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098A -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098A
KR19990079098A KR1019980011500A KR19980011500A KR19990079098A KR 19990079098 A KR19990079098 A KR 19990079098A KR 1019980011500 A KR1019980011500 A KR 1019980011500A KR 19980011500 A KR19980011500 A KR 19980011500A KR 19990079098 A KR19990079098 A KR 19990079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electrostatic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in body
storag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289B1 (ko
Inventor
한창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289B1/ko
Priority to US09/240,573 priority patent/US6109054A/en
Priority to CN99104323A priority patent/CN1124452C/zh
Priority to JP11087114A priority patent/JPH11344234A/ja
Publication of KR1999007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조화기의 본체의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그릴부재를 열어서 본체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분리 청소가능토록 전기집진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수단은, 여닫이방식에 의해 소정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됨과 동시에 그 회동각도에 따라 상부 개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내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및 제2수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내부 전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조 한쌍씩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킨 스크롤 타입의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소비자가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쉽게 들어서 청소할수 있음과 동시에 허리를 무리하게 굽히지 않고 제1 및 제2수납부재에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본 발명은 상치형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내의 하단측 흡입구에 설치된 전기집진기의 취부상태를 개선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전면 하측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흡입홀(21)을 가진 흡입그릴부재(20)가 착탈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측에는 본체(10)내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토출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30)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바꾸어서 실내의 원하는 장소로 보내어주도록 다수개의 상하블레이드(40) 및 좌우블레이드(50)가 각각 전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전면 중앙에는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내의 중앙 높이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를 본체(10)의 내부로 강제 흡입함과 동시에 본체(10)내에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3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송풍수단(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내의 하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제거하도록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가 착탈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송풍수단(70)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71)와, 상기 모터(71)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72)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블로워팬(73)과, 상기 블로워팬(73)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바람을 소정위치로 안내하는 덕트(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는 상기 본체(10)내의 하측 양벽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레일(11)의 상면에 얹혀져 설치되도록 큰 면적의 플레이트 타입(Plate Type)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는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를 일정기간 마다 청소하기 위하여 흡입그릴부재(20)를 열은 후, 본체(10)내의 하측 양벽에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레일(11)상에 얹혀져 있는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서로 분리하거나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순방법으로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부피가 클뿐만 아니라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소비자가 전기집진기(80)를 쉽게 들어서 청소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정레일(11)로부터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전기집진기를 스크롤 타입(Scroll Type)으로 부피 및 무게를 줄여 소비자가 쉽게 들어서 청소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여닫이방식으로 회동되면서 상부측이 개방 및 폐쇄되는 수납부재에 의해 허리를 무리하게 굽히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조화기의 본체의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그릴부재를 열어서 본체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분리 청소가능토록 전기집진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수단은, 여닫이방식에 의해 소정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됨과 동시에 그 회동각도에 따라 상부 개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내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및 제2수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내부 전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조 한쌍씩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킨 스크롤 타입의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종래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는 도4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도4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7은 도4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9는 도8에 의한 전기집진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1은 도10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2는 도11에서 전기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흡입그릴부재
90 : 전기집진수단 100,101 : 제1 및 제2지지프레임
103 : 스톱퍼 104 : 가이드홈
120,121 : 제1 및 제2힌지축 130,131 : 제1 및 제2수납부재
132 : 개구부 133 : 통풍구
134 : 힌지홀 135 : 힌지편
136 : 가이드축 140 연결부재
150,151 : 제1 및 제2전기집진기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집진수단(90)은, 상기 본체(10)내의 하측 양벽에 설치된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과 제2지지프레임(101)의 사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단이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을 매개로 힌지되어 전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와,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측이 본체(10)의 외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된후 정지되도록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후측 상단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후단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140)와,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내부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부피 및 무게가 작은 2조 한쌍의 스크롤 타입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이 서로 마주보는 그들 안쪽면 전측단에 대하여 중간 높이 및 하단 높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전측 하단에 각각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의 양단이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도록 힌지홀(102)이 관통되어 있고, 그들 안쪽면 후측단에 대하여 상기 힌지홀(102)과 각각 대응되는 높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가 후측으로 회동될 때 더 이상 제쳐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정지하도록 스톱퍼(103)가 각각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은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후술하는 힌지홀을 관통하여 그들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의 힌지홀(102)에 결합되도록 각각 하나의 기다란 원형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에는 그들 상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가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개구부(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들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전후면에는 공기가 통과되도록 통풍구(13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하면 전측 양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힌지축(120)이 관통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에 형성된 힌지홀(102)에 삽입 결합되도록 중앙에 각각 힌지홀(134)을 가진 힌지편(135)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는 상기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을 중심으로 수직되게 위치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회동될 때 그 회동각도(α)는 30°≤ α ≥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부재(140)는 절첩이 용이한 쇠사슬이나 또는 끈 종류 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일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전기집진기(150)는 부피 및 무게가 작은 2조 한쌍의 스크롤 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수납부재(13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32)를 통하여 그 내부 전후측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설치되고, 제2전기집진기(151)는 부피 및 무게가 작은 2조 한쌍의 스크롤 타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수납부재(131)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32)를 통하여 그 내부 전후측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내에 전후측으로 각각 설치될 때 서로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내부에 의해 안내되어 진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본체(10)내에 장착된 송풍수단(70)의 모터(71)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 이 모터(71)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72)을 매개로 블로워팬(73)이 회전되면서 본체(10)의 전면 하측에 설치된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홀(21)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강제 흡입함과 동시에 본체(10)의 전면 상측에 형성된 토출구(30)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싸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홀(21)을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그릴부재(20)의 후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10)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의 방전판(도시안됨)과 대전판(도시안됨)과의 사이를 통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등이 전기집진되어 깨끗한 청정공기만이 통과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는 상술한 송풍수단(70)의 모터(71)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때 동시 또는 수초전 및 수초후에 고전압을 인가받아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방전판(도시안됨)은 방전파를 발생하게 되면서 방전판(도시안됨)과 대전판(도시안됨)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등을 미세한 입자로 분해함과 동시에 플러스(+)로 이온화된 먼지를 마이너스(-)전하를 띠는 대전판(도시안됨)에 흡착 제거됨으로써 깨끗한 청정공기를 통과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0)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내에 수납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를 외부로 분리시켜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6에 도시한 상태에서 본체(10)로부터 흡입그릴부재(20)를 분리시켜 본체(10)의 전면 하측을 개방시킨 다음,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단을 각각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이들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는 그들 하면 전측에 형성된 힌지홀(134)에 힌지되도록 관통됨과 동시에 제1지지프레임(100)의 힌지홀(102)과 제2지지프레임(101)의 힌지홀(10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된다.
즉,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는 그들 하단의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그들 상단 후측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의 후측과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유연성 연결부재(140)의 길이제한에 따라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각도에서 경사지게 정지됨으로써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32)를 본체(10)의 외부로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개방된 개구부(132)를 통하여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내의 전후측에 병렬로 2조 한쌍씩 각각 수납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를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면, 이들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는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열림 경사각도에 따라 본체(10)의 간섭을 피하여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는 분리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에 포집된 먼지를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가 끝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를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내에 수납시켜 본체(10)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의 분리를 위하여 경사지게 열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부 개구부(132)를 통하여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를 상술한 역순동작에 의해 각각 삽입시키고, 이어서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단을 후방으로 밀어준다.
이때,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는 그들 하단 전측에 결합된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그들 하단 후측이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의 소정위치에 돌설된 스톱퍼(103)에 안착되어 정지됨으로써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상태로 놓이게 되고,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내의 전후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병렬로 삽입 설치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도 공기의 흡입방향과 직각되는 수직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전기집진기(150)(151)는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된 2조 한쌍의 스크롤 타입으로 각각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내에서 일정각도로 여닫이방식에 의해 회동되는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에 수납되므로, 소비자가 쉽게 들어서 청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제1 및 제2힌지축(120)(121)의 일측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힌지편(135)에 형성된 힌지홀(134)을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에 형성된 힌지홀(102)에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그 타측이 제2지지프레임(101)에 형성된 힌지홀(102)에 결합되도록 각각 하나의 기다란 원형봉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제2실시예로서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힌지축(120a)(121a)의 길이를 짧게 함과 동시에 2개로 나누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하면 전측 양단에 각각 형성된 힌지홀(134)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에 형성된 힌지홀(102)과의 사이에만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설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상측이 본체(10)의 외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된후 정지되도록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후측 상단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후단의 사이에 연결부재(140)를 연결시킨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제3실시예로서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40)를 없앤 대신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00)(101)의 상하 높이에 각각 가이드홈(104)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의 양외측벽에 상기 가이드홈(104)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제1 및 제2수납부재(130)(131)가 일정각도로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축(136)이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설되게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된 2조 한쌍의 스크롤 타입으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가 각각 이루어져 있고, 이들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는 본체내에서 일정각도로 여닫이방식에 의해 회동되어 상측 개구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 및 제2수납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가능토록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쉽게 들어서 청소할수 있음과 동시에 허리를 무리하게 굽히지 않고 제1 및 제2수납부재에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공기조화기의 본체의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그릴부재를 열어서 본체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분리 청소가능토록 전기집진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수단은, 여닫이방식에 의해 소정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됨과 동시에 그 회동각도(α)에 따라 상부 개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내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및 제2수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내부 전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조 한쌍씩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킨 스크롤 타입의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하면 전측 양단은, 상기 본체내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힌지축에 의해 각각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축은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하면 전측 양단에 형성된 힌지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벽에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제2지지프레임의 타측벽에 각각 고정되도록 각각 하나의 기다란 원형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가 후측으로 회동될 때 더 이상 제쳐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정지하도록 스톱퍼가 소정높이에 각각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양외측벽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상하 높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제1 및 제2수납부재가 일정각도로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축이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와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전기집진기가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제1 및 제2수납부재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된후 정지되도록 연결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절첩이 용이한 쇠사슬이나 또는 끈 종류 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일종으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에는, 그들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전기집진기가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각각 형성된 개구부와,
    그들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전후면에 공기가 통과되도록 각각 형성된 통풍구와,
    그들 하면 전측 양단에 제1 및 제2힌지축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각각 힌지홀이 힌지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기집진기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내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병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부재의 회동각도(α)는 30°≤ α ≥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19980011500A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KR10026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00A KR100266289B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US09/240,573 US6109054A (en) 1998-04-01 1999-02-01 Air conditioner
CN99104323A CN1124452C (zh) 1998-04-01 1999-03-26 空调器
JP11087114A JPH11344234A (ja) 1998-04-01 1999-03-29 空気調和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00A KR100266289B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098A true KR19990079098A (ko) 1999-11-05
KR100266289B1 KR100266289B1 (ko) 2000-09-15

Family

ID=1953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500A KR100266289B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09054A (ko)
JP (1) JPH11344234A (ko)
KR (1) KR100266289B1 (ko)
CN (1) CN112445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01B1 (ko) * 1999-12-24 2003-08-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집진기 고정장치
KR100484868B1 (ko) * 2002-03-20 2005-04-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식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374B1 (en) * 2000-04-26 2001-07-17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Easily installable field configurable air conditioning unit
US20060271629A1 (en) * 2005-05-26 2006-11-30 Macdowell Alexander D Distributed Challenge and Response Recognition System
KR100905421B1 (ko) * 2007-11-16 2009-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 기능을 갖는 지능형 환기 제어 시스템
GB2499042A (en)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A nozzle for a fan assembly
GB2499041A (en)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Bladeless fan including an ionizer
GB2499044B (en) * 2012-02-06 2014-03-19 Dyson Technology Ltd A fan
EP3165842B1 (en) * 2015-10-30 2020-10-07 LG Electronics Inc. Air freshener
CN110553387A (zh) * 2019-09-26 2019-12-10 苏州德佳净化钢结构有限公司 一种正向设置的柜机滤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0588A (en) * 1972-01-12 1973-01-16 M Martinez Air conditioner with disposable air filter
JPS6310361Y2 (ko) * 1980-07-29 1988-03-28
JPH02208481A (ja) * 1989-02-06 1990-08-2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H02192524A (ja) * 1989-11-27 1990-07-30 Toshiba Corp 電気集塵器付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01B1 (ko) * 1999-12-24 2003-08-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집진기 고정장치
KR100484868B1 (ko) * 2002-03-20 2005-04-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식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6289B1 (ko) 2000-09-15
CN1124452C (zh) 2003-10-15
JPH11344234A (ja) 1999-12-14
CN1231405A (zh) 1999-10-13
US6109054A (en)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65806B (zh)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JP4410251B2 (ja)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0266289B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EP3267124B1 (en) Air conditioner
KR100291640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JPH0798129A (ja) 分離型空気調和機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JP4711607B2 (ja) 空気調和機
KR100261701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0261702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0269461B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JP2006071135A (ja) フィルタ清掃装置とそれを備えた空調装置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KR100457563B1 (ko) 공기조화기
KR100220730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JPH1011096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200194579Y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기고정장치
CN216537359U (zh) 一种自动空气滤芯除尘器
CN217471832U (zh) 一种用于马桶的烘干器、智能马桶盖和智能马桶
KR0139331Y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취부장치
CN220958788U (zh) 一种暖通空调自清洁机构
CN210881598U (zh) 一种节能的电动汽车空调装置
KR100464518B1 (ko) 공기청정기
KR10024690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