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354A -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354A
KR19990080354A KR1019980013556A KR19980013556A KR19990080354A KR 19990080354 A KR19990080354 A KR 19990080354A KR 1019980013556 A KR1019980013556 A KR 1019980013556A KR 19980013556 A KR19980013556 A KR 19980013556A KR 19990080354 A KR19990080354 A KR 1999008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pager
button
lett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호
Original Assignee
양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호 filed Critical 양기호
Priority to KR101998001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0354A/ko
Publication of KR1999008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354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의 12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문자표현을 할 수 있는 글모양코드를 이용하여 상대방 페이저에 문자송신을 할 수 있는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화의 버튼만을 사용하여 문자를 전송하기 위해 각 버튼값에 해당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과 상용어구 및 특수문자를 구현할 수 있는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을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의 시스템에 구축하여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여 문자를 송신하고 싶으면 글모양문자코드 방식에 의해 키패드에 입력하여 페이저 수신자에게 상기 입력한 문자가 전달되는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본 발명은 전화기의 12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문자표현을 할 수 있는 글모양코드를 이용하여 상대방 페이저에 문자송신을 할 수 있는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송신을 상대방에게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작성하여 송신하거나 기존에 펜으로 작성한 문서를 팩스를 통하여 송신하며, 전화기의 경우는 숫자 버튼키를 이용하여 일정의 약속된 코드에 의해 버튼의 숫자의 조합으로 한글의 자음, 모음을 표현하여 문자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현재 개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방식은 현재 개발된 한국통신의 어태치코드(ATTACH CODE)(국가표준번호 KICS.KO-05.0018)에 대한 설명이다.
도 1은 한국통신 어태치코드(ATTACH CODE)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화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버튼키 사이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버튼의 가로축으로는 각 버튼 간격당 두 개의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한다. 즉, 버튼 '1' 과 '2' 사이는 연속적으로 'ㄱ' 및 'ㄴ', 버튼 '2' 와 '3' 사이는 연속적으로 'ㅏ' 및 'ㅓ', 버튼 '4' 와 '5' 사이는 연속적으로 'ㅅ' 및 'ㅇ', 버튼 '5' 와 '6' 사이는 연속적으로 'ㅗ' 및 'ㅜ', 버튼 '7' 과 '8' 사이는 연속적으로 'ㅍ' 및 'ㅎ', 버튼 '8' 과 '9' 사이는 연속적으로 'ㅣ' 및 'ㅡ'를 배치한다. 상기에서 가로축으로 '*' 와 '0' 사이, '0' 과 '#' 사이는 빈공간으로 한다. 또한, 버튼의 대각선상으로는 4개의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한다. 즉, 버튼 '1' 과 '5' 사이에는 'ㄷ,ㄹ,ㅂ,ㅁ'을 버튼 '1'과 가장 가까운 대각선 지점부터 시계방향으로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버튼 '3' 과 '5' 사이에는 'ㅕ,ㅔ,ㅐ,ㅑ'을 버튼 '3'과 가장 가까운 대각선 지점부터 시계방향으로 상기 모음을 배치하고, 버튼 '4' 과 '8' 사이에는 'ㅈ,ㅊ,ㅌ,ㅋ'을 버튼 '4'와 가장 가까운 대각선 지점부터 시계방향으로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버튼 '6' 과 '8' 사이에는 'ㅠ,ㅖ,ㅒ,ㅛ'를 버튼 '6'과 가장 가까운 대각선 지점부터 시계방향으로 상기 모음을 배치한다. 상기의 대각선상에서 버튼 '7' 과 '0' 사이는 'ㄲ,ㄸ'을 , 버튼 '9' 와 '0' 사이는 'ㅉ,ㅆ'을 배치한다. 또한, 세로축으로는 유일하게 '0' 과 '8' 사이에 'ㅃ' 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한글의 자모를 배치한 후 사용자가 전화를 사용하여 만약 'ㄱ'이라는 문자를 송신하고 싶으면, 먼저, 상기 배치된 자모 중 'ㄱ' 과 가장 인접한 버튼을 찾는다. 즉, 상기 'ㄱ' 과 가장 인접한 버튼인 '1'을 누루고, 다음에 상기 버튼 '1'과 상기 'ㄱ'이 있는 선상에서 가장 인접한 버튼 '2'를 누루면 'ㄱ'문자에 대한 표현이 '12'로서 완료된다. 또한, 'ㄷ'을 송신하고 싶으면, 먼저, 상기 배치된 자모 중 'ㄷ' 과 가장 인접한 버튼인 '1'을 누루고, 다음에 상기 버튼 '1'과 상기 'ㄷ'이 있는 선상에서 가장 인접한 버튼 '5'를 누루면 'ㄷ'문자에 대한 표현이 '15'로서 완료된다. 좀더 긴 문장을 작성하게 되면, 예를 들어 '한국통신'이란 단어를 전송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숫자버튼을 사용하여 '한'은 '872321', '국'은 '126512', '통'은 '845654', '신'은 '458921'로서 표현되므로 상기 숫자를 한꺼번에 누루면 '872321126512845624458921'로서 '한국통신'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기의 숫자버튼키를 사용하여 문자송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코드(ATTACH CODE)를 사용한 방식은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기존의 모든 전화기에 자음 및 모음을 버튼 사이의 빈공간에 표시해야 하고, 또한 각종 휴대폰 및 전화기의 크기가 소형화 되고 있는 현 기술상황을 고려했을 때 자음 및 모음을 표기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표기되어도 인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의 숫자버튼키를 이용하여 문자송신을 할 때, 상기의 어태치코드(ATTACH CODE)와 달리 전화 버튼키를 블록으로 생각하여 각 문자의 모양에 맞는 형태의 글모양코드를 창안하여 문자를 송신할 때 글모양의 이미지에 맞도록 버튼을 누루면 문자가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글모양 문자코드로 전송된 데이터가 무선호출호스트와 접속시 무선호출호스트에서 상기 글모양코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페이저 수신자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한국통신 어태치코드(ATTACH CODE)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글모양 문자코드 중 한글자음에 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글모양 문자코드 중 한글모음에 관한 예시도
도 4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종합적인 버튼키 값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일반적인 전화기의 블록도
도 6은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의 시스템 블록도
도 7은 문자송신이 가능한 페이저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링 검출부 15: 송수화기
20: 통화회로부 25: 훅크스위치부
30: DTMF발생기 35: 키패드
40: DTMF수신부 45: 메모리부
50, 85 : 디코더 55: RF발생부
60: RF송신부 65: 송신안테나
70: 수신안테나 75: RF수신부
80: 파형정형부 90: 롬
95: 마이크로프로세서 100: 디스플레이부
105: 경보음스피커 110: 진동모터
115: 호출신호구동부 120: 호출신호중단버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글모양 문자코드 중 한글자음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글모양 문자코드 중 한글모음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종합적인 버튼키 값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글모양 문자코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글모양 문자코드는 한글의 자음 14개와 모음 10개의 모양과 흡사하도록 버튼키를 블록형태로 사용하여 각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의 모양을 형성하는 버튼의 번호를 이용하여 문자송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가)는 한글 자음의 'ㄱ'을 표현한 예시도로서, 버튼키의 '1','2','5'의 조합으로 'ㄱ' 문자의 모양을 흡사하게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ㄱ' 문자를 전송하고 싶을때는 전화기의 버튼키에서 'ㄱ'을 상징할 수 있는 버튼인 '125'를 누루면 'ㄱ'이란 문자의 약속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가 나타내는 'ㄴ'은 버튼 '145'로 표현되며, (다)가 나타내는 'ㄷ'은 버튼 '1245'로 표현되며, (라)가 나타내는 'ㄹ'은 버튼 '1278'로 표현되며, (마)가 나타내는 'ㅁ'은 버튼 '1425'로 표현되며, (바)가 나타내는 'ㅂ'은 버튼 '1728'로 표현되며, (사)가 나타내는 'ㅅ'은 버튼 '279'로 표현되며, (아)가 나타내는 'ㅇ'은 버튼 '0'으로 표현되며, (자)가 나타내는 'ㅈ'은 버튼 '1279'로 표현되며, (차)가 나타내는 'ㅊ'은 버튼 '11279'로 표현되며, (카)가 나타내는 'ㅋ'은 버튼 '1125'로 표현되며, (타)가 나타내는 'ㅌ'은 버튼 '11245'로 표현되며, (파)가 나타내는 'ㅍ'은 버튼 '1346'으로 표현되며, (하)가 나타내는 'ㅎ'은 버튼 '10'으로 표현된다. 상기에서 각 자음에 대한 표현 버튼의 누루는 순서는 기존의 한글의 자음의 필순과 동일하고, 'ㄱ,ㄷ,ㅈ' 의 거센소리 'ㅋ,ㅌ,ㅊ' 은 상기의 'ㄱ,ㄷ,ㅈ'의 숫자조합의 처음에 '1' 을 추가시키면 된다. 그리고, 예시도에 나와있지 않은 'ㄲ,ㄸ,ㅃ,ㅆ,ㅉ'은 상기 'ㄱ,ㄷ,ㅂ,ㅅ,ㅈ' 숫자조합의 마지막에 '3'을 추가한다. 즉, 'ㄲ'은 '1253', 'ㄸ'은 '12453', 'ㅃ'은 '17283', 'ㅆ'은 '2793', 'ㅉ'은 '12793'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음에 관한 예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아)는 모음의 'ㅏ' 를 나타내며, 버튼키의 '286'으로 표현된다. (야)는 모음의 'ㅑ'를 나타내며, 상기 'ㅏ'의 이중모음 형태로 상기 '286'에 '6'을 끝에 추가함으로써 '2866'이 'ㅑ'의 모양을 표현한다. (어)는 모음의 'ㅓ'를 나타내며, 버튼키의 '428'로 표현된다. (여)는 모음의 'ㅕ'를 나타내며, 상기 'ㅓ'의 이중모음 형태로 상기 '428'에 '4'를 처음에 추가함으로써 '4428'이 'ㅕ'의 모양을 표현한다. (오)는 모음의 'ㅗ'를 나타내며, 버튼키의 '246'으로 표현된다. (요)는 모음의 'ㅛ'를 나타내며, 상기 'ㅗ'의 이중모음 형태로 상기 '246'에 '2'를 처음에 추가함으로써 '2246'이 'ㅛ'의 모양을 표현한다. (우)는 모음의 'ㅜ'를 나타내며, 버튼키의 '468'로 표현된다. (유)는 모음의 'ㅠ'를 나타내며, 상기 'ㅜ'의 이중모음 형태로 상기 '468'에 '8'을 끝에 추가함으로써 '4688'이 'ㅠ'의 모양을 표현한다. (으)는 모음의 'ㅡ'를 나타내며, 버튼키의 '46'으로 표현된다. (이)는 모음의 'ㅣ'를 나타내며, 버튼키의 '28'로 표현된다. 상기에서 각 모음에 대한 표현 버튼의 누루는 순서는 기존의 한글의 모음의 필순과 동일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모든 자음 및 모음의 모든 문자코드는 도 4의 예시도에서 각 문자에 대하여 버튼키 값을 표현하고 있다.
상기에서 문자코드 이외에 기능코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신할 때, 한글을 입력하게 되면 입력하기전 처음에 '*#'를 입력하고, 국제표준영문 입력방식에 의해 영문을 입력할 때는 입력하기전 처음에 '#*'를 입력하고, 숫자를 입력할 때는 입력하기전 처음에 '#'을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이 끝나면 입력이 끝났다는 신호로서 '**'을 누룬다. 사용자가 입력시 실수로 잘못 버튼키를 눌렀을 경우 '##'을 누루면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은 특수문자 및 표준상용어구코드의 호출 및 해제시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를 표현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특수문자를 호출하기 위해 먼저 '*'를 누루고, 그 다음 '*'를 표현하기 위해 기존에 정해져 있는 한글 입력어가 '별'이라면, 상기 '별'에 해당하는 버튼키값을 입력하면 된다. 즉, 사용자는 '*172844281278*'을 입력하여, 특수문자 '*'을 전송하는 것이다. 하나의 예를 더 들어 만약 '$'를 전송하고 싶으면, 기존의 '$'를 표현하는 한글 입력어가 '달' 또는 '달러'라면, 사용자는 '$'를 전송하기 위해 '*12452861278*' 또는 '*124528612781278428*' 로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용어구의 경우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를 표현하기 위해선 상당히 많은 숫자를 입력해야 한다. 상기의 자주 쓰는 사용어구는 간단한 머리말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안녕하세요?'는 '안녕'이란 두 음절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즉, '안녕하세요?'란 문자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안녕'에 해당하는 '*028614514544280*' 만을 누루면 된다. 상기에서 '*' 는 상용어구의 호출 및 해제신호이다. 또한, 전화라인으로 연결된 서버가 있을 경우, 서버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만약, 서버가 채팅서비스에 대한 명령어를 '채팅' 이란 상용어구로 인식하기로 약속한다면, 사용자는 전화기를 통하여 서버에 '*112792862811245280*'를 누루게 되면, 상기 서버는 사용자에게 채팅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서비스 제공업자와의 상용어구의 약속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상용어구를 호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미리 전화기의 메모리에 상용어구를 입력하고 호출을 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특수문자 및 표준상용어구와는 달리 호출시는 '*5'를 입력하고, 해제시는 '*'를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만약 '저는 김영수입니다'에 대한 사용자 상용어구를 '나'라는 문자로 대신하기로 약속한다면, 사용자는 전화기에 상기 내용을 입력하고 상기 어구를 전송할 때 '*5145286*'를 누루게 되면 '저는 김영수입니다'라는 문자가 전송되게 된다. 또한, 버튼 '9'는 '?(물음표)'로 사용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용어구를 검색하고 싶으면 '*59' 즉 의미상 '*5?'를 입력한 것이 되어 입력된 모든 사용자 상용어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버튼'5'는 공란(space), 버튼 '*9', 즉 의미상 '*?'는 특수문자 및 표준상용어구의 검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문입력시를 보면, 상기의 위에서 소개된 국제표준영문입력과는 달리 알파벳을 한글식으로 표기하여 전달한다. 만약 'A'를 전달하고 싶으면 '에이'라는 한글로서 'A'를 호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영어의 알파벳은 특수문자로 등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A'는 '*042828028*'이다. 상기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가릴 수 있도록 일반 컴퓨터 자판기에서 사용되는 Shift기능을 버튼 '7'로 대치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소문자 'a'를 전달하고 싶으면 상기의 'A'에 '7'을 덧부치면 된다. 즉, '*7042828028*'이 되는 것이다. 한 예를 더 들면, 'Korea'를 전송하고 싶으면 '*(케이)7(오)7(알)7(이)7(에이)*'로 하면된다. 상기에서 ()안의 한글의 버튼키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한문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수문자로 한문을 등록하게 되면, 예를들어, '天'을 전송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하늘천'을 입력하면된다. 즉, 한문을 호출하는 특수문자 호출버튼인 '*'와 '하늘천'을 나타내는 버튼키 즉, '*0028614546127811279145*'로 전송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 글모양 문자코드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글모양 문자코드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ㄱ'은 버튼 '125'로 표현이 되었으나, '139', '458', '236', '780'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ㄴ'은 버튼 '145'로 표현이 되었으나, '179', '478', '256'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ㄷ'은 버튼 '1245'에서 '1379'로 대체가 가능하며, 'ㄹ'은 버튼 '1278'에서 '124578'로, 'ㅁ'은 버튼 '1425'에서 '1739'로, 'ㅂ'은 버튼 '1728'에서 '147258'로, 'ㅅ'은 버튼 '279'에서 '245'로, 'ㅈ'은 버튼 '1279'에서 '7913'으로, 'ㅊ'은 버튼 '11279'에서 '7'로, 'ㅋ'은 버튼 '1125'에서 '1284'로, 'ㅌ'은 버튼 '11245'에서 '127845' 또는 '2485'로, 'ㅍ'은 버튼 '1346'에서 '8'로, 'ㅎ'은 버튼 '10'에서 '80'으로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글모양 코드를 이용하여 문자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전화기의 버튼키를 통해 입력된 숫자를 가지고 문자로 전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이 구비된 시스템을 가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일반적인 전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7은 문자송신이 가능한 페이저의 블록도이다.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는 사용자에게 착신되는 링 신호가 검출되는 링 검출부(10)와, 상기 링 검출부(10)에서 검출된 착신음이 출력되는 스피커(SP)와, 사용자의 음성을 송수신하는 송수화기(15)와, 상기 송수화기(15)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통화회로부(20)와, 상기 송수화기(15)의 온, 오프에 따라 교환기와 스위칭시키는 훅크스위칭부(25)와,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35)와, 상기 키패드(35)를 통한 다이알링 신호 및 페이저 번호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회로부(20)에 출력하는 DTMF발생기(30)로 구성된다. 도 6은 상기 전화기에서 출력된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부(40)와,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45)와, 상기 DTMF수신부(40)로 수신된 톤신호가 글모양 문자코드에 의한 전송일 경우는 상기 메모리부(45)에 저장된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정보를 출력하여 글모양 문자코드를 문자전송용 한글코드로 디코딩하는 디코더(50)와, 상기 디코더(50)에서 출력된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고주파를 생성하는 RF발생부(55)와, 상기 RF발생부(55)에서 발생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페이저의 송신안테나(65)를 통하여 송신하는 RF송신부(60)로 구성된다. 도 7은 상기 송신안테나(65)에서 송신된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70)와, 상기 수신안테나(70)에서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복조하는 RF수신부(75)와, 상기 RF수신부(75)에서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파형정형부(80)와, 상기 파형정형부(80)에서 디지탈로 변환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디코더(85)와, 해당무선호출수신기의 고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롬(90)과, 상기 디코더(85)에 수신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롬(90)의 데이터와 비교판별한 후 자기데이터일시 경보데이터 및 수신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95)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5)의 제어하에 상기 수신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0)(LCD:Liquid Cristal Display)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5)의 제어하에 호출신호(경보음, 진동)를 발생하는 호출신호구동부(115)와, 상기 호출신호 중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스피커(105)와, 호출신호 중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터(1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5)의 제어하에 호출신호구동부(115)를 제어하여 호출신호를 오프시키는 호출신호 중단버튼(12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작용을 보면,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여 무선호출가입자에게 상기의 글모양 문자코드을 이용하여 문자송신을 하기 위해 송수화기(15)를 든다. 상기 송수화기(15)를 들면 후크스위치부(25)가 동작되어 교환기와 연결되고, 사용자는 발신음을 확인한후 무선호출가입자에게 키패드(35)를 통하여 다이얼링을 한다. 상기 키패드(35)를 통해 다이얼링 된 신호는 DTMF발생기(30)에서 톤신호로 변환되어 통화회로부(20)를 거쳐 교환기와 연결된다. 상기 교환기는 상기의 다이얼링 신호에 맞도록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와 연결시킨다. 상기에서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와 연결이되면 사용자는 글모양 문자코드의 형식에 맞도록 입력하고 싶은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이란 문자를 송신하고 싶으면 먼저, 글모양 문자코드의 형식에서 한글입력에 해당하는 '*#'을 누루고, '집'에 해당하는 버튼인 '1279281728'과 입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버튼인 '**'을 누룬다. 즉, 상기의 '집'에 해당하는 버튼은 도합 '*#1279281728**'로서 전송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전송된 문자신호는 도 6의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의 시스템을 통하여 페이저로 송신된다. 도 6에서 작용을 보면, 상기의 문자신호는 DTMF수신부(40)에서 수신되고, 상기 DTMF수신부(40)로 수신된 상기 '집'을 표현하는 글모양 문자코드는 디코더(50)로 인가된다. 상기 디코더(50)는 메모리부(45)에 저장된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1279281728**' 의 글모양 문자코드를 기존의 문자전송용 한글 코드로 디코딩한다. 상기의 디코더(50)에서 디코딩된 상기 '*#1279281728**'의 데이터는 '집'을 표현하는 한글코드로 변경된다. 상기의 디코더(50)에서 한글코드로 변경된 데이터는 RF발생부(55)에서 고주파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RF발생부(55)에서 발생된 고주파신호는 RF송신부(60)에서 적당량 증폭되어 송신안테나(65)를 통하여 도 7의 문자송신이 가능한 페이저로 송신된다. 도 7에서 작용을 보면,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가 송신한 RF 변조신호를 수신안테나(70)로 수신한 후, 상기 RF수신부(75)에서 상기 RF변조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를 파형정형부(80)에서 여파(FILTERRING) 및 증폭한 후 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95) 및 디코더(85)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2진코드(binary code)의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디코더(85)로 인가한다. 상기 디코더(85)는 상기 파형정형부(80)에서 인가된 디지탈신호에 실려진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95)에 인가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5)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코드형태의 전송속도에 따라 정해진 주기의 수신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중 자기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이후 수신데이터를 분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롬(90)에서는 해당 무선호출수신기의 소정 어드레스 비트와 프레임데이터로 구성된 2개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5)는 초기전원 온 시 상기 롬(90)에 들어있는 어드레스를 내부의 램에 저장하고, 수신한 어드레스 부호어의 32비트도 램에 저장하여 이를 4비트씩 리드하여 누산기에서 각각 비교한다. 또한 메시지부호어의 32비트 데이터는 내부의 버퍼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누산기에서 비교한 수신데이터가 동일 데이터로 판명되면, 자기데이타(피호출자의 전화번호 및 음성, 문자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LCD:Liquid Cristal Display)에 표시하는 동시에 호출신호구동부(115)를 구동하여 경보음스피커(105)를 통한 호출음 또는 진동모터(110)를 통한 진동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여 글모양 문자코드에 의해 '집'을 나타내는 글모양문자코드인 '*#1279281728**'로 입력된 DTMF신호는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의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에 의해 '집'을 나타내는 한글코드로 바뀌고, 상기의 페이저의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하여 최종적인 문자신호로 '집'이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상기의 모든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데로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이 구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의 버튼만을 사용하여 문자를 전송하기 위해 각 버튼값에 해당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과 상용어구 및 특수문자를 구현할 수 있는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을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의 시스템에 구축하여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하여 문자를 송신하고 싶으면 글모양문자코드 방식에 의해 키패드에 입력하여 페이저 수신자에게 상기 입력한 문자가 전달되는 효과와, 상기 글모양문자코드는 키패드의 4행 3열의 버튼을 블록과 같은 형태로 생각하여 각 문자를 그리는 형태로 입력하기 때문에 각 문자에 대한 버튼키 값을 외우지 않고도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화기의 키패드의 버튼키를 통하여 문자송신을 할 수 있는 페이저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표현하고 싶은 문자를 글모양문자코드에 의해 숫자로 전화기에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서 입력된 숫자데이터를 DTMF신호로 출력하는 DTMF출력수단과,
    상기 DTMF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DTMF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호출서비스제공업자 시스템의 DTMF수신수단과,
    상기 DTMF수신수단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기존의 문자전송방식의 한글코드로 전환시키는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을 내장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상기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숫자데이터를 가진 DTMF신호를 일반 페이저전송식 한글코드로 변환시키는 디코딩수단과,
    상기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한글코드 데이터를 고주파를 페이저로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완성된 문자로서 페이저의 LC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저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내장된 글모양문자코드변환프로그램은,
    전화기의 버튼키에서 'ㄱ'은 버튼 '125'로 표현되고, 'ㄴ'은 '145', 'ㄷ'은 '1245', 'ㄹ'은 '1278', 'ㅁ'은 '1425', 'ㅂ'은 '1728', 'ㅅ'은 버튼 '279', 'ㅇ'은 '0', 'ㅈ'은 '1279', 'ㅊ'은 '11279', 'ㅋ'은 '1125', 'ㅌ'은 '11245', 'ㅍ'은 '1346', 'ㅎ'은 '10', 'ㄲ'은 '1253', 'ㄸ'은 '12453', 'ㅃ'은 '17283', 'ㅆ'은 '2793', 'ㅉ'은 '12793'으로 표현되며, 'ㅏ'는 '286', 'ㅑ'는 '2866', 'ㅓ'는 '428', 'ㅕ'는 4428, 'ㅗ'는 '246', 'ㅛ'는 '2246','ㅜ'는 '468', 'ㅠ'는 '4688', 'ㅡ'는 '46', 'ㅣ'는 '28'로 표현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숫자로 입력된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KR1019980013556A 1998-04-16 1998-04-16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KR19990080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56A KR19990080354A (ko) 1998-04-16 1998-04-16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56A KR19990080354A (ko) 1998-04-16 1998-04-16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354A true KR19990080354A (ko) 1999-11-05

Family

ID=6589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556A KR19990080354A (ko) 1998-04-16 1998-04-16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03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26A (ko) * 2000-04-12 2001-11-07 나현민 매트릭스 구조의 키패드에 의한 패턴비교 및 작성경로동시비교방식 문자 입력방법
KR100438166B1 (ko) * 2000-03-15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166B1 (ko) * 2000-03-15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10095926A (ko) * 2000-04-12 2001-11-07 나현민 매트릭스 구조의 키패드에 의한 패턴비교 및 작성경로동시비교방식 문자 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500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9990036989A (ko)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KR19990080354A (ko) 글모양 문자코드를 이용한 페이저 문자송신시스템
CN101132436A (zh) 聋哑手机及通话方式
KR1006751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KR19980014248A (ko) 한글코드를 전화다이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수신장치
KR1002856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265582B1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00015049A (ko) 하나만코드를 이용한 문자통신시스템
KR19990080355A (ko) 전화기의 문자통신 시스템
KR100387065B1 (ko)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KR100270431B1 (ko) 전화기의숫자및기능버튼을이용한문자발생방법
KR100881000B1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00018858A (ko) 하루만코드를 이용한 문자통신시스템
JPH0282824A (ja) オートダイアラ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ページング受信機
CN101132435B (zh) 盲人手机及通话方式
KR10066350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한글입력방법과 그 입력장치
JPH04253427A (ja) 無線受信装置
JPH0563631A (ja) ボイスページング方式
KR200501138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문자 배열구조 및 입력방법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JPH09205664A (ja) トーンダイヤラ及び電話機及び選択呼出受信機
KR100656621B1 (ko)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JP3737508B1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3730894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そのかな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