부(550)가 장착되고, 전방에는 1에서부터 6까지의 넘버링된 6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제 2버튼부(4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장치의 보호 및 오동작 방지를 위한 제 2자동커버(700)가 장착되어 있다.5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Each of the power switch 300, the release switch 300a, the selector switch 300b, and the LCD display unit 550 is mounted, and the second button unit 450 consisting of six buttons numbered from 1 to 6 is provided at the front. The second automatic cover 700 is installed to protect the portable device and prevent malfunction.

여기서, 상기 6개의 버튼은 각각 다른 기능을 갖게 되는 데, 즉 1번과 2번 버튼은 시동과 관련하여 1번은 시동 걸림버튼이고, 2번은 시동 정지버튼이며, 3번과 4번 버튼은 도어와 관련하여 3번은 도어 열림, 4번은 도어 닫힘버튼이 된다. 마찬가지로, 5번과 6번 버튼은 밸브개폐와 관련하여 5번은 밸브 열림버튼이고, 6번은 밸브 닫힘버튼이 된다.Here, the six buttons have different function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re the start stop button in connection with the start, the second is the start stop button, the third and fourth buttons are the door and In this context, number 3 is the door open and number 4 is the door close button. Likewise, buttons 5 and 6 are valve opening buttons and valve 6 is valve closing button in relation to valve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은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버튼이 조작된 경우, 예를들면 5번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버튼이 눌려짐으로써 발생되는 고유의 버튼신호는 제 2마이컴(250)에 입력되고, 상기 제 2마이컴(250)은 제 2신호처리부(200) 및 제 2송수신부(150)의 처리 및 변환과정을 거쳐 안테나(100)를 통하여 송신되도록 한다.When buttons having different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re operated, for example, when button 5 is operated, a unique button signal generated by pressing the button is input to the second microcomputer 250, and the second The microcomputer 250 transmits through the antenna 100 through the processing and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second signal processor 200 and the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150.

상기와 같이 송신된 버튼신호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장치의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된 후, 제 1송수신부(15)와 제 1신호처리부(20)를 거쳐 제 1마이컴(25)에 입력되고, 상기 제 1마이컴(25)은 버튼신호가 갖는 의미를 판별하여 여과기(70)와 브란자(8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고 있던 밸브걔폐부(7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하여 연료의 공급이 원활해지도록 한다.The button signal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received by the antenna 10 of the main apparatu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n, the first signal receiver 15 and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20 pass through the first microcomputer 25. The first microcomputer 25 inputs a control signal to a valve closing portion 75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filter 70 and the brand 80 to block the supply of fuel by determining the meaning of the button signal. To allow the valve to open to facilitate the supply of fuel.

그러나,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황에서는 상기 휴대장치에 구비된 제 2버튼부(450)의 6번 버튼이 눌려지더라도, 상기 시동이 걸려 있는 상황을 감지하는 주장치의 제 1마이컴(25)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브개폐부(75)에 의한 밸브의 닫힘 동작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arted, even if the button 6 of the second button unit 450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is pressed, the first microcomputer 25 of the main device that detects the starting state is detecte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by the valve opening / closing part 75 does not occur under the control of.

이어, 첨부된 도 5b는 상기 휴대장치의 충전장치로서, 상기 휴대장치의 하면부가 충전장치의 전원공급단에 접촉되어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휴대장치와 충전장치가 접촉되어 있는 경우, 주장치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휴대장치의 제 2마이컴(250)은 상기 충전장치 내에 설치된 전압변환부(650)에 전압변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휴대장치 내의 전원입력부(600)로 입력되는 전압을 높여 진동부(350) 및 제 2경보음 발생부(400)의 출력이 더 높아지도록 한다.Subsequently, FIG. 5B is a charging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in which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contacts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charging device, thereby providing a normal power supply. In this case, when an alarm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the second microcomputer 250 of the portable device applies a voltage conversion control signal to the voltage conversion unit 650 installed in the charging device to input the voltage to the power input unit 600 in the portable device. Increase the output of the vibration unit 350 and the second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00 to be higher.

즉, 상기 제 2마이컴(250)으로부터 전압변환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전압변환부(650)는 충전장치로 입력되는 AC전압의 DC전압으로의 변환출력을, 예를 들면 3V에서 5V로 높여 휴대장치 내의 전원입력부(600)로 인가하게 되며, 상기 전원입력부(600)는 출력이 높아진 DC전압을 상기 진동부(350) 및 제 2경보음 발생부(400)로 인가하여 진동 및 경보음의 출력레벨이 보통 때보다는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잠이 들었거나 휴대장치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도난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voltage conversion unit 650 receiving the voltage conversion control signal from the second microcomputer 250 increases the conversion output of the AC voltage input to the charging device to the DC voltage, for example, from 3V to 5V. The power input unit 600 is applied, and the power input unit 600 applies a DC voltage having a high output to the vibration unit 350 and the second alarm sound generating unit 400 to output vibration and alarm sound levels. By making this higher than usu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notify theft when the user falls asleep or is spaced apart from the portable device at regular intervals.

여기서, 상기 밸브걔폐부(75)의 밸브열림동작을 수행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상기 주장치에 구비된 제 1버튼부(45)를 조작하는 것으로써,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another method of performing the valve opening operation of the valve closing portion 75 by operating the first button portion 45 provided in the mai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주장치의 일측면에는 충전용 밧데리(도시 안됨)가 인입되는 충전용 밧데리 개구부(90)가 형성되고, 전방의 상측면에는 적색과 녹색의 빛을 각각 발하는 두 개의 램프(35a, 35b)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방향으로는 1에서부터 0까지의 넘버링된 10개의 버튼과 샵(#)표시의 밸브잠금버튼으로 구성된 제 1버튼부(45)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휴대장치의 보호 및 오동작 방지를 위한 제 1자동커버(95)가 장착되어 있다.Attached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the main device is formed with a charging battery opening 90 is a charging battery (not shown) is introduced, the front image On the side, two lamps 35a and 35b are provided which emit red and green light, respectively, and in the lower direction, it consists of 10 numbered buttons from 1 to 0 and valve lock buttons of shop (#). A first button portion 45 is formed, and a first automatic cover 95 is installed to protect the portable device and to prevent malfunction.

여기서, 자동차 도난의 상황에 처해 연료의 공급이 밸브걔폐부(75)에 의해 차단된 경우, 사용자는 자동차의 운전석 등의 일정부위에 고정설치된 주장치의 제 1버튼부(45)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 예를들면 '12345'와 같이 5자리수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Here, when the supply of fuel is interrupted by the valve closing portion 75 in the situation of automobile theft, the user may enter a password, which is preset in the first button portion 45 of the main device fixedly installed at a certain portion of the driver's seat or the like, For example, enter a 5-digit password such as '12345'.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각각의 신호는 제 1마이컴(25)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 1마이컴(25)은 메모리(50)에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맞는지를 판별하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50)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마이컴(25)은 밸브걔폐부(7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차단된 연료의 공급이 원활해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eac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is applied to the first microcomputer 25, and the first microcomputer 25 determines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50. When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5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first microcomputer 25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valve closing portion 75 to open the valve, thereby shutting off the fuel. Ensure the supply of is smooth.

그리고, 상기 샵 표시의 밸브잠금버튼은 우선적인 밸브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으로서, 상기 이상상태 감지센서부(1)의 센서 입력이 발생하거나 휴대장치에 구비된 밸브 열림버튼인 5번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도, 우선하여 밸브잠금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샵 표시의 밸브잠금버튼이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제 1마이컴(25)이 다른 밸브열림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에 이를 해제하지 않는 이상, 밸브의 열림동작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valve lock button of the shop display is a button for performing a priority valve locking function, the sensor input of the abnormal state sensor unit 1 is generated or the button 5 of the valve opening button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is pressed Even in this case, the valve locking operation is maintained first. That is, when the valve lock button of the shop display is presse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valve is not performed unless the first microcomputer 25 blocks the other valve opening signals, so as not to release them.

상기와 같은 밸브잠금버튼의 기능으로 인하여, 예를들면 택시의 운행 도중 손님이 강도로 돌변하여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경우, 운전자만이 아는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밸브잠금버튼을 조작하여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켜 차량이 갑자기 멈추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위험한 상황을 모면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Due to the function of the valve lock butt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customer turns into a robbery during a taxi operation and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supply of fuel is cut off by operating a valve lock button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known only by the driver. There is also an effect of avoiding the above dangerous situation by causing the vehicle to stop suddenly.

또한, 상기 주장치의 충전용 밧데리 개구부(90)에 인입되는 충전용 밧데리는 보조 전원으로서, 화물자동차의 경우 그 외부에 설치되는 밧데리가 도난자에 의해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주장치에 전원이 항시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battery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charging battery opening 90 of the main devic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in the case of a lorry, the power to the main device in case the battery installed outside the power supply is cut off by the theft. Ensure this is always suppl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장치와 휴대장치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충격감지센서 및 전자감응센서에 의해 신호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주장치내의 제 1마이컴이 램프부를 구동하고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밸브개폐부로 하여금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시동이 걸려도 차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상기 주장치는 사용자가 지닌 휴대장치에 경보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도난상황을 인지시켜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조작되어, 자동차의 시동, 도어의 개폐 및 밸브의 개폐가 원격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a main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and when a signal input is generated by an impact sensor and an electromagnetic sensitive sensor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the first microcomputer in the main device includes a lamp unit. Drive and alarm sound is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fuel to prevent the car from moving even if the start is prevented theft accident is effective in advance. At the same time, the claim value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user's portable device to recognize the situation by the user and cope with the situa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remote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ft quickly and stably.

Claims (8)

충격감지센서 및 전자감응센서로부터의 신호입력에 따라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In the automobile anti-theft device that can prevent theft by cutting off the fuel supply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from the shock sensor and the electromagnetic sensor,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1제어수단과,First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input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상기 제 1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램프를 구동하고 경보음을 발생하는 램프수단 및 제 1경보음 발생수단과,Lamp means and first alarm sound generating means for driving a lamp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said first control means, respectively; 상기 제 1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지속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Valv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interrupting or continuing supply of fuel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 means; 상기 제 1제어수단에 버튼신호를 입력하는 제 1버튼수단과,First button means for inputting a button signal to the first control means;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주장치와,A main device having a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reset password; 상기 주장치에서 송신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2제어수단과,Second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devic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상기 제 2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일정한 주파수의 진동을 일으키고 경보음을 발생하는 진동수단 및 제 2경보음 발생수단과,Vibration means and second alarm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vibrations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generating alarm sound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eans; 상기 제 2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LCD표시수단을 구동하는 LCD구동제어수단과, 그리고LCD drive control means for driving the LCD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means, and 상기 제 2제어수단에 버튼신호를 입력하는 제 2버튼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And a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button means for inputting a button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의 밸브개폐수단은 여과기(70)와 브란자(80)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1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main device is located between the filter 70 and the Branza 80 to block or sustain the supply of fue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 means car theft Prevention and ala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의 제 1버튼수단은 미리 설정된 일정한 자리수의 비밀번호를 제 1제어수단에 입력함으로써, 밸브개폐수단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연료의 공급을 재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anti-theft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tton means of the main device inputs a predetermined constant digit password into the first control means to resume the supply of fuel blocked by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alarm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의 제 1버튼수단에는 두 개의 버튼이 하나의 조를 이루는 세 개의 버튼조가 구비되고, 상기 세 개의 버튼조 중 한 조인 1번버튼과 2번 버튼은 시동 정지버튼 및 시동 걸림버튼, 다른 한 조인 3번 버튼과 4번 버튼은 도어 열림버튼 및 도어 닫힘버튼, 그리고 또 다른 한 조인 5번 버튼과 6번 버튼은 밸브 열림버튼 및 밸브 닫힘버튼인 것과 같이 상기 각 조의 두 개의 버튼은 반대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tton means of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with three button sets of two buttons to form a set, one button and two buttons of one of the three button sets are the start stop button and The two buttons of the above combinations are as follows: the start stop button, the other join button 3 and the button 4 are the door open button and the door close button, and the other join buttons 5 and 6 are the valve open button and the valve close button. Anti-theft and alarm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buttons have the opposite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와 휴대장치는 각각 오동작을 방지하고 장치를 보호하는 자동커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vehic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each have automatic cover means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and protecting th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수단은 자동차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제 2버튼수단에 구비된 밸브닫힘버튼이 조작되더라도 밸브의 닫힘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means, when the start of the vehicle, the vehicle anti-thef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oes not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even if the valve closing button provided in the second button means is operated and Alarm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수단은 제 1버튼수단에 구비된 밸브잠금버튼이 조작된 경우, 센서, 제 1버튼수단 및 제 2버튼수단으로부터 밸브열림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밸브잠금버튼에 의한 밸브잠금동작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means is operated by the valve lock button even if a valve opening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the first button means and the second button means when the valve lock button provided in the first button means is operated.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lock operation is maintai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수단은 휴대장치가 충전장치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충전장치 내에 구비된 전압변환부(65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AC전압의 DC전압으로의 변환출력을 일정한 크기만큼 높여 휴대장치의 전원입력부(600)에 입력되도록 하여 진동 또는 경보음의 출력레벨이 높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 means, when the portable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device,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voltage conversion unit 650 provided in the charging device to convert the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output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level of the vibration or alarm sound is increased by being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600 of the portable device by a certain amount.
KR1019980013558A 1998-04-16 1998-04-16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KR199900803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58A KR19990080356A (en) 1998-04-16 1998-04-16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58A KR19990080356A (en) 1998-04-16 1998-04-16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356A true KR19990080356A (en) 1999-11-05

Family

ID=6589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558A KR19990080356A (en) 1998-04-16 1998-04-16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035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163B1 (en) * 2006-06-30 2008-04-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WO2011016658A2 (en) * 2009-08-05 2011-02-10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Vehicle intrusion sensing apparatus for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163B1 (en) * 2006-06-30 2008-04-2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WO2011016658A2 (en) * 2009-08-05 2011-02-10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Vehicle intrusion sensing apparatus for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O2011016658A3 (en) * 2009-08-05 2011-06-30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Vehicle intrusion sensing apparatus for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7654A (en) Anti-theft System for disabling a vehicle engine that includes a multi-contact switch for disconnecting the battery and loading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US5739747A (en)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a remote unit that emulates security system condition local ind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050237166A1 (en) Vehicle anti-thief device with bluetooth recognition
JP413664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5973592A (en)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a remote unit that emulates security system condition local indications and related method
KR19990080356A (en) Automobile anti-theft and alarm
JP386108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KR100981209B1 (en) Stealing protection apparatus for motorcycle using ultrasonic sensors
US7023329B2 (en) Air pressure induction type vehicle anti-thief device
JP4342666B2 (en) Theft reporting device and theft reporting method
KR100499692B1 (en) Car protecting system using remote-controller
JP3648648B2 (en) Device for preventing closing of fuel cap and fuel theft 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KR100534304B1 (en) Perceiving system for the crashing and stealing of vehicles
JP4447581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JP2007015598A (en) Theft alarm device for vehicle
KR19980045378A (en) Anti-theft device
KR20050010592A (en) An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conditon alarm by using navigation system
KR100190403B1 (en) A protective system for a car
JP2502082Y2 (en) Car security system
KR100422537B1 (en) Vehicle burglary preventing device
KR100398217B1 (en) A controling method of keyless entry system
KR100405475B1 (en) Starting system for an automobile
KR1005577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larm from trouble of Airbag
KR100217598B1 (en) Anti-theft vehicle security system
JP3105130U (en) Atmospheric pressure detection type car anti-thef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