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872A -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872A
KR19990079872A KR1019980012733A KR19980012733A KR19990079872A KR 19990079872 A KR19990079872 A KR 19990079872A KR 1019980012733 A KR1019980012733 A KR 1019980012733A KR 19980012733 A KR19980012733 A KR 19980012733A KR 19990079872 A KR19990079872 A KR 19990079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result
caller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773B1 (ko
Inventor
김종균
조현창
김덕조
원창연
임준호
최영락
이종봉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8001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7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8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voi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3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ssaging or cha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2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fax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렛폼에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각종 통신 서비스의 서로 다른 번호들을 하나의 논리번호로 통합하여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가입자가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번호로 착신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에 적용되는 통합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으로 인입된 착신호의 통합서비스(ONS) 시스템 가입여부에 따라 가입된 착신호에 대해 가입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가입된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에 한해 음성톤으로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호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가입된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에 한해 팩시밀리톤으로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팩시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랫폼(ESP)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 : Enhanced Service Platform)에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각종 통신 서비스의 서로 다른 번호들(즉, 집전화, 회사전화, 무선호출, 휴대용전화, 팩시밀리 등)을 하나의 논리번호로 통합하여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가입자가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번호로 착신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수단의 다양화로 각 개인은 집전화, 회사전화, 무선호출, 이동전화, 팩시밀리 등 여러개의 전호번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각종 통신 서비스의 서로 다른 번호들로 인하여 발신자가 특정인에게 전화 통화를 하려면 여러개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여야만 하였고, 이동이 잦은 착신자는 이동통신 기기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에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각종 통신 서비스의 서로 다른 번호들을 하나의 논리번호로 통합하여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가입자가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번호로 착신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3 은 도 2의 팩시밀리 서비스(FAX Service)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도 2의 호처리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a 내지 5d 는 도 4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6 은 도 5a 내지 5d의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g 는 도 6의 순차적 경로(Sequential Routing)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g 는 도 6의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 컴퓨터(Control Computer)
20 :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IVRU : Interactive Voice Response Unit)
30 : 스위치(Swit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에 적용되는 통합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으로 인입된 착신호의 통합서비스(ONS) 시스템 가입여부에 따라 가입된 착신호에 대해 가입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가입된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에 한해 음성톤으로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호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가입된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에 한해 팩시밀리톤으로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팩시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의 구성 예시도이다.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는 국제전기통신연합-통신표준화부(ITU-T : Telecommunication part o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인 차세대지능망(AIN : Advanced Intelligent Network)의 지능형 주변장치(IP : Intelligent Peripheral)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은 서비스 제어기(SCP : Service Control Point)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컴퓨터(10)와, 음성안내 등 음성을 통한 운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IVRU)(20)와, 서비스를 서비스 제어기로 분기시키는 서비스 교환기(SSP : Service Switching Point)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30)를 포함한다.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은 공중교환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공중육상이동통신망(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공중망과 음성 트렁크(T1 트렁크 등)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공중망으로부터 ESP로의 호인입은 공중망 내부 교환기에서의 호전환 형태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어 컴퓨터(1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로서, 스위치(30),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20), 및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rnsmmi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통제되고,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및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어 컴퓨터(10)는 스위치(30)를 통제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호인입을 인식하고,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20)를 통제하는 프로세서에게 안내방송을 지시하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형상(Feature)에 따라 호를 처리한다.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20)는 음성안내 기능을 담당하는 지능형 주변장치로서, 스위치(30)와 접속하기 위한 중계선 카드 및 제어 컴퓨터(10)와 접속을 위한 이더넷(Ethernet) 카드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20)는 산업용 컴퓨터에 음성재생 및 녹음 기능을 하는 문답식(Dialogic) 카드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스위치(30)는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스위치로서, 제어 컴퓨터(10)와 이더넷으로 연결되며,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20)와 중계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동통신망의 교환국(MSC) 및 상호동작 음성 응답 유니트(20)와 E1 트렁크에 의해 연결되어 음성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은 공중망의 SCP로부터 서비스 제어를 받지 않고, ESP로 전환된 호를 독자적으로 처리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AIN에서 권고되고 있는 IP의 기능 및 개념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SP를 이용하여 통합 서비스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합서비스(ONS : One Number Service) 시스템은 언제 어디서나 가입자가 하나의 번호로 착신되기 위한 서비스이다. 이때, 가입자에게 주어지는 개인번호는 물리적인 번호가 아니라 논리적인 번호로서, 가입자가 ONS 가입시 주어진다.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형상(Feature)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형상(Feature)들은 호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s),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 팩시밀리 서비스(FAX Services), 서비스 정보(Service Administration), 및 리바운드 서비스(Rebound Service) 등이 있다.
호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s)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형상들로는 순차적 경로(Sequential Routing) 서비스,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 미트-미 페이징(Meet-Me Paging) 서비스, 및 호 스케쥴링(Call Scheduling) 서비스 등이 존재한다.
순차적 경로(Sequential Routing) 서비스는 가입자가 미리 착신 순서를 지정해 두면 착신 요구시 착신이 성공할 때까지 정해진 순서대로 호를 시도하는 서비스이다.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는 가입자가 등록한 여러 곳으로 동시에 호 연결을 시도하여 가장 먼저 응답하는 곳과 통화하는 서비스이다.
미트-미 페이징(Meet-Me Paging) 서비스는 호를 대기시키고 가입자의 무선호출기에 대기중인 호가 있음을 알려서 가입자가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으로 전화를 하면 대기중인 호를 가입자에게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호 스케쥴링(Call Scheduling) 서비스는 현재 시간에 따라 가입자가 입력시켜 둔 시간대별 착신처로 호를 연결하는 서비스이다.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형상들로는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Caller ID Screening) 서비스,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 호 수락 개인식별번호(Call Acceptance PIN) 서비스, 및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 등이 존재한다.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는 시스템이 발신자에게 통화 목적을 녹음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들려준 후에 가입자로 하여금 통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Caller ID Screening) 서비스는 자동 전화번호 식별(ANI :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번호를 착신자에게 착신자에게 들려주어 착신자가 통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는 긴급을 요하는 호에 대해서만 착신을 허용하고, 그외의 호는 모두 지정 착신처로 전환하는 서비스이다.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는 통합서비스(ONS) 접속시 발신자에게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올바른 식별번호가 입력된 호만 착신시키는 서비스이다.
호 수락 개인식별번호(Call Acceptance PIN) 서비스는 한 대의 단말기에 여러명의 가입자가 착신 등록을 한 경우를 대비하여 식별번호를 올바르게 입력한 착신자에 한해서만 수신을 허용하는 서비스이다.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는 고객이 착신을 원하지 않는 발신자의 번호를 등록해 두고 해당 번호로부터의 발신호에 대해서는 지정 착신처로 전환하는 서비스이다.
팩시밀리 서비스(FAX Services)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형상들로는 팩시밀리 반영(FAX Reflection) 서비스, 팩시밀리 저장 및 순방향(FAX Store & Forward) 서비스 등이 존재한다.
팩시밀리 반영(FAX Reflection) 서비스는 팩시밀리로부터의 발신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미리 지정해 둔 팩시밀리 번호로 호를 연결하는 서비스이다.
팩시밀리 저장 및 순방향(FAX Store & Forward) 서비스는 가입자에게 ;수신되는 모든 팩시밀리를 저장해 두었다가 추후 가입자의 요구시 요구된 번호로 팩시밀리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서비스 정보(Service Administration)는 통합서비스(ONS) 가입자가 복합 주파수 부호(DTMF : Dual Tone Multifrequency) 또는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여 자신의 서비스 이력(Profile)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리바운드 서비스(Rebound Service)는 녹음된 음성 메시지 청취중 외부로 발신을 시도하였다가 호 완료후에 다시 음성안내 상태로 돌아오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서비스(ONS : One Number Service) 방법에 이용되는 번호 상수 및 시간 상수를 살펴보면 (표 1) 및 (표 2)와 같다.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개인 식별번호로서, "PIN-Others"는 발신자(Caller)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이고, "PIN-Mine"는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이다.
유 형 내 용(Description)
N1 선택을 잘 못 하였을 경우 재입력 허용 횟수
N2 개인 식별번호(PIN)를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 재입력 허용 횟수
N3 선택이 늦었을 경우 재입력 허용 횟수
N4 PIN-Others 입력이 늦었을 경우 재입력 허용 횟수
N5 PIN-Mine 입력이 잘못되었을 경우 재입력 허용 횟수
유형 내 용(Descripsion)
T1 발신자(또는 응답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최대시간
T2 발신자가 이름을 녹음하도록 대기하는 최대시간(Voice Screening)
T3 발신자가 PIN-Others를 입력하도록 대기하는 최대시간
T4 응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기 까지의 최대 대기시간
T5 PIN-Mine 입력을 기다리는 최대시간
T6 착신자의 수락/거절 여부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시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으로 호가 인입되면(201),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은 인입된 호의 착신번호(Called Number)가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한다(202).
판단결과, 착신번호가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없는 국번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_Err1)를 방송하고(203),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 가입된 착신번호이면 가입자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204).
이후,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205)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분석한다(206).
분석결과, 유효한 가입자가 아니면 유효하지 않은 가입자(Invalid Subscriber)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_Err2)를 방송하고(207), 유효한 가입자이면 인입된 호가 팩시밀리톤인지 또는 음성톤인지를 판단한다(208).
판단결과, 음성톤이면 호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며(209), 팩시밀리톤이면 팩시밀리 처리기의 상태를 검사하여(210) 팩스밀리 처리기가 정상이 아니면 팩시밀리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가입자에 대한 팩시밀리 착신시 안내 메시지(Anmt_Err3)를 방송하고(211), 팩시밀리 처리기가 정상이면 팩시밀리 서비스를 수행한다(212).
도 3 은 도 2의 팩시밀리 서비스(FAX Service)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팩시밀리를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301).
판단결과,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가입자 팩시밀리 번호로 통화하여 팩시밀리를 연결시킨 후에(302), 호를 종료한다. 이때, 만약 팩시밀리 번호가 무선호출로 설정되어 있으면 무선호출로 가입자에게 팩시밀리의 도착 정보를 알릴 수 있다(304). 이때, 무선호출 페이징 코드로는 현재 가입자의 팩시밀리를 데이터로 전송중임을 알려주기 위한 팩스밀리 코드(Code_FAX)를 사용한다.
판단결과,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팩시밀리 사서함으로 연결한 후에(305), 호를 종료한다. 이때, 만약 팩시밀리 번호가 무선호출로 설정되어 있으면 무선호출로 가입자에게 팩시밀리 도착 정보를 알린다(307). 이때, 무선호출 페이징 코드로는 팩시밀리 사서함(FAX Mail Box)에 새로운 팩시밀리 메시지가 들어왔음을 알려주는 팩시밀리 메일 코드(Code_FAX Mail)를 사용한다.
도 4 는 도 2의 호처리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호처리 서비스 과정에 따라 인사말을 내보내고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호 유형을 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송 메시지 및 에러 방송 메시지를 살펴보면 (표 3) 및 (표 4)와 같다.
유형 내 용(Description)
Anmt1 인사말(Greeting) 방송 메시지
Anmt2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에 대한 안내 메시지
Anmt3 개인 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에 대한 메시지
Anmt4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에 대한 안내 메시지
Anmt5 발신자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되는 메시지
Anmt6 호수락 개인식별번호(Call Acceptance PIN) 입력을 알려주는 메시지
Anmt7 발신자 이름을 알려주는 메시지
Anmt8 발신자 이름 공개가 거부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Anmt9 발신자 식별번호를 알려주는 메시지
Anmt10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Anmt11 발신이 지정 착신처로 이미 전환되었음을 착신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
Anmt12 발신자가 호를 포기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Anmt13 이미 다른 번호로 통화가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유형 내 용(Description)
Anmt_Err1 없는 국번에 대한 안내 메시지
Anmt_Err2 이용가능하지 않는 가입자에 대한 안내 메시지
Anmt_Err3 팩시밀리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가입자에 대한 팩시밀리 착신시안내 메시지
Anmt_Err4 선택을 잘못하였다는 메시지
Anmt_Err5 선택을 위한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Anmt_Err6 잘못된 PIN_Others에 대한 안내 메시지
Anmt_Err7 PIN_Mine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Anmt_Err8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먼저, 가입자가 녹음해 둔 인사말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401) 가입자가 녹음해 둔 인사말이 설정되어 있으면 녹음된 가입자 인사말을 방송하고(402),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환영 안내방송(Greeting Announcement)에 대한 기본 안내방송(Anmt1)을 방송한다(403).
이후, 발신자의 응답에 따라 선택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404).
분석결과,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아 자동으로 음성호(Voice Call)로 전환되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를 수행한다(405).
분석결과, 식별번호가 입력되어 자신의 프로파일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Service Administration)이면 가입자와 서비스를 접속한다(406).
분석결과, 식별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의 기타(Others) 부가 정보이면 선택을 잘못하였다는 메시지(Anmt_Err4)를 방송한 후에(407), 재입력 횟수가 선택을 잘못하였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1)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여(408) 재입력 횟수가 N1보다 크면 호를 종료하고, 재입력 횟수가 N1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가입자가 녹음해 둔 인사말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401).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t)되면 호를 종료한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도 4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는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 형상(Feature)에 따라 수행되는데, 이러한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 형상간의 상호동작(Interaction)을 살펴보면 (표 5)과 같다.
Do Not Disturb Voice Screening Caller ID Sreening Emergency Screening PIN Screening Screening List
Do Not Disturb
Voice Screening O
Caller ID Sreening O ×
Emergency Screening O × O
PIN Screening O × O ×
Screening List O O O O O
여기서, "O"는 동시에 활성화(Activation)가 가능함을 나타내고, "×"는 동시에 활성화가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5a 는 도 4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로서, 고객이 착신을 원하지 않는 발신자의 번호를 등록해 두고 해당 번호로부터의 발신호에 대해서는 지정 착신처로 전환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분석한다(501).
분석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502), 등록되어 있으면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인지를 검사한다(503).
검사결과,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가 아니면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인지를 분석하여(504)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이면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를 수행하고(505),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가 아니면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인지를 판단한다(506).
판단결과,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이면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를 수행하고(507),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가 아니면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인지를 검사한다(508).
검사결과,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이면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를 수행하고(509),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가 아니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한다(502).
검사결과,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이면 발신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분석하여(510) 이용가능한 발신번호이면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에 발신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511), 이용 가능한 발신번호가 아니면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인지를 분석한다(504).
판단결과, 스크리닝 리스트(Screening List) 서비스에 발신번호가 있으면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하고(512), 발신번호가 없으면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인지를 분석한다(504).
도 5b 는 도 5a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 과정(505)에 대한 상세 흐름도로서, 시스템이 발신자에게 통화 목적을 녹음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들려준 후에 가입자로 하여금 통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먼저,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2)를 발신자에게 방송하고(521),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522).
분석결과, 발신자가 이름을 녹음하도록 대기하는 최대시간(T2) 동안에 메시지가 기록되면 "이름 이용가능함(Name Available)"을 셋팅하고(523),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한다(502).
분석결과, 발신자가 선택을 잘못한 경우의 기타 키(Other Keys)를 입력하면 호수락 개인식별번호(PIN)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Anmt_Err8)를 방송한 후에(524), 재입력 횟수가 선택을 잘못하였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1)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525)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1보다 크면 "이름 이용가능하지 않음(Name Not Available)"을 셋팅한 후에(526)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502), 재입력 횟수가 N1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2)를 발신자에게 방송한다(521).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호를 종료한다.
도 5c 는 도 5a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PIN Screening) 서비스 과정(507)에 대한 상세 흐름도로서, 통합서비스(ONS) 접속시 발신자에게 식별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올바른 식별번호가 입력된 호만 착신시키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먼저, 발신자가(Caller)가 착신되기 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되는 메시지(Anmt5)를 발신자에게 방송하고(531),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532).
분석결과, 제공된 개인식별번호(PIN)가 유효하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한다(502).
분석결과, 제공된 개인식별번호(PIN)가 유효하지 않으면 잘못된 발신자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Others)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_Err6)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533), 재입력 횟수가 개인식별번호(PIN)를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횟수(N2)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534).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2보다 크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하고(535), 재입력 횟수가 N2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발신자가(Caller)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되는 메시지(Anmt5)를 발신자에게 방송한다(531).
분석결과, 발신자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Others)를 입력하도록 대기하는 최대시간(T3)이 종료되면 재입력 횟수가 발신자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Others) 입력이 늦었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4)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536).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4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발신자가(Caller)가 착신되기 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되는 메시지(Anmt5)를 발신자에게 방송하고(531), 재입력 횟수가 N4보다 크면 선택을 위한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Anmt_Err5)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537)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538).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호를 종료한다.
도 5d 는 도 5a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 서비스 과정(509)에 대한 상세 흐름도로서, 긴급을 요하는 호에 대해서만 착신을 허용하고, 그외의 호는 모두 지정 착신처로 전환하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먼저, 발신자(Caller)가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4)를 발신자에게 방송하고(541),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542).
분석결과, 긴급(Emergency)을 요하는 호이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한다(502).
분석결과, 긴급(Emergency)을 요하는 호가 아니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543).
분석결과, 발신자가 선택을 잘못한 경우의 기타 키(Other Keys)를 입력하면 선택을 잘못하였다는 메시지(Anmt_Err4)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544) 재입력 횟수가 선택을 잘못하였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1)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545).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1보다 크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하고(548), 재입력 횟수가 N1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발신자가(Caller)가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4)를 발신자에게 방송한다(541).
분석결과, 발신자 또는 응답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최대시간(T1)이 종료되면 재입력 횟수가 선택이 늦었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3)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546).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3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발신자가(Caller)가 긴급 스크리닝(Emergency Screening)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4)를 발신자에게 방송하고(541), 재입력 횟수가 N3보다 크면 선택을 위한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Anmt_Err5)를 방송한 후에(547)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548).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호를 종료한다.
도 6 은 도 5a 내지 5d의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를 찾는 호 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 절차를 나타낸다.
호 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는 가입자가 지정한 호 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 형상(Feature)에 의해 가입자를 찾아 착신을 시도하는데, 이러한 호 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 형상간의 상호동작(Interaction)을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Call Forwarding Simultaneaus Routing Caller ID Screening Emergency Screening Screening List
Call Forwarding
Simultaneaus Routing 0
Caller ID Screening 0 ×
Emergency Screening × × ×
Screening List 0 0 0 0
여기서, "O"는 동시에 활성화(Activation)가 가능함을 나타내고, "×"는 동시에 활성화가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 과정을 살펴보면, 순차적 경로(Sequency Routing) 서비스인지 또는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인지를 분석하여(601) 순차적 경로(Sequency Routing)이면 순차적 경로 서비스를 수행하고(602),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이면 동시적 경로 서비스를 수행한다(603).
도 7a 내지 도 7g 는 도 6의 순차적 경로(Sequential Routing)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호 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Service)중 호를 대기시키고 가입자의 무선호출기에 대기중인 호가 있음을 알려 가입자가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으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 대기중인 호를 가입자에게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다.
순차적 경로(Sequential Routing) 서비스상에서는 경로 찾기(Search Path) 및 발신자 경로(Caller Path) 찾기를 동시에 수행한다.
먼저, 발신자 경로(Caller Path) 찾기 과정을 살펴보면, 발신자에게 발신자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 되는 메시지(Anmt5)를 방송한 후에(702), 선택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703).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면 발신자 경로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여(721) 호를 계속 수행한다(722).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지 않으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704).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호를 종료한다.
이후, 발신자 경로(Caller Path) 찾기와 동시에 수행되는 경로 찾기(Search Path) 과정을 살펴보면, 순차적 경로(Sequential Routing) 서비스상에 들어오면 시스템 내부적으로는 경로 찾기(Search Path)에 따라 스케쥴된 리스트에서 첫 번째 전화번호를 가져와(701) 그 전화번호로 연결하여(705), 전화번호가 통화중인지 또는 응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기까지의 최대 대기 시간(T4)을 넘어선 시간 종료인지를 판단한다(706).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이면 리스트상에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사한다(707).
검사결과,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가 아니면 리스트상의 다음 전화번호를 가져와(708) 그 전화번호로 연결하고(705),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이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709).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가 아니면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한지를 분석한다(710).
분석결과,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 Acceptance PIN) 서비스를 수행하고(711),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없으면 착신자를 확인한 후에(712) 호가 단절되었는지를 검사한다(713).
검사결과, 호가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사하고(707), 호가 단절되어 있으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분석한다(714).
분석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고(715),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716).
판단결과, 발신자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는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는지를 검사한다(717).
검사결과,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으면 호가 지정 착신처로 이미 전환되었음을 착신자(즉, 가입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Anmt11)를 방송하고(718),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지 않았으면 발신자가 호를 포기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12)를 방송한 후에(719) 호를 단절한다(720).
판단결과, 발신자와 연결 상태이면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여(721) 호를 계속 수행한다(722).
도 7d 는 도 7a 내지 도 7c의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 서비스 과정(711)에 대한 상세 흐름도로서, 한 대의 단말기에 여러명의 가입자가 착신 등록을 한 경우를 대비하여 식별번호를 올바르게 입력한 착신자에 한해서만 수신을 허용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Anmt6)를 방송한 후에(731)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732).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가 유효하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검사한다(733).
검사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고(715),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716).
분석결과, 개인식별번호(PIN)가 유효하지 않으면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_Err7)를 방송한 후에(734), 재입력 횟수가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5)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735).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5보다 작거나 같으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Anmt6)를 방송하고(731), 재입력 횟수가 N5보다 크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_Err8)를 방송하고(736) 호를 단절시킨 후에(737) 다시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사한다(707).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을 기다리는 최대시간(T5)이 종료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_Err8)를 방송하고(736), 호를 단절시킨 후에(737) 다시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사한다(707).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다시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사한다(707).
도 7e 는 도 7b 및 7d의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715)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중 시스템이 발신자에게 통화 목적을 녹음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들려준 후에 가입자로 하여금 통화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741).
분석결과,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고(742),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한다(743).
판단결과,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이름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7)를 방송하고(744),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이름의 공개가 거부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8)를 방송한 후에(745) 수용(Accept) 또는 거절(Object)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746).
도 7f 는 도 7e의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 과정(742)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중 자동 전화번호 식별(ANI)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번호를 착신자에게 들려주어 착신자가 통화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Caller ID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751).
분석결과,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Caller ID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716),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검사한다(752).
검사결과,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식별번호를 알려주는 메시지(Anmt9)를 방송하고(753),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10)를 방송한 후에(754) 수용 또는 거절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746).
도 7g 는 도 7e 및 7f의 수용(Accept) 또는 거절(Reject) 서비스 과정(746)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761).
분석결과, 수용(Accept)이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716)
분석결과, 거절(Reject) 또는 착신자의 수용/거절 여부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시간(T6)이 종료되면 호를 단절한 후에(762)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763).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763).
도 8a 내지 도 8g 는 도 6의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가입자가 등록한 여러 곳으로 동시에 호 연결을 시도하여 가장 먼저 응답하는 곳과 통화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다.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상에서는 경로 찾기(Search Path) 및 발신자 경로(Caller Path) 찾기를 동시에 수행한다.
먼저, 발신자 경로(Caller Path) 찾기 과정을 살펴보면, 발신자에게 발신자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 되는 메시지(Anmt5)를 방송한 후에(802), 선택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803).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면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여(821) 호를 계속 수행한다(822).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지 않으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804).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호를 종료한다.
이후, 발신자 경로(Caller Path) 찾기와 동시에 수행되는 경로 찾기(Search Path) 과정을 살펴보면, 동시적 경로(Simultaneous Routing) 서비스상에 들어오면 시스템 내부적으로는 경로 찾기(Search Path)에 따라 스케쥴된 리스트에서 첫 번째 전화번호를 가져와(801) 그 전화번호로 연결하여(805), 전화번호가 통화중인지 또는 응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기까지의 최대 대기 시간(T4)을 넘어선 시간 종료인지를 판단한다(806).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이면 전화번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호를 단절시킨 후에(807), 모든 전화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검사한다(808).
검사결과, 모든 전화번호가 이용가능하면 전화번호가 통화중인지 또는 응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기까지의 최대 대기 시간(T4)을 넘어선 시간 종료인지를 판단하고(806),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809).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가 아니면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한지를 분석한다(810).
분석결과,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 Acceptance PIN) 서비스를 수행하고(811),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지 않으면 착신자를 확인한 후에(812) 호가 단절되었는지를 검사한다(813).
검사결과, 호가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 전화번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호를 단절시키며(807), 호가 단절되어 있으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분석한다(814).
분석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고(815),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816).
판단결과, 발신자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는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는지를 검사한다(817).
검사결과,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으면 호가 지정 착신처로 이미 전환되었음을 착신자(즉, 가입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Anmt11)를 방송하고(818),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지 않았으면 발신자가 호를 포기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12)를 방송한 후에(819) 호를 단절한다(820).
판단결과, 발신자와 연결 상태이면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고(821), 호를 계속 수행한다(822).
한편, 수락된 호가 아닌 모든 응답 호에 대해 반복하기 위해 경로 찾기상에서 이미 다른 번호로 통화가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13)를 방송하고(823), 찾기를 종료한 후에(824) 호를 단절시킨다(825).
도 8d 는 도 8a 내지 도 8c의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 서비스 과정(811)에 대한 상세 흐름도로서, 한 대의 단말기에 여러명의 가입자가 착신 등록을 한 경우를 대비하여 식별번호를 올바르게 입력한 착신자에 한해서만 수신을 허용하는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Anmt6)를 방송한 후에(831)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832).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가 유효하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검사한다(833).
검사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고(815),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816).
분석결과, 개인식별번호(PIN)가 유효하지 않으면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_Err7)를 방송한 후에(834), 재입력 횟수가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재입력 허용 횟수(N5)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835).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N5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시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Anmt6)를 방송하고(831), 재입력 횟수가 N5보다 크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_Err8)를 방송한 후에(836) 전화번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호를 단절시킨다(807).
분석결과, 재입력 횟수가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을 기다리는 최대시간(T5)이 종료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Caller Acceptance PIN)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_Err8)를 방송한 후에(836), 전화번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호를 단절시킨다(807).
분석결과, 호가 단절(Disconnect)되면 전화번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호를 단절시킨다(807).
도 8e 는 도 8b 및 8d의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815)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중 시스템이 발신자에게 통화 목적을 녹음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서비스 가입자에게 들려준 후에 가입자로 하여금 통화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841).
분석결과,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 과정을 수행하고(842),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한다(843).
판단결과,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이름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7)를 방송하고(844),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이름의 공개가 거부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8)를 방송한 후에(845) 수용(Accept) 또는 거절(Object)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846).
도 8f 는 도 8e의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 과정(842)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s)중 자동 전화번호 식별(ANI)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번호를 착신자에게 들려주어 착신자가 통화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Caller ID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851).
분석결과,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Caller ID Screening)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816),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검사한다(852).
검사결과,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식별번호를 알려주는 메시지(Anmt9)를 방송하고(853),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메시지(Anmt10)를 방송한 후에(854) 수용 또는 거절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846).
도 8g 는 도 8e 및 8f의 수용(Accept) 또는 거절(Object) 서비스 과정(846)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한다(861).
분석결과, 수용(Accept)이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816)
분석결과, 거절(Reject) 또는 착신자의 수용/거절 여부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시간(T6)이 종료되면 호를 단절한 후에(862)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863).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Default Destination)로 전환한다(86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각종 통신서비스의 서로 다른 번호를 하나의 논리적인 번호로 통합하여 가입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순차착신, 동시착신, 미트-미 페이징, 호 스케쥴링, 호절단 기능, 팩시밀리 및 음성사서함, 및 서비스 관리 기능 등을 추가하여 가입자의 시간대별 위치 및 상황 등을 고려한 착신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통합시스템(ONS)을 개발함에 있어서, ESP를 활용하여 시스템 적용시 최소한의 비용으로 다른 여러 가지 부가서비스를 동일 플랫폼상에서 개발할 수 있으므로 개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에 적용되는 통합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으로 인입된 착신호의 통합서비스(ONS) 시스템 가입여부에 따라 가입된 착신호에 대해 가입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가입된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에 한해 음성톤으로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호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가입된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에 한해 팩시밀리톤으로 인입된 착신호에 대해 팩시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으로 호가 인입되면, 상기 고도 서비스 플렛폼(ESP)에서 인입된 착신호가 상기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착신호가 상기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없는 국번에 대한 안내 메시지(Anmt_Err1)를 방송하고, 상기 통합서비스(ONS) 시스템에 가입된 착신호이면 가입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착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분석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분석결과, 유효한 가입자가 아니면 유효하지 않은 가입자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방송하고, 유효한 가입자이면 인입된 호가 팩시밀리톤인지 또는 음성톤인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판단결과, 음성톤이면 호처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팩시밀리톤이면 상기 제 3 단계로 넘어가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팩시밀리 처리기의 상태를 검사하는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팩스밀리 처리기가 정상이 아니면 팩시밀리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가입자에 대한 팩시밀리 착신시 안내 메시지를 방송하고, 상기 팩시밀리 처리기가 정상이면 팩시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팩시밀리 서비스 과정은,
    팩시밀리를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결과,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가입자 팩시밀리 번호로 통화하여 팩시밀리를 연결시키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결과,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팩시밀리 사서함으로 연결시키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팩시밀리 번호가 무선호출로 설정되어 있으면 무선호출로 가입자에게 팩시밀리의 도착 정보를 알리는 제 1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호처리 서비스 과정은,
    가입자가 녹음해 둔 인사말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분석결과, 가입자가 녹음해 둔 인사말이 설정되어 있으면 녹음된 가입자 인사말을 방송하고,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환영 안내방송에 대한 기본 안내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발신자의 응답에 따라 선택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분석결과,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아 자동으로 음성호로 전환되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분석결과, 식별번호가 입력되어 자신의 프로파일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이면 가입자와 서비스를 접속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분석결과, 식별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의 기타 부가 정보이면 선택을 잘못하였다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재입력 횟수가 선택을 잘못하였을 경우의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호를 종료하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4 단계로 넘어가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호를 종료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의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 과정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분석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등록되어 있으면 스크리닝 리스트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2 단계의 검사결과, 활성화 상태가 아니면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인지를 분석하여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이면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를 수행하고,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가 아니면 개인식별번호(PIN) 스크리닝 서비스인지를 판단하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3 단계의 판단결과, 개인식별번호(PIN) 스크리닝 서비스이면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를 수행하고, 개인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가 아니면 긴급 스크리닝 서비스인지를 검사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의 검사결과, 긴급 스크리닝 서비스이면 긴급 스크리닝 서비스를 수행하고, 긴급 스크리닝 서비스가 아니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15 단계;
    상기 제 12 단계의 검사결과, 스크리닝 리스트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이면 발신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분석하는 제 16 단계;
    상기 제 16 단계의 분석결과, 이용가능한 발신번호가 아니면 상기 제 13 단계로 넘어가고, 이용가능한 발신번호이면 스크리닝 리스트 서비스에 발신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7 단계; 및
    상기 제 17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번호가 없으면 상기 제 13 단계로 넘어가고, 발신번호가 있으면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1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의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 과정은,
    음성 스크리닝(Voice Screening)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19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가 이름을 녹음하도록 대기하는 최대시간 동안에 메시지가 기록되면 이름 이용가능함(Name Available)을 셋팅한 후에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0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가 식별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의 기타 키를 입력하면 발신자 식별번호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이름 이용가능하지 않음(Name Not Available)을 셋팅한 후에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9 단계로 넘어가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호를 종료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 단계의 개인 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 과정은,
    발신자가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되는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19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제공된 개인식별번호(PIN)가 유효하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0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제공된 개인식별번호(PIN)가 유효하지 않으면 잘못된 발신자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Others)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 재입력 횟수가 개인식별번호(PIN)를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의 제3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3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3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9 단계로 넘어가는 제 22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Others)를 입력하도록 대기하는 최대시간이 종료되면 재입력 횟수가 발신자가 착신을 허가받기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Others) 입력이 늦었을 경우의 제4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23 단계;
    상기 제 23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4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9 단계로 넘어가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4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선택을 위한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24 단계; 및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호를 종료하는 제 2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5 단계의 긴급 스크리닝 서비스 과정은,
    발신자가 긴급 스크리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19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긴급을 요하는 호이면 가입자에게 착신하기 위하여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0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긴급을 요하는 호가 아니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가 식별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의 기타 키를 입력하면 선택을 잘못하였다는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방송한 후에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22 단계;
    상기 제 22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1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9 단계로 넘어가는 제 23 단계;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 또는 응답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최대시간이 종료되면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2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24 단계;
    상기 제 24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2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19 단계로 넘어가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2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선택을 위한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25 단계; 및
    상기 제 19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호를 종료하는 제 2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입자 착신처 확인 서비스 과정은,
    상기 고도 서비스 플랫폼(ESP)상에서 순차적 경로 서비스인지를 분석하는 제 27 단계;
    상기 제 27 단계의 분석결과, 순차적 경로 서비스이면 가입자가 미리 지정된 착신 순서대로 착신요구시 착신이 성공할 때까지 정해진 순서대로 호를 시도하는 순차적 경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8 단계; 및
    상기 제 27 단계의 분석결과, 순차적 경로 서비스가 아니면 가입자가 등록한 여러 곳으로 동시에 호연결을 시도하여 가장 먼저 응답하는 곳과 통화하는 동시적 경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2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8 단계의 순차적 경로 서비스 과정은,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에게 발신자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 되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선택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30 단계;
    상기 제 30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면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여 호를 계속 수행하는 제 31 단계;
    상기 제 30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지 않으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0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호를 종료하는 제 33 단계;
    발신자 경로 찾기와 동시에 수행되는 경로 찾기상에서, 경로찾기에 따라 스케쥴된 리스트에서 첫 번째 전화번호를 가져와 가져온 전화번호로 연결하여 전화번호가 통화중인지 또는 응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기까지의 최대 대기 시간을 넘어선 시간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제 34 단계;
    상기 제 34 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이면 리스트상에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사하는 제 35 단계;
    상기 제 35 단계의 검사결과,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가 아니면 리스트상의 다음 전화번호를 가져와 가져온 전화번호로 연결하고, 리스트상의 마지막 전화번호이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36 단계;
    상기 제 34 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가 아니면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한지를 분석하는 제 37 단계;
    상기 제 37 단계의 분석결과,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를 수행하고,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지 않으면 착신자를 확인한 후에 호가 단절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38 단계;
    상기 제 38 단계의 검사결과, 호가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고, 호가 단절되어 있으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제 39 단계;
    상기 제 39 단계의 분석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0 단계;
    상기 제 40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자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는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제 41 단계의 검사결과,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으면 호가 지정 착신처로 이미 전환되었음을 착신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지 않았으면 발신자가 호를 포기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호를 단절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제 40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자와 연결 상태이면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여 호를 계속 수행하는 제 4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8 단계의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 과정은,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44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가 유효하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45 단계;
    상기 제 45 단계의 검사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40 단계로 넘어가는 제 46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개인 식별번호(PIN)가 유효하지 않으면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재입력 횟수가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제5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47 단계;
    상기 제 47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5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44 단계로 넘어가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5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호를 단절시킨 후에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는 제 48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을 기다리는 최대시간이 종료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호를 단절시킨 후에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는 제 54 단계; 및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는 제 50 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 단계의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제 44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를 수행하고,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 45 단계; 및
    상기 제 45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이름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이름의 공개가 거부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수용(Accept) 또는 거절(Object)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4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6 단계의 수용 또는 거절 서비스 과정은,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47 단계;
    상기 제 47 단계의 분석결과, 수용(Accept)이면 상기 제 40 단계로 넘어가는 제 48 단계;
    상기 제 47 단계의 분석결과, 거절(Reject) 또는 착신자의 수용/거절 여부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시간이 종료되면 호를 단절한 후에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49 단계; 및
    상기 제 47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5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5 단계의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 과정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제 51 단계;
    상기 제 51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40 단계로 넘어가고,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52 단계; 및
    상기 제 52 단계의 검사결과,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식별번호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수용 또는 거절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5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9 단계의 동시적 경로 서비스 과정은,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에게 발신자가 착신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듣게 되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선택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30 단계;
    상기 제 30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면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하여 호를 계속 수행하는 제 31 단계;
    상기 제 30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수락되지 않으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0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호를 종료하는 제 33 단계;
    발신자 경로 찾기와 동시에 수행되는 경로 찾기상에서, 경로 찾기에 따라 스케쥴된 리스트에서 첫 번째 전화번호를 가져와 가져온 전화번호로 연결하여 전화번호가 통화중인지 또는 응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기까지의 최대 대기 시간을 넘어선 시간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제 34 단계;
    상기 제 34 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이면 전화번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호를 단절한 후에, 모든 전화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35 단계;
    상기 제 35 단계의 검사결과, 모든 전화번호가 이용가능하면 상기 제 34 단계로 넘어가고,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36 단계;
    상기 제 34 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중 또는 시간 종료가 아니면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제 37 단계;
    상기 제 37 단계의 분석결과,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를 수행하고, 전화번호에 개인 식별번호(PIN)가 필요하지 않으면 착신자를 확인한 후에 호가 단절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38 단계;
    상기 제 38 단계의 검사결과, 호가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고, 호가 단절되어 있으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제 39 단계;
    상기 제 39 단계의 분석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가 아직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0 단계;
    상기 제 40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자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는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제 41 단계의 검사결과,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었으면 호가 지정 착신처로 이미 전환되었음을 착신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디폴트 착신지로 전환되지 않았으면 발신자가 호를 포기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호를 단절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제 40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자와 연결 상태이면 경로 찾기나 발신자 경로 찾기상에서 발신자와 착신 가입자를 연결한 후에 호를 계속 수행하고, 수락된 호가 아닌 모든 응답 호에 대해 반복하기 위해 경로 찾기상에서 이미 다른 번호로 통화가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찾기를 종료한 후에 호를 단절시키는 제 4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8 단계의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 과정은,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44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가 유효하면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어떤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45 단계;
    상기 제 45 단계의 검사결과,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40 단계로 넘어가는 제 46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개인 식별번호(PIN)가 유효하지 않으면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재입력 횟수가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제5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47 단계;
    상기 제 47 단계의 판단결과,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5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 44 단계로 넘어가고, 재입력 횟수가 상기 제5 재입력 허용 횟수보다 크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는 제 48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가입자가 가입자의 사서함 관리나 서비스 관리를 위해 입력하는 코드(PIN_Mine)의 입력을 기다리는 최대시간이 종료되면 호수락 개인 식별번호 서비스 절차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는 제 49 단계; 및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상기 제 35 단계로 넘어가는 제 5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 단계의 발신자 식별번호 확인 서비스 과정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제 44 단계;
    상기 제 44 단계의 분석결과,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를 수행하고, 음성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 45 단계; 및
    상기 제 45 단계의 판단결과, 발신자 이름이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이름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이름의 공개가 거부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수용(Accept) 또는 거절(Object)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4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6 단계의 수용 또는 거절 서비스 과정은,
    선택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는 제 47 단계;
    상기 제 47 단계의 분석결과, 수용(Accept)이면 상기 제 40 단계로 넘어가는 제 48 단계;
    상기 제 47 단계의 분석결과, 거절(Reject) 또는 착신자의 수용/거절 여부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시간이 종료되면 호를 단절한 후에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49 단계; 및
    상기 제 47 단계의 분석결과, 호가 단절되면 바로 지정 착신처로 연결시키는 디폴트 착신처로 전환하는 제 5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5 단계의 발신자 식별번호 지시 서비스 과정은,
    선별 착신거절 서비스중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제 51 단계;
    상기 제 51 단계의 분석결과, 발신자 식별번호 스크리닝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40 단계로 넘어가고,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52 단계; 및
    상기 제 52 단계의 검사결과,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면 발신자 식별번호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발신자 식별번호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방송한 후에 수용 또는 거절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5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 서비스 방법.
KR1019980012733A 1998-04-10 1998-04-10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KR10025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733A KR100259773B1 (ko) 1998-04-10 1998-04-10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733A KR100259773B1 (ko) 1998-04-10 1998-04-10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872A true KR19990079872A (ko) 1999-11-05
KR100259773B1 KR100259773B1 (ko) 2000-06-15

Family

ID=1953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733A KR100259773B1 (ko) 1998-04-10 1998-04-10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951B1 (ko) * 2004-10-28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KR101159802B1 (ko) * 2004-07-28 2012-06-2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방범시스템의 통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53B1 (ko) * 1998-12-30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넘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02B1 (ko) * 2004-07-28 2012-06-2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방범시스템의 통신장치
KR100651951B1 (ko) * 2004-10-28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773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100A (en) Communications system call complete arrangement
KR100436615B1 (ko) 콜 미 컨퍼런스 콜 시스템, 원격 통신 시스템내의 사용 방법
US5706329A (en)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eet-me bridge reconnect feature
US923206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irec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 preferred teleconference bridge
CA2181401C (en) Call scree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completing telephone calls
US20070111743A1 (en) Mobile-Device Directed Conference Call Interface
US5583925A (en) Automatic three-way calling feature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115772B2 (ja) 電話呼処理方法
US60553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based customized call treatment
JPH08289027A (ja) 電話システム運用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500954A (ja) 遠隔通信フォローミーサービス
JPH08500956A (ja) 電話呼を完成させるのに用いる方法
US5463683A (en) Blocked call notification system
EP1551158A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all management in a called mobile phone dependent on its local time zone
KR100678253B1 (ko) 원넘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259773B1 (ko) 고도 서비스 플렛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방법
JPH1127391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発呼者が呼取り扱いを制御出来るよう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1546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MS tone to prevent a voice announcement in a group call
US64050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B-answer signal to prevent a voice announcement in a group call
KR100235115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JPH03237856A (ja) 交換装置
JPH08331262A (ja) 局間多者接続方式
KR100285336B1 (ko) 지능망에서의 가입자 부재 자동응답 서비스 방법
KR100208964B1 (ko) 국설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호예약처리방법
KR100233462B1 (ko) 교환시스템의 착신거부상태 안내방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