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519A -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519A
KR19990079519A KR1019980012155A KR19980012155A KR19990079519A KR 19990079519 A KR19990079519 A KR 19990079519A KR 1019980012155 A KR1019980012155 A KR 1019980012155A KR 19980012155 A KR19980012155 A KR 19980012155A KR 19990079519 A KR19990079519 A KR 19990079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panel
cold water
spraying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519A/ko
Publication of KR1999007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519A/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로부터 펀넬의 모서리부와 장, 단변부가 분리되는 속도를 일치시킴으로써 펀넬에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하여 분리된 패널과 펀넬을 재사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널과 펀넬을 융착시키는 프리트글라스를 부분 용해하기 위해 이 부분에 질산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에 열충격을 가하기 위해 온수 또는 냉수를 일정시간 교번으로 융착되어 있는 패널과 펀넬의 전체면에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과 펀넬의 모서리부 분리속도와 장, 단변부 분리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온수(냉수) 분사 단계와 냉수(온수) 분사 단계의 사이에 패널과 펀넬의 장, 단변부에만 냉수(온수)를 집중 분사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본 발명은 평면음극선관에 적용되는 패널과 펀넬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 및 펀넬의 손상없이 패널로부터 펀넬을 원활히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에 있어, 패널(1)과 펀넬(2)을 분리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진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패널(1) 및 펀넬(2)의 모서리부분도 곡선(Round)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1) 및 펀넬(2)의 끝부분에서 패널(1)과 펀넬(2)이 프리트글라스(3)에 의해 융착되어 있는 구조로서, 제조공정 상에서 불량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패널(1)로부터 펀넬(2)을 분리한 후 이 패널(1) 및 펀넬(2)을 제조라인에 다시 투입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패널(1)과 펀넬(2)을 융착시키는 프리트글라스(3) 부분에 질산을 스프레이하여 프리트글라스(3)를 약간(약 0.7㎜ 정도) 녹인 후 패널(1)을 위로 향하게 하고, 약 48℃의 온수를 패널(1)면에 분사하여 패널(1)과 펀넬(2)을 열팽창시키게 된다.
이후, 약 12℃의 냉수를 패널(1)면에 분사하여 패널(1)과 펀넬(2)을 열수축시킨 후 다시 약 48℃의 온수를 패널(1)면에 분사하여 이러한 반복적인 열충격에 의해 패널(1)과 펀넬(2)을 분리하게 되며, 분리된 패널(1) 및 펀넬(2)은 제조라인에 재투입하여 다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경우는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패널(1)면이 볼록하고, 패널(1)과 펀넬(2)의 모서리가 모두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프리트글라스(3)에 의해서 패널(1)과 펀넬(2)이 융착 고정된 부분의 형상이 거의 일치하므로 냉수 또는 온수 분사시 패널(1)과 펀넬(2)에 모두 고르게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대상이 평면음극선관일 경우는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과는 차이가 있으며, 이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먼저, 평면음극선관의 패널은 모서리 부분이 각진 평판형이고, 펀넬의 모서리 부분은 개략 곡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패널을 위로 향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온수와 냉수를 분사하였을 경우에는 패널과 펀넬에 고르게 분사되지 않아 모서리부에서 패널과 펀넬 간에 응력차가 발생하여 모서리부와 장, 단변부 사이에 분리속도의 차이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모서리부에서의 분리가 장, 단변부에서 보다 빠르게 일어나게 되어 먼저 분리된 모서리부의 힘이 아직 분리되지 않은 장, 단변부에 크랙(crack)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의 경우와는 다른 방법, 즉 평면음극선관의 특성에 맞는 패널과 펀넬의 분리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질산을 분사하여 패널과 펀넬을 융착시키는 프리트글라스를 약간 녹인 후 온수 및 냉수를 분사하는 열충격을 이용하여 패널과 펀넬을 분리시키는 일반적인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에 패널과 펀넬의 장, 단변부에만 일정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온수 또는 냉수를 분사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패널로부터 펀넬의 모서리부와 장, 단변부가 분리되는 속도를 일치시킴으로써 펀넬에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하여 분리된 패널과 펀넬을 재사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가)는 질산 스프레이단계.
(나)는 온수 분사단계.
(다)는 냉수 분사단계.
(라)는 온수 분사단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가)는 질산 스프레이단계.
(나)는 제 1 온수 분사단계.
(다)는 장, 단변부 집중 냉수 분사단계.
(라)는 전체 냉수 분사단계.
(마)는 제 2 온수 분사단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패널 102 : 펀넬
103 : 프리트글라스 104 : 모서리부
105 : 장, 단변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 공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1)과 펀넬(102)을 융착시키는 프리트글라스(103)를 부분 용해하기 위해 이 부분에 질산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101)과 펀넬(102)의 융착부에 열충격을 가하기 위해 온수 또는 냉수(107)를 일정시간 교번으로 융착되어 있는 패널(101)과 펀넬(102)의 전체면에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펀넬(102)의 모서리부(104) 분리속도와 장, 단변부(105) 분리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온수(냉수) 분사 단계와 냉수(온수) 분사 단계의 사이에 패널(101)과 펀넬(102)의 장, 단변부(105)에만 냉수(온수)를 집중 분사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패널(101)과 펀넬(102)을 융착시키는 프리트글라스(103)에 질산(비중:약 1.063, 온도:약 48℃)을 일정시간(약 320초 정도) 동안 스프레이하여 프리트글라스(103)를 약간(약 0.7㎜ 정도) 녹이게 된다.
그리고, 패널(101)을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한 후 펀넬(102)부로부터 약 35℃의 제 1 온수를 일정시간(약 40초 정도) 동안 분사하여 패널(101)과 펀넬(102)에 제 1 온수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패널(101)과 펀넬(102)을 열팽창시키게 된다.
이후, 약 12℃의 냉수를 패널(101)과 펀넬(102)의 장, 단변부(105)에만 집중 분사시켜(약 20초 정도) 장, 단변부(105)가 먼저 분리되도록 하고, 다시 약 12℃의 냉수를 모서리부(104)와 장, 단변부(105)에 동시 분사시켜(약 40초 정도) 패널(101)과 펀넬(102)에 열수축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에 약 45℃의 제 2 온수를 패널(101)과 펀넬(102)의 모서리부(104)와 장, 단변부(105)에 동시 분사시켜(약 40초 정도) 패널(101)과 펀넬(102)이 다시 열팽창하도록 하여 이러한 반복적인 열충격에 의해 패널(101)과 펀넬(102)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는 일반적인 패널(101)과 펀넬(102)의 분리방법에 패널(101)과 펀넬(102)의 장, 단변부(105) 집중 분사 공정을 추가한 것으로, 이를 통해 분리가 늦은 패널(101)과 펀넬(102)의 장, 단변부(105)가 먼저 분리되도록 하여 모서리부(104)와 장, 단변부(105)의 분리속도를 일치시킴으로써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패널(101)과 펀넬(102)을 분리시켜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 1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를 약 20∼30℃ 정도로 적게 가져가야만 하는데, 어느 일정 온도차 이상이 되면 패널(101)과 펀넬(102)이 완전히 분리되므로 이 경우 패널(101)과 펀넬(102)의 장, 단변부(105)가 완전히 분리되어 분리되지 않은 모서리부(104)에 크랙이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패널(101)과 펀넬(102)의 장, 단변부(105)가 서서히 분리되는 조건, 즉 제 1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를 장, 단변부(105)가 서서히 분리되는 정도로만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널과 펀넬의 모서리부와 장, 단변부의 분리 속도를 일치시킴으로써 분리시 펀넬에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하여 분리된 패널과 펀넬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패널과 펀넬을 융착시키는 프리트글라스를 부분 용해하기 위해 이 부분에 질산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에 열충격을 가하기 위해 온수 또는 냉수를 일정시간 교번으로 융착되어 있는 패널과 펀넬의 전체면에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과 펀넬의 모서리부 분리속도와 장, 단변부 분리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온수(냉수) 분사 단계와 냉수(온수) 분사 단계의 사이에 패널과 펀넬의 장, 단변부에만 냉수(온수)를 집중 분사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펀넬의 장, 단변부가 급작스럽지 않게 서서히 분리되도록 온수 또는 냉수 분사 단계의 유체온도와, 펀넬의 장, 단변부에 냉수 또는 온수를 집중 분사하는 단계의 유체온도 차이를 20∼3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KR1019980012155A 1998-04-06 1998-04-06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KR19990079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55A KR19990079519A (ko) 1998-04-06 1998-04-06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55A KR19990079519A (ko) 1998-04-06 1998-04-06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19A true KR19990079519A (ko) 1999-11-05

Family

ID=6586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55A KR19990079519A (ko) 1998-04-06 1998-04-06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5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2584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substrate
US8516852B2 (en) Glass fusion method
KR980003648A (ko) 광학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0689070A1 (en) Terminal treatment device for a plastic fibre
JPH0461450B2 (ko)
EP0993016A3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isassembling the same
KR19990079519A (ko) 평면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 분리방법
US2884312A (en) Electron discharge device manufacture
CN101565271B (zh) 贴合玻璃基板的加工方法
ITTO970921A1 (it) Laser a diodi di elevate prestazioni e procedimento per il suo montaggio
US7838795B2 (en) Method of breaking a brittle substrate
EP0666486A1 (en) Terminal treatment process for a plastic fibre and a device for the treatment thereof
EP1243373A2 (en) Laser marking on a coated substrate
US3319818A (en) Manufacture of cathode ray tubes for color television
JPS6210415B2 (ko)
US4176891A (en) Salvage method for cathode ray tubes
US20140076602A1 (en) Hermetic sealing of atomic sensor using sol-gel technique
EP1655756B1 (en) Glass chip tube seal-cutting method
KR20160147111A (ko) 플레이트 연마 장치 및 연마 방법
JPH0667038A (ja) 光ファイバ導入部の気密封止構造
KR100350394B1 (ko) 주철재의 용융 접합방법
JPH052167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S5897239A (ja) 管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6613A (ko) 석영 유리의 접합 방법
KR20150088099A (ko) 기판의 국소 열팽창 및 용매의 국소 냉각팽창을 이용한 기판절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